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07B1 -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07B1
KR101905107B1 KR1020170056310A KR20170056310A KR101905107B1 KR 101905107 B1 KR101905107 B1 KR 101905107B1 KR 1020170056310 A KR1020170056310 A KR 1020170056310A KR 20170056310 A KR20170056310 A KR 20170056310A KR 101905107 B1 KR101905107 B1 KR 10190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culture
water
culture container
bean spr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경
Original Assignee
최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경 filed Critical 최현경
Priority to KR102017005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을 연속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배양기 내부에 배양용기를 수용하며, 배양용기의 콩이 성장하여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배양공간을 형성하는 배양기,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양용기,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Apparatus for culturing the bean-sprouts}
본 발명은 콩나물을 연속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배양기 내부에 배양용기를 수용하며, 배양용기의 콩이 성장하여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문헌 001은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에 소용되는 지하수를 절약하고, 농약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오존 살균수 재순환을 이용한 지하수 절약형 무농약 콩나물 재배방법이다. 구체적인 재배방법으로 재배수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오존 폭기에 의해 재배수를 살균 및 정화처리하는 단계; 살균 및 정화처리된 재배수에 키토산, 게르마늄, 맥반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용존 오존이 소량 잔류되어 있는 상태의 재배수를 노즐을 이용하여 살수하는 단계; 살수된 재배수를 물받이를 통하여 집수하고 소형 침전탱크로 회수하는 단계; 소형 침전탱크로 회수된 재배수를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저장탱크로 이동된 재배수를 오존으로 살균하는 단계; 및 콩나물의 재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재배수를 계속해서 순환시키고 재배를 완료한 후의 재배수를 용존 오존으로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콩나물 생산에 사용되는 생장조절물질을 배제할 수 있고 지하수 사용량을 최소 1/40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재배사 온도를 낮추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시한다.
특허문헌 002는 콩나물류의 부패가 일어나지 않아 위생적이고 생산성이 높음과 아울러 폐수에 의한 환경오염문제가 없는 콩나물류 재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부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 내지 불순물이 포함된 재배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질 내지 불순물을 응집시켜 슬러지가 되게 하는 단계와, 응집된 슬러지를 포함한 재배수를 DAF처리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슬러지가 제거된 깨끗한 재배수를 상기 콩나물 재배부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류 재배방법과 장치를 제시한다.
특허문헌 003은 콩나물 재배에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여 콩나물의 썩음 현상없이 계속 공급하여 재 사용하므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일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는 콩나물 재배 운반들과; 상기 콩나물 재배 운반들에 물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급수 설비관과; 상기 급수설비관을 통해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와;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급수설비관으로 퍼올려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를 콩나물의 급수를 위해 설정된 시간마다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콩나물 재배 운반들의 일측에 분사공급된 물을 수집하도록 설치되는 집수탱크와; 상기 집수탱크내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부구를 포함하는 수위 측정기구와; 상기 수위 측정기구로부터 부구가 상한 수위에 이르렀음이 검출되면 상기 집수탱크내의 물을 상기 급수탱크로 회수하도록 작동하는 물 회수 펌프와; 상기 물회수 펌프에 의해 회수되는 물이 상기 급수탱크 상단에서 낙하 배출되도록 상기 집수탱크와 급수탱크를 접속하는 물 회수관과,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 압축하여 분사하므로써 상기 급수탱크내의 물을 휘저어 교란시키며,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기포발생 및 분사용의 공기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4는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정화부내에서 물에 일정부분 잠긴 채 회전되는 정화통 내부의 웨이브형 걸름날개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흡착·제거되어 정화되게 함과 동시에 정화부 상부에는 재배부를 형성하여 통상의 콩나물 재배통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대한 공기정화기능과 재배되는 콩나물에 의한 정서적 안정효과와 더불어 습도조절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기를 갖는 습식공기정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함체형으로 되어 전면과 상면에 공기유출공을 갖는 전면덮개와 투시부를 갖는 상면덮개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의 내부공간을 정화부와 재배부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정화부에는 상부 물통과 하부물통으로 되는 물통의 상부물통에 일정부분 잠겨진 채로 흡입팬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와 감속기어를 거쳐 회전력을 전달받는 복수의 정화통을 지지대에 의해 감속기어와 함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정화통 내에는 웨이브형태로 만곡된 다수의 걸름날개를 설치하고, 상기 재배부에는 상기 하부물통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물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콩나물 재배통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를 갖는 습식공기정화기이다.
