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91B1 -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91B1
KR102498591B1 KR1020200153257A KR20200153257A KR102498591B1 KR 102498591 B1 KR102498591 B1 KR 102498591B1 KR 1020200153257 A KR1020200153257 A KR 1020200153257A KR 20200153257 A KR20200153257 A KR 20200153257A KR 102498591 B1 KR102498591 B1 KR 10249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piece
terminal
conn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021A (ko
Inventor
남기태
Original Assignee
남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태 filed Critical 남기태
Priority to KR102020015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전면에 마련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1차 공급 커넥터, 한쌍의 2차 공급 커넥터 및 한쌍의 3차 공급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모듈 커버와 제2 모듈 커버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공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의 케이스에 수납 유니트가 접속되고, 상기 수납 유니트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MCC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Multi-Connector Module Structure and MCC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가 마련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는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해주는 기능과 각 전동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MCC는 복수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마련되고, 수납 유니트 조립체에는 1차 공급 커넥터, 2차 공급 커넥터, 3차 공급 커넥터가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1차 공급 커넥터는 전원 공급을 위해 MCC의 후방에 마련된 부스바와 접속되는 커넥터이고, 2차 공급 커넥터는 전원 인출을 위한 커넥터이며, 3차 공급 커넥터는 신호 전달을 위해 마련된 커넥터일 수 있다.
수납 유니트에는 1차, 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납 유니트를 MCC 본체로부터 빼내면 1차, 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 유니트에 마련된 1차 내지 3차 접속 커넥터는 수납 유니트의 전면 및 측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MCC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1.2,3차 공급 커넥터도 마찬가지로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수납 유니트는 1차 내지 3차 커넥터의 설치 위치가 수납 유니트의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더욱이 수납 유니트의 삽입 및 인출시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일방향이 아닌 복수의 방향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만큼 접속시 어느 한 방향의 접속 상태가 틀어지면 정확한 접속을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납 유니트의 전방으로만 커넥터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마련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접속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1차 공급 커넥터, 한쌍의 2차 공급 커넥터 및 한쌍의 3차 공급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모듈 커버와 제2 모듈 커버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공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의 결합되도록 MCC 본체의 안쪽에 마련되는 MCC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를 이루는 케이스에 수납 유니트가 인출 가능하게 접속되는 MCC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공급을 위한 1차, 2차, 3차 공급 커넥터를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집결시켜서 모듈화한 멀티 커넥터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수납 유니트의 접속시 일방향으로만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커넥터 모듈의 일면에 가이드 핀을 형성하고, 수납 유니트의 접속시 가이드핀이 수납 유니트의 제1 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유니트의 접속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유니트의 설치 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수납 유니트의 폭 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MCC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커넥터 모듈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정렬 부재를 구비하여 복수의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전선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복잡한 결선 구조를 하나의 모듈로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멀티 커넥터 모듈의 내부 구조를 수직 접속 배열 또는 수평 접속 배열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을 통해 1차 공급 커넥터, 2차 공급 커넥터 및 3차 공급 커넥터를 접속시키고, 정확한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케이스의 전후방 방향으로 접속되는 백타입 접속(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멀티 커넥터 모듈의 후면 방향으로 접속 배열되는 구조) 및 케이스의 측면으로 접속되는 사이드 타입 접속(2차 및 3차 접속 커넥터가 멀티 커넥터 모듈의 측면 방향으로 접속 배열되는 구조)이 가능하여 MCC의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하여 케이블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마련되는 3차 공급 커넥터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의 3차 접속 커넥터간의 접속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 케이스를 이루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3차 공급 커넥터용 제1 접속 부재 및 제2 접속 부재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수납 유니트의 접속 거리에 따라 복수의 끼움홈중 어느 한쪽에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접속 부재 또는 제2 접속 부재에 명판 삽입홈을 형성하고, 명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각각의 제1 접속 부재 및 제2 접속 부재의 모델명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의 케이스를 분리하여 제1 케이스 내부의 제1 모듈 커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의 케이스를 분리하여 제2 케이스 내부의 제2 모듈 커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모듈 커버를 분리하고 제2 모듈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모듈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모듈 커버에 장착되는 2차 접속 부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2차 접속 부스바에 1차 접속 