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936A -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 Google Patents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936A
KR20170024936A KR1020150120563A KR20150120563A KR20170024936A KR 20170024936 A KR20170024936 A KR 20170024936A KR 1020150120563 A KR1020150120563 A KR 1020150120563A KR 20150120563 A KR20150120563 A KR 20150120563A KR 20170024936 A KR20170024936 A KR 2017002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cb
panel
connection clip
control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열
Original Assignee
김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열 filed Critical 김진열
Priority to KR102015012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936A/ko
Publication of KR2017002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동기를 가동함에 있어 전원을 중앙에서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인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함으로부터 제어 유니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 상기 제어 유니트 내에 MCCB 및 접속클립을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견고하고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클립에 작용하는 압력은 브라켓과 MCCB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접속클립과 MCCB 간의 연결대에는 절연커버를 결합 형성함으로써,
외함의 전면으로부터 각각의 제어 유니트가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 상기 각각의 제어 유니트에 체결되는 MCCB는 별도로 마련된 접속클립에 의해 메인 부스바로부터 전원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MCCB 및 접속클립은 브라켓을 통해 동시에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제어 유니트의 출몰 작용과 동시에 메인 부스바와의 전원 단속이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MCCB 및 접속클립의 유동이 거의 없어 전원의 단속 상태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내장부품의 손상이나 누전 및 쇼트와 스파크로 인한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MCCB와 접속클립 간의 절연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각종 전동기를 가동함에 있어 전원을 중앙에서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인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반 외함 내에 수직 적층 형태로 장착된 제어 유니트 내에 MCCB를 체결하되, 상기 MCCB는 별도로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것은 물론 상기 브라켓에 의해 메인 부스바와의 전원단속을 담당하는 접속클립이 고정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제어 유니트에 대한 슬라이딩 출몰에 따라 메인 부스바와의 전원이 자동으로 단속되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건물, 산업시설 등 다양한 곳에서 상수 및 하수 제어, 온도조절, 공조(air conditioning) 등을 위하여 수많은 전동기(Motor)가 가동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장의 전동기 또는 전동기를 수반하는 모터펌프(Motor Pump)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전동기 제어반(MCC;Motor Control Center)은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동기는 현장의 요구에 맞추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멈출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개폐기(電磁開閉器) 등을 이용한 회로(circuit)를 사용하여 전동기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가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관리, 운용의 효율을 위하여 여러 개의 전동기용 제어 유니트(Unit)를 하나의 외함(캐비닛)에 집적한 형태의 전동기 전용 제어반을 제작하여 각각의 전동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기 제어반에서의 각 제어 유니트에 대한 구조는, 내부에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 NFB(No Fuse Breaker); MC(Magnet Contactor); MPR(Motor Protection Relay):OCR(Over Current Relay) /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등이 구성요소로 자리하며, 이들을 사용하여 모터를 보호 및 제어한다. 또한, CT(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W, Lamp: 등이 기본적으로 들어간다.
이 중에서 특히, 상기 MCCB / NFB는 과부하 차단 보호가 목적인 것으로서 가령, 누전시에 흐르는 누설 전류가 그 정격전류를 넘어서면 OFF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과부하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 부하(기기, 기계)의 사용이 과다하여 전류의 과다한 흐름과 누전에 의한 과전류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MC는 외부의 신호(Signal)에 의해 부하전류를 On/Off 해주는 기기이다. 이와 관련하여 MS(Magnetic Switch)가 있으며, 상기 MS는 과부하계전기가 조합된 상태로서 과부하계전기에서 발생되는 신호(Signal)가 접촉기 조작코일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으로 보면 개폐기는 접촉기에 과부하계전기(열동식, 전자식)가 부착된 제품이다.