KR 10-0336612 B1 (2002년05월01일) KR 10-0367575 B1 (2002년12월26일) KR 10-2006-0106307 A (2006년10월12일) KR 20-0377593 Y1 (2005년02월23일)
본 발명은 콩나물을 연속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배양기 내부에 배양용기를 수용하며, 배양용기의 콩이 성장하여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내부에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1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관통홀(202)이 형성되는 배양용기(2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3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배양기, 배양용기, 집수용기, 살수노즐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110);,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배양기, 배양용기, 집수용기, 살수노즐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와 연통되며, 상기 배양기 외부로 형성되는 배수구(140);, 일측이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살수노즐에 결합되는 순환관(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배양기, 배양용기, 집수용기, 살수노즐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투입구와 결합되며, 배양용기가 침수되는 불림기(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배양기, 배양용기, 집수용기, 살수노즐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카메라(161);, 상기 배양기 외부에 형성되며, 카메라 정보 출력용 디스플레이(1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배양기, 배양용기, 집수용기, 살수노즐에 있어서, 일측이 투입구 외부로 형성되며, 중간측이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며, 타측이 배출구에 외부로 형성되며, 배양용기를 이송하는 이송장치(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집수용기의 배양수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배양기에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며, 배양용기 콩이 투입구로 진입하여 배양기 내부에서 성장한후 배출구로 자동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살수노즐과 집수용기를 연결하는 순환관을 형성하며, 순환관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양수를 순환시키며, 배양수는 순환관 내부 필터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낸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순환관 내부에 영양제공급장치를 형성하므로 일정한 주기로 배양수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순환관 내부에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콩나물 성장 촉진 최적온도로 배양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배양기 이전에 불림기, 세척기, 콩공급기를 형성하므로 자동으로 콩나물을 배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전체배치도
도 2는 본 발명 콩나물 연속 생산장치의 호퍼가 장착된 공급기
도 3은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 생산장치의 세척기
도 4는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 생산장치의 배양기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내부에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1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관통홀(202)이 형성되는 배양용기(2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300);,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줄기가 성장되지 않은 다수의 콩이 배양용기에 놓여진다. 배양용기는 배양기 내부에 놓여지며, 배양기 내부에서 살수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배양수에 의해 콩나물 콩이 성장한다. 배양수는 배양용기 관통공을 따라 집수용기에 포집된다. 살수노즐은 주기적으로 작동된다. 배양용기는 배양기 내부에서 이동된다. 배양기 내부에는 하나의 배양용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배양용기가 장착된다. 복수의 배양용기는 배양기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이며, 개방부 상대면은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면(201)을 포함한다.
배양용기는 콩이 위치되며, 콩 줄기가 성장하는 장소이다. 배양용기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며, 상대면(관통면)이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즉, 성장한 콩 줄기가 관통홀에 엉키어 줄기를 성장시키며, 또한 관통홀은 배양수를 집수용기로 배출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이며, 측면에 손잡이(203);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배양용기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형성한다. 손잡이 위치는 박스형상의 배양용기 측면에 위치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된는 것을 포함한다.
물(배양수)과 접촉되는 배양용기는 부식된다. 따라서, 부식 방지를 위해 배양용기는 스테인레스로 제작한다. 플라스틱으로 배양용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물과 접촉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상은 균등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311);, 상기 수위측정센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일정신호의 경우, 집수용기의 배양수 강제배출을 위한 배출밸브(312);, 배출밸브 제어용 제1제어기(313);를 포함한다.
