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604B1 -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604B1
KR102382604B1 KR1020200118406A KR20200118406A KR102382604B1 KR 102382604 B1 KR102382604 B1 KR 102382604B1 KR 1020200118406 A KR1020200118406 A KR 1020200118406A KR 20200118406 A KR20200118406 A KR 20200118406A KR 102382604 B1 KR102382604 B1 KR 10238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tiary
connection
mcc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155A (ko
Inventor
이덕환
Original Assignee
이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환 filed Critical 이덕환
Priority to KR102020011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전면에 마련된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MCC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상기 MCC 본체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마련된 1차 접속 커넥터, 2차 접속 커넥터, 3차 접속 커넥터가 일방향으로 접속되는 MCC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MCC with Multi-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마련된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는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해주는 기능과 각 전동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MCC는 복수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마련되고, 수납 유니트 조립체에는 1차 공급 커넥터, 2차 공급 커넥터, 3차 공급 커넥터가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1차 공급 커넥터는 전원 공급을 위해 MCC의 후방에 마련된 부스바와 접속되는 커넥터이고, 2차 공급 커넥터는 전원 인출을 위한 커넥터이며, 3차 공급 커넥터는 신호 전달을 위해 마련된 커넥터일 수 있다.
수납 유니트에는 1차, 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납 유니트를 MCC 본체로부터 빼내면 1차, 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 유니트에 마련된 1차 내지 3차 접속 커넥터는 수납 유니트의 전면 및 측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MCC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1.2,3차 공급 커넥터도 마찬가지로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수납 유니트는 1차 내지 3차 커넥터의 설치 위치가 수납 유니트의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더욱이 수납 유니트의 삽입 및 인출시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일방향이 아닌 복수의 방향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만큼 접속시 어느 한 방향의 접속 상태가 틀어지면 정확한 접속을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납 유니트의 전방으로만 커넥터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접속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MCC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상기 MCC 본체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마련된 1차 접속 커넥터, 2차 접속 커넥터, 3차 접속 커넥터가 일방향으로 접속되는 MCC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공급을 위한 1차, 2차, 3차 공급 커넥터를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집결시켜서 모듈화한 멀티 커넥터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수납 유니트의 접속시 일방향으로만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커넥터 모듈의 일면에 가이드 핀을 형성하고, 수납 유니트의 접속시 가이드핀이 수납 유니트의 제1 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유니트의 접속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유니트의 설치 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수납 유니트의 폭 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MCC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커넥터 모듈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정렬 부재를 구비하여 복수의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전선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과 수납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수납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마련되는 전선 정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의 커넥터 접속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에 마련되는 1차 공급 커넥터(120), 2차 공급 커넥터(130)(140), 3차 공급 커넥터(150)(160)가 구비될 수 있다.
1차 공급 커넥터(12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전력 공급 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1차 공급 커넥터(120)는 부스바와 접속되어서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2차 공급 커넥터(130)(140)는 1차 공급 커넥터(120)로부터 공급된 외부 전원을 분기시켜서 각 전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3차 접속 커넥터(160)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수납 유니트(200) 또는 MCC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표시등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핀(112)(114)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한 조를 이루는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3차 접속구(19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2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된 구조일 수 있고,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선을 정렬하기 위한 전선 정렬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전선 정렬부재(1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116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링형 지지편(116b)이 형성되고, 링형 지지편(116b)에 의해 그 안쪽으로 전선(E)을 삽입하여 정렬할 수 있는 삽입 공간(116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수납 유니트(200)의 제1 면(202)에는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및 3차 접속 커넥터(230)가 마련될 수 있다.
수납 유니트(200)의 전면(202)에는 가이드 핀(150)이 삽입되는 삽입공(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한쌍의 수납 유니트(200)가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쌍의 수납 유니트(200)로 접속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1대의 수납 유니트(200)로 접속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대의 수납 유니트(200)가 멀티 커넥터 모듈(100)에 접속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MCC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MCC 본체(10) 내부로 수납 유니트(200)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전기적 접속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에는 2대의 수납 유니트(200)가 접속될 수 있고, 수납 유니트(200)의 접속시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일면에는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삽입되는 가이드핀(112)(114)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납 유니트(200)의 제1 면(202)의 소정 위치에는 삽입공(20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MCC 본체(10)의 내부로 수납 유니트(200)를 삽입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각 가이드 핀(112)(114)에 삽입공(202a)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200)는 MCC 본체(10)안으로 삽입시, 가이드핀(112)(11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수납 유니트(2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일측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멀티 커넥터 모듈(100)에 접속될 수 있다.
가이드핀(112)(114)은 수납 유니트(200)의 불안정한 접속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적 맥동으로 인한 전력 공급의 불안정을 방지하고, 부정확한 접속 상태시 전기적 저항이 커지고, 저항이 커지면 접속 부분에서 발열이 되어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수납 유니트(200)는 편심되지 않고 정확한 접속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저항이 커짐에 따른 발열 현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6에서 수납 유니트(200)의 제2 면(204)에는 수납 유니트(200)안에 구비되는 차단기를 조작할 수 있는 차단기 핸들(205), 수납 유니트(200)를 삽입 및 인출시키는 손잡이(20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수납 유니트(200)의 제1 면(202)에는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3차 접속 커넥터(230)가 마련되고,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일면에는 각각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3차 접속구(190)가 1셋트로 이루어져서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맞게 2 셋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3차 접속 커넥터(230)는 각각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및 3차 접속구(190)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및 3차 접속구(190)는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및 3차 접속 커넥터(230)가 각각 삽입되므로, 삽입시 접속구의 안쪽에 마련된 접속 단자와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가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전력의 외부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및 3차 접속 커넥터(230)의 접속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따라서 흔들림 없이 접속되므로 정확한 접속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타면에는 1차 공급 커넥터(120), 2차 공급 커넥터(130)(140), 3차 공급 커넥터(150)(160)가 마련되어 있고, 1차 접속구(170)에 접속된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는 1차 공급 커넥터(12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2차 공급 커넥터(130)(140)는 각각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2차 접속 커넥터(220)가 2차 접속구(180)를 통해 삽입되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3차 공급 커넥터(150)(160)는 각각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3차 접속 커넥터(230)가 2차 접속구(180)를 통해 삽입되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200)의 측면에는 커넥터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 유니트(200)의 폭 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만일,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1차 공급 커넥터(120), 2차 공급 커넥터(130)(140) 및 3차 공급 커넥터(150)(160)에 문제가 발생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만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다른 커넥터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2개의 플레이트로 조립한 구조이므로, 2개의 플레이트를 분리하고, 그 내부의 상태를 점검하여 수리 및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정렬 부재(116)가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전선 정렬 부재(116)는 지지판(116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링형 지지편(116b)이 형성되고, 이러한 링형 지지편(116b)에 의해 터널과 같은 삽입 공간(116c)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삽입 공간(116c)을 통해 복수의 전선(E)을 삽입함으로써 전선(E)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선(E)이 엉켜서 수리가 어렵거나 또는 전선(E)의 접속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정렬 부재(116)안으로 복수의 전선(E)을 삽입하여 정돈할 수 있으므로, 멀티 커넥터 모듈(100)안의 전선(E)에 의한 엉킴 및 수리 작업시 복잡함을 해소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MCC 본체
100... 멀티 커넥터 모듈 110... 케이스
112,114... 가이드핀 116... 전선 정렬부재
116a... 지지판 116b... 링형 지지편
116c... 삽입 공간 120... 1차 공급 커넥터
130,140... 2차 공급 커넥터 150,160... 3차 공급 커넥터
170... 1차 접속구 180... 2차 접속구
190... 3차 접속구 200... 수납 유니트
202... 제1 면 202a... 삽입공
204... 제2 면 205... 차단기 핸들
206... 손잡이 210... 1차 접속 커넥터
220... 2차 접속 커넥터 230... 3차 접속 커넥터
E... 전선

