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09B1 -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109B1
KR102382109B1 KR1020190080985A KR20190080985A KR102382109B1 KR 102382109 B1 KR102382109 B1 KR 102382109B1 KR 1020190080985 A KR1020190080985 A KR 1020190080985A KR 20190080985 A KR20190080985 A KR 20190080985A KR 102382109 B1 KR102382109 B1 KR 10238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tonomous
autonomous driving
shar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765A (ko
Inventor
황민하
정태호
박희창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1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율주행모듈(141)에 의해 자율주행이 수행되고, 위치측정센서(123)에 의해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와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센싱모듈(142); 및 센싱모듈(142)의 분석 결과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공기정화기(165)를 제어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 그리고 전동식 차량도어 제어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오픈과 이후 클로즈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한 뒤, 자외선 살균부(166)를 가동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를 자외선 살균하도록 제어하는 소독수행모듈(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 공유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통해 자율주행이 상용화되면 별도의 주차장이 필요 없어지고, 자율주행차량이 알아서 한적한 곳에 주차하다가 차량 공유자가 호출하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제공될 것이므로, 자율주행차량에 관리, 특히 청결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Self-driving vehicle cleanliness management system, autonomous vehicle apparatus}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공유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통해 자율주행이 상용화되면 별도의 주차장이 필요 없어지고, 자율주행차량이 알아서 한적한 곳에 주차하다가 차량 공유자가 호출하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제공될 것이므로, 자율주행차량에 관리, 특히 청결을 관리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차량은 각종 주행 수단에 내장되어 주행 위치 탐색을 통해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장치에 해당하는 차량 단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율주행장치는 주로 선박, 항공기 등에 적용되다가, 최근 들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예를 들면, 주행 경로, 도로 혼잡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스스로 차량을 운전하거나 주행 상태를 제어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의 경우, 주행 환경(예를 들면, 전방 차량 인식, 장애물 검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행 환경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응급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많은 데이터량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율주행을 활용한 기술로 배달분야에도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달전문 애플리케이션(앱)에서는 음식배달 로봇 시제품을 완성했으며, 주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로봇에서 위치 추정 센서와 장애물 감지 센서가 탑재되어 보관함에 음식을 담아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까지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이나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가 점점 현실에 가까워지는 가운데 거대 온라인 슈퍼마켓 업체에서도 식료품 같은 생활 용품을 배달할 수 있는 자율 주행 배달 차량을 선보였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이 앞으로 보급되는 경우, 차량공유서비스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에서 자율주행 수행에 따라 차량 공유자는 자유로움이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차량 공유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통해 자율주행이 상용화되면 별도의 주차장이 필요 없어지고, 자율주행차량이 알아서 한적한 곳에 주차하다가 차량 공유자가 호출하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제공될 것이므로, 자율주행차량에 관리, 특히 청결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4940호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NTERWORKING VIRTUAL ACCOUNT USING SELF-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공유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통해 자율주행이 상용화되면 별도의 주차장이 필요 없어지고, 자율주행차량이 알아서 한적한 곳에 주차하다가 차량 공유자가 호출하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제공될 것이므로, 자율주행차량에 관리, 특히 청결을 관리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상태인 공기질, 쓰레기 방치 여부 등에 대한 정보와 자체적인 자율주행차량의 공기청정기 가동, 자외선 살균기 가동 등의 관리 상태를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자에게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이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전 차량 공유자가 자율주행차량 내부에 쓰레기를 방치하는 경우, 현재 차량 공유자에게 쓰레기의 수거를 유도하고 쓰레기를 수거시 다음의 자율주행차량 이용시에 이용료를 감면해줌으로써, 자율주행 기반에서 자체적인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자율주행모듈(141)에 의해 자율주행이 수행되고, 위치측정센서(123)에 의해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와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센싱모듈(142); 및 센싱모듈(142)의 분석 결과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공기정화기(165)를 제어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 그리고 전동식 차량도어 제어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오픈과 이후 클로즈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한 뒤, 자외선 살균부(166)를 가동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를 자외선 살균하도록 제어하는 소독수행모듈(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센싱모듈(142)의 요청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청색광을 점멸하여 실내에 자외선 살균이 수행되고 있음을 외부의 차량 공유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상태정보 출력모듈(14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센싱모듈(142)은, 자외선 살균부(165)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외선 