부스바가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차 공급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3차 커넥터 모듈의 단위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3차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단자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3차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3차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케이블 조립체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블 조립체 구조가 접속 케이블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의 제2 모듈 커버가 사이드 타입으로 터미널 블록과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수납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수납 유니트의 커넥터 접속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3차 공급 커넥터의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수납 유니트와의 접속 거리를 맞추기 위해 케이스를 이루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3차 공급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에 따라 MCC 프레임에 3차 공급 커넥터의 제1 접속 부재가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접속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차 접속 부스바 및 2차 접속 부스바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에 마련되는 1차 공급 커넥터(120), 한쌍의 2차 공급 커넥터(130)(140), 한쌍의 3차 공급 커넥터(150)(16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제1 케이스(110a)와 제2 케이스(110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차 공급 커넥터(12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전력 공급 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1차 공급 커넥터(120)는 부스바와 접속되어서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2차 공급 커넥터(130)(140)는 1차 공급 커넥터(120)로부터 공급된 외부 전원을 분기시켜서 각 전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3차 공급 커넥터(150)(160)를 통해 별도의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수납 유니트(200) 또는 MCC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표시등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3차 공급 커넥터(150)(160)는 각각 각종 램프, 제어기 등 여러 가지 부품에 접속되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접속부재 (152)(162)와, 제2 접속 부재(154)(16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핀(112)(114)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차단기 등 여러 가지 전기 관련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 유니트(200)와 접속되도록 한 조를 이루는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및 3차 접속구(1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안쪽에는 커넥터 모듈(300)이 갖추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의 케이스를 분리하고 제1 케이스(110a) 내부의 제1 모듈 커버(302)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제2 케이스(110b) 내부의 제2 모듈 커버(304)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커넥터 모듈(300)은 제1 모듈 커버(302)와 제2 모듈 커버(30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모듈 커버(302)와 제2 모듈 커버(304)는 서로 분해 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모듈(300)에는 복수의 1차 공급 커넥터(120)와 2차 공급 커넥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0)의 일측 즉, 제1 모듈 커버(302)와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2차 공급 커넥터(130)와 마찬가지의 2차 공급 커넥터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300)을 이루는 제2 모듈 커버(304)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2차 접속 부스바(31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제2 모듈 커버(304)에는 1차 공급 커넥터(120), 2차 공급 커넥터(130)(140)의 접속편이 형성되고, 이러한 접속편은 도 2에 도시된 1차 접속구(170) 및 2차 접속구(180)를 통해 각각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와 2차 접속 커넥터(22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2차 접속 부스바(310)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지지대(312), 지지대(312)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 단자편(314)으로 이루어지고. 제1 단자편(314)의 한쪽에 형성되는 엔드부(314a)는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2차 접속 부스바(310)가 제2 모듈 커버(304)에 도면상 세로 방향으로 3개 또는 4개 등의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2차 접속 부스바(310)의 저면에는 지지대(312)를 사이에 두고 1차 접속 부스바(306)가 대면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차 접속 부스바(306)는 소정의 길이로 복수개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즉, 1차 접속 부스바(306)는 2차 접속 부스바(310)와 지지대(31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므로, 동일한 갯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1차 접속 부스바(306)에는 절곡된 구조의 접속 도체(307)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4를 참조하면, 1차 접속 부스바(306)와 2차 접속 부스바(310)는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단면상 I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1차 접속 부스바(306)와 2차 접속 부스바(310)를 단면상 직사각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양 외측면만 접촉되어 접촉 면적이 적어서 전기적 저항이 커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1차 접속 부스바(306)와 2차 접속 부스바(310)는 I자형으로 형성되므로, 양 외측면(306a,310a) 및 내측면(306b,310b)에 접속 면적이 이루어져서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전기적 저항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8,19를 참조하면, 접속 도체(307)에는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가 접속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속 도체(307)의 절곡된 단부(307a)는 접속구(308)의 중앙에 삽입되고, 접속구(308)에는 1차 접속 커넥터(201)가 삽입되어서 접속 도체(307)의 단부(307a)에 접속되도록 하는 삽입공(308a)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모듈 커버(302)의 배면에는 복수의 1차 공급 커넥터(120)가 마련되고, 1차 공급 커넥터(120)의 일측에는 도 9에 도시된 2차 접속 부스바(3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단자편(316)이 