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119B1 -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119B1
KR102383119B1 KR1020150035189A KR20150035189A KR102383119B1 KR 102383119 B1 KR102383119 B1 KR 102383119B1 KR 1020150035189 A KR1020150035189 A KR 1020150035189A KR 20150035189 A KR20150035189 A KR 20150035189A KR 102383119 B1 KR102383119 B1 KR 10238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ocket body
delete delet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484A (ko
Inventor
주성용
이진형
전석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194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29779B1/en
Priority to US14/953,888 priority patent/US9997856B2/en
Priority to CN201510866606.8A priority patent/CN105655760A/zh
Publication of KR2016006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소켓이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줄이고, 제품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파워코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또는 낙뢰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면거리를 증가시킨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AC socket, power co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림화된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는 외부의 전원 공급원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전자기기는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는 파워코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파워코드는 케이블과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코드는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배면 또는 측면에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자 기기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이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 그리고 인쇄회로기판과 외부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전자 부품은 인쇄회로기판의 대향되는 양쪽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전원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소켓에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는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는 전원소켓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원소켓과 플러그의 연결 부분은 국가별로 정해진 규격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전원소켓은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전원소켓의 접속단자는,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후방 커버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미국 특허공보 US 6733334호 (2004.05.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소켓이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줄인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또는 낙뢰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면거리를 증가시킨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코드가 전자기기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과 파워코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의 유동이 방지되어 외부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원소켓으로서, 후방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방커버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에 구비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회로패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의 일측 또는 상기 제2접속단자의 일측에상기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가 위치되는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절연체로 구비된다.
상기 격벽과 상기 소켓바디는 절연 재료로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소켓바디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켓바디의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후방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제1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켓바디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바텀새시가 결합된다.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은 상기 단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소켓바디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면, 상기 소켓바디의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후방새시; 상기 후방새시의 후방에 구비되고, 회로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소켓은, 상기 후방커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방커버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후방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 상기 소켓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새시 또는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회로패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절연 소재로 상기 소켓바디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와 이격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사이에는 절연체의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소켓바디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커버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소켓바디에 구비된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소켓이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줄임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되는 전자기기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가 슬림하게 구비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포장 운송에 유리하다. 또한, 연면거리가 늘어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제품과 파워 코드의 연결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과 파워 코드의 연결부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유동을 방지하여 외부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파워 코드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파워 코드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파워 코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1)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도 12 참고)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내부의 전장 부품 들을 보호하는 후방커버(1a)를 포함한다.
후방커버(1a)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방커버(1a)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전면 테두리와 후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방커버(1a)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사방 테두리와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방커버(1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 먼지, 수분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1)를 보호한다.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코드(10)가 마련된다. 파워 코드(10)는 디스플레이 기기(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는 스탠드(3)에 의해 지지된다. 스탠드(3)는 후방커버(1a)의 배면과 연결되는 연결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1) 후방커버(1a)의 배면에는 파워 코드(10)가 연결되기 위한 설치부(2)가 마련된다. 설치부(2)는 후술하게 되는 파워 코드(10)의 커넥터(20)와 결합되기 위한 소켓(60)이 후방커버(1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부(2)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후방커버(1a)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치부(2)는 후방커버(1a)로부터 일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될 수 도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파워 코드(10)는 케이블(11)과, 케이블(1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플러그(13)와, 케이블(1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케이블(11)은 그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복수의 와이어(11a,11b)에 피복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13)는 케이블(1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플러그(13)는 콘센트(미도시)에 의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 회로를 접속하거나 절단하는데 사용하도록 마련된다.
커넥터(20)는 케이블(1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커넥터(20)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설치부(2)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코드(10)의 커넥터(20)는 케이블(11)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24)와, 케이블 연결부(24)와 연결되는 헤드(21)와, 헤드(21)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27)를 포함한다.