살균이 완료되면, CO2 센서(125),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센서(126)를 통해 CO2 농도,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뒤, 측정된 CO2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치 농도 이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경고 아이콘 또는 색상(적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은, 임계치 농도 미만인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안심 아이콘 또는 색상(초록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센싱모듈(142)은, 내부 카메라(12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10)의 좌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놓인 객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여, 이전 차량 공유자에 의한 자율주행차량(10) 내부에 쓰레기를 놓고 내린 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객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차량 공유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통해 자율주행이 상용화되면 별도의 주차장이 필요 없어지고, 자율주행차량이 알아서 한적한 곳에 주차하다가 차량 공유자가 호출하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제공될 것이므로, 자율주행차량에 관리, 특히 청결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상태인 공기질, 쓰레기 방치 여부 등에 대한 정보와 자체적인 자율주행차량의 공기청정기 가동, 자외선 살균기 가동 등의 관리 상태를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자에게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이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이전 차량 공유자가 자율주행차량 내부에 쓰레기를 방치하는 경우, 현재 차량 공유자에게 쓰레기의 수거를 유도하고 쓰레기를 수거시 다음의 자율주행차량 이용시에 이용료를 감면해줌으로써, 자율주행 기반에서 자체적인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청결 관리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은 자율주행차량(10),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자율주행차량(10)에 설치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 네트워크(200),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함으로써,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에 회원으로 가입한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가 예약한 자율주행차량(10)을 호출하는 경우,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차량 공유자에게 가까이 근접하는 경우 차량 공유자가 자외선 소독 또는 환기를 포함한 실내 크리닝을 수행하고, 실내 크리닝의 과정을 자율주행차량(10)에 설치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차량 공유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자율주행차량 장치(100),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1)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청결 관리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센싱부(120), 내부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구동부(160) 및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11)과,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4방향 외부 카메라(121)와 내부 카메라(122), 위치측정센서(123), 라이다(124), CO2 센서(125),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센서(126), 압력센서(1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카메라(122)는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천정 또는 네 곳의 모서리에 각기 형성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 내부의 영상을 자율주행차량(10)의 배터리를 활용한 상시전원으로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내부 영상정보를 제공하며,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10) 내부에 객체에 대한 인식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부 디스플레이(130)는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 디스플레이(130)는 자율주행차량(10)의 대쉬보드에 HUD 형태로 형성되거나, 대쉬보드 상부면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범위내에 형성되어 힌지와 회전 장치를 통해 운전자를 향하는 차량 내부 방향이나 차량 외부를 향하는 차량 외부 방향으로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거나, 룸 미러의 배면에 형성되어 힌지와 회전 장치를 통해 운전자를 향하는 차량 내부 방향이나 차량 외부를 향하는 차량 외부 방향으로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자율주행차량(10)의 상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자율주행모듈(141), 센싱모듈(142), 소독수행모듈(143), 상태정보 출력모듈(144) 및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듈(141)은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의 경로정보 안내와 자신의 자체적인 센싱부(120)를 외부 카메라(121)와 내부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되는 객체 인식 그리고, 라이다(124)에 의해 각 객체간의 거리정보를 기준으로 구동부(160)를 제어함으로써,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에 따른 경로 및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받고, 자율주행 차량(10)에 구성되는 센싱부(120)를 구성하는 4방향 외부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경로인 목적지로 향하도록 구동부(160)를 구성하는 조향장치인 조향 핸들, 그리고 가속 페달 및 제동 페달에 대한 자율주행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의 자율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는 사전에 자율주행차량(10)을 예약한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된 차량 공유자의 지문정보 또는 안면인식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지문정보 및 안면인식정보를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후, 자율주행 모듈(321)은 사전에 자율주행차량(10)을 예약한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의한 차량 공유자를 태우기 위한 출발지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자율주행 방식으로 운전하여 도달한 뒤,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에 형성된 지문인식장치에 인식된 지문정보 또는 내부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안면인식정보를 수신한 뒤,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지문정보 또는 안면인식정보와 비교를 통해 일치하는 경우,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로 차량 도어 오픈(open) 및 시동 스타트 명령을 제공함으로써,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에 대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공유를 허여하도록 할 수 있다.