따라서, 각종 시설물의 전기실 또는 기계실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배전반의 일종인 전동기 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이 설치되고, 중앙통제실에는 데스크 패널(desk panel)이 설치되며, 모터가 설치된 현장마다 각각 로컬 패널(local panel)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정수장 같은 곳에는 수문을 열 때 동작하는 모터와, 물을 올리는 양수기 모터 등이 구비되고, 이와 같은 모터를 제어하는 수배전반의 일종이 바로 전동기 제어반이다.
이에 따라, 각 산업현장에 설치된 전동기 제어반에는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모터를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 유니트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 제어반과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로컬 패널과 중앙통제실에 설치된 데스크 패널은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어 유니트 별로 나오는 접점신호 및 램프의 온/오프 신호가 중앙통제실의 데스크 패널에 유선으로 보내지고, 이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도 전동기 제어반의 상태 파악과 조작을 데스크 패널에서도 제어가 가능하여,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어 유니트에 연결된 현장의 모터는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의해 동작을 하지만, 현장에서 직접 모터의 동작상태의 확인 및 작동을 시키기 위하여 현장마다 각각 로컬 패널이 별도로 설치되어 모터를 제어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전동기 제어반에 설치된 각각의 제어 유니트마다 6~10가닥의 전선이 중앙통제실에 설치된 데스크 패널 및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로컬 패널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동기 제어반은 등록특허 제10-1143817호와 같은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구조를 가지는 MCC에 의해 개시된 바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76583호와 같은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전동기 제어반이 안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전동기 제어반은 외함의 내부에 다수의 제어 유니트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제어 유니트의 전면으로 노출된 MCCB 노브 및 기능 버튼과 표시계 등을 통해 동작 상태 등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외함은 전동기의 구동 개체수에 따라 횡방향으로 무수히 나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기존의 전동기 제어반은 모듈 형태로 만들어진 각 제어 유니트 별로 전담하는 전동기의 개체수를 설정하여, 전체 전동기 제어반의 작동을 멈추지 아니한 상태에서 전체 전동기 중 필요 전동기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또는 수리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동기 제어반은 단일 외함의 내부에 각기 모듈화된 제어 유니트가 적층 형태로 고정 설치되지만 각각의 제어 유니트에 대한 점검이나 수리 등을 요할 경우 해당 제어 유니트의 전면을 개방시킨 후 내장된 제어부품과 접속단자 간의 분리 및 전원공급부와 MCCB 간의 전원 단락 작업을 수행한 후 손이나 공구 등을 외함 내측으로 집어넣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전동기 제어반 및 개선된 구조의 전동기 제어반의 경우, 단일 몸체의 외함 전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외함의 내측에 각기 모듈화된 형태의 제어 유니트를 구분하여 내장시키되, 각각의 제어 유니트의 전면에는 외함 또는 제어 유니트로부터 회전 개폐되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별 제어 유니트에 대한 점검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손이나 공구 등을 외함 내측으로 집어넣어 작업을 수행하거나, 제어 부품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니트를 외함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시킨 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는 고압의 전원의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고, 외함으로부터 제어 유니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도 상호 체결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볼트 및 너트 등을 무수히 풀어 이를 분리 제거하여야 하는 것이며, 접속단자 및 전원 공급부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상호 간의 접속 상태를 해제시켜야 하는 것으로 작업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은 물론 작업 시간 역시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제어 유니트는 모듈화 상태로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MCCB 및 일부의 제어부품만이 제어 유니트에 모듈화되어 있는 반면, 차폐기 및 접속단자 등은 외함의 내측면에 그대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어 유니트를 완전히 외함으로부터 분리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내장의 제어부품에 대해서는 위험한 적업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고, 제어 유니트와 외함 내부의 공간에는 많은 수의 제어부품 및 접속단자와 케이블 등이 위치하게 되므로 외함이 전체적으로 매우 크게 제작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모순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5년 특허출원 제0120508호와 같이, 외함의 내부에 상,하 반복하여 이격 고정되는 트레이를 형성하고, 이들 트레이 상측으로부터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되게 한 제어 유니트를 고정 형성하며, 상기 외함의 내측에 형성된 