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748B1 -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748B1
KR102382748B1 KR1020200093487A KR20200093487A KR102382748B1 KR 102382748 B1 KR102382748 B1 KR 102382748B1 KR 1020200093487 A KR1020200093487 A KR 1020200093487A KR 20200093487 A KR20200093487 A KR 20200093487A KR 102382748 B1 KR102382748 B1 KR 10238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mbinant vector
egr1
promoter region
reporter gene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982A (ko
Inventor
윤준원
황다빈
김신영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4General methods for preparing the vector, for introducing it into the cell or for selecting the vector-containing ho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1Eye cells, e.g. cornea, iris pigment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surge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EGR1 프로모터 영역 및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형질도입하여 안자극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에 리포터 유전자가 활성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고 in vitro상에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점안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간편하게 안자극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Recombinant vector comprising EGR1 promoter region, and use the same}
본 발명은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또는 점안제와 같은 생활 용품은 피부, 머리카락, 손톱, 입술, 각막과 같은 인체의 외피에 접촉함으로써, 청결, 용모 변화, 정돈, 보호, 개선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제로, 장기간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질환의 치료 및 보호 효과를 갖는 기능성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품 또는 점안제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나,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부작용으로 인한 자극 및 질병이 나타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생활 용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중요한 부분이며, 이러한 안전성 평가는 세포수준, 동물수준 및 임상수준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안전성 시험의 항목은 1회성 투여를 통한 독성 시험, 1차 피부자극 시험, 안점막자극 시험, 피부감작시험, 광독성 시험 등이 있다. 또한, 화장품의 경우 피부나 점막에 국소적으로 첩포될 때 유발되는 자극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피부자극 시험, 안점막자극시험, 구강점막자극 시험 및 광독성 시험 등이 있고, 면역계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이상 면역 반응을 검색하는 피부감작성 시험과 피부광감작 시험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은 침습적인 절차로 동물에게 위해와 고통을 가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동물의 희생이 요구되어 윤리적인 문제가 있고, 인간에게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됨에 따라 동물 시험을 대체하여 진행할 수 있는 안전성 시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900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7504호
본 발명은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EGR1 프로모터 영역 및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형질도입하여 안자극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에 리포터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고 in vitro상에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점안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간편하게 안자극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용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용 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물질이 처리된 형질전환 세포에서 재조합 벡터의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이 나타나면 시험물질을 안자극 물질로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EGR1 프로모터와 안자극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자극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고 in vitro상에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점안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간편하게 안자극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용 재조합 벡터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안자극 물질인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처리함에 따라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안자극 물질인 BAC(benzalkonium chloride)를 처리함에 따라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달리 지시된 바가 없으면, 핵산의 염기서열의 방향은 각각 왼쪽에서 오른쪽, 5'에서 3'의 방향으로 읽혀지고, 아미노산 서열의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 아미노기에서 카르복실기의 순서로 읽혀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각막 자극에 따라 EGR1(early growth response 1)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기반으로, EGR1(early growth response 1) 프로모터 영역을 이용하여 안자극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용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EGR1 프로모터 영역은 서열번호 2 및 3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라이머 세트로 증폭된 산물이며, EGR1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부위에서 -391 내지 +11 영역과 대응되는 염기서열을 갖고, 402bp 크기를 갖는다.