센싱모듈(142)은 자율주행모듈(141)에 의해 자율주행이 수행되고, 위치측정센서(123)에 의해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와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센싱모듈(142)은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소독수행모듈(143)로 통지를 통해 소독수행모듈(143)에 의해 공기정화기(165)를 제어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 전동식 차량도어 제어부(미도시)를 제어하여 도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오픈과 이후 클로즈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한 뒤, 자외선 살균부(166)를 가동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를 자외선 살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센싱모듈(142)은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에 의해 외부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청색광을 점멸함으로써, 실내에 자외선 살균이 수행되고 있음을 외부의 차량 공유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센싱모듈(142)은 자외선 살균부(165)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외선 살균이 완료되면, CO2 센서(125),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센서(126)를 통해 CO2 농도,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뒤, 측정된 CO2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치 농도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경고 아이콘(도 3a 및 도 3c 참조) 또는 색상(예, 적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임계치 농도 미만인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안심 아이콘 또는 색상(예, 초록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모듈(142)은 내부 카메라(12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10)의 좌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놓인 객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이전 차량 공유자에 의한 자율주행차량(10) 내부에 쓰레기를 놓고 내린 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객체에 대한 인식시,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쓰레기 경고 아이콘(도 3b 및 도 3c 참조) 또는 색상(예, 흑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객체에 대한 인식을 못하는 경우,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쓰레기 안심 아이콘 또는 색상(예, 흰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센싱모듈(142)에 의해 차량 공유자가 자율주행차량(10)에 탑승하는 것을 압력센서(127)로부터 인식하는 경우, 센싱모듈(142)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과, 내부 쓰레기 상태를 도 4a와 같이 현재의 내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내부의 공기질이 미리 설정된 농도 임계치 이상이거나, 내부에 쓰레기가 방치된 경우,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된 내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배경 화면에 안개가 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센싱모듈(142)에 의해 실시간으로 공기질의 미리 설정된 공기질 이하인지 여부, 내부 쓰레기 방치 여부가 수신되므로, 자율주행차량(10)의 차량 공유자에 의한 수동에 의한 공기정화기(165)를 제어하여 내부 공기의 정화 또는 자외선 살균부(166)를 가동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를 자외선 살균 수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공기질 이상이고, 내부 쓰레기가 제거되는 경우, 도 4b와 같이 내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 미리 설정된 배경 화면에 안개가 낀 영상에서 안개를 제거한 맑은 배경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자에 의해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내부 디스플레이(130)로 차량 공유자가 미리 설정한 카모지 캐릭터를 출력하여, 공기질과 내부 쓰레기에 대한 차량 공유자의 자체 크리닝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쓰레기가 있는 경우,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도 5a와 같이 차량 공유자의 위치정보와 쓰레기의 위치정보를 내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하고, 활짝 웃는 카모지 캐릭터를 통해 쓰레기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센싱모듈(142)에 의해 쓰레기가 제거되는 것을 내부 카메라(122)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 도 5a에서 도 5b와 같이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포함한 내부 디스플레이(130) 화면의 색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인식된 물건이 놓인 위치를 물건 아이콘 대신 대체된 아이콘인 전구 아이콘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차량 공유자의 흥미도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내부 디스플레이(130)로 출력시 현재의 차량 공유자의 목적지에 도달하면, 도 6a와 같은 시무룩한 표정의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내부 디스플레이(130)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가 출력함으로써, 쓰레기를 갖고 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로부터 쓰레기가 잘못된 물건 인식임을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2)을 통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6b와 같이 질문을 출력함으로써, 오류를 수정할 수 있고 수정된 오류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 내부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모듈(111)을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400)에 의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에 따라 오류가 수정되고 수정된 오류가 프로그램 업데이트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145)은 차량 공유자가 자율주행차량(10) 내부의 쓰레기를 수거하여 내리는 것을 내부 카메라(12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10) 내부의 좌석 상부에 놓인 객체가 차량 공유자가 탑승 이전에는 감지되고 차량 공유자가 하차시에는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전과 후의 비교 영상을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는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단말식별번호와 탑승전과 후의 비교 영상을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한 뒤, 비교 영상을 통해 차량 공유자가 쓰레기를 수거했음을 관리자 또는 자동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경우,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의 다음 자율주행차량(10) 요금에 대한 할인을 위한 포인트를 제공하여 빅데이터 서버(40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10 : 자율주행차량
20 :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
100 : 자율주행차량 단말
110 : 송수신부
120 : 센싱부
130 : 내부 디스플레이
140 : 제어부
141 : 자율주행모듈
142 : 센싱모듈
143 : 소독수행모듈
144 : 상태정보 출력모듈
145 : 실내 크리닝 유도 모듈
150 : 저장부
160 : 구동부
170 : 외부 디스플레이
200 : 네트워크
300 :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
