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336B1 -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 Google Patents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336B1
KR101394336B1 KR1020120120840A KR20120120840A KR101394336B1 KR 101394336 B1 KR101394336 B1 KR 101394336B1 KR 1020120120840 A KR1020120120840 A KR 1020120120840A KR 20120120840 A KR20120120840 A KR 20120120840A KR 101394336 B1 KR101394336 B1 KR 10139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iary
power
primary
distribution module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836A (ko
Inventor
심찬식
Original Assignee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3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차측 및 2차측 커넥터의 전원 노출에 따른 누전이나 감전사고 또는 손가락 끼임사고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아울러 3차측 커넥터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상기 메인부스바들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 후 2차측 및 3차측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MCC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부스바들의 1차측 전원을 상기 MCC유닛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상기 MCC유닛들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원 및 3차측 신호를 전달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MCC유닛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다수 개의 1차측 내지 3차측 암수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3차측 암커넥터의 상기 3차측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내측 공간에는 그 공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하면을 연결 및 보강하는 리브가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3차측 수커넥터에는 상기 리브와 대응하여 상기 3차측 암커넥터에 접촉 간섭없이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전원분배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Power distribution module for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원분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차측 및 2차측의 전원 노출에 따른 누전이나 감전사고 또는 손가락 끼임사고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며, 아울러 3차측 커넥터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용 전원분배모듈에 대한 것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MCC)는 공장, 빌딩, 병원, 공동주택 등 각종 산업시설에 비치되어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 등으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터 컨트롤 센터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6713호에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자동 차단기, 퓨즈, 타이머, ECO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등과 같은 각종 전동기 제어용 부품을 장착한 다수 개의 MCC유닛이 그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다층 형태의 캐비닛에 서랍식으로 각각 수납되어 MCC유닛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및 2차측 커넥터가 동시에 메인부스바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777호에 전원분배모듈을 통해 메인부스바와 MCC유닛 사이가 절연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 시 등에 작업자가 메인부스바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인 구조가 본 발명자에 의해 창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는 모두 높은 전류가 흐르는 1차측 부스바가 여전히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부품 교체 및 청소 등의 작업 시 자칫 누전이나 감전사고 발생할 수 있는 데다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의 단자삽입구멍이 너무 넓어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고, 그에 따른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3차측 커넥터의 암수 결합부가 핀 접속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암커넥터의 하우징이 직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상 사용 과정에서 과열 등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면서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6713호(2007.11.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777호(2010.06.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540호(2004.01.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773호(2004.09.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1차측 부스바에 의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및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 중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아울러 3차측 커넥터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여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분배모듈을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부스바의 전원 노출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면서 1차측 및 2차측 커넥터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분배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측 커넥터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분배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캐비닛의 후방에 내장되는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서랍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부스바들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 후 2차측 및 3차측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MCC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부스바들의 1차측 전원을 상기 MCC유닛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상기 MCC유닛들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원 및 3차측 신호를 전달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MCC유닛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다수 개의 1차측 내지 3차측 암수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3차측 암커넥터의 상기 3차측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내측 공간에는 그 공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하면을 연결 및 보강하는 리브가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3차측 수커넥터에는 상기 리브와 대응하여 상기 3차측 암커넥터에 접촉 간섭없이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전원분배모듈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3차측 