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415A -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415A
KR20150142415A KR1020140071211A KR20140071211A KR20150142415A KR 20150142415 A KR20150142415 A KR 20150142415A KR 1020140071211 A KR1020140071211 A KR 1020140071211A KR 20140071211 A KR20140071211 A KR 20140071211A KR 20150142415 A KR20150142415 A KR 2015014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a fiber
weight
reinforced concrete
fib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128B1 (ko
Inventor
하기주
하영주
이동렬
하재훈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068Mortar or concrete mixtures with an unusual water/cement rati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9~20 중량%; 물 5~10 중량%; 잔골재 30~35 중량%; 굵은골재 20~45 중량%; 순환 굵은골재 6~25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4~7 중량%;를 포함하며, 전체 체적부가 100일 경우, PVA(Poly Vinyl Alcohol)섬유 0.1~0.5 체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게를 경량화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의 건조 또는 동결에 의해 수축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억제하며, 강성을 증가시키고,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을 증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REINFORCING PVA FIBER CONCRETE COMPOSITE AND MANUFACTU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목,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분야에 있어서, 용광로에서 철광석으로부터 선철을 만드는 공정에서는 고로슬래그가 부산물로서 다량 발생한다.
또한, 건설분야에 있어서, 건축물의 해체로 인해 발생하는 폐콘크리트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고도성장 시기에 건설된 많은 공동주택과 업무용 건물 등이 노후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재건축 및 재개발 단계에 이르렀으며, 도시개발의 가속화와 재개발 사업의 급속한 팽창으로 인해 건설부산물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후 건축물의 해체 시 발생할 막대한 양의 건설 부산물을 폐기하는 것은 국가적 낭비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환경 과학원의 2008년도 전국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에 의하여 전체 건설부산물 중, 폐콘크리트의 비중은 68.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폐콘크리트는 재자원화로 인하여 순환골재로 생산된다.
하지만, 이러한 순환골재는 도로포장용 보조재나 도로 굴착 후 뒷채움재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순환골재를 구조물에 재활용한 실적은 거의 미비한 상황이다.
한편,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와 방법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폐콘크리트에서 생산된 순환골재의 재활용에 대해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고, 정부에서도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1999년에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규격인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제정하였다.
이후,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 등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안"을 제정하여 천연골재 대체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순환골재 생산을 유도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공사에 대하여 순환골재 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하지만,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불순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며, 골재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부착되어 있어 골재 자체가 높은 흡수율을 가지게 되는 등 밀도, 마모감량 등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어 배합시 단위수량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강도특성과 탄성계수가 낮아지고, 건조수축 및 크리프가 증대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철분야의 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건설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의 순환 굵은골재를 이용하되,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무게를 경량화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의 건조 또는 동결에 의해 수축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억제하며, 강성을 증가시키고,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을 증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시멘트 9~20 중량%; 물 5~10 중량%; 잔골재 30~35 중량%; 굵은골재 20~45 중량%; 순환 굵은골재 6~25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4~7 중량%;를 포함하며, 전체 체적부가 100일 경우, PVA(Poly Vinyl Alcohol)섬유 0.1~0.5 체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물-시멘트 비는 4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골재율은 40~4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입자가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 및 순환 굵은골재는 직경이 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 굵은골재는 치환율이 1~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 굵은골재는 흡수율이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이산화규소(SiO2) 30~40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15 중량%; 삼산화황(SO3) 0.5~1.5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4~4.5 중량%; 산화칼슘(CaO) 40~48 중량%; 산화망간(MnO) 0.1~0.5 중량%; 산화철(Fe2O3) 0.01~0.2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0.5~ 1 중량%; 알칼리(Na2O, K2O) 0.2~0.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분말도가 3500~45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직경(Diameter)이 36~42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길이(Length)가 10~1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공칭강도(Nominal strength)가 1600~164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신장률(Elongation)이 5~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유제함유량(Oiling agent content)이 0.6~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섬유는 영 계수(Young's modulus)가 36~40G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한 상기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건비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건비빔단계; 상기 건비빔 콘크리트와 상기 PVA섬유와 고성능 감수제를 혼합하여 유동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유동화 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상기 건비빔 콘크리트의 중량 대비, 0.