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410B1 -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410B1
KR102303410B1 KR1020190080851A KR20190080851A KR102303410B1 KR 102303410 B1 KR102303410 B1 KR 102303410B1 KR 1020190080851 A KR1020190080851 A KR 1020190080851A KR 20190080851 A KR20190080851 A KR 20190080851A KR 102303410 B1 KR102303410 B1 KR 10230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arer
camoji
autonomous
autonomou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411A (ko
Inventor
박소진
장시현
육근아
이다희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60K237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공유자가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자율주행차량(10)에 형성되어 자율주행을 제공하며, 전면 디스플레이(430)에서 제공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설정한 카이모티콘(이하, "카모지")를 출력하여, 차량 공유자와의 챗봇을 통한 대화, 탑승자 모니터링, 차량 내부 청소 유도, 탑승자 반겨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자율주행차량 단말(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공유되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돌아가는 고객에게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CAR-MOJI PROVIDING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CAR-MOJI PROVIDING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유되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돌아가는 고객에게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차량은 각종 주행 수단에 내장되어 주행 위치 탐색을 통해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장치에 해당하는 차량 단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율주행장치는 주로 선박, 항공기 등에 적용되다가, 최근 들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예를 들면, 주행 경로, 도로 혼잡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스스로 차량을 운전하거나 주행 상태를 제어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의 경우, 주행 환경(예를 들면, 전방 차량 인식, 장애물 검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행 환경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응급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많은 데이터량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이 앞으로 보급되는 경우, 차량공유서비스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자율주행차량을 공유하는 차량 공유자가 휴지 등과 같은 쓰레기를 남겨놓고 떠나는 경우 비도덕적 행위로 주위 사람들에게 창피함을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줌으로써, 공유 차량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4940호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NTERWORKING VIRTUAL ACCOUNT USING SELF-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되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돌아가는 고객에게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덕적 행위와 소지품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모션을 동반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지품을 두고 내리거나 쓰레기를 두고 내릴 시 전면 디스플레이에 물건의 위치를 표시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이용자가 소지품에 더욱 주의를 가지도록 유도하되, 고객이 선택한 캐릭터를 통해 불쾌감 감소와 서비스 만족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은, 차량 공유자가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자율주행차량(10)에 형성되어 자율주행을 제공하며, 전면 디스플레이(430)에서 제공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설정한 카이모티콘(이하, "카모지")를 출력하여, 차량 공유자와의 챗봇을 통한 대화, 탑승자 모니터링, 차량 내부 청소 유도, 탑승자 반겨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자율주행차량 단말(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카메라(421)를 통해 차량 공유자가 물건을 놓고 내리는 것을 영상 인식으로 감지하여 위치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물건을 놓고 내리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차량 도어락을 클로즈 상태로 제어하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통해 갖고 내리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영상 인식으로 인식하지 못한 물건이 나중에 카메라(421)에 의해 발견된 경우,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배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배달에 따라 차량 공유자에게 근접하는 경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가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출력되어 차량 공유자를 환영하고 차량 공유자가 자신에 대한 것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는, 공유되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돌아가는 고객에게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은, 도덕적 행위와 소지품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모션을 동반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은, 소지품을 두고 내리거나 쓰레기를 두고 내릴 시 전면 디스플레이에 물건의 위치를 표시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이용자가 소지품에 더욱 주의를 가지도록 유도하되, 고객이 선택한 캐릭터를 통해 불쾌감 감소와 서비스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에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전면 디스플레이(430)를 통해 카모지 제공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카모지(CAR-MOJI)는 감정 그림 문자에 해당하는 이모지(Emoji)와 자율주행차량을 나타내는 Car를 합친 문자로 자율주행차량에 사용되는 이모지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은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카모지 제공 서버(300), 자율주행차량 단말(40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의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전면 디스플레이(430)에서 제공하는 카이모티콘(이하, "카모지")를 출력함으로써, 차량 공유자와의 챗봇을 통한 대화, 탑승자 모니터링, 차량 내부 청소 유도, 탑승자 반겨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사전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차량 공유 신청을 하고 자신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등록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카모지 제공 서버(300), 자율주행차량 단말(400), 빅데이터 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에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전면 디스플레이(430)를 통해 카모지 제공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송수신부(410), 센싱부(420), 전면 디스플레이(430), 제어부(440), 저장부(450) 및 구동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4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411)과,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20)는 카메라(421), 압력센서(422)를 포함하며, 카메라(421)는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의 천정 또는 네 곳의 모서리에 각기 형성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 내부의 영상을 자율주행차량(10)의 배터리를 활용한 상시전원으로 촬영하여 제어부(420)로 내부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430)는 자율주행차량(10)의 대쉬보드에 HUD 형태로 형성되거나, 대쉬보드 상부면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범위내에 형성되어 힌지와 회전 장치를 통해 운전자를 향하는 차량 내부 방향이나 차량 외부를 향하는 차량 외부 방향으로 제어부(440)에 의해 제어되거나, 룸 미러의 배면에 형성되어 힌지와 회전 장치를 통해 운전자를 향하는 차량 내부 방향이나 차량 외부를 향하는 차량 외부 방향으로 제어부(44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자율주행차량(10)의 상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5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60)는 차량 전면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모듈(461)과, 전동 사이드미러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모듈(462), 그 밖에 차량 시동 장치(463), 차량 도어락(46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40)는 설정 모듈(441), 센싱 모듈(442), 정보 제공 모듈(443) 및 구동 기반 메시지 제공 모듈(4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4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1) 및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설정 모듈(441)은 차량 공유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2)을 제어한 뒤, 차량 공유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카모지 캐릭터에 대한 선택 정보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로 액세스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카모지 캐릭터 정보를 수신한 뒤, 차량 공유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복수의 카모지 캐릭터 정보를 제공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2)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설정 모듈(441)은 복수의 카모지 캐릭터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차량 공유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모지 캐릭터 선택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저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 정보인 환영, 우울함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플래시 영상 등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모듈(411)을 제어한 뒤, 수신된 카모지 캐릭터 정보를 저장부(4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공유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자율주행차량(10)의 차량 공유자는 선택한 카모지 캐릭터를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의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받음으로써, 불쾌감은 감소시키면서 서비스 만족도는 증가될 수 있다.