돌출되게 삽입되는 삽입공(30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2차 접속 부스바(310)의 배면에는 절연재의 지지대(312)를 사이에 두고 1차 접속 부스바(306)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3차 공급 커넥터(150)(16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3차 공급 커넥터(150)(160)는 제1 접속 부재(400)와 제2 접속 부재(50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접속 부재(400)와 제2 접속 부재(500)는 각각 복수의 단위 접속 블록(410)(5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속 부재(400)와 제2 접속 부재(500)는 서로 간에 케이블 조립체(600)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3차 공급 커넥터(150)(160)를 구성하는 제1 접속 부재(400)와 제2 접속 부재(500)의 단위 접속 블록(410)(5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위 접속 블록(410)(510)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중에서 설명의 편의상 한쪽의 단위 접속 블록(4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위 접속 블록(410)은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411), 하우징(41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 부재(412), 하우징(411)과 지지 부재(41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413), 지지 부재(4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414), 제2 공간부(414)의 일측이면서 하우징(411)의 일측에서 제2 공간부(414)의 안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지지턱(4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조립체(600)는 케이블(6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접속 단자 부재(620)와 제2 접속 단자 부재(6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접속 단자 부재(620)는 단자편(621), 단자편(621)의 일측에 케이블(610)과 연결되는 압착 단자편(622), 단자편(621)의 타측에 형성되는 확대편(623), 확대편(623)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엔드편(6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자편(621)과 압착 단자편(622)의 사이에는 제1 방열편(625)과 제2 방열편(626)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편(621)은 면적이 확대된 확대편(6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통전 및 전기적 저항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방열편(625)과 제2 방열편(626)은 서로 간격을 두고 단자편(621)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방열편(625)과 제2 방열편(626)은 전기적 저항열을 쉽게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편(625)은 제2 방열편(626)에 비해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면적 차이로 인해 전기적 저항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만일, 제1 방열편(625)과 제2 방열편(626)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방열편(625)에 저항열이 집중되어서 열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방열편(625)은 제2 방열편(626)에 비해 케이블(610)과 접속되는 압착 단자편(622)과 가깝기 때문에, 저항열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열편(625)은 제2 방열편(626)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저항열의 분산이 양호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제2 접속 단자 부재(63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접속 단자 부재(630)는 단자편(631), 단자편(63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엔드편(632), 단자부(6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케이블(610)과 접속되는 압착 단자편(6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 부재(630)의 단자편(631)은 제1 접속 단자 부재(630)에 비해 도면상 횡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면적이 작아서 저항열이 많이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편(634)은 도면상 단자편(631)의 상하 양측으로 1열로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엔드편(632)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635)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엔드편(632)에 접속되는 전기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결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6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케이블(610)의 양측에 각각 제1 접속 단자 부재(620)와 제2 접속 단자 부재(630)가 마련된 구조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블 조립체(700)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케이블(710)의 일측에는 제1 접속 단자 부재(720)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제2 접속 단자 부재(73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접속 단자 부재(730)는 계단식 구조의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단식 구조의 제2 접속 단자 부재(730)에는 접속 케이블(750)의 압착 단자(752)가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754)에 의해 체결되어 접속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300)에서 제2 접속 부스바(310)에 대한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케이스(110)의 측면으로 터미널 블록(800)과 접속되게 할 수 있다. 2차 접속 부스바(310)의 제1 단자편(314)(도 5 또는 도 8 참조)의 일단에 접속 케이블(810)이 접속되고, 이러한 접속 케이블(810)을 통해 접속 케이블(810)의 단부에 마련된 압착 단자(820)를 터미널 블록(800)에 체결 부재(830)를 통해 체결되어 접속되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멀티 커넥터 모듈에 수납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MCC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MCC 본체(10) 내부로 수납 유니트(200)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전기적 접속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 커넥터 모듈(100)에는 2대의 수납 유니트(200)가 접속될 수 있고, 수납 유니트(200)의 접속시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일면에는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삽입되는 가이드핀(112)(114)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200)는 MCC 본체(10)안으로 삽입시, 가이드핀(112)(11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수납 유니트(2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일측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멀티 커넥터 모듈(100)에 접속될 수 있다.
