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290B1 -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290B1
KR102382290B1 KR1020200009607A KR20200009607A KR102382290B1 KR 102382290 B1 KR102382290 B1 KR 102382290B1 KR 1020200009607 A KR1020200009607 A KR 1020200009607A KR 20200009607 A KR20200009607 A KR 20200009607A KR 102382290 B1 KR102382290 B1 KR 10238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bag
cultivation bag
bean sprouts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340A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소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소닉스
Priority to KR102020000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2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40Fabaceae, e.g. beans or p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extending circumferentially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합성수지, 방습 내수성 재질로서 발아가 되는 선별된 두류(콩, 녹두 등; 260)가 넣어진 봉투 형상의 재배봉투(200)를 이용하는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재배봉투(200)의 상부면은 상부에서 살수되는 배양수가 상기 재배봉투(200)의 내부로 입수(入水)될 수 있도록 천공(穿孔)된 평탄면을 구비하며, 상기 재배봉투(200)의 하부 일부면에는 상부에서 입수된 배양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A device for producing bean sprouts}
본 발명은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나물을 시루나 용기에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천공된 통상의 필름재료의 봉지 형상의 재배봉투에 정선된 두류를 넣고 상부를 밀봉하여 포장된 봉지를 낱개 또는 다수 개를 재배 환경을 갖춘 배양기에서 재배하여, 재포장 과정이 없이 출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형태의 재배용기 또는 시루형태의 재배용기에서 콩나물을 재배한 후 그 재배된 용기 자체를 중간 상인에게 전달하고, 상기 전달받은 상인은 상기 재배용기로부터 콩나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봉지 등에 담아 판매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통상으로 대규모 재배는 대형 시루나 용기에서 재배 후 정선, 세척, 탈수, 소포장등의 과정을 거쳐 출하하며, 대형 시루나 용기에서 재배 후 소포장하는 것은 헝클어진 상태로 줄기끼리 횡으로 ?친 부분이 많아 부러지거나 상처가 생겨 저장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콩나물 재배기는 항아리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함으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일정 공간에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있었으며, 재배기의 청결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51912호의 "재배를 겸한 콩나물 용기"가 제공되었으나,
상기 고안은 콩나물 재배실에서 내측 삽입용기(2)에 콩을 채워놓은 다음 콩나물을 재배하고, 이와 같이하여 내측 삽입용기(2)의 내부에서 콩나물이 재배 완료되면 그 재배완료 된 내측 삽입용기(2)를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한 후 커버 판(3)을 케이스(1)의 상부에 덮어 케이스(1)의 외측 턱(12)과 커버 판(3)간을 열융착을 통해 밀봉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삽입용기(2)의 콩나물은 커버 판(3)의 열융착으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콩나물이 쉼을 쉬지 못하여 보존기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른 신선도가 빨리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측 삽입용기(2)의 외부에 홀(22)과 삽입 함몰홈(23)을 형성시키고, 케이스(1)의 내부에도 상기 홀(22)과 삽입 함몰홈(23)이 결합되는 돌출대(131)를 형성시켰기 때문에 그들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삽입용기(2) 및 케이스(1)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 등록실용신안 제20-0351912호 특허문헌2 : 등록특허공보 제10-18868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선된 콩을 천공 봉지에 넣어 밀봉 후 봉지에서 키우는 재배봉투를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재배봉투를 수용할 수 있는 배양테이블과 상기 배양테이블을 수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배양기가 포함된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상기 콩나물 재배봉투에서 재배된 콩나물이 수용된 재배봉투 그 자체에 출하함으로써, 콩나물의 손상 없이 위생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음은 물론, 운송, 취급, 보관 등이 용이하며, 콩나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콩나물 재배봉투 및 재배봉투를 수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배양기가 포함된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 등 물에 강한 재질로서 상부가 개구된 봉투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10)와; 콩나물이 자라는 형태 부피 모양을 감안한 형태이며, 콩보다 작은 직경으로 펀칭된 입수천공(120)이 형성된 몸체(110)의 바닥면(130)과, 상기 몸체(110)의 상단(140)에는 일정 높이(H1)로 상기 입수천공(120)보다 작은 직경의 배수천공(15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선별된 발아가 되는 두류(콩, 녹두 등; 260) 넣는 과정 후에 상단(140)을 지퍼 또는 접착, 열융착하여 몸체(110) 내부로 공기와 배양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재배봉투(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단(140)의 양 측부면(160)에는 내측으로 접어지기 위한 중앙부에 소정높이(H2)의 접이선(170)이 형성되고, 접어진 상태에서 상단(140)의 길이가 바닥면(130)의 직사각형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될 수 있도록 상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로 접착 또는 열융착한다.