상기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DNA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DNA 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하며,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현재 벡터의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플라스미드 (plasmid)" 및 "벡터 (vector)"는 때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당업계에 알려진 또는 알려지게 되는 바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벡터의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벡터는 특정한 숙주 세포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의 발현에 필수적인 DNA 서열인 조절 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서열은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예컨대 숙주 세포가 원핵세포인 경우, 벡터는 원핵세포에 적합한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및 리보좀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숙주 세포가 진핵세포인 경우, 벡터는 진핵세포에 적합한 프로모터, 폴리아데닐화 시그날 및 인핸서가 포함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에 모두 형질도입할 수 있는 벡터는 원핵세포에 적합한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및 리보좀 결합 부위와 진핵세포에 적합한 프로모터, 폴리아데닐화 시그날 및 인핸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생산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적절한 숙주세포로 형질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숙주세포는 원핵세포, 진핵세포, 효모세포, 식물세포, 또는 동물세포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핵세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핵세포로는 E. coli BL21(DE3), E. coli DH5a, E. coli JM101, E. coli K12 294, E. coli W3110, E. coli X1776, E. coli XL-1Blue (Stratagene) 및 E. coli B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 coli DH5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형질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성 마커는 통상적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형질 전환된 세포를 비 형질전환 세포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유전자가 이에 해당된다. 그 예로는 앰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제네티신(Geneticin; G418),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또는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재조합 벡터는 EGR1 프로모터 영역과 연결된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한다.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발광하는 단백질 또는 검축하기 쉬운 리포터 물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로서, 통상적으로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루시페라제(Luciferase),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황색 형광 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 또는 적색 형광 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루시페라제(Luciferas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용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세포는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간 각막 세포(Human corneal cell)를 human papillomavirus E6/E7이 발현되도록 클로닝하여 immortalized cell로 만든 불멸화 인간 각막 상피세포(immortaliz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이며,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물질이 처리된 형질전환 세포에서 재조합 벡터의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이 나타나면 시험물질을 안자극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시험물질"은 유전자의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거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스크리닝에서 이용되는 미지의 후보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시료는 화학물질, 뉴클레오타이드, 안티센스-RNA, siRNA(small interference RNA) 및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EGR1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제조
안자극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질전환 균주를 제공하기 위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은 EGR1 프로모터 지역에서 서열번호 2 및 3(Forward: 5’-GCCGGAACAACCCTTATT-3’(서열번호 2), Reverse: 5’-TGGGATCTCTCGCGACTC-3’(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EGR1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증폭되며,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EGR1 유전자의 -391 ~ +11 영역과 대응되는 염기서열을 갖는다. PCR로 진행하여 전기영동을 통해 402bp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양쪽 말단에 KpnⅠ, BglⅡ 제한효소 서열을 추가하여 PCR을 진행한 후, PCR 산물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PCR 산물과 pGL3 벡터(Promega, USA)에 KpnⅠ BglⅡ 제한효소를 각각 2시간씩 처리하였다. 제한효소로 처리된 PCR 산물 과 벡터 혼합물에 T4 리가아제를 1시간 처리하여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DH5α(Escherichia coli DH5α) 균주 100 ul에 상기 제조된 재조합 벡터를 추가하고, 열 충격을 가하여 DH5α 균주를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하였다. 재조합 벡터가 형질전환된 DH5α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DH5α 균주를 100ug/ml 암피실린(ampicillin)이 함유된 LB 고상 배지(LB agar plate)에 접종하여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위로 콜로니를 형성하는 DH5α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상기 EGR1 프라이머 세트로 PCR을 진행하였다. PCR 산물에서 EGR1 프라이머 세트로 증폭된 402bp 크기의 밴드가 확인된 DH5α 균주는 LB 액상 배지에서 1일 동안 배양하고,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plasmid prep kit(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재조합 벡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고, 분리된 재조합 벡터 플라스미드를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벡터를 이용한 자극 물질 평가