메인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 유니트의 측부에 형성된 접속클립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 유니트는 전면패널과 바닥패널 및 후면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조작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바닥패널에는 제어부품이 배치되며 후면패널에는 접속부품이 배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전면패널의 인출에 의해 제어 유니트 전체가 외함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는 동시에 전원공급부 및 접속단자의 단락이 동시에 이루어져 안전한 점검이나 수리가 가능한 것이고,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기 위한 모든 구성품이 전개 및 노출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바닥패널을 이용하여 제어부품 모두가 배치됨에 따라 외함의 전체 높이가 현저히 낮아질 수 있어 전동기 제어반에 대한 소형화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 슬라이딩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전동기 제어반에 적용된 출몰식 제어 유니트는 MCCB 및 접속클립의 고정구조가 취약하여 MCCB의 유동 및 접속클립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들 MCCB 및 접속클립의 유동으로 인해 메인 부스바와의 접속 상태가 불량 또는 취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접속클립은 메인 부스바에 대하여 돌출 형성된 클립단자가 가압에 의해 끼워지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제어 유니트를 외함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클립에는 메인 부스바와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상당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접속클립은 고정력이 약화되므로 메인 부스바와의 접속 상태가 불량해지거나 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클립에 대한 유동의 문제점으로 인해 결국 상기 접속클립과 MCCB 간의 연결 상태도 취약해지므로 해당 부분에서 전기적인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고, 접속 또는 단락 상태가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장부품에 대한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하거나 제어 유니트의 수리 또는 점검이나 교체시 작업자가 고압의 전원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며, 불완전한 접속 상태로 인해 누전이나 스파크로 인한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외함으로부터 제어 유니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 상기 제어 유니트 내에 MCCB 및 접속클립을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견고하고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클립에 작용하는 압력은 브라켓과 MCCB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접속클립과 MCCB 간의 연결대에는 절연커버를 결합 형성함으로써,
제어 유니트로부터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접속클립 및 MCCB로 인해 메인 부스바와의 접속 상태 또는 단락 상태가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접속클립과 MCCB 간의 전기적 연결부에 대한 절연수단의 적용으로 인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외함의 내측에 상,하 반복적으로 형성된 트레이를 이용하여 제어 유니트가 외함의 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는 전면패널과 바닥패널 및 후면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패널의 상측에는 전면패널을 통해 노출되게 한 MCCB가 장착되고, 상기 MCCB는 접속클립에 의해 상기 외함 내면의 메인 부스바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접속클립은 제어 유니트의 출몰에 따라 메인 부스바와 단속되도록 구성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MCCB와 접속클립은 절곡 형성된 브라켓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MCCB를 체결하여 상기 MCCB의 핸들노브가 전면패널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는 접속클립을 고정하여 상기 접속클립의 클립단자가 메인 부스바를 향하도록 하되, 상기 바닥패널의 양측에는 체결플랜지를 상향 돌출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이 바닥패널의 상면 및 상기 체결플랜지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함의 전면으로부터 각각의 제어 유니트가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 상기 각각의 제어 유니트에 체결되는 MCCB는 별도로 마련된 접속클립에 의해 메인 부스바로부터 전원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MCCB 및 접속클립은 브라켓을 통해 동시에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제어 유니트의 출몰 작용과 동시에 메인 부스바와의 전원 단속이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MCCB 및 접속클립의 유동이 거의 없어 전원의 단속 상태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내장부품의 손상이나 누전 및 쇼트와 스파크로 인한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MCCB와 접속클립 간의 절연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전동기 제어반에 대한 전체 개략도