배양기 하부에는 집수용기를 형성된다. 집수용기에 배양수가 과도하게 채워지는 경우, 배양수를 강제로 배출해야 된다. 이를 위해 집수용기에는 수위측정센서를 장착한다. 수위측정센서는 집수량을 계측하며, 계측된 집수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배출밸브가 작동되어 배양수를 강제 배출한다. 제1제어기는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배출밸브 제어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110);,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콩나물을 연속 생산하는 자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복수의 배양용기에 콩을 투입한 후, 콩은 배양기 내부에서 줄기를 성장시킨다. 즉, 배양용기는 복수로 형성되어 연속적이며, 순차적으로 배양기 내부에 투입되고 배출되어야 한다. 배양기는 콩이 수용된 배양용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형성하며, 줄기가 성장된 콩나물이 수용된 배양용기를 배출용 배출구를 형성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 형성되며, 배양용기 진입시 개방되는 투입도어(111);,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며, 배양용기 토출시 개방되는 배출도어(121);를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과정 중 배양기 내부는 외부광원을 완전히 차단해야 된다. 상기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는 배양기 외부에 형성되어 배양기 내부와 개폐된다.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 폐쇄 시, 배양기 내부는 외부광원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131);, 상기 개폐감지센서의 개방신호에 의해 상시 살수노즐 개방을 차단하는 차단밸브(132);, 상기 개폐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단밸브의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제2제어기(133);를 포함한다.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 개방시 살수노즐이 작동되면, 배양기 외부로 배양수가 유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 작동시에는 살수노즐을 차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배양기에는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의 개방 감지용 개방감지센서를 장착한다. 개방감지센서의 작동시에는 차단밸브가 살수노즐을 폐쇄하여 배양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며, 이는 제2제어기에 의해 작동된다. 즉, 제2제어기는 개폐감지센선 신호를 감지하며, 차단밸브를 제어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리미트스위치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감지센서는 접근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며, 이와 균등한 대상이 포함된다. 또한, 차단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며, 이와 균등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와 연통되며, 상기 배양기 외부로 형성되는 배수구(140);, 일측이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살수노즐에 결합되는 순환관(500);을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용 배양수가 외부로부터 무한 공급되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배양수는 순환되어야 한다. 배양수 순환을 위해 순환관 일측은 살수노즐에 결합되며, 타측은 집수용기에 연결된다. 배양수는 집수용기, 살수노즐,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다. 순환관은 집수용기에 형성된 배수구와 결합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는 펌프(510);,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는 필터(520);를 포함한다.
집수용기 배양수에는 이물질 및 콩나물 줄기 잔뿌리를 포함한다. 상기 잔뿌리 및 이물질은 순환관을 폐쇄시킨다. 순환관 폐쇄방지를 위해 순환관에는 필터를 장착한다. 필터는 배양수 내의 이물질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집수용기는 배양기 하부에 위치하며, 살수노즐은 배양기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두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배양수의 자연순환이 불가능하다. 배양수 순환을 위해 펌프를 장착하여 외부동력으로 배양수를 순환시킨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는 영양제공급장치(530);를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촉진 및 영양가 있는 콩나물 재배를 위해, 배양수에는 영양분을 공급한다. 영양분 공급을 위해 순환관에는 영양제공급장치를 장착한다. 영양제공급장치는 카트리지로 형성되어, 일정량의 영양제가 카트리지에서 순환관으로 공급된다. 카트리지는 영양제 소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을 형성한다. 감지수단은 투명관을 형성하거나, 센서에 의해 외부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즉, 카트리지의 영양제가 어느 정도 소모된 경우, 영양제가 완충된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영양제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며, 배양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540);를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은 배양수 온도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배양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를 위해 순환관에는 온도조절장치를 장착한다. 온도조절장치는 순환관에 유동되는 배양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 및 온도 조절용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 및 냉각장치는 열선 또는 텔티어소자 등을 사용하며, 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모든 수단이 균등대상으로 적용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배수구에 형성되며,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며, 중간측에 드레인밸브(151)가 형성되는 드레인장치(150)를 포함한다.
배양기는 주기적인 세척 및 수리 해야 된다. 세척 및 수리작업 시, 집수용기 내부 배양수가 완전 배출되어야 한다. 이는 집수용기 배수구에 형성된 드레인 밸브의 개방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의 바닥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일측에는 상기 배수구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집수용기 바닥면은 배양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는 중력에 의해 배양수가 일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투입구와 결합되며, 배양용기가 침수되는 불림기(610);를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촉진을 위해 배양기 투입전 일정시간 불려야 한다. 이는 상기 투입구에 설치된 불림기로 이루어진다. 불림기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배양수를 수용한다. 콩을 수용하는 배양용기가 불림기 내부로 침수되어 일정시간 경과 후 배양기에 투입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불림기 타측에 결합되며, 세척노즐에 의해 배양용기 콩을 세척하는 세척기(620);를 포함한다.