커넥터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되므로 3차측 커넥터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에 전원의 노출 부분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더 장착함으로써 그 노출로 인한 감전이나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분배기는 상기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커넥터들이 구비된 절연케이스와, 상기 절연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메인커넥터들에 의해 상기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전원을 양방향으로 출력하는 1차측 부스바들과, 상기 절연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MCC유닛들의 2차측 전원을 출력하는 2차측 부스바들 및 상기 절연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들과 상기 MCC유닛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차측 및 2차측 암수커넥터들이 결합되는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3차측 암커넥터의 내측면 중 그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하면을 리브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므로 구조적 강도가 강화되어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3차측 수커넥터와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의 전원 노출 부분을 보호커버가 탄력적으로 커버하므로 유지보수나 부품 교체 및 청소 등의 작업 시 누전이나 감전사고 혹은 손가락이 끼여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 중 위험 요인의 제거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이 적용된 모터 컨트롤 센터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이 적용된 모터 컨트롤 센터의 요부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1차측 및 2차측 암수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3차측 암커넥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 중 3차측 암수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더불어 이하의 설명에서 캐비닛에서 MCC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전방의 반대쪽 방향 즉, MCC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은 메인부스바(11)들의 1차측 전원을 MCC유닛(20)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아울러 MCC유닛(20)들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원 및 3차측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캐비닛(10)의 후방에 내장되는 각 상의 메인부스바(11)와, 캐비닛(10)의 전방에 서랍식으로 설치되고 메인부스바(11)들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 후 2차측 및 3차측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MCC유닛(20)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캐비닛(10)은 다수의 프레임 및 플레이트를 결합한 박스 형태의 함체로 이루어지며, 후방에는 외부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는 각 상의 메인부스바(11)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은 여러 개의 MCC유닛(20)을 장착 및 수납하는 공간이 다층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또한, MCC유닛(20)은 바닥판 및 사방에 측면판을 갖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캐비닛(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메인부스바(11)들을 통해 1차측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한 후, 2차측으로 전원을 출력 및 3차측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등 통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MCC유닛(20)의 전면에는 전동기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잠금장치를 개폐하거나 차단기를 단속하는 레버, 캐비닛에 넣거나 빼내는 조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에는 전동기 회로의 개폐 및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개폐기, 스위칭을 위한 마그넷, 전동기 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차단기 및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 등 각종 전동기 제어 회로 부품이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캐비닛(10)에 넣거나 캐비닛으로부터 빼내는 조작이 보다 신속하고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또는 롤러가 캐비닛(10)과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분배기(30)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1차측 내지 3차측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다.
분배기(30)는 메인부스바(11)들과 MCC유닛(20)들 사이에 위치되며, 메인부스바(11)들 및 MCC유닛(20)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메인부스바(11)들로부터 공급되는 1차측 전원을 양방향으로 분배하여 MCC유닛(20)들로 출력하고, 또 MCC유닛(20)들로부터 출력되는 2차측 전원을 전동기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배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R,S,T,N)의 메인부스바(11)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커넥터(32)들이 한쪽 면에 메인부스바(11)들과 각각 동일선 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이와 반대쪽 면에는 1차측 부스바(36) 및 2차측 부스바(37)들과 MCC유닛(20)들 간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및 연결하기 위한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이 결합되는 잭(38)이 형성된 절연케이스(31)와, 이 절연케이스(31)에 내장되고 메인커넥터(32)들에 의해 각 상의 메인부스바(11)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전원을 양방향으로 출력하는 1차측 부스바(36)들 및 MCC유닛(20)들의 2차측 전원을 출력하는 2차측 부스바(37)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절연케이스(31)의 내부에는 메인커넥터(32)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차측 부스바(36)들이 상하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고, MCC유닛(20)들에서 변환된 2차측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2차측 부스바(37)들이 1차측 부스바(36)들과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하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36)(37)들의 접속 단부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 원활하고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케이스(31)의 상부에는 MCC유닛(20)들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3차측 암커넥터(6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분배기(30)의 절연케이스(31)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본체와 커버로 구성하여 상호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절연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메인부스바(11)들과 MCC유닛(20)들이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MCC유닛(20)에 내장된 여러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 시 등에 작업자가 높은 전류가 흐르는 메인부스바(11)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 및 작업 시 심리적 불안감 등을 해소할 수 있다.