도 2는 전동기 제어반에 적용된 제어 유니트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적용된 MCCB 체결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적용된 MCCB 체결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적용된 MCCB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적용된 MCCB 체결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제어 유니트에 적용된 MCCB 체결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되는 전동기 제어반은, 전면이 개방된 외함(100)의 내부에 상,하 반복 형성된 트레이(101)(101')가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트레이(101)(101') 상측에는 제어 유니트(10)(10')가 외함(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출몰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외함(100)의 내면에는 이들 각각의 제어 유니트(10)(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부스바(10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어 유니트(10)(10')에는 상기 메인 부스바(102)와 연결되는 MCCB(50) 및 접속클립(6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어 유니트(10)(10')는 외함(1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전면패널(20)과 상기 트레이(101)(101')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패널(30) 및 상기 바닥패널(30)의 끝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형태의 후면패널(4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전면패널(20)에는 제어 유니트(10)(10')의 동작 및 수치 설정을 위한 다양한 작동부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바닥패널(30)의 상부에는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그널 및 전원을 제어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후면패널(40)에는 외함(100)의 후측에 결합된 커넥터와 연결 및 분리되기 위한 다양한 접속부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니트(10)(10')는 외함(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메인 부스바(102)와 접속클립(60)이 분리되면서 전원이 단락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커넥터 및 접속부품이 서로 분리되면서 제어 유니트(10)(10') 단독으로의 분리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외함(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출몰구조를 갖는 제어 유니트(10)(10')는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기 위한 모든 부품이 제어 유니트(10)(10') 내에 포함되어 있고 이들 모든 부품이 제어 유니트(10)(10')의 인출과 동시에 노출 및 전개되므로 이들을 점검하거나 수리 또는 교체하는데 상당한 편리함이 있는 것이고, 바닥패널(30) 상에 나열되는 제어부품은 제어 유니트(10)(10')의 높이를 축소시키는데 일조하므로 결국 전동기 제어반의 소형화를 가능케 하는 장점을 연출하는 것이며, 제어 유니트(10)(10')의 인출에 따른 전원 및 커넥터의 자동 단락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제어 유니트(10)(10')의 함몰 삽입에 의해 전원의 자동 인가 및 커넥터의 자동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 취급성 및 사용과 관리적인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특징을 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출몰구조의 제어 유니트를 갖는 전동기 제어반은, 상기 제어 유니트(10)(10')에 포함되어 있는 MCCB(50) 및 접속클립(60)의 유동으로 인해 오동작 및 고장이나 접속불량이 발생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브라켓(80)을 이용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즉, 도시와 같이 상기의 브라켓(80)은 'ㄱ'자 형태로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브라켓(80)의 일측에는 MCCB(50)가 나사 체결 및 고정되는 것이고 브라켓(80)의 타측에는 접속클립(60)이 나사 체결 및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MCCB(50)는 전면패널(20)을 향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MCCB(50)의 핸들노브(51)는 전면패널(20)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접속클립(60)의 클립단자(61)는 메인 부스바(102)를 향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MCCB(50) 및 접속클립(60)이 결합된 상태의 브라켓(80)을 제어 유니트(10)(10')의 바닥패널(30) 상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MCCB(50) 및 접속클립(60)의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8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패널(30)의 양측단을 상향 절곡하여 된 체결플랜지(32)(32')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플랜지(32)(32')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80)을 고정하되, 상기 체결플랜지(32)(32')와 브라켓(80)의 일측 하단을 별도의 고정나사(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통해 서로 견고히 나사 조립하면 브라켓(80)에 대한 강력한 고정력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의 일측 하단 즉, 바닥패널(30) 상에 올려지는 브라켓(80)의 하단에 절곡의 체결판부(81)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체결판부(81)가 바닥패널(3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이들 체결판부(81)와 바닥패널(30)를 서로 견고히 나사 고정하면 상기 브라켓(80)에 대한 강력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MCCB(50) 및 접속클립(60)을 갖는 브라켓(90)을 상기 바닥패널(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제어 유니트(10)(10')의 출몰과정에서 상기 접속클립(60)에 