그리고 상기 재배봉투의 몸체(110)에는 바닥면(130)에서 소정의 높이(H3)에 작은 홀을 1열 또는 2열로 천공하여 용이하게 절취 가능하도록 절취선(18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는 차광될 수 있도록 불투명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의 재질은 합성수지에 숯가루를 첨가하여 항균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선택가능하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바닥면(130)과 몸체(110)가 접합된 접합부(210)를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부(220)와, 상기 걸이부(22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펀칭된 걸이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재배봉투(200)가 수용될 수 있는 사각홀(310)이 다열(多列)과 다행(多行)으로 형성된 배양테이블(300)과, 상기 재배봉투(200)는 바닥면(130)이 상측으로 하여 상기 배양테이블에 수용되며,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배양테이블에 수용될 수 있도록 낱개의 재배봉투 걸이부(220)와 인접한 배양봉부 걸이부(220)를 결합하되,
상기 배양테이블(300)의 사각홀(310)에 수용되도록 다열과 다행으로 결합하여 배양테이블의 상측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배양테이블의 사각홀(310) 상부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20)을 형성하여, 상기 걸이봉(320)에 재배봉투 걸이부에 형성된 걸이홀(230)의 끼움결합에 의하여 배양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한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가 수용된 배양테이블(300)을 내부 수용하는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400)와,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5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600),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410),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4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집수용기(500)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510)와, 상기 배수구(510)에 연결되어 살수노즐(600)로 공급하는 순환관(520)이 구비되며, 상기 순환관(520)에는 순환펌프(530)와 여과조(540)와 살균기(550)가 구비되며, 상기 배양공간(S1)에는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가 구비되고, 상기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에서 측정된 습도와 온도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530)의 작동과 가열히터(450)를 가동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 및 온도, 펌프의 작동간격은 외부에서 제어기(700)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양기(400)에서 콩나물이 재배된 재배봉투(200)은 낱개로 분할하여 출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붙임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선된 콩이 수용된 재배봉투를 낱개 또는 다수 개를 재배 환경을 갖춘 배양조에서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배봉투를 수용할 수 있는 배양테이블과 상기 배양테이블을 수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배양기가 포함된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 대량 생산하여 포장과정이 없이 재배 완료된 콩나물이 수용된 재배봉투 자체를 운송 및 취급함으로 취급의 용이함이 있고, 상기 콩나물이 수용된 재배봉투에 대기 중의 공기가 통기됨으로서 콩나물이 숨을 쉬게 되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배봉투에서 재배된 콩나물은 재배과정에서 정렬배열되고, 재배된 상태에서 출하됨으로 콩나물의 파손율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배를 겸한 콩나물 용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콩나물 재배용기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배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배봉투를 다수 개를 수용하기 위한 배양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양테이블에 수용되는 재배봉투를 다열과 다행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배봉투가 수용된 배양테이블을 수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배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배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이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3(a)의 재배봉투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부가 개구된 봉투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구비함과 동시에 사각형으로 각이진 형태이며, 콩보다 작은 직경으로 펀칭된 입수천공(120)이 형성된 몸체(110)의 바닥면(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단(140)에는 일정 높이(H1)로 상기 입수천공(120)보다 작은 직경의 배수천공(150)이 형성되어 자루와 같은 형상의 봉투이다.