4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5)

  1. 자율주행모듈(141)에 의해 자율주행이 수행되고, 위치측정센서(123)에 의해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자율주행 기반 청결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 뒤,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정보와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센싱모듈(142);
    센싱모듈(142)의 분석 결과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공기정화기(165)를 제어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 그리고 전동식 차량도어 제어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미리 설정된 시간 오픈과 이후 클로즈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한 뒤, 자외선 살균부(166)를 가동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를 자외선 살균하도록 제어하는 소독수행모듈(143); 및
    센싱모듈(142)의 요청에 따라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청색광을 점멸하여 실내에 자외선 살균이 수행되고 있음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상태정보 출력모듈(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모듈(142)은,
    자외선 살균부(165)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자외선 살균이 완료되면, CO2 센서(125),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센서(126)를 통해 CO2 농도,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뒤, 측정된 CO2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임계치 농도 이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경고 아이콘 또는 색상(적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태정보 출력모듈(144)은,
    임계치 농도 미만인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안심 아이콘 또는 색상(초록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 장치.
KR1020190080985A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KR10238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85A KR102382109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85A KR102382109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65A KR20210005765A (ko) 2021-01-15
KR102382109B1 true KR102382109B1 (ko) 2022-04-04

Family

ID=7412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985A KR102382109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30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에어딥 공기질 분석을 이용한 숙박 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8618B1 (ko) 2021-04-07 2022-01-07 주식회사 알티데이터랩 공기질 분석을 이용한 공유형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476622A (zh) * 2021-06-23 2021-10-08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杀菌功能的系统及方法
CN113476623A (zh) * 2021-06-23 2021-10-08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利用紫外线杀菌灯对车内进行杀菌消毒的系统及方法
JP7469263B2 (ja) * 2021-07-26 2024-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除菌制御装置及び車載除菌制御システム
KR20230042913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에어딥 공기질 분석을 이용한 공동 주택 관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48670A1 (en) * 2021-09-23 2023-03-30 Odabasi Kerem A vehicle clean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9273A1 (en) * 2010-10-08 2012-04-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xtern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full glass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327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 환기 장치
KR101640093B1 (ko) * 2014-12-09 2016-07-18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자외선 살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5038A (ko) * 2015-12-22 2017-07-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9273A1 (en) * 2010-10-08 2012-04-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xtern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full glass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65A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109B1 (ko)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JP6720415B2 (ja) 自律走行車のための帯域幅制約画像処理
CN111190418B (zh) 使用多维包络调整运载工具的横向间隙
CN109808709B (zh) 车辆行驶保障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613792B1 (ko)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180039977A (ko) 공항용 보조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304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 risk of a collision of a motor vehicle with an object
CN109878516A (zh) 车辆之间的间隙的监测和调整
US202002639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moving body
US202104068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363212B2 (en) Exposure control device, exposure control method, program, imaging device, and mobile body
WO2020031695A1 (ja) 情報処理装置、移動体、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09089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9045364A (ja) 情報処理装置、自己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07076A1 (en) Server implementing automatic remote control of moving conveyance and method of automatic remote control of moving conveyance
KR102303412B1 (ko) 자율주행차량의 가상 조향 핸들 제공 시스템
JP7462837B2 (ja) 低信頼度の物体検出条件における車両動作のための注釈及びマッピング
KR20180038884A (ko) 공항 로봇 및 그를 포함하는 공항 로봇 시스템
KR102303422B1 (ko) 자율성 극대화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율성 제공 서버
KR102452379B1 (ko) 자체 세정 도어 핸들
JP2023520761A (ja) スマートフォンとジェスチャ入力を介する車両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
KR102235274B1 (ko) 자율주행차량 기반의 추월 우선권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단말
KR20210005419A (ko)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주차타워 제어 시스템, 그리고 자율주행 기반 주차타워 제어 서버
CN114938674A (zh) 基于活动来对感知对象进行分类
KR102303410B1 (ko)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