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09B1 - 오일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09B1
KR102383009B1 KR1020210136407A KR20210136407A KR102383009B1 KR 102383009 B1 KR102383009 B1 KR 102383009B1 KR 1020210136407 A KR1020210136407 A KR 1020210136407A KR 20210136407 A KR20210136407 A KR 20210136407A KR 102383009 B1 KR102383009 B1 KR 10238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posed
plate
steam
process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식
Original Assignee
중원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플랜트(주) filed Critical 중원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1013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5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in receptacles having guiding conduits therein, e.g. for feeding the gas to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01F33/4051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in receptacles having guiding conduits therein, e.g. for feeding the gas to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conduits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being moved upwardly driven by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0Mixing of ingredients for oils, fats or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등과 같이 식용이 가능한 오일의 제조 공정 중 탈취공정에 배치되어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에 포함된 지방산과 같은 불순물을 기화시켜 오일을 탈취하는 오일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작업 대상물인 오일이 인입되는 인렛과, 탈취가 완료된 오일이 배출되는 아웃렛을 포함한 아웃체스트;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작업공간을 하방의 가공영역과 상방의 탈취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가공영역에 인입된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팅수단; 상기 가공영역에 인입된 오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 상기 가공영역에 배치되어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 상기 탈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가열된 오일에서 증기화된 불순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용루프; 상기 탈취영역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수단; 상기 가공영역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용 탈취장치{Deodorizer for oil}
본 발명은 오일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등과 같이 식용이 가능한 오일의 제조 공정 중 탈취공정에 배치되어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에 포함된 지방산과 같은 불순물을 기화시켜 오일을 탈취하는 오일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먹을 수 있는 기름을 뜻하는 식용유는 식물성 기름과 동물성 기름으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 액체 형태와 고체 형태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원재료에 따라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등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식용 가능한 기름을 오일이라 통칭하도록 한다.
상기 오일을 제조하는 공정은, 원료의 건조, 착유, 탈검, 탈산, 수세, 탈색 및 탈취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4128호(2017.02.22., 공개)에서는 ‘식물성 식용유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오일은 주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외에 수분, 섬유질, 단백질, 인지질, 유리지방산, 색소 및 냄새성분 등 식용유지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을 제거하는 정제 공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상기 정제공정은 상술한 탈검, 탈산, 탈색, 탈취 공정 순으로 수행되는데, 상술한 성분 중 인지질(Phospholipids)는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한 정제 및 가공 그리고 유탕 등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문제를 유발하며, 식용유지의 풍미와 색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성분이다. 따라서 정제 공정 중 첫 번째 단계인 탈검(degumming)공정에서 인지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탈취 공정은 탈색이 완료된 오일에 포함된 지방산 등과 같은 불순믈 기화시켜 제거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탈취 공정에 대해 제안된 종래기술 중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143호(2011.07.27.,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3-MCPD-FS가 저감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취 공정을 190~2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여 3-MCPD-FS의 존재로 인해 우려되었던 유전 독성 및 발암성의 위험을 현저히 낮추어 안전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식용 유지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4128호(2017.02.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5143호(2011.07.27., 공개)
본 발명은 오일의 정제 공정 중 오일에 포함된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오일용 탈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입된 오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고 동시에 가열되는 오일을 상하로 교반시킴으로써 냄새분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일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된 불순물을 진공 흡입하는 과정에서 증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동시에 맞닿는 증기가 온도 차이에 의해 액체 형태로 변화된 냄새분자를 별도로 수거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일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작업 대상물인 오일이 인입되는 인렛과, 탈취가 완료된 오일이 배출되는 아웃렛을 포함한 아웃체스트;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작업공간을 하방의 가공영역과 상방의 탈취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가공영역에 인입된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팅수단;
상기 가공영역에 인입된 오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
상기 가공영역에 배치되어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
상기 탈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수단에 의해 가열된 오일에서 증기화된 불순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용루프;
상기 탈취영역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수단;