Claims (6)

  1. MCC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상기 MCC 본체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은 2개의 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전선을 정렬시키는 전선 정렬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에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마련된 1차 접속 커넥터, 2차 접속 커넥터, 3차 접속 커넥터가 일방향으로 접속되는 MCC.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의 일면에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1차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는 1차 접속구, 상기 2차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는 2차 접속구, 상기 3차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는 3차 접속구가 형성되는 MCC.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1차 접속구, 2차 접속구, 3차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는,
    상기 1차 접속구에 삽입되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1차 접속 커넥터와 접속되는 1차 공급 커넥터,
    상기 2차 접속구에 삽입되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2차 접속 커넥터와 접속되는 2차 공급 커넥터,
    상기 3차 접속구에 삽입되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3차 접속 커넥터와 접속되는 3차 공급 커넥터가 마련되는MCC.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삽입시 가이드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면되는 상기 수납 유니트의 제1 면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MCC.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정렬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링형 지지편,
    상기 링형 지지편에 의해 그 안쪽으로 전선을 삽입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MCC.
KR1020200118406A 2020-09-15 2020-09-15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KR10238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06A KR102382604B1 (ko) 2020-09-15 2020-09-15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06A KR102382604B1 (ko) 2020-09-15 2020-09-15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55A KR20220036155A (ko) 2022-03-22
KR102382604B1 true KR102382604B1 (ko) 2022-04-05

Family

ID=8099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06A KR102382604B1 (ko) 2020-09-15 2020-09-15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40B1 (ko) 2011-07-21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KR101394336B1 (ko) 2012-10-30 2014-05-13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20B1 (ko) * 2013-11-22 2015-10-22 주식회사 광명전기 전동기 제어반
KR20170024938A (ko) * 2015-08-26 2017-03-08 김진열 개선된 구조의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40B1 (ko) 2011-07-21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KR101394336B1 (ko) 2012-10-30 2014-05-13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55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9458B (zh) 背板或中板通信系统和电连接器
CN108336527B (zh) 插头连接器
US6875060B2 (en) High density patching system
ES2220784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y elemento de casete de una instalacion de proceso de señales de datos, asi como instalacion de proceso de señales de datos.
US4634209A (en) Modular plug connector
MX2014010182A (es) Ensamble de cables para interconectar modulos de tarjet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GB2148056A (en) Expandable modular sequence control system
KR20150123861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및 그에 대한 전기 커넥터
EP0421960A1 (en) Function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BRPI0613620A2 (pt) conector de encaixe de deslocamento de isolamento e dispositivo para tecnologia de telecomunicações e de dados
US10290850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 bus bar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battery packs
EP1779475A1 (en) Long frame high density patching system
CA2368432C (en) Dsx module with removable jack
US11909136B2 (en) Connector with current-shunt structure, shunt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with the same
CN112002866B (zh) 电池布线模块
KR102382604B1 (ko)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ES2307853T3 (es) Conectores de una instalacion.
CN108235637B (zh) 一种用于通信设备的垂直正交系统及通信设备
US5816863A (en) Modular multiple terminal block for cable connections to a main distributing frame for telecommunication and data lines
KR102498591B1 (ko)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SE416362B (sv) Korskopplingsanordning
KR102629371B1 (ko) 단자대 및 단자대 세트
ES2546443T3 (es) Conjunto terminal para conjunto de distribución para instalación eléctrica
CN218216020U (zh) 汇流排及直插式断路器电源系统
CN220692540U (zh) 接线面板及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