메인 부스바(102)와의 간섭으로 인한 저항 및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접속클립(60)은 전혀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MCCB(50) 및 접속클립(60)은 브라켓(80)을 통해 강력한 고정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메인 부스바(10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제공받아 제어 유니트(10)(1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브라켓(80)을 고정하고 있는 체결나사를 풀어내면 상기 MCCB(50) 및 접속클립(60)에 대한 간단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이들 개체에 대한 수리나 점검 또는 교체 작업이 간편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20)과 바닥패널(30)은 단일의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패널(20)과 바닥패널(30)을 분리 제작한 상태에서 전면패널(20)의 후면 하단과 바닥패널(30)의 끝단을 서로 상,하 중첩시킨 후 이들을 별도의 체결볼트를 통해 견고하게 조립하면 뛰어난 제작 편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20)의 후면 하단부에 절곡 형성된 누름판재(22)(22')를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20)의 후면 하단부에는 전면패널(20)의 하단과 누름판재(22)(22')의 사이에 소정의 삽입공간이 연출될 것이고, 상기의 삽입공간으로 바닥패널(30)을 끼워 삽입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볼트를 통해 이들 누름판재(22)(22')와 바닥패널(30) 및 전면패널(20)의 하단을 동시에 나사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20) 및 바닥패널(30)은 더욱 강력하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되므로 상기 전면패널(20)을 잡고 제어 유니트(10)(10')를 인출하거나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도 상기 전면패널(20)이 흔들리거나 경사지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면패널(20)과 바닥패널(30)를 분리 제작하여 상호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어 유니트(10)(10')로부터 전면패널(20)만을 분리시킬 수 있어 바닥패널(30) 상의 각종 제어부품에 대한 교체 및 점검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브라켓(80)의 고정 설치 작업 역시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MCCB(50)와 접속클립(60)은 전기적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두꺼운 바 형태로 된 접속대(62)(62')를 이용하여 상호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 접속대(62)(62')는 MCCB(50)와 접속클립(60)의 사이에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대(62)(62')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브라켓(80)을 이용하여 별도의 절연커버(90)를 결합 형성한 것으로 상기의 절연커버(90)는 상기 접속대(62)(6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박스 형태로 만들어질 것이고 절연커버(90)의 일측 상,하부에는 걸림구(91)(91')가 돌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걸림구(91)(91')에 대한 상,하 간격은 브라켓(80)의 상,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구(91)(91')를 이용하여 절연커버(90)를 브라켓(80)에 밀착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절연커버(90)의 내측으로 접속대(62)(62')가 수용되면서 상기 접속대(62)(62')의 노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절연커버(90)는 비전도체인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면 될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대(62)(62')에 의한 MCCB(50) 및 접속클립(60) 간의 연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CCB(50)와 접속클립(60)을 제어 유니트(10)(10')에 강력하고 고정시킴에 따라 슬라이딩 출몰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이 단속되게 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 자동 전원단속 과정에서 접속클립(6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접속클립(60)의 유동방지로 인해 더욱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과 단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제어 유니트
20 : 전면패널 22,22' : 누름판재
30 : 바닥패널 32,32' : 체결플랜지
40 : 후면패널
50 : MCCB 51 : 핸들노브
60 : 접속클립 61 : 클립단자
62,62' : 접속대
80 : 브라켓 81 : 체결판부
90 : 절연커버 91,91' : 걸림구
100 : 외함 101,101' : 트레이
102 : 메인 부스바

Claims (6)

  1. 전면이 개방된 외함(100)의 내측에 상,하 반복적으로 형성된 트레이(101)(101')를 이용하여 제어 유니트(10)(10')가 외함(100)의 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10)(10')는 전면패널(20)과 바닥패널(30) 및 후면패널(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패널(30)의 상측에는 전면패널(20)을 통해 노출되게 한 MCCB(50)가 장착되고, 상기 MCCB(50)는 접속클립(60)에 의해 상기 외함(100) 내면의 메인 부스바(102)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접속클립(60)은 제어 유니트(10)(10')의 출몰에 따라 메인 부스바(102)와 단속되도록 구성된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MCCB(50)와 접속클립(60)은 절곡 형성된 브라켓(80)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브라켓(80)의 일측에는 MCCB(50)를 체결하여 상기 MCCB(50)의 핸들노브(51)가 전면패널(20)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하고 상기 브라켓(80)의 타측에는 접속클립(60)을 고정하여 상기 접속클립(60)의 클립단자(61)가 메인 부스바(102)를 향하도록 하되,