상기 가공영역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증기이동공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아웃체스트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에는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의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판이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안내용루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용루프는, 상기 구획판의 상방에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방갓과, 상기 하방갓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낙하유도판과, 상기 하방갓에서 하방으로 배치되되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획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응결합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가공영역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히 수직하게 배치되며 각각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단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용갓이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수직관과, 상기 한 쌍의 수직관과 각각 연통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으로 교반용 증기를 전달하는 증기공급관과, 상기 증기공급관으로 교반용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반수단에는, 상기 가공영역에 저장된 오일과 혼합되어 기포(氣泡)를 형성하기 위한 건식 에어가 투입되는 버블형성용 에어공급관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공급관은 상기 연결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가공영역에 배치된 히팅라인과, 상기 히팅라인으로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팅보일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교반용 증기와 건식 에어를 공급하여 가열 중인 오일을 상하 방향으로 교반시키고, 교반 과정에서 오일에 기포를 발생시켜 오일의 불순물 제거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고, 증기가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방울이 형성되면 이를 드레인관측으로 이동시켜 불순물 제거 효과를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용 탈취장치를 개략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획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교반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내용루프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용 탈취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용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용 탈취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작업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작업 대상물이 오일이 인입되는 인렛(12)과, 탈취가 완료된 오일이 배출되는 아웃렛(13)을 포함한 아웃체스트(10)와, 상기 작업공간(11)에 배치되어 작업공간을 하방의 가공영역(111)과 상방의 탈취영역(11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0)과, 상기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을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팅수단(30)과, 상기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40)과,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되어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50)과, 상기 탈취영역(112)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수단(30)에 의해 가열된 오일에서 증기화된 불순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용루프(60)와, 상기 탈취영역(112)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수단(70) 및 상기 가공영역(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체스트(10)는 내부에 작업공간(11)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포스트(16)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체스트(10)는 상기 작업공간(11)으로 작업 대상물인 오일이 인입되는 인렛(12)과, 탈취 작업이 완료된 오일이 배출되는 아웃렛(13)이 각각 형성되고, 탈취 작업 중 수거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14)과, 작업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부확인창(15)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아웃체스트(10)의 용량은 작업 대상물인 오일의 투입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는 작업공간(1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17)와, 상기 작업공간(1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밸런스관(18)이다.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작업공간(11)에 배치되어 작업공간을 하방의 가공영역(111)과 상방의 탈취영역(112)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증기이동공(23)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 중앙판(21)과, 상기 중앙판(21)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아웃체스트(1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경사판(2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21)에는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의 연장판(211)과, 상기 연장판(2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판(212)이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결합판(21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안내용루프(6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213)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판(21)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공간(1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다수 개의 증기이동공(23)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하방의 가공영역(111)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방의 탈취영역(1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211)은 그리고 상기 중앙판(21)에는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증기이동공(23)을 통해 이동한 증기를 상방의 탈취영역(112)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결합판(212)은 상기 연장판(2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호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213)의 일단이 결합한다.