케넉터(20)는 케이블(11)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와, 케이블 연결부(24)에 연결되며, 제1방향(A)과 수직하는 제2방향(B)으로 형성되는 헤드(21)와, 헤드(21)로부터 연결되어 설치부(2)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제1방향(A) 및 제2방향(B)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방향(C)으로 형성되는 접속 단자부(27)를 포함한다.
커넥터(20)는 접속 단자부(27)와 헤드(21)와 헤드(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의 순서로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0)의 헤드(21)는 전면이 개구된 타원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 개구(21a)에는 접속 단자부(27)가 마련된다. 헤드(21)의 저면에는 케이블 연결부(24)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넥터(20)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그 상면과 저면은 평평하고 양측면이 반원으로 형성되며, 그 저면에 케이블 연결부(24)가 관통되어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넥터의 헤드는 양측면이 평면인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케이블 연결부(24)는 헤드(21)와 연통되어 케이블 연결부(24)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1)이 헤드(21)의 내부를 통해 접속 단자부(27)의 접속 단자(27a,27b)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케이블 연결부(24)는 와이어(11a,11b)가 헤드(21)의 저면을 통해 헤드(21)와 연결되어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24)는 헤드(21)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케이블 연결부(24)와 헤드(21)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케이블 연결부(24)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헤드(21)와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와이어(11a,11b)가 삽입되기 위한 와이어 삽입구(24a)가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부(24)의 외주면에는 케이블 연결부(24)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25)이 마련된다. 홈(25)은 원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홈(25)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1)와 케이블 연결부(24)를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11)은 홈(25)에 의해 헤드(21)와 유연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연결부(24)의 유연성은 케이블(1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연성있게 대처 가능한 효과가 있다.
케이블 연결부(24)는 헤드(21)의 저면으로부터 상면방향인 제1방향(A)으로 연결될 수 있다. 헤드(21)는 제1방향(A)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방향(B)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방향(B)은 접속 단자부(27)가 설치부(2)에 삽입되는 삽입방향과 일치한다. 접속 단자부(27)는 헤드(21)의 전면 개구(21a)로부터 제2방향(B)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접속 단자부(27)는 복수의 접속 단자(27a,27b)를 포함한다. 복수의 접속 단자(27a,27b)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접속단자(27a)와, 제1접속단자(27a)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27b)를 포함한다. 제1접속단자(27a)와 제2접속단자(27b)는 접속바디(28)에 안착되어 헤드(2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단자부(27)의 접속 단자(27a,27b)는 제1접속단자(27a)와 제2접속단자(27b)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 단자(27a,27b)는 가전제품의 사양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 가능하다.
이때, 접속 단자부(27)의 접속 단자(27a,27b)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 과 서로 다른 방향인 제3방향(C)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접속단자(27a)와 제2접속단자(27b)는 케이블 연결부(24)가 헤드(21)에 삽입되는 제1방향(A)과, 접속단자(27a,27b)가 설치부(2)에 삽입되는 제2방향(B)과는 상이한 방향, 즉, 접속 단자부(27)와 평행한 방향인 제3방향(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단자부(27)의 제1접속단자(27a)와 제2접속단자(27b)는 케이블(11)의 와이어(11a,11b)의 배치와 비례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케이블(11)의 와이어(11a,11b)는 제1와이어(11a,11b)와 제2와이어(11a,11b)가 제3방향(C)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접속 단자부(27)의 제1접속단자(27a)와 제2접속단자(27b) 역시 제3방향(C)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접속바디(28)는 설치부(2)의 설치공간(2a)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바디(28)의 외측에는 설치공간(2a)으로의 삽입 깊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9)는 접속바디(28)의 길이 방향, 제2방향(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21)에 연결된 접속 단자부(27)를 설치부(2)의 설치공간(2a)에 삽입시 접속바디(28) 표시부(29)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삽입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접속 단자부(27)가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21)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커넥터(20)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22)가 마련된다. 손잡이부(22)는 헤드(21)의 양 측면 후단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22)는 사용자가 파워 코드(10)를 디스플레이 기기(1)에 연결 또는 분리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손잡이부(22)는 사용자가 커넥터(20)를 설치부(2)에 삽입하도록 커넥터(20)의 헤드(21)를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손잡이부(22)에는 사용자가 헤드(21)를 잡아 설치부(2)에 대해 용이하게 잡고 당길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부(23)가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부(23)는 헤드(21)의 표면에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요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넥터(20)의 헤드(21)를 설치부(2)에 삽입 또는 분리 할 때, 미끄럼 방지부(23)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와 분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11)과 헤드(21)의 연결 구조는 커넥터(20) 헤드(21)의 후방 돌출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넥터(20)가 설치부(2)에 밀착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20)의 케이블 연결부(24)와 헤드(21)는 일정 정도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0)의 접속 단자부(27)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전원소켓(9)과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파워 코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10A)는 케이블(11A)과, 케이블(11A)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플러그(13A)와, 케이블(11A)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20A)를 포함한다.