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단계는 25~35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비빔단계는 50~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화 콘크리트 형성단계는 130~1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게를 경량화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의 건조 또는 동결에 의해 수축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억제하며, 강성을 증가시키고,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을 증대시켜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PC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균열분산효과와 균열폭을 도시한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PVA섬유의 종류별 형상을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일반 시멘트계 재료 및 PVA섬유 복합재료의 응력-변형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보통 콘크리트 및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응력-변형율 곡선과 균열 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보통 콘크리트의 휨 실험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실험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이하, 첨부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9~20 중량%; 물 5~10 중량%; 잔골재 30~35 중량%; 굵은골재 20~45 중량%; 순환 굵은골재 6~25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4~7 중량%;를 포함하며, 전체 체적부가 100일 경우, PVA(Poly Vinyl Alcohol)섬유 0.1~0.5 체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표 1은 위의 성분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위의 구성성분 및 배합비에 따라 제조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폐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순환 굵은골재 및 제철산업의 용광로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고로슬래그가 콘크리트 조성물로 재활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둘째, PVA섬유가 혼입됨에 따라 종래의 보통 콘크리트 대비 무게가 1/2 정도로 경량화(약 1.0∼1.5 kg/m3, 보통 콘크리트: 약 2.0∼2.5 kg/m3)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PVA섬유가 혼입됨에 따라 균열 분산효과를 통해 강성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건조나 동결에 의해 수축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억제되며,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증대되는 등 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신설 또는 보수할 경우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기적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순환 굵은골재의 경우, 구조물에 적용된 실적은 거의 미비하며 도로포장용 보조재나 도로 굴착 후 뒷채움재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본 발명의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이러한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 콘크리트보다 뛰어난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PVA섬유를 통해 마이크로역학을 이용하여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기본 구성요인 즉 섬유(fiber), 매트릭스(matrix), 섬유-매트릭스 경계면(interface)을 최적화한다.
또한, PVA섬유는 안정상태 균열이론을 바탕으로 재료가 1축인장 하에서 변형율 경화거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외부로부터 하중을 받아 소성변형이 생긴 후 변형경화(strain hardening)가 시작되는데 이 때 재료는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고, 강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1은 PVA섬유를 혼입한 보강 콘크리트의 균열분산효과와 미세한 균열폭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이러한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시멘트 비가 40~45이고, 잔골재율은 40~44인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골재의 경우, 강도 발현에 유리하도록 입경이 작은 것이 사용되며, 입형은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와의 부착력 증대를 위해 둥근 골재보다는 다각형인 쇄석이 사용된다.
또한, 굵은골재 및 순환 굵은골재는 최대직경이 25mm인 쇄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이 1~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흡수율이 3%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에 혼입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이산화규소(SiO2) 30~40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15 중량%; 삼산화황(SO3) 0.5~1.5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4~4.5 중량%; 산화칼슘(CaO) 40~48 중량%; 산화망간(MnO) 0.1~0.5 중량%; 산화철(Fe2O3) 0.01~0.2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0.5~ 1 중량%; 알칼리(Na2O, K2O) 0.2~0.6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분말도가 3500~45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VA섬유는 직경(Diameter)이 36~42μm이고, PVA섬유는 길이(Length)가 10~14mm인 것이 사용된다.
공칭강도(nominal strength)란,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강도이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강도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PVA섬유는 공칭강도(Nominal strength)가 1600~164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VA섬유의 신장률(Elongation)은 5~7%이며, 유제함유량(Oiling agent content)이 0.6~1%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 계수(Young's modulus)란, 탄성 계수의 하나로써, 탄성 범위 내에서 수직 응력도와 종변형도(縱變形度)는 정비례한다는 훅의 법칙에 있어서 비례 상수를 의미한다.
즉, 재료의 신장 또는 수축 변형에 대한 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인데, 본 발명의 PVA섬유는 상기 영 계수가 36~40G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도 2).
먼저,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혼입단계는 약 25~35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한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건비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건비빔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건비빔 단계는 50~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비빔 콘크리트와 PVA섬유, 그리고 고성능 감수제를 혼합하여 유동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유동화 콘크리트 형성단계가 이루어진다.