상기 브라켓(213)은 후술하는 안내용루프(60)를 구획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결합판(212)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안내용루프(6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경사판(22)은 상기 중앙판(21)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안내용루프(60)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 불순물을 상기 아웃체스트(10)에 형성된 드레인관(14)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가공영역(111)에 발생한 증기를 상기 중앙판(21)의 증기이동공(23)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획판(20)은 작업공간(11)을 가공영역(111)과 탈취영역(112)으로 구획하며 동시에 다수 개의 증기이동공(23)을 통해 가공영역(111)과 탈취영역(112)을 연통시키고, 경사판(22)을 통해 탈취영역(112)에 배치되는 안내용루프(60)에서 방울로 응집된 불순물을 드레인관(14)측으로 안내하여 불순물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히팅수단(30)은 상기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된 히팅라인(31)과, 상기 히팅라인(31)으로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팅보일러(32)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라인(31)은 상기 아웃체스트(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되어 인입된 열매체를 통해 가공영역(111)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팅라인(31)의 배열 개수와 위치 및 상호간의 간격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가공영역(111)의 면적 또는 인입된 오일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히팅보일러(32)는 상기 히팅라인(31)으로 열매체를 고읍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열매체는 고온으로 가열된 물 또는 증기일 수 있으나, 열매체로서 물 또는 증기를 이용하는 경우 히팅라인으로 전달되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고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히팅라인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팅보일러(32)에서 가열된 후 히팅라인(31)으로 공급되는 열매체는 기름(Oil) 또는 수은과 같은 열매체 중 하나를 이용하여 물 또는 증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히팅라인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수단(40)은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을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공영역(111)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히 수직하게 배치되며 각각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단 개구부(411)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용갓(412)이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수직관(41)과,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과 각각 연통되는 연결관(42)과, 상기 연결관(42)으로 교반용 증기를 전달하는 증기공급관(43)과, 상기 증기공급관(43)으로 교반용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증기로 기화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진공수단(70)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교반날개를 포함한 교반장치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반수단(40)은 높은 압력으로 교반용 증기를 투입하고, 투입된 교반용 증기가 오일과 함께 이동하면서 교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은 상기 가공영역(111)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하방에서 교반용 증기 및 오일이 인입된 후 상단 개구부(411)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히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가공영역(111)의 면적과 처리 대상물인 오일의 용량에 따라 배치되는 개수 및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에는 상단 개구부(411)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가공영역의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용갓(412)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용갓(412)은 펼쳐진 우산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 개구부(411)에서 배출된 오일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과 이에 각각 결합된 안내용갓(412)을 통해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이 히팅수단(30)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하방의 오일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하로 순환시켜 오일을 교반한다.
상기 연결관(42)은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수직관(41)을 상호 연통시키고 동시에 증기공급관(43)이 연결되어 교반용 증기를 전달 받은 후 한 쌍의 수직관(41)으로 교반용 증기를 전달한다.
상기 증기공급관(43)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연결관(42)에 결합되고 타단은 증기보일러(44)에 결합되어 증기보일러(44)로부터 공급된 교반용 증기를 연결관(42)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보일러(44)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교반용 증기를 생산 및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증기보일러의 구조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교반수단(40)은 증기보일러(44)에서 생산 및 공급한 교반용 증기가 증기공급관(43)으로 공급되고, 이후 연결관(42)을 통해 한 쌍의 수직관(41) 각각에 교반용 증기를 전달하고, 한 쌍의 수직관(41)이 교반용 증기와 함께 오일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단 개구부(411)를 통해 배출하면서 오일을 상하로 교반시킨다.
한편 상기 교반수단(40)에는 상기 가공영역(111)에 저장된 오일과 혼합되어 기포(氣泡)를 형성하기 위한 건식 에어가 투입되는 버블형성용 에어공급관(45)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공급관(45)은 상기 연결관(42)에 연통된다.
상기 에어공급관(45)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 에어를 오일에 투입되면서 오일에 기포를 형성하여 기포가 터지면서 교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관(45)의 위치 및 개수는 가공영역(111)의 면적과 처리 대상물인 오일의 용량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냉각수단(50)은 가공영역(111)에 배치되어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가공영역(111)에 배치되는 냉각라인(51)과, 상기 냉각라인(51)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장치(52)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라인(51)은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된 히팅라인(31)의 외측에서 환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히팅라인(31)과 아웃체스트(1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라인(51)의 배치 위치 및 상호간의 간격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위치 및 간격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냉각수공급장치(52)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냉각수를 상기 냉각라인(51)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공지의 냉각수저장탱크(도면 중 미도시됨)와 펌프(도면 중 미도시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단(50)은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어 최종 오일 제품을 배출 가능한 온도까지 낮춘다.
상기 안내용루프(60)는 상기 탈취영역(112)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수단(30)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화된 불순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획판(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방갓(61)과, 상기 하방갓(6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낙하유도판(62)과, 상기 하방갓(61)에서 하방으로 배치되되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획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응결합판(63)을 포함한다.