이와 같은 하부의 바닥면(130)이 천공되고, 자루형상의 몸체 상단부에 일정한 높이로 배수천공(150)로 이루어진 봉투가 완성되며, 상기 봉투 몸체(110) 내부에 선별된 발아가 되는 두류(콩, 녹두 등; 260) 넣는 과정 후에 도3(b)과 같이 재배봉투를 접은 상태에서 상단(140)을 접착 또는 융착하면, 자루형상의 몸체(110) 내부로 공기와 배양수가 통과할 수 있는 도3(c)에 도시된 재배봉투(200)가 완성되며,
상기 봉투 내부에 넣는 두류(콩, 녹두 등; 260)는 건조된 두류 또는 건조된 두류를 미리 물에 불려 발아시킨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재배시에는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30)이 상부쪽으로 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배양수가 봉투 내부로 입수되어 내부에 삽입된 두류를 통과하여 하부의 배수천공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내부의 두류를 발아시키고, 재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단(140)의 양 측부면(160)에는 내측으로 접어지기 위한 중앙부에 소정높이(H2)의 접이선(170)이 형성되고, 접어진 상태에서 상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로 접착 또는 융착하게 되면, 접착된 상단(140)의 길이를 바닥면(130)의 직사각형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의 몸체(110)에는 바닥면(130)에서 소정의 높이(H3)에 작은 홀을 1열 또는 2열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천공하여 용이하게 절취 가능하도록 절취선(180)을 형성한다.
상기 절취선(180)은 상기 재배봉투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한 후에 생산된 콩나물을 두절할 때 와 세척할 때 몸체 내부에 콩나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는 차광될 수 있도록 불투명의 재질로 제작하여 콩나물의 재배 시에 재배봉투 내부에서 재배되는 콩나물에 외부 광선이 차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배봉투 불투명의 재질은 합성수지에 숯가루를 첨가하면 차광효과와 동시에 항균작용으로 콩나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또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3(d)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30)과 몸체(110)가 접합된 접합부(210)를 하측으로 길게 걸이부(2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걸이부(22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펀칭된 걸이홀(2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재배봉투(200)는 바닥면(130)을 상측으로 하면 바닥면에 형성된 입수천공(120)로 상부에서 배양수를 살수하면 배양수는 재배봉투(200) 내부의 선별된 두류(콩, 녹두 등; 260)를 통과하여 몸체에 형성된 배수천공(150)로 빠지게 형성된다.
재배봉투(200) 바닥면에 형성된 입수천공(120) 보다 몸체에 형성된 배수천공(150)의 직경이 작은 것은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배양수를 줄때에 그 주는 배양수가 용이하게 재배봉투(200) 내부의 콩나물에 배양수를 골고루 주기 위함과 동시에 상기 콩 및 자라는 콩나물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재배봉투(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입수천공(120)로 입수(入水)된 배양수는 재배봉투(200) 내부의 두류(콩, 녹두 등; 260)를 불린 후에 시간이 경과하면 콩나물로 자라게 된다.
또한,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봉투(200)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면 복수개의 재배봉투(200)를 수용하여 취급할 수 있는 배양테이블(300)과 상기 배양테이블(300)에 결합할 수 있는 재배봉투(200)가 필요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양테이블(300)에 수용되는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바닥면(130)과 몸체(110)이 접합된 접합부(210)를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부(220)와, 상기 걸이부(22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펀칭된 걸이홀(230)이 형성된다.
