KR102385043B1 -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043B1
KR102385043B1 KR1020210106745A KR20210106745A KR102385043B1 KR 102385043 B1 KR102385043 B1 KR 102385043B1 KR 1020210106745 A KR1020210106745 A KR 1020210106745A KR 20210106745 A KR20210106745 A KR 20210106745A KR 102385043 B1 KR102385043 B1 KR 10238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aggregate
coarse aggregate
concrete composition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현
윤상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2Controlling the process of mixing, e.g. adding ingredients in a quantity depending on a measured or desired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4Air-en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골재를 포함하며 건축물의 골조 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물, 천연 잔골재, 천연 굵은 골재, 순환 굵은 골재, 바인더 및 팽창성 혼화제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며; 순환 굵은 골재량은 287 내지 495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432 내지 640kg/㎥이며; 순환 굵은 골재와 천연 굵은 골재의 혼합비는 3:7 내지 5:5이고; 설계 기준강도는 18MPa의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목표로 하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정도에 따라 순환 굵은 골재량을 조절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Concrete Composition having Recycled Aggregates without Recycled Fine Aggregates}
본 발명은 순환골재로서 생산된 굵은 골재("순환 굵은 골재")를 포함하며 건축물의 골조 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순환골재 중에서 잔골재 즉, "순환 잔골재"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억제함과 동시에, 팽창성 혼화제를 사용하면서 목표로 하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정도에 따른 건축물 용적률 기준 완화 적용 범위에 맞추어서 순환골재로 생산된 굵은 골재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에 맞추어서 현장 적용이 쉽고 적합한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설폐기물에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431호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순환골재는 "순환 잔골재"와 "순환 굵은 골재"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순환골재 콘크리트")는 건축물의 골조 공사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위한 조성물에서의 순환골재 사용량은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에 큰 영향을 준다. 국토교통부의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고시에서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15 내지 25%에 따라 건축물 용적률 기준 완화 적용 범위를 정하고 있다. 편의상 이러한 건축물 용적률 기준 완화 적용 범위를 "적용 범위 비율"이라고 한다. 연면적 500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에서 기둥, 기초, 바닥, 벽, 보, 계단, 지붕 등의 골조를 구축하는 공사에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순환골재 사용량("순환골재량")에 따라 적용 범위 비율을 5 내지 15% 범위 내에서 정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상기한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고시에 따르면, 부피비로서 순환골재량이 15% 이상일 경우에는 적용 범위 비율을 5%로 할 수 있고, 순환골재량이 20% 이상일 경우에는 적용 범위 비율을 10%로 할 수 있으며, 순환골재량이 25% 이상일 경우에는 적용 범위 비율을 15%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순환골재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순환골재량에 따라 건축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이 달라지고 용적률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용 범위 비율이 변화되는 바, 건축물 시공에서의 경제성 향상을 위해서는 적용 범위 비율을 최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최적의 순환골재량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431호(2019. 02. 22.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하게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을 만들되, 순환골재 중에서 순환 잔골재의 사용을 배제하여, 순환 잔골재 대신에 천연 잔골재를 이용하고, 순환골재로서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하며, 적용 범위 비율을 최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최적의 순환골재량을 가지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별로 최적의 순환골재량으로 순환골재를 포함하되, 콘크리트의 물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최적의 팽창성 혼화제 사용량을 가지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순환 굵은 골재량은 287 내지 495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432 내지 640 kg/㎥이며; 순환 굵은 골재와 천연 굵은 골재의 혼합비는 3:7 내지 5:5이고; 설계 기준강도는 18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설계강도는 18MPa이고; 순환골재의 함유량은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5%일 경우에는 순환 굵은 골재량은 287 내지 306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620 내지 640kg/㎥이며;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10%일 경우에는 순환 굵은 골재량은 380 내지 399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527 내지 547kg/㎥이고;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15%일 경우에는 순환 굵은 골재량은 475 내지 495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432 내지 452kg/㎥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는 분체로서 275 내지 295kg/㎥으로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콘크리트의 설계강도는 18MPa이고; 바인더는 시멘트이거나 