상기 하방갓(61)은 상기 구획판(20)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되 중앙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공영역(111)으로부 이동한 증기가 하향 경사진 면을 따라 테두리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낙하유도판(62)은 하방갓(6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절곡된 단부가 상기 구획판(20)의 경사판(22) 상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낙하유도판(62)은 하방갓(61)과 맞닿은 증기가 온도 차이에 의한 발생하는 결로(結露)현상에 의해 방울이 형성되며 이를 상기 경사판(22)으로 낙하시켜 낙하된 이물질이 경사판(22)을 따라 드레인관(14)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응결합판(63)은 상기 하방갓(61)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20)에 배치된 브라켓(213)에 안내용루프(6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다수 개가 하방갓(61)의 하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213)의 배치 위치 및 배치된 개수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안내용루프(60)는 구획판(20)의 증기이동공(23)을 통과하여 이동한 증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불순물의 이동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한 방울을 구획판(20)의 경사판(22)으로 안내하여 드레인관(14)측으로 유도함으로써 불순물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진공수단(70)은 상기 탈취영역(112)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아웃체스트(10)의 상단에 구비된 증기배출관(71)과, 상기 증기배출관(71)으로 흡입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장치(72)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배출관(71)은 상기 탈취영역(112)의 상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장치(72)와 연결관(도면 중 미도시됨)을 통해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진공장치(72)가 동작하면서 제공하는 흡입 압력을 통해 탈취영역(112)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진공수단(70)의 구조 및 동작관계, 그리고 진공장치(72)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80)는 상기 가공영역(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공영역(111)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센서(81)와 제2센서(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81)와 제2센서(82)는 상기 가공영역(111)에서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가공영역(111)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감지값을 제어부(도면 중 미도시됨)로 전달하여 상기 히팅수단(30) 또는 상기 냉각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아웃체스트(10)의 외면에 디스플레이(도면 중 미도시됨)를 구비하여 상기 제1센서(81)와 제2센서(82)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오일용 탈취장치
10 : 아웃체스트
11 : 작업공간 12 : 인렛
13 : 아웃렛 14 : 드레인관
111 : 가공영역 112 : 탈취영역
20 : 구획판
21 : 중앙판 22 : 경사판
23 : 증기이동공
211 : 연장판 212 : 결합판
213 : 브라켓
30 : 히팅수단
31 : 히팅라인 32 : 히팅보일러
40 : 교반수단
41 : 수직관 42 : 연결관
43 : 증기공급관 44 : 증기보일러
45 : 에어공급관
411 : 상단개구부 412 : 안내용갓
50 : 냉각수단
51 : 냉각라인 52 : 냉각수공급장치
60 : 안내용루프
61 : 하방갓 62 : 낙하유도판
63 : 대응결합판
70 : 진공수단
71 :증기배출관 72 : 진공장치
80 : 센싱부
81 : 제1센서 82 : 제2센서

Claims (6)

  1. 내부에 작업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작업 대상물인 오일이 인입되는 인렛(12)과, 탈취가 완료된 오일이 배출되는 아웃렛(13)을 포함한 아웃체스트(10);
    상기 작업공간(11)에 배치되어 작업공간을 하방의 가공영역(111)과 상방의 탈취영역(11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0);
    상기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팅수단(30);
    상기 가공영역(111)에 인입된 오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40);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되어 탈취가 완료된 오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50);
    상기 탈취영역(112)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수단(30)에 의해 가열된 오일에서 증기화된 불순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용루프(60);
    상기 탈취영역(112)으로 이동한 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수단(70);
    상기 가공영역(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0)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증기이동공(23)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 중앙판(21)과,
    상기 중앙판(21)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아웃체스트(1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경사판(2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21)에는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의 연장판(211)과, 상기 연장판(2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판(212)이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결합판(21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안내용루프(6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21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용루프(60)는,
    상기 구획판(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방갓(61)과,
    상기 하방갓(6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낙하유도판(62)과,
    상기 하방갓(61)에서 하방으로 배치되되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획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응결합판(6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40)은,
    상기 가공영역(111)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히 수직하게 배치되며 각각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단 개구부(411)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용갓(412)이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수직관(41)과,
    상기 한 쌍의 수직관(41)과 각각 연통되는 연결관(42)과,
    상기 연결관(42)으로 교반용 증기를 전달하는 증기공급관(43)과,
    상기 증기공급관(43)으로 교반용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40)에는,
    상기 가공영역(111)에 저장된 오일과 혼합되어 기포(氣泡)를 형성하기 위한 건식 에어가 투입되는 버블형성용 에어공급관(45)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에어공급관(45)은 상기 연결관(42)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30)은,
    상기 가공영역(111)에 배치된 히팅라인(31)과,
    상기 히팅라인(31)으로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팅보일러(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탈취장치.