커넥터(20A)는 케이블(11A)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커넥터(20A)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설치부(2A)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20A)는 케이블(11A)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24A)와, 케이블 연결부(24A)와 연결되는 헤드(21A)와, 헤드(21A)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26A)를 포함한다.
케넉터(20A)는 케이블(11A)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A)와, 케이블 연결부(24A)에 연결되며, 제1방향(A)과 수직하는 제2방향(B)으로 형성되는 헤드(21A)와, 헤드(21A)로부터 연결되어 설치부(2A)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제1방향(A) 및 제2방향(B)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방향(C)으로 형성되는 접속 단자부(26A)를 포함한다.
커넥터(20A)는 접속 단자부(26A)와 헤드(21A)와 헤드(21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A)의 순서로 대략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0A)의 헤드(21A)는 전면이 개구된 타원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 개구(21Aa)에는 접속 단자부(26A)가 마련된다. 헤드(21A)의 저면에는 케이블 연결부(24A)가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부(24A)는 헤드(21A)와 연통되어 케이블 연결부(24A)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1A)이 헤드(21A)의 내부를 통해 접속 단자부(26A)의 접속 단자(27A)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24A)는 헤드(21A)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케이블 연결부(24A)와 헤드(21A)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케이블 연결부(24A)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헤드(21A)와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케이블이(11A)가 삽입되기 위한 와이어 삽입구(24Aa)가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부(24A)의 외주면에는 케이블 연결부(24A)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25A)이 마련된다. 홈(25A)은 원 둘레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홈(25A)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1A)와 케이블 연결부(24A)를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11A)은 홈(25A)에 의해 헤드(21A)와 유연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연결부(24A)의 유연성은 케이블(11A)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케이블 연결부(24A)에는 접속 단자부(27A)의 삽입 방향 즉, 제2방향(B)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0A)가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30A)는 헤드(21A)로 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이드 돌기(30A)는 일정 정도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케이블 연결부(24A)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0A)는 케이블 연결부(24A)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31A)와, 지지부(31A)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구 형상의 고정돌기(32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의 후방커버(1a)에는 가이드 돌기(30A)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2Ab)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Ab)은 후방커버(1a)의 배면에 형성되며, 설치부(2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2Ab)은 설치부(2A)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2Ab)은 고정 돌기(32A)가 관통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은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 홈(2Ab)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30A)를 통해 커넥터(20A)를 설치부(2A)에 이중으로 고정되게 하여, 커넥터(20A)와 설치부(2A)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커넥터(20A)의 가이드 돌기(30A)는 커넥터(20A)와 디스플레이 기기(1)의 설치부(2A)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커넥터(20A)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10B)의 케이블(11C)과, 케이블(11C)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플러그(13)와, 케이블(11C)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20B)를 포함한다.
커넥터(20B)는 케이블(11C)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커넥터(20B)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설치부(2)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20B)는 케이블(11C)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24B)와, 케이블 연결부(24B)와 연결되는 헤드(21B)와, 헤드(21B)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부(26B)를 포함한다.