위의 단계는 130~1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성능 감수제는 건비빔 콘크리트의 중량 대비, 0.5~1.5 중량%를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표 2는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검증 시험을 위해 사용한 실험변수들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표 3은 성능검증 시험에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의 배합비를 중량%의 단위로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상기 각 구성성분의 배합비를 kg/m3단위로 나타냈으며,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슬럼프, 단위수량, 순환골재 치환율 및 목표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또한, 실험에 사용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는 27Mpa이며, 콘크리트의 배합표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at00005
한편, 성능검증 실험에 사용한 굵은골재는 최대직경 25mm의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at00006
또한, 순환 굵은골재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생산된 최대치수 25mm의 굵은골재를 사용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에서 제한하고 있는 순환 굵은골재의 흡수율 3%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7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의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 규정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분말도는 4000cm2/g이고, 성분은 표 8에 나타낸 성분 배합비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8
PVA섬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PVA섬유 중에서 실험체에 적합한 PVA섬유를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분산성, 시공성, 적합성을 고려한 PVA섬유 REC15를 선정하였으며, 사용한 PVA섬유의 물리적인 성질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at00009
위와 같이 제작한 각 실험체는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공시체로 제작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압축강도 실험용 원주형 공시체는 Ф100×200mm 몰드를 사용하여 KS F 2405에 따라 몰드를 3개 층으로 나누어 각 층을 25회씩 봉다짐하여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제작 후 즉시 비닐을 덮어 수분 증발을 방지하였으며, 재령 28일까지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1000kN용량의 U.T.M으로 일방향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다.
표 10은 각각의 PVA섬유 혼입율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며, 표 11은 3개의 공시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실험결과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고, 결과값의 단위는 MPa이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에 PVA섬유 혼입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체적의 0.1~0.3%를 혼입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한 결과 0.1%인 경우와 0.2%인 경우에는 섬유의 원활한 배합비 이루어진 반면, 0.3%로부터는 적정한 비빔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PVA섬유의 최적 혼입율을 0.2%로 결정을 하였따.
또한,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분석한 결과, PVA섬유가 혼입된 SPG-공시체들은 PVA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표준 실험체보다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VA섬유를 혼입한 SPG-시험체에 고로슬래그와 순환골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이 30%까지는 설계기준강도를 충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PVA섬유를 혼입함에 따라 종래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증가함과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균열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뛰어나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일반 시멘트계 재료와 PVA섬유 복합재료의 응력-변형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보통 콘크리트와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응력-변형율 곡선과 변형율에 따른 균열 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5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PVA섬유를 혼입함에 따라 응력이 가해질 때 균열을 분산시켜 균열이 미세하게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보통 콘크리트의 휨 실험 시 파괴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실험 시 파괴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비교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휨 응력에 대하여 저항력이 높으므로,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시멘트 9~20 중량%;
    물 5~10 중량%;
    잔골재 30~35 중량%;
    굵은골재 20~45 중량%;
    순환 굵은골재 6~25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4~7 중량%;를
    포함하며,
    전체 체적부가 100일 경우,
    PVA(Poly Vinyl Alcohol)섬유 0.1~0.5 체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시멘트 비는
    4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골재율은
    40~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골재는
    입자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골재 및 순환 굵은골재는
    직경이 2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굵은골재는
    치환율이 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굵은골재는
    흡수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이산화규소(SiO2) 30~40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15 중량%;
    삼산화황(SO3) 0.5~1.5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4~4.5 중량%;
    산화칼슘(CaO) 40~48 중량%;
    산화망간(MnO) 0.1~0.5 중량%;
    산화철(Fe2O3) 0.01~0.2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0.5~ 1 중량%;
    알칼리(Na2O, K2O) 0.2~0.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분말도가 3500~450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직경(Diameter)이 36~42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길이(Length)가 10~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공칭강도(Nominal strength)가 1600~164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신장률(Elongation)이 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유제함유량(Oiling agent content)이 0.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A섬유는
    영 계수(Young's modulus)가 36~40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한 상기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건비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건비빔단계;
    상기 건비빔 콘크리트와 상기 PVA섬유와 고성능 감수제를 혼합하여 유동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유동화 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상기 건비빔 콘크리트의 중량 대비, 0.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25~35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건비빔단계는
    50~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 콘크리트 형성단계는