KR1020210136407A 2021-10-14 2021-10-14 오일용 탈취장치 KR10238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407A KR102383009B1 (ko) 2021-10-14 2021-10-14 오일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407A KR102383009B1 (ko) 2021-10-14 2021-10-14 오일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09B1 true KR102383009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407A KR102383009B1 (ko) 2021-10-14 2021-10-14 오일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0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35A (ko) * 1990-06-21 1992-01-29 리챠드 챨스 위트 튀김수명이 긴 가향 튀김기름
KR0145744B1 (ko) * 1992-07-29 1998-08-01 티모티 엔. 비숍 식용유 탈취기로부터 폐열을 회수하고 생성물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JP2000096077A (ja) * 1998-09-21 2000-04-04 Yoshihara Oil Mill Ltd 精製オリーブ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67589A (ja) * 2004-12-15 2006-06-29 Toyota Motor Corp 油浄化装置及び油浄化方法
KR20090111013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제너시스 올리브유 조성물 및 여과 올리브유 제조 방법
KR20110057007A (ko) * 2009-11-23 2011-05-31 김진효 식용유의 재사용이 가능한 튀김기
KR20110085143A (ko) 2010-01-19 2011-07-27 씨제이제일제당 (주)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KR101744128B1 (ko) 2015-08-13 2017-06-08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KR20200013650A (ko) * 2017-04-28 2020-02-07 레콘드오일 스웨덴 에이비 오일의 정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35A (ko) * 1990-06-21 1992-01-29 리챠드 챨스 위트 튀김수명이 긴 가향 튀김기름
KR0145744B1 (ko) * 1992-07-29 1998-08-01 티모티 엔. 비숍 식용유 탈취기로부터 폐열을 회수하고 생성물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JP2000096077A (ja) * 1998-09-21 2000-04-04 Yoshihara Oil Mill Ltd 精製オリーブ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67589A (ja) * 2004-12-15 2006-06-29 Toyota Motor Corp 油浄化装置及び油浄化方法
KR20090111013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제너시스 올리브유 조성물 및 여과 올리브유 제조 방법
KR20110057007A (ko) * 2009-11-23 2011-05-31 김진효 식용유의 재사용이 가능한 튀김기
KR20110085143A (ko) 2010-01-19 2011-07-27 씨제이제일제당 (주)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KR101744128B1 (ko) 2015-08-13 2017-06-08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KR20200013650A (ko) * 2017-04-28 2020-02-07 레콘드오일 스웨덴 에이비 오일의 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263B1 (ko) 코코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6149291A (zh) 衣物洗涤设备
EP1259584B1 (en) Process for preparing blown vegetable oil
KR102383009B1 (ko) 오일용 탈취장치
CN110093208A (zh) 脱臭四级菜籽油生产工艺及其生产线
Unger Processing
US2428082A (en) Oil bleaching process and apparatus
CN204690363U (zh) 衣物洗涤设备
GB70163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ocess of deodorizing glyceride oils and products resulting therefrom
UA127792C2 (uk) Рафінування харчової олії
US2078810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treatment of wood pulp and the like with chemicals
JP3995792B2 (ja) 油脂の脱臭脱酸方法
GB70163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ocess of deodorizing a glyceride oil and the products resulting therefrom
US2342225A (en) Paper pulp preparation
CN106010785A (zh) 一种茶油生产装置
US3362794A (en) Apparatus for neutralizing fatty oils
US2025059A (en) Evaporator
CN207356603U (zh) 连续喷涂膜式蒸发器
US3226407A (en) Process for acid and then alkaline refining fatty oils
US4929310A (en) Apparatus for deodorizing organic liquids
CN206721159U (zh) 一种用于油脂后处理的氮气脱臭塔
US2025800A (en) Washing machine
CN213803684U (zh) 一种猪油脱臭釜的内部结构
CN219603540U (zh) 一种高效的脱水系统
CN205635532U (zh) 毛油脱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