케넉터(20B)는 케이블(11C)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B)와, 케이블 연결부(24B)에 연결되며, 제1방향(A)과 수직하는 제2방향(B)으로 형성되는 헤드(21B)와, 헤드(21B)로부터 연결되어 설치부(2)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제1방향(A) 및 제2방향(B)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방향(C)으로 형성되는 접속 단자부(26B)를 포함한다.
커넥터(20B)는 접속 단자부(26B)와 헤드(21B)와 헤드(21B)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24B)의 순서로 대략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0B)의 헤드(21B)는 전면이 개구된 타원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 개구(21Ba)에는 접속 단자부(26B)가 마련된다. 헤드(21B)의 저면에는 케이블 연결부(24B)가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부(24B)는 헤드(21B)와 연통되어 케이블 연결부(24B)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1C)이 헤드(21B)의 내부를 통해 접속 단자부(26B)의 접속 단자(27B)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헤드(21B)에는 접속 단자부(26B)를 설치부(2)에 삽입 또는 분리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22B)가 마련된다.
손잡이부(22B)는 헤드(21B)의 양측면 후단부에 배치되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2B)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2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2B)는 헤드(21B)의 후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0B)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1)의 설치부(2)에 삽입된 커넥터(20B)를 분리 시, 사용자는 접속 단자부(26B)의 삽입 방향, 즉 제2방향(B)과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가 헤드(21B)의 손잡이부(22B)를 파지하여 당겨야 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이 지지부(40B)에 의해 걸림되어 커넥터(20B)를 설치부(2)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는 탑 새시(100), 디스플레이 패널(200), 백라이트 유닛(600) 및 바텀 새시(700)를 포함한다. 탑 새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6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된다. 바텀 새시(7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백라이트 유닛(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백 라이트 유닛(600)의 사이에는 미들 몰드(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들 몰드(4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백라이트 유닛(600)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바텀 새시(700)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가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a)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후방에는 복수의 광학 시트(300)가 구비될 수 있다. 광학시트(300)의 후방에는 도광판(500)이 위치될 수 있다. 도광판(500)의 후방에는 반사시트(505)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300)는 보호 필름(301), 프리즘 필름(302) 및 확산 필름(303)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301)은 프리즘 필름(302)의 전방에 배치되어 먼지 등의 스크래치에 민감한 프리즘 필름(302)을 보호한다.
프리즘 필름(302)의 전방면에는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302)에 의해, 확산 필름(303)에서 확산된 광이 전방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302)은 2장이 사용될 수 있다. 프리즘필름(302)을 통과한 빛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수직하게 진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확산필름(303)에는 구슬 모양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필름(303)에 의해 도광판(500)을 통과한 빛이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광판(500)은 발광다이오드(601)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필름(303)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광판(500)은 폴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 계통의 수지 또는 폴리 메틸 스틸렌(polymethylstr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500)은 출사면(501) 및 입사면(502)을 포함할 수 있다. 출사면(501)은 확산필름(303)의 후방에 위치되어 확산필름(303)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입사면(502)은 측단면에 마련되어 발광다이오드(601)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될 수 있다.
반사시트(505)는 도광판(5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505)에 의해 도광판(500)의 하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다시 도광판(5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반사시트(505)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600)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 및 인쇄회로기판(602)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601)는 도광판(500)에 빛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는 인쇄회로기판(602)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는 인쇄회로기판(602)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는 인쇄회로기판(602)의 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는 반사시트(505)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는 인쇄회로기판(602)에서 돌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치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도광판(500)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반사시트(505)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602)은 반사시트(50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2)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바텀 새시(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2)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601)가 실장된 면의 배면이 바텀 새시(700)의 바닥면(702)에 고정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601)는 백색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고,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와 화소 전극이 구비된 제1기판(211) 및 제1기판(2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컬러필터 및 구동원이 구비된 제2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11)과 제2기판(210) 사이에는 액정층(2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211)의 하부면 또는 제2기판(210)의 상부면에는 편광시트(22,23)가 부착될 수 있다. 제1기판(211), 제2기판(210) 및 액정층(212)이 조합된 모듈을 액정표시모듈(201)이라 할 수 있다.