가이드핀(112)(114)은 수납 유니트(200)의 불안정한 접속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적 맥동으로 인한 전력 공급의 불안정을 방지하고, 부정확한 접속 상태시 전기적 저항이 커지고, 저항이 커지면 접속 부분에서 발열이 되어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수납 유니트(200)는 편심되지 않고 정확한 접속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저항이 커짐에 따른 발열 현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 유니트(200)의 제2 면(204)에는 수납 유니트(200)안에 구비되는 차단기를 조작할 수 있는 차단기 핸들(205), 수납 유니트(200)를 삽입 및 인출시키는 손잡이(206)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유니트(200)의 수납 방향 전면에는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3차 접속 커넥터(230)가 마련되고,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일면에는 각각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3차 접속구(190)가 1셋트로 마련되어 있다.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맞게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3차 접속구(190)가 2 셋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3차 접속 커넥터(230)는 각각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및 3차 접속구(190)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1차 접속구(170), 2차 접속구(180) 및 3차 접속구(190)는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및 3차 접속 커넥터(230)가 각각 삽입되므로, 삽입시 접속구의 안쪽에 마련된 접속 단자와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가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전력의 외부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1차 접속 커넥터(210), 2차 접속 커넥터(220) 및 3차 접속 커넥터(230)의 접속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따라서 흔들림 없이 접속되므로 정확한 접속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타면(수납 유니트(200)가 접속되는 반대면)에는 1차 공급 커넥터(120), 한쌍의 2차 공급 커넥터(130)(140), 한쌍의 3차 공급 커넥터(150)(160)가 마련되어 있고, 1차 접속구(170)에 접속된 수납 유니트(200)의 1차 접속 커넥터(210)는 1차 공급 커넥터(12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2차 공급 커넥터(130)(140)는 각각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2차 접속 커넥터(220)가 2차 접속구(180)를 통해 삽입되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3차 공급 커넥터(150)(160)는 각각 2대의 수납 유니트(200)에 구비된 3차 접속 커넥터(230)가 2차 접속구(180)를 통해 삽입되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200)의 측면에는 커넥터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 유니트(200)의 폭 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만일,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1차 공급 커넥터(120), 2차 공급 커넥터(130)(140) 및 3차 공급 커넥터(150)(160)에 문제가 발생하면, 멀티 커넥터 모듈(100)만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다른 커넥터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멀티 커넥터 모듈(100)은 2개의 플레이트로 조립한 구조이므로, 2개의 플레이트를 분리하고, 그 내부의 상태를 점검하여 수리 및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정렬 부재(116)가 멀티 커넥터 모듈(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전선 정렬 부재(116)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링형 지지편이 형성되고, 링형 지지편은 2개의 지지편이 곡선형으로 서로 탄성적으로 접속되게 한 구조로서, 복수의 링형 지지편에 의해 터널과 같은 삽입 공간이 형성된 구조이고, 삽입 공간은 확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정렬 부재(116)의 삽입 공간을 통해 복수의 