1차측 내지 3차측 암수커넥터(40)(45)(50)(55)(60)(65)들은 MCC유닛(20)들과 분배기(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1차측 및 2차측 암수커넥터(40)(45)(50)(55)들은 분배기(30)의 잭(38)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1차측 부스바(36) 및 2차측 부스바(37)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1차측 내지 3차측 암커넥터(40)(50)(60)들은 분배기(30)에 결합 고정되고, 1차측 내지 3차측 수커넥터(45)(55)(65)들은 MCC유닛(20)들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한쪽 측면에 단자삽입구멍(41a)이 형성된 하우징(41)의 내부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자(44a/44b)들이 그 각각의 중심부에 형성된 장착홀(45a/45b)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마주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1)의 외측 둘레에는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잭(38)에 용이하게 결합 및 서로 대응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크(42)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들(44a/44b)의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36)(37)와 결합되는 쪽은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하우징(4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단자들(44a/44b)의 양측은 외향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협소하게 즉, 단자들의 간격이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36)(37)의 접속단부 및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의 단자(49) 폭 보다 약간 좁게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장착홀(45a/45b) 내부에는 단자들(44a/44b)이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36)(37) 또는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와 결합 시 외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스프링(47)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또한,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와 접속되는 쪽 단자들(44a/44b)의 하우징(41) 내측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가 삽입될 때 단자들(44a/44b) 간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홈(46a/46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하우징(41)의 내측면에는 스토퍼(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은 MCC유닛(20)과 접촉되는 부분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의 단자들 및 MCC유닛(20)들에 내장된 여러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49)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단자(49)의 단부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과 전기적인 접속 및 분리가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을 분배기(30)의 잭(38)에 끼워서 고정할 때 단자들(44a/44b)의 간격이 1차측 부스바(36) 또는 2차측 부스바(37)와 접촉 및 스프링(47)의 받침점 기능에 의해 약간 넓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한쪽의 단자(44a)가 외향으로 이동하면 단자들의 장착홀(45a/45b)에 삽입된 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다른 쪽의 단자(44b)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단자들(44a/44b)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1차측 부스바(36) 또는 2차측 부스바(37)의 접속단부와 견고한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의 단자(49)를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과 결합할 때에도 단자들(44a/44b)의 간격은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의 단자(49)와 접촉 및 스프링(47)의 받침점 기능에 의해 약간 넓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한쪽의 단자(44a)가 외향으로 이동하면 단자들의 장착홀(45a/45b)에 삽입된 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다른 쪽의 단자(44b)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단자들(44a/44b)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접속 및 분리가 쉽고 견고한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의 스토퍼(43) 및 단자들의 스토퍼홈(46a/46b)은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이 삽입될 때 일정범위 이상으로 단자들 간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그들 상호 간의 접속 및 분리가 잦더라도 불안전 접속이나 접속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자삽입구멍(41a)의 전원 노출로 인한 감전이나 그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보호커버(7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보호커버(70)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과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의 개구 부분을 폐쇄하고,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과 1차측 및 2차측 수커넥터(45)(55)들을 삽입 결합 시에는 탄력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면서 벌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절연성 재질로 마치 'H'자 형으로 절개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커버(70)에는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의 상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8)와 대응하여 상호 결합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71)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에 탈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측 암커넥터(60)들의 3차측 수커넥터(36)들이 각각 삽입되는 내측 공간에는 그 공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하면을 연결 및 보강하여 벽면을 이루는 리브(61)가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3차측 수커넥터(36)들에는 3차측 암커넥터(60)들과 접촉 간섭없이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61)에 의해 3차측 암커넥터(60)의 구조적 강도가 한층 강화되어 열에 의한 벌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3차측 수커넥터(36)와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범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2차측 암커넥터(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분배모듈은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40)(50)의 전원 노출 및 단자삽입구멍(41a)을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유지보수나 부품 교체 및 청소 등의 작업 시 누전이나 감전 혹은 손가락이 끼이는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차측 암커넥터(60)의 강도가 보강되어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3차측 수커넥터(65)와의 잦은 연결 및 분리에도 전기적인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각별하고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11: 메인부스바