실시예 1의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여 안자극 물질을 판단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상기 재조합 벡터를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형질도입하고, 안자극 물질에 벡터가 작동하는지 확인하였다.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를 1.9 X 104 cells/well 농도로 48 웰 플레이트에 48 시간 배양하였다.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Lipofectamine® 3000 (ThermoFisher Scientific, Germany)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재조합 벡터와 Renilla 루시페라제 조절 리포터 벡터(Renilla Luciferase Control Reporter Vector, Promega, USA)를 배양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형질도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형질전환된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1회 세척한 후, 형질전환된 상기 세포에 안자극 물질인 SLS(sodium lauryl sulfate) 또는 BAC(benzalkonium chloride)를 10분 동안 처리하고, PBS로 2회 세척하고 Eplife 배지(ThermoFisher Scientific, Germany)에 넣어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세포를 PBS로 1회 세척하고, 80ul passive lysis buffer(Promega, USA)를 처리하여 15분 동안 rocking한 후 세포를 용해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96 웰 플레이드에 각각 20ul씩 넣은 후, Luciferase Assay Reagent II(Promega, USA)를 웰 당 100 ul씩 처리하고, luminometer(GloMax® Discover microplate reader, Promega, USA)로 Firefly luminescence 반응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웰에 Stop&Glo buffer(Promega, USA)를 100 ul 추가하고, firefly luciferase 반응을 중단시키고 Renilla luminescence 반응을 측정하였다.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SLS 또는 BAC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모두 루시페라제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1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인간 각막 상피세포에 안자극 물질을 처리하면 EGR1 프로모터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하면,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도 실험실 실험으로 안자극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110>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20> Recombinant vector comprising EGR1 promoter region, and use the same <130> ADP-2020-0275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0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R1-promoter <400> 1 gccggaacaa cccttatttg ggcagcacct tatttggagt ggcccgatat ggcccggccg 60 cttccggctc tgggaggagg gaagaaggcg gagggagggg caacgcggga actccggagc 120 tgcgcgggtc ccggaggccc cggcggcggc tagagctcta ggcttccccg aagcctgggc 180 gcctgggatg cgggcgcggg cgcgggccct agggtgcagg atggaggtgc cgggcgctgt 240 cggatggggg gcttcacgtc actccgggtc ctcccggccg gtcctgccat attagggctt 300 cctgcttccc atatatggcc atgtacgtca cgacggaggc ggacccgtgc cgttccagac 360 ccttcaaata gaggcggatc cggggagtcg cgagagatcc ca 402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R1-f <400> 2 gccggaacaa cccttatt 18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R1-r <400> 3 tgggatctct cgcgactc 18 <210> 4 <211> 91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R1 <400> 4 gagagatccc agcgcgcaga acttggggag ccgccgccgc catccgccgc cgcagccagc 60 ttccgccgcc gcaggaccgg cccctgcccc agcctccgca gccgcggcgc gtccacgccc 120 gcccgcgccc agggcgagtc ggggtcgccg cctgcacgct tctcagtgtt ccccgcgccc 180 cgcatgtaac ccggccaggc ccccgcaact gtgtcccctg cagctccagc cccgggctgc 240 acccccccgc cccgacacca gctctccagc ctgctcgtcc aggatggccg cggccaaggc 300 cgagatgcag ctgatgtccc cgctgcagat ctctgacccg ttcggatcct ttcctcactc 360 gcccaccatg gacaactacc ctaagctgga ggagatgatg ctgctgagca acggggctcc 420 ccagttcctc ggcgccgccg gggccccaga gggcagcggc agcaacagca gcagcagcag 480 cagcgggggc ggtggaggcg gcgggggcgg cagcaacagc agcagcagca gcagcacctt 540 caaccctcag gcggacacgg gcgagcagcc ctacgagcac ctgaccgcag gtaagcagtg 600 gcctacgccg agggggaacc ctttcgccac catcctggcg tcctgtcctt caccgcagga 660 gtgctcctgg atcttagaat gagagccggg tttccctttc attcctcgca tccccagagt 720 catgtgttag agggatgcca aggaacccca cacagcccac cccctgccct catccctagc 780 ggagcgcaga ggaccgagct tttgttttgg atggagagct ctggagctgc gtgggtgggt 840 ggagggggag ggcttgtttt gatgagcggg gctgcgcccc ccacctccag taagacttgc 900 cttgccttgc 910

Claims (8)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EGR1 프로모터 영역 및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시험물질이 처리된 형질전환 세포에서 재조합 벡터의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이 나타나면 시험물질을 안자극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GR1 프로모터 영역은 서열번호 2 및 3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EGR1 프라이머 세트로 증폭된 산물로서, 402bp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인간 각막 상피세포(Human corneal epithelial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유전자는 루시페라제(Luciferase),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황색 형광 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 또는 적색 형광 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자극 물질 스크리닝 방법.