전선 케이블(E)을 삽입함으로써 전선 케이블(E)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선 케이블(E)이 엉켜서 수리가 어렵거나 또는 전선 케이블의 접속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정렬 부재(116)안으로 복수의 전선 케이블을 삽입하여 정돈할 수 있으므로, 멀티 커넥터 모듈(100)안의 전선 케이블에 의한 엉킴 및 수리 작업시 복잡함을 해소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3차 공급 커넥터에 대한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제1 접속 부재(152)(162)를 분리한 상태에서 접속이 이루어지는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제1 접속 부재(152)(162)가 케이블로 접속된 상태로 외부에 마련되도록 하는 제1 통과공(111a)과 제2 통과공(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로부터 별도 분리된 제1 접속 부재(152)와 제2 접속 부재(154)는 MCC 프레임(1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수납 유니트와의 접속 거리를 맞추기 위해 케이스를 이루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3차 공급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3 공급 커넥터(150)(160)를 이루는 제1 접속 부재(152)(162)(400)와 제2 접속 부재(154))164)(500)를 이루는 단위 접속 블록(410)(510)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 부재(152)(162)(400)에 형성되는 끼움홈은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끼움홈(402)과 제2 끼움홈(4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 부재(154))164)(500)에 형성되는 끼움홈은 제1 접속 부재(152)(162)(400)와 마찬가지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끼움홈(502)과 제2 끼움홈(50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MCC 본체(10)에 구비되는 수납 유니트(200)와 케이스(110)간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 케이스(110)를 이루는 제1 케이스(110a)와 제2 케이스(110b)의 사이에 조립되는 3차 공급 커넥터(150)(16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납 유니트(200)의 3차 접속 커넥터(230)와 대면하는 케이스(110)의 제1 케이스(110a)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3차 공급 커넥터(150)(160)의 제2 접속 부재(500)를 이루는 단위 접속 블록(510)에 형성된 끼움홈인 제1 끼움홈(502)과 제2 끼움홈(504)중 어느 한쪽의 끼움홈에 맞추어서 조립하고, 제1 접속 부재(400)의 단위 접속 블록(410)에 형성된 제1 끼움홈(402)과 제2 끼움홈(404)중 어느 한쪽의 끼움홈에 제2 케이스(110b)를 끼워서 조립함으로써, 수납 유니트(200)의 3차 접속 커넥터(230)와 3차 공급 커넥터(150)(160)의 접속 거리를 맞출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에 따라 MCC 프레임에 3차 공급 커넥터의 제1 접속 부재가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3차 공급 커넥터(150)(160)을 구성하는 제1 접속 부재(152)(162)(400)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빼낸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일때, MCC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MCC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14)을 결합한 구조이다.
이럼으로써, 제1 접속 부재(152)(162)(400)는 MCC 프레임(12)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접속 부재(154)(164)(500)도 마찬가지로 고정 브래킷(14)을 통해 MCC 프레임(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접속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접속 부재(400)에는 명판 삽입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명판 삽입홈(420)에는 명판(430)을 분리 가능하게 끼울 수 있다. 명판(430)에는 3차 공급 커넥터(150)(160)의 모델명 등을 기재할 수 있다. 또는 명판(430)의 다른 예로서, 별도의 모델명이 기재된 표시부재를 명판 삽입홈(420)에 삽입하고, 투명체로 이루어진 덮개 부재를 끼울 수 있다.
이러한 명판 삽입홈(420) 및 명판(430)을 삽입하는 구조는 제2 접속 부재(500)에도 동일하게 마련할 수 있다.