배양기 내부로 콩이 진입되기 이전에 콩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된다. 이물질 제거는 세척기에서 이루어진다. 세척기는 세척노즐을 형성하며, 세척노즐은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한다. 분사된 세척수는 콩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일측은 배양용기를 공급하며, 타측은 상기 세척기와 결합되며, 상면은 콩 공급용 호퍼(631)가 형성되는 공급기(6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콩의 자동공급을 제시한다. 자동긍급은 공급기로부터 이루어진다. 공급기 일측에는 다수의 배양용기를 준비시켜 순차적으로 배용용기를 공급기로 공급한다. 공급된 배양용기는 자동으로 콩을 수용해야 된다. 이는 배양용기 상면에 형성된 호퍼로부터 이루어진다. 호퍼를 통해 배양용기로 투입되는 콩의 량은 정량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호퍼에는 계량용 밸브를 장착한다. 계량용 밸브는 일정량의 콩을 투입시킨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카메라(161);, 상기 배양기 외부에 형성되며, 카메라 정보 출력용 디스플레이(162);를 포함한다.
배양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콩의 성장을 판단하기 위해 배양기 내부에 카메라를장착하며, 배양기 외부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한다.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시간으로 콩나물 성장과정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촉진을 위해 배양기 내부는 외부광원을 완전히 차단해야 된다. 카메라를 이용한 시야 확보를 위해 라이트를 켤 수 없다. 어두운 환경에서 배양기 내부관찰을 위해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내부에 위치하며, 콩나물 크기 측정을 위해 크기감지센서(171):를 포함한다.
콩나물 성장을 관찰하기 위해 배양기 내부에는 크기감지센서를 장착한다. 크기감지센서는 접근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며, 이와 균등한 대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센서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센서작동 시 배양수 공급을 차단한다. 즉, 센서작동은 살수노즐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으며, 센서신호의 수치가 일정한계 이상에서만 작동되는 알람장치(172) 및/또는 표시장치(173)를 포함한다. 상기 알람장치는 부저 또는 램프로 이루어지며, 이와 균등한 목적과 효과 달성용 장치는 균등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에 형성되며, 개폐가능 한 관측도어(181)를 포함한다.
상기 관측도어는 재배자가 배양기 내부를 관찰하는 것이다. 상기 관측도어는 실링 처리되어 내부 배양수가 외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관측도어는 개폐감지센서(182)를 장착하여 개폐감지센서 개방시 살수노즐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살수노즐정지는 개폐감지센서에 장착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작동되는 살수노즐개폐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일측이 투입구 외부로 형성되며, 중간측이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며, 타측이 배출구에 외부로 형성되며, 배양용기를 이송하는 이송장치(700);를 포함한다.
배양기 내부에는 다수의 배양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배양용기는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송장치를 장착한다. 이송장치는 배양기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배양기 일측에서 배양용기가 공급되며, 배양기 내부에서 콩나물 줄기가 성장한 후, 성장된 콩나물이 배양기 타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송장치는 배양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며, 배양기 내부를 통과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콘베이어 장치를 이용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콩나물 연속생산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며, 이송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701)로 형성되며, 전동모터는 감속기(702)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저속으로 구동된다. 이는 콩나물 줄기 성장속도에 따라 가변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으로 전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동모터의 저속회전을 위해 감속기를 장착한다. 상기 전동모터는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100 : 배양기 110 : 투입구
111 : 투입도어 120 : 배출구
121 : 배출도어 131 : 개폐감지센서
132 : 차단밸브 133 : 제2제어기
140 : 배수구 150 : 드레인장치
151 : 드레인밸브 161 : 카메라
162 : 디스플레이 171 : 크기감지센서
172 : 알람장치 173 : 표시장치
181 : 관측도어 182 : 개폐감지센서
200 : 배양용기 201 : 관통면
202 : 관통홀 203 : 손잡이
300 : 집수용기 311 : 수위측정센서
312 : 배출밸브 313 : 제1제어기
400 : 살수노즐 500 : 순환관
510 : 펌프 520 : 필터
530 : 영양제공급장치 540 : 온도조절장치
610 : 불림기 620 : 세척기
630 : 공급기 631 : 호퍼
700 : 이송장치 701 : 전동모터
702 : 감속기

Claims (6)

  1. 콩나물 연속생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양공간(S1)을 형성하는 배양기(1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관통홀(202)이 형성되는 배양용기(2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수용되며, 배양용기 하부에 위치되는 집수용기(300);,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살수노즐(400);,