KR1020200093487A 2020-07-28 2020-07-28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KR10238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87A KR102382748B1 (ko) 2020-07-28 2020-07-28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87A KR102382748B1 (ko) 2020-07-28 2020-07-28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82A KR20220013982A (ko) 2022-02-04
KR102382748B1 true KR102382748B1 (ko) 2022-04-05

Family

ID=8026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487A KR102382748B1 (ko) 2020-07-28 2020-07-28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9592A3 (en) * 2022-05-18 2023-12-2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Cell-based shear stress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4554A1 (en) * 1999-12-01 2003-07-03 Martin Braddock Screening method for compounds capable of modularing egr-1-regulated expression
US20030219714A1 (en) * 1993-01-21 2003-11-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nd Xenometrix, Inc. Methods and diagnostic kits utilizing mammalian stress promoters to determine toxicity of a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504B1 (ko) 2018-07-23 2020-06-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df1 프로모터 영역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스크리닝 방법
KR102059008B1 (ko) 2019-06-10 2020-02-20 (주)트윈켐 피부미백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9714A1 (en) * 1993-01-21 2003-11-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nd Xenometrix, Inc. Methods and diagnostic kits utilizing mammalian stress promoters to determine toxicity of a compound
US20030124554A1 (en) * 1999-12-01 2003-07-03 Martin Braddock Screening method for compounds capable of modularing egr-1-regulated express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Toxicology. 2015, Vol. 89, pp. 1589-1598.
NCBI GenBank Accession No.AJ245926.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9592A3 (en) * 2022-05-18 2023-12-2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Cell-based shear stress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82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 et al. Autoactivation of the marRAB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operon by the MarA transcriptional activator in Escherichia coli
Kretzschmar et al. Identification of human DNA topoisomerase I as a cofactor for activator-dependent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US6566057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eptide libraries displayed on light-emitting scaffolds
US5994077A (en) Flourescence-based isolation of differentially induced genes
US9506073B2 (en) Blue-light inducible system for gene expression
CA2092000A1 (en) Screening assays
JP2002513285A (ja) 高翻訳効率のires配列及びこの配列を含む発現ベクター
KR102382748B1 (ko) Egr1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EP3523317A1 (en) The method for improvement of responsiveness of cells to ultrasound and mechanical stimuli with gas vesicles and sensitised mechanosensors
Ansieau et al. B-Myb, a repressed trans-activating protein
Divéki et al. Limited utility of blue fluorescent protein (BFP) in monitoring plant virus movement
Thiel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mammalian transcriptional repressors
CN110161244B (zh) 一种用于检测和调控肿瘤mRNA的核酸器件及其构建方法
US6902886B1 (en) Genetic assay for protein nuclear transport
Rusiecka et al. Induction of the multixenobiotic/multidrug resistance system in various cell lines in response to perfluorinated carboxylic acids
KR101775350B1 (ko) 재설계 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아미노카프론산의 감지 및 정량 방법
Cao et al. Activation of the human ε-and β-globin promoters by SV40 T antigen
da Silva et al. Drosophila SCE/dRING E3-ligase inhibits apoptosis in a Dp53 dependent manner
KR101814610B1 (ko) 트리클로산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 세포 및 트리클로산 검출용 바이오센서
US20030211523A1 (en) Two-hybrid double screening system and method
JP6971461B2 (ja) 蛍光カルシウムセンサー蛋白質
Shubin et al. Evaluation of the toxic effects evoked by the transient expression of protease genes from human pathogens in HEK293 cells
JP2000516081A (ja) 転写リプレッサー活性を有するユビキチン結合酵素
WO2009007868A1 (en) In vivo expression analysis using ultrasound-induced transfection of reporter constructs
WO2022207206A1 (en) Trna modification-sensitive codon translation assay comprising luminescence-based repor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