또한, 배양테이블(300)은 상기 재배봉투(200)가 수용될 수 있는 사각홀(310)이 다열과 다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는 바닥면(130)이 상측으로 하여 상기 배양테이블에 수용되며,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배양테이블에 수용될 수 있도록 낱개의 재배봉투 걸이부(220)와 인접한 배양봉부 걸이부(220)를 결합하되, 상기 배양테이블(300)의 사각홀(310)에 수용되도록 다열(多列)과 다행(多行)으로 결합하여 배양테이블의 상측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양테이블(300)에 다열과 다행으로 형성된 사각홀(310)에는 재배봉투(200)가 바닥면에 상부로 수용되고, 이와 같이 바닥면이 상부로 수용되면 상부에서 살수에 의하여 다수개의 재배봉투(200)는 동시에 바닥면에 구비된 입수천공(120)로 배양수가 입수(入水)되며 재배봉투(200) 내부의 두류(콩, 녹두 등; 260)를 지나 몸체에 형성된 배수천공(150)로 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양테이블(300)의 사각홀(310)에 재배봉투(200)를 수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배양테이블의 사각홀(310) 상부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20)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봉(320)에 재배봉투 걸이부에 형성된 걸이홀(230)의 끼움결합에 의하여 배양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재배봉투가 수용된 배양테이블을 수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배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재배봉투가 수용된 배양테이블(300)을 내부 수용하는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4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기(400)는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500)와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60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410)와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4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집수용기(500)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510)와, 상기 배수구(510)에 연결되어 살수노즐(600)로 공급하는 순환관(520)이 구비된다.
상기 순환관(520)에는 순환펌프(530)와 여과조(540)와 살균기(550)가 구비되며, 상기 배양공간(S1)에는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가 구비되고, 상기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에서 측정된 습도와 온도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530)의 작동과 가열히터(450)를 가동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 및 온도, 펌프의 작동간격은 외부에서 제어기(700)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재배봉투에 건조된 두류(콩, 녹두 등; 260)가 수용된 배양테이블은 배양기 내부에 놓여지며, 배양기 내부에서 살수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배양수에 의해 콩나물 콩이 성장한다.
배양수는 배양테이블의 사각홀을 따라 집수용기에 포집된다. 살수노즐은 주기적으로 작동된다. 배양테이블은 배양기 내부에서 이동된다. 배양기 내부에는 하나의 배양테이블이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배양테이블이 장착된다. 복수의 배양테이블은 배양기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배양수와 접촉되는 배양테이블은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배양테이블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기(400)에서 콩나물이 재배된 재배봉투(200)은 낱개로 분할하여 출하되어 대기 중의 공기가 통기됨으로서 재배봉투(200) 내의 콩나물이 숨을 쉬게 되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몸체 120 ; 입수천공
130 : 바닥면 140 ; 상단
150 : 배수천공 160 : 측부면
200 : 재배봉투 300 ; 배양테이블
400 : 배양기 500 ; 집수용기
600 : 살수노즐 700 : 제어기

Claims (8)

  1. 합성수지, 방습 내수성 재질로서 발아가 되는 선별된 두류(콩, 녹두 등; 260)가 넣어진 봉투 형상의 재배봉투(200)를 이용하는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재배봉투(200)의 상부면은 상부에서 살수되는 배양수가 상기 재배봉투(200)의 내부로 입수(入水)될 수 있도록 천공(穿孔)된 평탄면을 구비하며,
    상기 재배봉투(200)의 하부 일부면에는 상부에서 입수된 배양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평탄면을 바닥면(130)으로 하여 상부가 개구된 봉투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바닥면(130)의 천공(穿孔)은 콩보다 작은 직경으로 펀칭된 입수천공(120)이며,
    상기 몸체(110)의 상단(140)에는 일정 높이(H1)로 상기 입수천공(120)보다 작은 직경의 배수천공(15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 발아가 되는 선별된 두류(콩, 녹두 등; 260) 넣는 과정 후에 상단(140)을 지퍼 또는 접착 열융착 하여 몸체(110) 내부로 공기와 배양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재배봉투의 몸체(110)에는
    바닥면(130)에서 소정의 높이(H3)에 작은 홀을 일열로 천공하여 용이하게 절취 가능하도록 절취선(180)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봉투는 차광될 수 있도록 불투명의 재질이며,
    상기 불투명의 재질은
    합성수지에 숯가루를 첨가하여 항균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는 상기 바닥면(130)과 몸체(110)가 접합된 접합부(210)를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부(220)와, 상기 걸이부(22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펀칭된 걸이홀(2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재배봉투(200)가 수용될 수 있는 사각홀(310)이 다열(多列)과 다행(多行)으로 형성된 배양테이블(300)과,