10... MCC 본체 12... MCC 프레임
14... 고정 브래킷
100... 멀티 커넥터 모듈 110... 케이스
110a... 제1 케이스 110b ... 제2 케이스
111a... 제1 통과공 111b... 제2 통과공
112,114... 가이드핀 116... 전선 정렬부재
120... 1차 공급 커넥터
130,140... 2차 공급 커넥터 150,160... 3차 공급 커넥터
152,162... 제1 접속 부재 154,164... 제2 접속 부재
170... 1차 접속구 180... 2차 접속구
190... 3차 접속구 200... 수납 유니트
202... 제1 면 202a... 삽입공
204... 제2 면 205... 차단기 핸들
206... 손잡이 210... 1차 접속 커넥터
220... 2차 접속 커넥터 230... 3차 접속 커넥터
300... 커넥터 모듈 302... 제1 모듈 커버
304... 제2 모듈 커버 306... 1차 접속 부스바
306a,310a... 외측면 306b,310b... 내측면
307... 접속 도체 307a... 단부
308... 접속구 308a... 삽입공
309... 삽입공 310... 2차 접속 부스바
312... 지지대 314... 제1 단자편
314a... 엔드부 316... 제2 단자편
400... 제1 접속 부재 402,502... 제1 끼움홈
404,504...제2 끼움홈 410,510... 단위 접속 블록
411... 하우징 412... 지지 부재
413... 제1 공간부 414... 제2 공간부
415... 지지턱 420... 명판 삽입홈
500... 제2 접속 부재 600... 케이블 조립체
610... 케이블 620... 제1 접속 단자 부재
621... 단자편 622... 압착 단자편
623... 확대편 624... 엔드편
625... 제1 방열편 626... 제2 방열편
630... 제2 접속 단자 부재 631... 단자편
632... 엔드편 633... 압착 단자편
634... 방열편 635... 체결 부재
700... 케이블 조립체 710... 케이블
720... 제1 접속 단자 부재 730... 제2 접속 단자 부재
750... 접속 케이블 752... 압착 단자
754... 체결 부재 800... 터미널 블록
810... 접속 케이블 820... 압착 단자
830... 체결 부재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1차 공급 커넥터;
    상기 1차 공급 커넥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2차 공급 커넥터;
    상기 2차 공급 커넥터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3차 공급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모듈 커버와 제2 모듈 커버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커버에는 복수의 상기 1차 공급 커넥터와 상기 2차 공급 커넥터가 구비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커버와 이격된 위치인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2차 공급 커넥터와 마찬가지의 다른 2차 공급 커넥터가 구비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커버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2차 접속 부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 커버에는 상기 1차 공급 커넥터, 상기 2차 공급 커넥터의 접속편이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접속 부스바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 단자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자편의 한쪽에 형성되는 엔드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2차 접속 부스바의 저면에는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1차 접속 부스바가 대면되게 구비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커버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2차 접속 부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접속 부스바의 저면에는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1차 접속 부스바가 대면되게 구비되며,
    상기 1차 접속 부스바에는 절곡된 구조의 접속 도체가 결합되고,
    상기 접속 도체의 절곡된 단부는 접속구의 중앙에 삽입되며,
    상기 접속구에는 1차 접속 커넥터가 삽입되어서 상기 접속 도체의 단부에 접속되도록 하는 삽입공이 복수로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공급 커넥터는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는 각각 복수의 단위 접속 블록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는 서로 간에 케이블 조립체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접속 블록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접속 블록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과 지지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 상기 제2 공간부의 일측이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제2 공간부의 안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케이블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접속 단자 부재와 제2 접속 단자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단자 부재는,
    단자편, 상기 단자편의 일측에 케이블과 연결되는 압착 단자편, 상기 단자편의 타측에 형성되는 확대편, 상기 확대편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엔드편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편과 상기 압착 단자편의 사이에는 전기적 저항열을 발산시킬 수 있는 제1 방열편과 제2 방열편이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편은 안정적인 통전 및 전기적 저항열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단자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편과 상기 제2 방열편은 서로 간격을 두고 단자편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편은 전기적 저항열이 분산되도록 상기 제2 방열편에 비해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케이블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접속 단자 부재와 제2 접속 단자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 단자 부재는,