제1기판(211)의 일측에는 구동 신호 인가를 위한 구동부(205)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205)는 연성인쇄회로기판(206), 구동칩(207) 및 회로기판(20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207)은 연성인쇄회로기판(206)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208)은 연성인쇄회로기판(206)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6)은 베이스 필름상에 칩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COF(Chip On Film)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06)은 TAP(Tape Automated Bonding)기술을 이용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G(Chip On Glass) 형태일 수도 있다.
제2기판(210)에는 블랙매트릭스(213)가 형성될 수 있고, 블랙매트릭스(213) 사이에는 컬러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블랙매트릭스(213)는 크롬산화물이나 검은색 안료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필터는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3개의 서브층(미도시)이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액정층(212)의 배열을 조정하여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비발광소자로서 백라이트 유닛(600)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탑 새시(100)는 베젤(101) 및 탑 측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10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탑 측면(101)은 베젤(101)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탑 측면(101)의 적어도 일부는 바텀 새시(700)와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탑 측면(101)의 적어도 일부는 바텀 측면(701)의 외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탑 새시(1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3)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유효표시영역이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바텀 새시(700)는 바텀 측면(701) 및 바닥면(702)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측면(701)은 바닥면(702)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바닥면(702)에는 백 라이트 유닛(600)이 안착될 수 있다. 바텀 새시(700)의 바닥면(70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가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몰드(400)는 제1지지부(400a), 제2지지부(400b) 및 연장부(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400a) 및 제2지지부(400b)는 미들 몰드(4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400b)는 제1지지부(400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1지지부(400a)로부터 후방으로 단차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400c)는 미들 몰드(40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부는 제1지지부(400a)에 의해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광학시트(300)의 일부는 제2지지부(40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장부(400c)의 외측면은 바텀 새시(7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601)는 빛과 열을 동시에 발산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2)은 구동신호를 발광다이오드(601)에 공급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601)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601)에서 발생된 열은 인쇄회로기판(602)을 통해 바텀 새시(7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쇄회로기판(60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인쇄회로기판(602)은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텀 새시(700)의 후방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가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의 후방에는 후방커버(1a)가 위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는 인쇄회로기판(801) 및 인쇄회로기판(801)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802)들과 커넥터(20,20A,20B) 가 연결되는 전원소켓(9)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부품(802)들 또는 전원소켓(9)은 인쇄회로기판(80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전원소켓(9)의 접속단자에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소켓(9)은 접속단자가 후방커버(1a) 측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후방커버(1a)에는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홀(1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접속단자에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는 접속단자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자 부품(802)들은 인쇄회로기판(802)에 실장되거나, 클램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801)에는 전원소켓(9)이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1)은 절연성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1)에는 전도성 재료로 회로패턴(810)이 인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801)을 중심으로 후방커버(1a) 측을 후방(R)이라 하고, 바텀새시(700) 측을 전방(F)이라 할 수 있다.