20: MCC유닛 30: 분배기
31: 절연케이스 32: 메인커넥터
36: 1차측 부스바 37: 2차측 부스바
38: 잭
40: 1차측 암커넥터 45: 1차측 수커넥터
50: 2차측 암커넥터 55: 2차측 수커넥터
60: 3차측 암커넥터 65: 3차측 수커넥터
61: 리브 66: 가이드홈
70: 보호커버

Claims (3)

  1. 캐비닛의 후방에 내장되는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서랍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부스바들로부터 1차측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 후 2차측 및 3차측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MCC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부스바들의 1차측 전원을 상기 MCC유닛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상기 MCC유닛들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원 및 3차측 신호를 전달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MCC유닛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다수 개의 1차측 내지 3차측 암수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원분배모듈에 있어서,
    상기 3차측 암커넥터의 상기 3차측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내측 공간에는 그 공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하면을 연결 및 보강하는 리브가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3차측 수커넥터에는 상기 리브와 대응하여 상기 3차측 암커넥터에 접촉 간섭없이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1차측 및 2차측 암커넥터에는 그 전원 노출로 인한 감전이나 그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커넥터들이 구비된 절연케이스와;
    상기 절연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메인커넥터들에 의해 상기 각 상의 메인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전원을 양방향으로 출력하는 1차측 부스바들과;
    상기 절연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MCC유닛들의 2차측 전원을 출력하는 2차측 부스바들; 및
    상기 절연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1차측 및 2차측 부스바들과 상기 MCC유닛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차측 및 2차측 암수커넥터들이 결합되는 잭;
    을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KR1020120120840A 2012-10-30 2012-10-30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KR10139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840A KR101394336B1 (ko) 2012-10-30 2012-10-30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840A KR101394336B1 (ko) 2012-10-30 2012-10-30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36A KR20140054836A (ko) 2014-05-09
KR101394336B1 true KR101394336B1 (ko) 2014-05-13

Family

ID=5088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840A KR101394336B1 (ko) 2012-10-30 2012-10-30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155A (ko) * 2020-09-15 2022-03-22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180B1 (ko) * 2020-02-17 2021-11-30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시험 위치부 멀티 커넥터 구조를 갖는 전동기 제어반 유닛
KR102498591B1 (ko) * 2020-11-17 2023-02-10 남기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2618722B1 (ko) * 2021-08-31 2023-12-27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92U (ko) * 1998-07-27 2000-02-25 이종수 전동기 제어반용 제어회로 접속장치
KR100833532B1 (ko) 2008-02-21 2008-05-29 주식회사 광명전기 통전용량과 절연성능을 향상시킨 전동기 제어반
KR20090115452A (ko)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92U (ko) * 1998-07-27 2000-02-25 이종수 전동기 제어반용 제어회로 접속장치
KR100833532B1 (ko) 2008-02-21 2008-05-29 주식회사 광명전기 통전용량과 절연성능을 향상시킨 전동기 제어반
KR20090115452A (ko) * 2008-05-02 2009-11-0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155A (ko) * 2020-09-15 2022-03-22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KR102382604B1 (ko) 2020-09-15 2022-04-05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mc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36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6672B2 (en) Pluggable touch-safe fuse module with built-in removal handle
KR101291835B1 (ko)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및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배전반
KR10139433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용 전원분배모듈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EP3188330B1 (en) Transportation device of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CN101354988B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US20110176258A1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KR100961777B1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EP3278346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with contact alignment features therefor
KR101561617B1 (ko) 전동기 제어반
EP3278347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with terminal retention and correction features therefor
CA2981152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with cradle assembly alignment and positioning features therefor
US20210305727A1 (en) Electrical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power electrical units
CN209183477U (zh) 智能框架式断路器
CN216213246U (zh) 一种隔离开关熔断器组件
KR101608928B1 (ko)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US11715939B2 (en)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KR20170034666A (ko)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218769346U (zh) 漏电保护组件
CN218826894U (zh) 一种微型断路器的安装固定装置
JP5680575B2 (ja) ヒューズホルダ
KR101689947B1 (ko) 정격식별을 위한 코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입출형 진공차단기
KR101689948B1 (ko) 정격식별을 위한 식별볼트를 구비하는 인입출형 진공차단기
KR200457283Y1 (ko) 차단기 잭 안전장치
KR20170024936A (ko)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