    상기 배양기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진입되는 투입구(110);,
    상기 배양기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양용기가 토출되는 배출구(120);,
    일측이 투입구 외부로 형성되며, 중간측이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며, 타측이 배출구에 외부로 형성되며, 배양용기를 이송하는 이송장치(700);,
    상기 투입구에 형성되며, 배양용기 진입시 개방되는 투입도어(111);,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며, 배양용기 토출시 개방되는 배출도어(121);,
    상기 투입도어 및 배출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131);,
    상기 개폐감지센서의 개방신호에 의해 상시 살수노즐 개방을 차단하는 차단밸브(132);,
    상기 개폐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단밸브의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제2제어기(133);,
    상기 집수용기와 연통되며, 상기 배양기 외부로 형성되는 배수구(140);,
    일측이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살수노즐에 결합되는 순환관(500);,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며,영양제 소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형성된 카트리지 형태의 영양제공급장치(530);,
    상기 배양기 내부에 위치하며, 콩나물 크기를 측정하는 크기감지센서(171);,
    상기 크기감지센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으며, 센서신호의 수치가 일정한계 이상에서만 작동되는 알람장치(172) 및/또는 표시장치(173);를 포함하는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투입구와 결합되며, 배양용기가 침수되는 불림기(610);를 포함하는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내부에 형성되는 카메라(161);,
    상기 배양기 외부에 형성되며, 카메라 정보 출력용 디스플레이(162);를 포함하는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6. 삭제
KR1020170056310A 2017-05-02 2017-05-02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KR10190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0A KR101905107B1 (ko) 2017-05-02 2017-05-02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0A KR101905107B1 (ko) 2017-05-02 2017-05-02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107B1 true KR101905107B1 (ko) 2018-10-05

Family

ID=6387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10A KR101905107B1 (ko) 2017-05-02 2017-05-02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63B1 (ko) * 2019-03-29 2020-06-11 이해영 지하 식물 재배 설비
KR20210096340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이소닉스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2851A (ja) * 2011-01-24 2014-02-06 ビーエーエスエフ プラント サイエンス カンパ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植物の成長状態を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2851A (ja) * 2011-01-24 2014-02-06 ビーエーエスエフ プラント サイエンス カンパ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植物の成長状態を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63B1 (ko) * 2019-03-29 2020-06-11 이해영 지하 식물 재배 설비
KR20210096340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이소닉스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KR102382290B1 (ko) * 2020-01-28 2022-04-04 주식회사 이소닉스 콩나물을 생산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89B1 (ko) 미생물 배양장치
KR101905107B1 (ko) 콩나물 연속생산장치
JP6256975B2 (ja) 液肥の給液装置及び給液方法
CN206851769U (zh) 一种鲟鱼养殖池
CN102669018A (zh) 一种水生物养殖的水环境监控系统
KR101639413B1 (ko) 미생물 자동 공급부를 갖는 미생물 배양기
CN112394653B (zh) 一种养殖水线智能清洗控制系统
CN110235769A (zh) 一种鱼菜共生系统中的蔬菜营养液补给装置
KR101701394B1 (ko) 배액 측정장치
CN210900631U (zh) 一种环境及水肥智能控制装置
CN206674708U (zh) 一种试验用水生植物培育装置
CN216931297U (zh) 一种自动补光和智能化灌溉的水培装置
JP2000084587A (ja) 自動培養式汚水浄化装置
CN215454280U (zh) 一种园林绿化用的幼苗供液培养设备
CN109576133A (zh) 一种微生物菌剂培养装置及培养方法
CN210604043U (zh) 一种规模化养殖水质采样器
CN209120892U (zh) 一种工厂化nft栽培系统
CN112108442A (zh) 一种清洗装置及智能清洗消毒净化系统
CN210352749U (zh) 一种立体式水产养殖系统
CN112336281A (zh) 一种智能清洗消毒净化系统及清洗消毒净化方法
CN112889735A (zh) 一种花草与观赏鱼生态养护管理系统及方法
CN111467538A (zh) 一种育苗盘消毒装置及其消毒方法
CN206260582U (zh) 一种渔业养殖水净化循环系统
CN216313987U (zh) 一种农业土壤施肥用滴灌装置
CN220370211U (zh) 一种生物安保滴灌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