    단자편, 상기 단자편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엔드편, 상기 단자편의 일측에 형성되고 케이블과 접속되는 압착 단자편, 상기 단자편에 형성되고, 저항열을 발산시키는 방열편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접속 단자 부재, 상기 제1 접속 단자 부재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2 접속 단자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 단자 부재는 계단식 구조의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계단식 구조의 상기 제2 접속 단자 부재에는 접속 케이블의 압착 단자가 접속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2차 접속 부스바의 제1 단자편의 일단에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접속 케이블은 케이스의 외부 측면으로 마련되는 터미널 블록에 접속되어서 사이드 타입 접속 구조를 이루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3차 공급 커넥터는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의 결합시 상기 복수의 끼움홈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여 조립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공급 커넥터는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되어서 접속되는 사이드 타입 구조를 이루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공급 커넥터는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명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명판 삽입홈에는 명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커버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2차 접속 부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접속 부스바의 저면에는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1차 접속 부스바가 대면되게 구비되며,
    상기 1차 접속 부스바와 2차 접속 부스바는 전기적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서 전기적 저항을 줄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면상 I자형으로 형성되는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20. 제1 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가 결합되도록 MCC 본체의 안쪽에 마련되는 MCC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를 이루는 케이스에 수납 유니트가 인출 가능하게 접속되는 MCC.
KR1020200153257A 2020-11-17 2020-11-17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249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57A KR102498591B1 (ko) 2020-11-17 2020-11-17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257A KR102498591B1 (ko) 2020-11-17 2020-11-17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21A KR20220067021A (ko) 2022-05-24
KR102498591B1 true KR102498591B1 (ko) 2023-02-10

Family

ID=8180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257A KR102498591B1 (ko) 2020-11-17 2020-11-17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62B1 (ko) 2017-11-07 2018-02-02 (주)은성엔지니어링 일체형 아크 프리 모듈이 구비된 모터컨트롤센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8805C1 (de) * 1994-10-31 1996-03-07 Weidmueller Interface Feldbusanschlußmodul
KR101150330B1 (ko) * 2010-08-30 2012-06-0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257240B1 (ko) * 2011-07-21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KR101394336B1 (ko) * 2012-10-30 2014-05-13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KR101561620B1 (ko) * 2013-11-22 2015-10-22 주식회사 광명전기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62B1 (ko) 2017-11-07 2018-02-02 (주)은성엔지니어링 일체형 아크 프리 모듈이 구비된 모터컨트롤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21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777B2 (en) Partition wiring system
US85740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741817B2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US11374289B2 (en) Battery wiring module
US10965073B1 (en) Multidirectional socket structure
US5064380A (en) Electrical tap and splice connector
CN106684629B (zh) 一种模块化的电源分配单元
PL189340B1 (pl) Łącznik elektryczny, zwłaszcza do uzwojeń stojanasilnika elektrycznego
KR102498591B1 (ko)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N212908258U (zh) 电连接器及控制器组件
US11217971B2 (en) AC power adapter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employing same
TW201916431A (zh) 電池連接模組
SU1438634A3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 колодка
CN217544807U (zh) 电芯模组及具有其的电池包
TWI767564B (zh) 匯流排連接器
JPH01102878A (ja) 雄プラグコネクタ及び雌ソケットコネクタ
US20030082957A1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tab-receiving insulated spring sleeve and a dual contact with pairs of spaced apart contact members and tails
CN211182742U (zh) 一种汇流排的拼接组件
CN111384614B (zh) 端子组件和电源连接器
KR102382604B1 (ko)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CN109713534B (zh) 一种插座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CN216794038U (zh) 电源连接器及电源
CN218463600U (zh) 车辆配电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216903385U (zh) 一种电源分配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