전원소켓(9)은 소켓바디(90) 및 접속단자(91)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바디(90)은 절연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소켓바디(90)에는 수용부(900)가 구비되고 접속단자(91)는 수용부(9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접속단자(91)에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과 연결된 커넥터(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도 3a 내지 도 5dp 도시된 커넥터(20)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7,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가 연결되거나 형태가 다른 커넥터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소켓바디(90)의 후방(R)에는 단차부(90a)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90a)는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90a)에는 후방커버(1a)가 안착될 수 있다. 후방커버(1a)가 단차부(90a)에 안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후방커버(1a)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커버(1a)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후방커버(1a)가 전원소켓(9)을 가압하거나 접속단자(91)와 연결된 커넥터와 접촉되거나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차부(90a)에 후방커버(1a)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소켓바디(90)가 인쇄회로기판(801)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소켓바디(90)의 후방면에 단차부(90a)가 형성되고, 단차부(90a)에 후방커버(1a)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바디(90)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종래에 비해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에 구비된 사이드리브(93)로부터 전방면(90b)까지의 길이는 종래의 소켓바디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소켓바디의 전방에 바텀새시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돌출되어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전원소켓(9)의 전방 외측을 따라 단차부(90a)가 형성되고, 단차부(90a)에 바텀새시가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바디(90)의 전후 방향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켓바디(90)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므로, 소켓바디(90)의 전후 방향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1)의 두께를 줄여 슬림화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소켓바디(90)의 일부는 인쇄회로기판(80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소켓바디(90)의 일부가 인쇄회로기판(80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소켓바디(90)가 인쇄회로기판(80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소켓바디(90)가 인쇄회로기판(80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줄임으로써 종래에 비해 후방커버(1a)가 인쇄회로기판(801)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속단자(91)는 제1접속단자(91a) 및 제2접속단자(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가 이격되는 거리는 국가마다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소켓바디(90)에는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가 수용되는 수용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900)는 제1접속단자(91a)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900a) 및 제2접속단자(91b)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9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900a)와 제2수용부(900b)는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900)는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으로부터 돌출된 사이드리브(9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리브(93)는 절연성 소재일 수 있다. 사이드리브(93)는 소켓바디(90)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리브(93)는 제1접속단자(91a)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사이드리브(93a) 및 제2접속단자(91b)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사이드리브(9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리브(93a)와 제2사이드리브(93b)가 형성하는 공간인 수용부(900)에는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 사이에는 격벽(94)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94)은 절연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격벽(94)은 소켓바디(90)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94)은 수용부(900) 내에 위치한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94)은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 사이에 마련되어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 간의 연면거리(creeping distance)가 길어지도록 한다.
연면거리란, 임의의 두 개의 전극이 절연체에 설치될 때 어느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전극까지 절연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의미한다. 연면거리가 길어질수록 전극에 고전압이 유입되어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갖고 돌출된 격벽(94)이 구비됨으로써 격벽(94)의 제1접속단자(91a) 측으로부터 제2접속단자(91b) 측 간의 표면의 길이만큼 연면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연면거리는, 격벽(94)이 없는 경우에 비해 격벽(94)의 높이(h1)의 두배와 격벽(94)의 두께(d1)를 합한 길이만큼 더 클 수 있다.
격벽(94)은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격벽(94a), 제1격벽(94a)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접속단자(91a)가 위치한 제1수용부(900a)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94b) 및 제1격벽(94a)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접속단자(91b)가 위치한 제2수용부(900b)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격벽(9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94b)과 제3격벽(94c)은 제1격벽(94a)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어 격벽(94)은 대략 Y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접속단자(91)와 인쇄회로기판(801)의 회로패턴(810)은 도전성 재료로 구비되는 연결부재(9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92)는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801)의 전방면에 구비된 회로패턴(8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재(92)는 소켓바디(90)의 일측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92)의 일단부는 접속단자(9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납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801)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바디(90)의 일측면에는 클램프(95)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95)는 소켓바디(90)의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95)에 의해 소켓바디(90)가 인쇄회로기판(801)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95)는 후크 방식에 의해 소켓바디(90)를 인쇄회로기판(8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01)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811a, 811b)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811a, 811b)은 소켓바디(90)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811a, 811b)은 클램프(95)가 구비되지 않은 소켓바디(9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811a, 811b)은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811a, 811b)은 제1접속단자(91a) 측에 위치하는 제1관통홀(811a) 및 제2접속단자(91b) 측에 위치하는 제2관통홀(811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관통홀(811a, 811b)을 통과하여 후술할 소켓바디(90)의 제1결합부(96)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9)에는, 전원소켓(9)을 바텀새시(7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96a, 96b) 및 전원소켓(9)을 후방커버(1a)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97)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96a, 96b) 및 제2결합부(97)는 소켓바디(9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96a, 96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96)는 소켓바디(90)의 대향되는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96)는, 제1접속단자(91a) 측에 위치하는 제1결합부(96a)와 제2접속단자(91b) 측에 위치하는 제1결합부(96b)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96a, 96b)에는 체결부재(981, 98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960a, 960b)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981, 982)는 인쇄회로기판(801)에 형성된 관통홀(811a, 811b), 제1결합부(96a, 96b)에 형성된 체결홀(960a, 960b)을 통과하고 바텀새시(70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체결홀을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801), 전원소켓(9) 및 바텀새시(7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체결홀(960a)를 통과하는 체결부재를 제1체결부재(981)라 하고, 제2체결홀(960b)를 통과하는 체결부재를 제2체결부재(982)라 할 수 있다. 체결부재(981,982)는 도체 재질로 구비된 스크류일 수 있다.