또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이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시멘트에 혼합된 것이며; 석회석 미분말의 사용량은 총 분체량 100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팽창성 혼화제는 1.5 내지 2.5kg/㎥으로 함유될 수 있고, AE제가 0.05 내지 0.15g/㎥으로 더 함유될 수도 있으며, 물의 함유량은 127 내지 147kg/㎥로 될 수 있고, 천연 잔골재의 함유량은 986 내지 1,006kg/㎥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최적의 순환골재량으로 순환골재가 포함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적용 범위 비율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건축물 시공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최적의 사용량으로 팽창성 혼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별로 최적의 순환골재량으로 순환골재를 포함하면서도 순환골재의 사용에 따른 단점을 최소화시켜서 콘크리트의 물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적용 범위 비율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최적의 순환골재량으로 순환골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 천연 잔골재, 천연 굵은 골재, 순환골재로 이루어진 굵은 골재, 바인더, 및 팽창성 혼화제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는 편의상 순환골재로 이루어진 굵은 골재는 "순환 굵은 골재"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순환 굵은 골재와 천연 굵은 골재가 함께 사용되는데, 순환 굵은 골재와 천연 굵은 골재의 혼합비율(단위용적당 질량비)은 3:7 내지 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순환 굵은 골재는 287 내지 495kg/㎥으로 포함되며, 천연 굵은 골재는 432 내지 640kg/㎥으로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 및 콘크리트 설계강도에 따라 순환 굵은 골재의 함유량("순환 굵은 골재량")과 천연 굵은 골재의 함유량("천연 굵은 골재량")이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국토교통부의 <재활용 건축자재의 활용기준> 고시에서는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에 따라 기준 완화 적용 범위를 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이러한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즉, 적용 범위 비율에 맞추어서 순환 굵은 골재량이 달라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계강도가 18MPa이고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5%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의 순환 굵은 골재량은 287 내지 306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620 내지 640kg/㎥이 된다. 설계강도가 18MPa이고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10%일 경우,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순환 굵은 골재량은 380 내지 399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527 내지 547kg/㎥이 된다. 또한 설계강도가 18MPa이고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이 15%일 경우,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의 순환 굵은 골재량은 475 내지 495kg/㎥이고, 천연 굵은 골재량은 432 내지 452kg/㎥이 된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순환 굵은 골재는 최대 치수 20mm이고 2.50 내지 2.54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지며 2.47 내지 2.83의 흡수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바인더는 분체로서 275 내지 295kg/㎥으로 포함되는데, 바인더로는 시멘트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시멘트와 함께 바인더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석회석 미분말은, 총 분체량 즉, 총 바인더의 함유량을 100중량%라고 할 때 5 내지 15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석회석 미분말은 분말도 3.480와 밀도 2.7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인더의 조성을 가질 경우에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해 18MPa 이상의 강도 품질을 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회석 미분말의 화학적 조성은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112021093251197-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팽창성 혼화제는 순환골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및 건조수축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경우, 길이변화와 건조수축으로 인하여 균열 발생이 증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팽창성 혼화제가 1.5 내지 2.5kg/㎥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팽창성 혼화제가 상기한 함유량으로 포함되어 사용되므로,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및 건조수축을 완화 내지 저감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유동성이 크게 개선되고 압축강도가 향상되어 사용성 및 성능이 증진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팽창성 혼화제는 총 분체량 100중량%에서 0.6~1.6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AE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AE제는 0.05 내지 0.15kg/㎥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물은 127 내지 147kg/㎥으로 포함되며, 잔골재로는 순환 잔골재가 아닌 천연 잔골재가 사용되는데, 천연 잔골재는 986 내지 1,006kg/㎥로 포함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구성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21093251197-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의 슬럼프와 공기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에 대한 각각의 공시체를 준비하여 압축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아래의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에는 공통적으로 AE제(공기연행제)가 0.1kg/㎥ 함유되었다. 한편, 비교예1의 경우 바인더에는 석회석 미분말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및 실시예3-3에는 바인더에 석회석 미분말이 함유되었으며, 이 때 석회석 미분말로는 분말도 3.480과 밀도 2.76을 가지도록 분쇄된 분체가 사용되었다.