    130~17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140071211A 2014-06-12 2014-06-12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65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11A KR101654128B1 (ko) 2014-06-12 2014-06-12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11A KR101654128B1 (ko) 2014-06-12 2014-06-12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15A true KR20150142415A (ko) 2015-12-22
KR101654128B1 KR101654128B1 (ko) 2016-09-09

Family

ID=5508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211A KR101654128B1 (ko) 2014-06-12 2014-06-12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1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7697A (zh) * 2018-01-04 2018-06-12 山东科达基建有限公司 高速公路混凝土外加剂
KR102174754B1 (ko) 2019-08-21 2020-11-05 박준신 섬유보강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는 구조물에 대한 마감 공법
KR102311713B1 (ko) * 2020-08-25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잔골재 배제형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29798B1 (ko) 2020-12-22 2021-11-24 추홍수 섬유보강재를 포함하는 보수 및 보강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2354482B1 (ko) * 2021-02-26 2022-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자철광 잔골재 함유 24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85043B1 (ko) * 2021-03-17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CN115806420A (zh) * 2022-12-07 2023-03-17 西北民航机场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地区机场道面混凝土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155B1 (ko) 2022-11-14 2023-11-02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방수성능이 보강된 섬유 보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48B1 (ko) * 2005-03-03 2005-07-26 주식회사 삼기칼라콘 섬유보강 투수콘크리트
KR101037073B1 (ko) * 2011-03-17 2011-05-26 (주)포크리트 순환골재를 이용한 고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378B1 (ko) * 2012-03-02 2012-10-29 국보환경(주) 이중 코팅 처리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4141B1 (ko) * 2010-08-23 2013-01-18 코리아이앤씨 주식회사 섬유보강 콘크리트 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48B1 (ko) * 2005-03-03 2005-07-26 주식회사 삼기칼라콘 섬유보강 투수콘크리트
KR101224141B1 (ko) * 2010-08-23 2013-01-18 코리아이앤씨 주식회사 섬유보강 콘크리트 보
KR101037073B1 (ko) * 2011-03-17 2011-05-26 (주)포크리트 순환골재를 이용한 고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378B1 (ko) * 2012-03-02 2012-10-29 국보환경(주) 이중 코팅 처리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7697A (zh) * 2018-01-04 2018-06-12 山东科达基建有限公司 高速公路混凝土外加剂
KR102174754B1 (ko) 2019-08-21 2020-11-05 박준신 섬유보강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는 구조물에 대한 마감 공법
KR102311713B1 (ko) * 2020-08-25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잔골재 배제형 27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29798B1 (ko) 2020-12-22 2021-11-24 추홍수 섬유보강재를 포함하는 보수 및 보강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2354482B1 (ko) * 2021-02-26 2022-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자철광 잔골재 함유 24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85043B1 (ko) * 2021-03-17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순환 굵은 골재의 사용비율에 따른 18MPa급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CN115806420A (zh) * 2022-12-07 2023-03-17 西北民航机场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地区机场道面混凝土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128B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128B1 (ko)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pva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620842B1 (ko) 강섬유 및 pva섬유 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Fu et al. Evolu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fiber-reinforced rubberized concrete (FR-RC)
Jiang et al. Quasi-static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eco-friendly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containing aeolian sand
Magbool et al. The effect of various steel fibers and volcanic pumice powder on fracture characteristics of Self-Compacting concrete
Choi et al. Development of recycled strain-hardening cement-based composite (SHCC)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s
Shafigh et al. Oil palm shell lightweight concrete as a ductile material
Aslani et al. High-performance fibre-reinforced heavyweight self-compacting concrete: Analysis of fresh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Li et al. Properties of polymer modified steel fiber-reinforced cement concretes
Xu et al. Tailoring strain-hardening behavior of high-strength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CC) using hybrid silica sand and artificial geopolymer aggregates
KR101579450B1 (ko)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Alsaif et al. Strength, durability and shrinkage behaviours of steel fiber reinforced rubberized concrete
US20230391670A1 (en)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
CN111439977A (zh) 一种抗冲击玄武岩纤维增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590547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Hamidi et al. The effect of scoria, perlite and crumb rubber aggregates on the fres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eopolymer concrete
Quadir et al. Mechanical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ecycled granulated steel
Wu et al. Tensile behavior of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SHCC) containing reactive recycled powder from various C&D waste
JP2011084458A (ja) セメント組成物
Shahjalal et al.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containing crumb rubber and recycled brick aggregate
Ge et al. Sustainable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incorporating mineral admixtures: workability, mechanical property and durability under freeze-thaw cycles
Sherir et al. Fracture energy characteristics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incorporating different aggregates
KR101713022B1 (ko) 알칼리 활성 슬래그기반 섬유보강 콘크리트 복합재료 및 상기 복합재료로 제조된 콘크리트 응용제품
CN113582627A (zh) 一种纳米氧化铝改性超轻质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