제2결합부(97)는 제1결합부(96a, 96b)와 유사하게 소켓바디(9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97)의 연장방향과 제1결합부(96a, 96b)의 연장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제2결합부(97)에는 제3체결부재(983)가 관통하는 체결홀(9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재(983)는 체결홀(97)을 통과하여 후방커버(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3체결부재(983)는 도체 재질로 구비된 스크류일 수 있다.
제1접속단자(91a)와 제2접속단자(91b)의 거리(d3)는 국가마다 정해진 규격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제1접속단자(91a)와 제1체결부재(981) 간의 연면거리는, 제1접속단자(91a)와 제1체결부재(981) 사이에 위치한 사이드리브(93a)에 의해 제1접속단자(91a)와 제1체결부재(981) 간의 공간거리(d4)보다 길다. 유사하게, 제2접속단자(91b)와 제2체결부재(982) 간의 연면거리는, 제2접속단자(91b)와 제2체결부재(982) 사이에 위치한 사이드리브(93b)에 의해 제2접속단자(91b)와 제2체결부재(982) 간의 공간거리(d4')보다 길다. 여기서 공간거리란, 도체와 도체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전원소켓에서의 연면거리는 국가마다 규격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사이드리브(93a, 93b)를 위치시킴으로써 공간거리보다 연면거리가 길게 구비되도록 하여 정해진 연면거리를 확보하면서 전원소켓(9)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연결부재(9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바디(90)의 후방면(90b)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면(90b)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타단부(920a, 920b)가 인쇄회로기판(801)의 일면에 납땜 방식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92)의 타단부(920a,920b)는 접속단자(91a, 91b)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92)의 타단부(920a, 920b)와 제1,2체결부재(981, 982) 간의 연면거리(d5,d5')는 제1,2 체결부재(981, 982)와 제1,2 접속단자(91a, 91b) 간의 연면거리(d4,d4')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92)의 타단부(920a, 920b)와 제1,2체결부재(981, 982) 간의 연면거리(d5,d5')가 제1,2 체결부재(981, 982)와 제1,2 접속단자(91a, 91b) 간의 연면거리(d4,d4')보다 더 길게 구비됨으로써 접속단자에 고전압이 흐르게 되더라도 스파크 등이 발생될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비해 전원소켓(9)의 높이가 낮게 구비되므로 전원소켓(9)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의 전후 방향 높이, 즉 두께가 종래에 비해 작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1)를 슬림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의 제조 후 포장 운송시 동일한 공간에 적층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800)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므로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기기 1a: 후방커버
9: 전원소켓 10: 파워코드
11: 케이블 13: 플러그
20: 커넥터 21: 헤드
22: 손잡이부 23: 미끄럼 방지부
24: 케이블 연결부 25: 홈
26: 접속 단자부 27: 접속단자
90: 소켓바디 90a: 단차부
91a: 제1접속단자 91b: 제2접속단자
92: 연결부재 93: 사이드리브
94: 격벽 95: 클램프
96: 제1결합부 97: 제2결합부
800: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801: 인쇄회로기판
900a: 제1수용부 900b: 제2수용부
981, 982, 983: 체결부재

Claims (43)

  1.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원소켓으로서,
    후방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방커버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에 구비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회로패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바디의 일측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켓바디의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후방커버가 결합되는 전원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외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가 구비되는 전원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절연 재료로 상기 소켓바디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전원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전원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전원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 사이에 위치되는 제1격벽, 상기 제1격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가 위치되는 제1수용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접속단자가 위치되는 제2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전원소켓.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소켓바디는 절연 재료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전원소켓.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제1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이 구비되는 전원소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켓바디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소켓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바텀새시가 결합되는 전원소켓.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이 구비되는 전원소켓.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은 상기 단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전원소켓.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바디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면, 상기 소켓바디의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원소켓.