(비교예1)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을 가지도록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927.0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며, 순환 굵은 골재는 전혀 사용하지 않도록 제조된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로는 시멘트 213.8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및 플라이애시 28.5kg/㎥가 사용되었다.
(실시예1-1)
<적용 범위 비율 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1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3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630kg/㎥, 순환 굵은 골재 296.6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99.5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14.3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1-2)
<적용 범위 비율 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1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3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630kg/㎥, 순환 굵은 골재 296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85.3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28.5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1-3)
<적용 범위 비율 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1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3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630kg/㎥, 순환 굵은 골재 296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71.0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42.8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2-1)
<적용 범위 비율 10%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0중량% 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4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537kg/㎥, 순환 굵은 골재 389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99.5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14.3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2-2)
<적용 범위 비율 10%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0중량% 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4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537kg/㎥, 순환 굵은 골재 389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85.3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28.5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2-3)
<적용 범위 비율 10%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0중량% 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4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537kg/㎥, 순환 굵은 골재 389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71.0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42.8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3-1)
<적용 범위 비율 2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5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442kg/㎥, 순환 굵은 골재 485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99.5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14.3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3-2)
<적용 범위 비율 2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5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442kg/㎥, 순환 굵은 골재 485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85.3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28.5kg/㎥이 사용되었다.
(실시예3-3)
<적용 범위 비율 25% 즉, 총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25중량%이상이고 총 굵은 골재량 100중량%에 대하여 순환 굵은 골재량 50%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442kg/㎥, 순환 굵은 골재 485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18MPa의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여기서 바인더 분체로는 시멘트 171.0kg/㎥, 고로 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석회석 미분말 42.8kg/㎥이 사용되었다.
(시험방법)
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에 대해 공통적으로 KSC 기준에 따라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의 슬럼프와 공기량을 측정하였으며, KSC 기준에 따라 공시체를 제작하여 재령3일, 재령7일, 재령 28일 및 재령 91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의 조성범위는 표 3에 정리되어 있다. 아래 표 3에서 각 재료(물, 바인더, 천연 잔골재, 천연 굵은 골재, 순환 굵은 골재, 바인더, 팽창성 혼화제 및 공기연행제)의 수치 단위는 단위용적 질량 즉, kg/㎥이다.
Figure 112021093251197-pat00003
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에 대한 슬럼프 및 공기량 측정결과는 표 4에 정리되어 있으며 압축강도 시험결과는 표 5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112021093251197-pat00004
위 표 4에서 "기준*"은 국가건설기준표준시방서 KSC 14 20 10 일반콘크리트 기준에 대한 수치이다.
Figure 112021093251197-pat00005
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및 비교예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건축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적용 범위 비율에 맞추어서 순환 굵은 골재량을 조절한 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천연 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와 슬럼프 및 공기량(작업성 관련 물성), 그리고 압축강도(콘크리트 성능)에서 동등하거나 오히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량의 용적비율 별로 최적의 순환 굵은 골재량을 가지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건축물 시공에서의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바인더의 분체로서 석회석 미분말을 더 포함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해서 유동성(흐름성) 개선, 슬럼프 및 공기량(작업성 관련 물성), 그리고 압축강도(콘크리트 성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게 되면, 순환골재의 재활용이 더욱 활발하게 되는 바, 부족한 천연자원인 천연골재를 사용한 보통의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천연자원 채취를 위한 환경파괴 및 환경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한국산업규격 기준을 만족시키는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바, 건축물뿐만 아니라, 각종 토목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순환골재의 활용 역시 증대하게 되고, 레미콘 업계에서 생산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고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목표로 하는 적용 범위 비율 및 콘크리트 설계강도에 맞추어서 최적화된 순환 굵은 골재량을 가지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공되는 바, 목적에 따라 적용 범위 비율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건축물 시공의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Claims (8)