    상기 배양테이블의 사각홀(310) 상부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봉(320)을 형성하여, 상기 걸이봉(320)에 재배봉투 걸이부에 형성된 걸이홀(230)의 끼움결합에 의하여 배양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재배봉투(200)는 바닥면(130)이 상측으로 하여 수용된 배양테이블(300)을 내부 수용하는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400)와,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500)와,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600),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410),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420)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용기(500)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510)와,
    상기 배수구(510)에 연결되어 살수노즐(600)로 공급하는 순환관(520)이 구비되며,
    상기 순환관(520)에는 순환펌프(530)와 여과조(540)와 살균기(550)가 구비되며,
    상기 배양공간(S1)에는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가 구비되고,
    상기 습도센서(430) 및 온도센서(440)에서 측정된 습도와 온도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530)의 작동과 가열히터(450)를 가동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 및 온도, 펌프의 작동간격은 외부에서 제어기(700)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양기(400)에서 콩나물이 배양된 재배봉투(200)은 낱개로 분할하여 출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09607A 2020-01-28 2020-01-28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KR10238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07A KR102382290B1 (ko) 2020-01-28 2020-01-28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07A KR102382290B1 (ko) 2020-01-28 2020-01-28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40A KR20210096340A (ko) 2021-08-05
KR102382290B1 true KR102382290B1 (ko) 2022-04-04

Family

ID=7731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07A KR102382290B1 (ko) 2020-01-28 2020-01-28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07B1 (ko) * 2017-05-02 2018-10-05 최현경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929Y1 (ko) * 1981-10-22 1984-06-14 장경태 포장 겸용 콩나물 재배용기
KR920005518Y1 (ko) * 1990-06-13 1992-08-14 김준웅 콩나물 재배용 포대
KR200351912Y1 (ko) 2004-03-05 2004-06-04 손해수 재배를 겸한 콩나물 용기
KR20090068428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케이씨티 숯이 함유된 플라스틱 포장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0208A (ko) * 2008-01-21 2009-07-24 명선녀 콩나물 재배용기 및 그 용기로부터의 콩나물 직접 생산방법
KR101727231B1 (ko) * 2014-12-30 2017-04-17 주식회사 대산정밀 재배 환경과 양액 공급 자동 제어형 식물 재배기
KR101886865B1 (ko) 2017-10-19 2018-08-10 한성원 주식회사 땅콩나물 재배방법 및 재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07B1 (ko) * 2017-05-02 2018-10-05 최현경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40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41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ducing mushrooms
US4903432A (en) Autoclavable, reusable, sterile plant growth system and method
NL2018202B1 (e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consumer-ready vegetables, mushrooms or herbs in a box
US20150033625A1 (en) Sub-Irrigated Planter
KR102382290B1 (ko)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WO2011140650A1 (en) Cup and removable seed tab combination device
US10492390B2 (en) Hydroponic display container for flowering bulbs
KR100721813B1 (ko) 관찰학습용 식물재배봉투
US11089747B2 (en) Bioreactor
WO2017181267A1 (en) Horticultural apparatus
CN207118433U (zh) 一种用于芽苗菜生长的容器
JP7194998B2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施設、及び植物栽培方法
BR112021011445A2 (pt) Substrato para produzir vegetais, cogumelos ou ervas prontos para consumo em um recipiente fechado
KR101824872B1 (ko) 화분으로 재활용 가능한 일회용 컵 조립체
KR200242935Y1 (ko) 꽃 포장 겸용 꽃꽂이 재배용기
CN204191226U (zh) 自动给水植物栽培包
KR200481975Y1 (ko) 라벨 탈착식 조립형 화분용기
KR100803096B1 (ko) 수경재배 겸용 수경재배 식물 포장포대
CN208402779U (zh) 一种独立式活体盆栽蔬菜装置
JP3167832U (ja) プランター及びこのプランターに用いられる植物育成袋
KR920005518Y1 (ko) 콩나물 재배용 포대
JP3168210U (ja) プランター
CN202714006U (zh) 挂营养袋日光温室后墙
KR20020068971A (ko) 꽃 포장 겸용 꽃꽂이 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