    상기 바닥패널(30)의 양측에는 체결플랜지(32)(32')를 상향 돌출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80)이 바닥패널(30)의 상면 및 상기 체결플랜지(32)(32')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2.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80)의 하단 일측에는 바닥패널(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 체결판부(81)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체결판부(81)에 대한 바닥패널(30)과의 나사 고정 및 상기 브라켓(80)의 하단부에 대한 바닥패널(30)의 체결플랜지(32)(32')에 대한 나사 고정을 통해 상기 브라켓(80)의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3. 제 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10)(10')의 전면패널(20)과 바닥패널(30)은 서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바닥패널(30)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전면패널(20)의 후측 하단에 중첩된 상태에서 상호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4. 제 3항에 있어서,
    전면패널(20)의 후측 하부에는 전면패널(2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누름판재(22)(22')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 바닥패널(30)의 끝단이 전면패널(20)의 하단과 누름판재(22)(22')의 사이로 삽입되게 하여 이들 누름판재(22)(22') 및 바닥패널(30)과 전면패널(20)의 동시 나사 고정을 통해 상호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5.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80)에 고정된 MCCB(50)와 접속클립(60)은 절곡 형성된 접속대(62)(62')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브라켓(80)에는 별도로 마련된 절연커버(9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접속대(62)(62')가 절연커버(90)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6. 제 5항에 있어서,
    절연커버(90)는 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커버(90)의 일측 상,하단에는 상기 브라켓(80)의 상,하 폭과 대응하여 이격 형성된 걸림구(91)(9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KR1020150120563A 2015-08-26 2015-08-26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KR2017002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563A KR20170024936A (ko) 2015-08-26 2015-08-26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563A KR20170024936A (ko) 2015-08-26 2015-08-26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936A true KR20170024936A (ko) 2017-03-08

Family

ID=5840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563A KR20170024936A (ko) 2015-08-26 2015-08-26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9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3661C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CN203038864U (zh) 一种控制与保护开关电器
US6603075B1 (en) Vertical bus power connector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CN105375376A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KR100816102B1 (ko)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KR100961777B1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20170024912A (ko) 슬라이딩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JP6231900B2 (ja) 系統連系用太陽光発電設備
US7394632B2 (en) Line interface module
KR100985727B1 (ko) 이상 감시 기능을 갖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
KR20170024936A (ko) 개선된 mccb 체결구조가 적용된 제어 유니트에 의한 전동기 제어반
KR101825062B1 (ko) 일체형 아크 프리 모듈이 구비된 모터컨트롤센터
EP2834892B1 (en) Circuit breaker adaptor for plug-in circuit breaker panel
US20120033351A1 (en) Motor control center and bus assembly therefor
CN204947420U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KR20170024938A (ko) 개선된 구조의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CN107769039A (zh) 通风泄压装置、开关柜柜体及开关柜
KR101773787B1 (ko) 출몰식 제어 유니트의 멈춤수단이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EP2557643A1 (en) Motor control center and bus assembly therefor
KR102118528B1 (ko)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수배전반, 자동제어반의 시퀀스 제어 모듈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WO2009045055A2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US4482892A (en) Caution lamp for high voltag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