  1. 물 137.4kg/㎥;
    천연 잔골재 996.5kg/㎥;
    천연 굵은 골재 537kg/㎥;
    순환 굵은 골재 389kg/㎥;
    바인더 분체 285.1kg/㎥; 및
    팽창성 혼화제 2.0kg/㎥; 및
    AE제 0.1kg/㎥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고 있고;
    바인더 분체는, 시멘트 171.0kg/㎥, 고로슬래그 미분말 42.8kg/㎥, 플라이애시 28.5kg/㎥, 및 분말도 3.480과 밀도 2.76을 가지는 석회석 미분말 42.8kg/㎥으로 이루어지고;
    순환 잔골재는 포함하지 않으며;
    순환 굵은 골재는 최대 치수 20mm, 밀도 2.50 내지 2.54, 및 흡수율 2.47 내지 2.83을 가지는 것이고;
    재령 28일 설계 기준강도는 18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06745A 2021-03-17 2021-08-12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85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4505 2021-03-17
KR1020210034505 2021-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043B1 true KR102385043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45A KR102385043B1 (ko) 2021-03-17 2021-08-12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083B1 (ko) 2022-07-27 2023-01-12 원용한 무기질 반응형 규산염 수용액을 이용한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488082B1 (ko) * 2022-07-08 2023-01-12 원용한 자철광 미분말과 석회석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 27MPa급 순환 굵은 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631755B1 (ko) 2022-08-25 2024-0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잔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CSA계 팽창재 함유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575A (ko) * 2008-03-12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JP5165436B2 (ja) * 2007-03-27 2013-03-2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硬化体
KR101352536B1 (ko) * 2013-05-15 2014-01-17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536308B1 (ko) * 2015-03-25 2015-07-13 장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레미콘 조성물
KR20150142415A (ko) * 2014-06-12 2015-12-22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951431B1 (ko) 2016-12-15 2019-02-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5436B2 (ja) * 2007-03-27 2013-03-2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硬化体
KR20090097575A (ko) * 2008-03-12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굵은 골재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KR101352536B1 (ko) * 2013-05-15 2014-01-17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20150142415A (ko) * 2014-06-12 2015-12-22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536308B1 (ko) * 2015-03-25 2015-07-13 장영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레미콘 조성물
KR101951431B1 (ko) 2016-12-15 2019-02-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082B1 (ko) * 2022-07-08 2023-01-12 원용한 자철광 미분말과 석회석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 27MPa급 순환 굵은 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488083B1 (ko) 2022-07-27 2023-01-12 원용한 무기질 반응형 규산염 수용액을 이용한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631755B1 (ko) 2022-08-25 2024-0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잔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CSA계 팽창재 함유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043B1 (ko)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11713B1 (ko) 순환 잔골재 배제형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54482B1 (ko)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자철광 잔골재 함유 24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halil et al. Carbonation of ternary cementitious concrete systems containing fly ash and silica fume
JP5165873B2 (ja) 鉄筋継手用充填材を用いた鉄筋継手充填施工方法
Al-Amoudi et al. Effect of superplasticizer on plastic shrinkage of plain and silica fume cement concretes
JPH04124054A (ja) 超高強度コンクリート
JP2010189202A (ja) セメント組成物、セメント混和材及びこれら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
CN108178580A (zh) 搅拌桩及旋喷桩固化剂
KR101448837B1 (ko) 고유동 콘크리트용 무시멘트결합재 및 상기 결합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유동 콘크리트
JP2016183057A (ja) セメント組成物
KR101365684B1 (ko) 고강도 드라이 콘크리트 믹스 조성물
Garg et al. Behavior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limestone powder as partial cement replacement
WO2019142775A1 (ja) 高強度グラウト材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高強度グラウトモルタル
JPH0680456A (ja) 流動性水硬性組成物
KR102393545B1 (ko) 순환 잔골재 및 동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Chen et al. Use of quartz sand to produce low embodied energy and carbon footprint plaster
CN101462836A (zh) 一种以硅锰铁合金渣为主要原料的凝石胶凝材料
JP5866731B2 (ja) 重量コンクリート
KR101622257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말뚝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철도용 연약지반 강화 말뚝
Endawati et al. Optimization of concrete porous mix using slag as substitute material for cement and aggregates
KR102631755B1 (ko) 순환 잔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CSA계 팽창재 함유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46455B1 (ko) 고로슬래그 기반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KR101461506B1 (ko) 친환경 바닥마감용 콘크리트
KR102488082B1 (ko) 자철광 미분말과 석회석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한 27MPa급 순환 굵은 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