  15.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후방새시;
    상기 후방새시의 후방에 구비되고, 회로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소켓은, 상기 후방커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방커버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후방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
    상기 소켓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새시 또는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회로패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바디의 후방면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위치되는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절연 소재로 상기 소켓바디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와 이격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 사이에는 절연체의 격벽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바디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소켓바디에 구비된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50035189A 2014-12-02 2015-03-13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38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4873.4A EP3029779B1 (en) 2014-12-02 2015-11-17 Ac socket, power co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4/953,888 US9997856B2 (en) 2014-12-02 2015-11-30 AC socket, power co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510866606.8A CN105655760A (zh) 2014-12-02 2015-12-01 Ac插座、电源线以及具有它们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97 2014-12-02
KR20140170497 2014-12-02
KR20140172859 2014-12-04
KR1020140172859 2014-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84A KR20160066484A (ko) 2016-06-10
KR102383119B1 true KR102383119B1 (ko) 2022-04-06

Family

ID=5619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89A KR102383119B1 (ko) 2014-12-02 2015-03-13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3119B1 (ko)
CN (1) CN1056557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156A (ko) 2018-11-06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143A (ja) * 1998-09-01 2000-03-1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Acアダプター
JP2011171252A (ja) 2010-02-22 2011-09-0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421B2 (ja) * 1999-01-28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6176710B1 (en) * 1999-12-14 2001-01-23 Carrel W. Ewing Battery feed connector for network power controllers
US6733334B2 (en) 2001-06-19 2004-05-11 Delta Electronics Connector structure of circuit board for power supply apparatus
CN2498764Y (zh) * 2001-09-21 2002-07-0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路板接头的接地接脚
CN2912012Y (zh) * 2006-03-20 2007-06-13 实盈股份有限公司 电池连接器
CN201117858Y (zh) * 2007-11-24 2008-09-17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连接器插座
US7704082B2 (en) * 2008-06-23 2010-04-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KR200458463Y1 (ko) * 2009-09-10 2012-02-27 (주)동일기연 피씨비기판의 전원연결용 인렛소켓
CN202121112U (zh) * 2011-01-12 2012-01-18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交流电源连接器
JP5763424B2 (ja) * 2011-06-02 2015-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780140A (zh) * 2011-10-21 2012-11-14 深圳市智泰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连接器
CN102420374B (zh) * 2011-12-22 2015-05-20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电源插座及具有该电源插座的电子装置
CN203707377U (zh) * 2013-10-28 2014-07-09 康舒电子(东莞)有限公司 电路板电源接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143A (ja) * 1998-09-01 2000-03-1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Acアダプター
JP2011171252A (ja) 2010-02-22 2011-09-0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84A (ko) 2016-06-10
CN105655760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053E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ED module thereof
KR100997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438159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이의 결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US10304359B2 (en) Display device
KR10198519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4305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70099156A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20090079415A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10249469A1 (en) Light source uni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US9057506B2 (en) Light module
US9519168B2 (en) Display apparatus
US10219382B2 (en) Clamp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927426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CN101349836A (zh) 灯座、包括该灯座的背光组件及其装配方法
KR102176659B1 (ko) 액정표시장치
EP3029779B1 (en) Ac socket, power co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83119B1 (ko)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20170100750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565532B1 (en) Illumination device
KR20230024617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87345A (ja) El発光モジュール
WO2013069594A1 (ja) 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593415B1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680713B2 (ja) ワイヤー固定部材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CN117043672A (zh) 连接器和具有该连接器的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