센싱 모듈(442)은 구동부(460) 중 차량 시동 장치(463)에 의한 시동이 꺼지고, 카메라(421)를 통해 좌석에서 마지막 탑승자가 내리려고 하는 것이 감지되거나 각 차량시트에 형성된 압력센서(422)에 의해 마지막 탑승자가 내리려고 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421)를 통해 차량 시트 상부에 놓인 물건에 대한 인식을 통해 두고 내리는 물건에 대한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443)은 탐지된 물건에 대해서 물건의 위치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도 3과 같은 방식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구동부(460)를 이루는 차량 도어락(464)을 클로즈(Close)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모듈(443)은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함과 동시에 갖고 내리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와 일체로 형성된 음향 출력부(43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탑승객이 물건을 가지고 내리도록 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시 정보 제공 모듈(443)은 도 4a에서 도 4b로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가 활짝 웃는 표정으로 변하면서 각 좌석시트 중 인식된 물건이 놓인 위치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전면 디스플레이(430)는 출력시 정보 제공 모듈(443)에 의해 차량 내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443)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인식된 물건이 수거됨을 카메라(421)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 도 4c와 같이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포함한 전면 디스플레이(430) 화면의 색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인식된 물건이 놓인 위치를 물건 아이콘 대신 대체된 아이콘인 전구 아이콘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탑승객의 흥미도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 제공 모듈(443)은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시 도 5a와 같은 시무룩한 표정의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표현할 수도 있으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가 출력된 뒤 차량 운전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잘못된 물건 인식임을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2)을 통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5b와 같이 질문을 출력함으로써, 오류를 수정할 수 있고 수정된 오류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 내부 촬영영상을 빅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모듈(411)을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500)에 의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에 따라 오류가 수정되고 수정된 오류가 프로그램 업데이트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모듈(443)은 센싱 모듈(442)에 의해 탐지된 물건에도 불구하고 탑승객에 의해 구동부(460)를 이루는 차량 도어락(464)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에 대해서 클로즈(Close) 상태에 대한 강제 풀린 버튼을 활용해 풀고 차량이 내림이 인지된 경우,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갖고 있는 차량 소유자의 위치 정보를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GPS 수신장치 등의 위치 정보 제공 모듈에 의해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으로 수신된 것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모듈(41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모듈(443)은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자율주행 제어를 통해 차량 소유자의 위치로 자율주행차량(10)이 도달하면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해서 차량 시동 장치(463)의 시동 오프(OFF)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모듈(443)은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자율주행에 따라 근접하는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함과 동시에 갖고 내리지 않은 물건이 있다는 안내 메시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와 일체로 형성된 음향 출력부(43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탑승객이 물건을 가지고 내리도록 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430)는 정보 제공 모듈(443)에 의해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정보 제공 모듈(443)은 센싱 모듈(442)에 의해 탐지된 물건에도 불구하여 탑승객에 의해 구동부(460)를 이루는 차량 도어락(464)을 클로즈(Close) 상태에 대한 강제 풀린 버튼을 활용해 풀고 차량이 내림이 인지된 경우, 다음번 차량 공유자에 대해서 자율주행차량(10)이 사용을 위해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갖고 있는 차량 공유자의 위치 정보로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모듈(41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모듈(443)은 다음번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로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자율주행에 따라 근접하는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함과 동시에 갖고 내리지 않은 물건이 있다는 안내 메시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와 일체로 형성된 음향 출력부(43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다음번 차량 공유자에 해당하는 탑승객이 물건을 가지고 내리도록 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가지고 내리는 경우 차량공유 요금을 대신할 수 있는 포인트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카모지 제공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443)은 다음번 차량 공유자에 의한 자율주행차량(10)의 사용이 완료되면 도 9와 같이 고마움을 나타내는 선택된 카모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로 출력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선택된 카모지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물 캐릭터, 연예인 등을 활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전면 디스플레이(430)는 정보 제공 모듈(443)에 의해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모듈(443)은 도 6a와 같이 유실물은 두고 하차한 경우, 도 6b와 같이 외부에 시각적 시그널을 표시한 뒤, 도 6c와 같이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통해 외부에 다른 사람들이 보고 챙피하도록 하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자율주행차량(10)이 공공의 재화인 공용버스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동 기반 메시지 제공 모듈(444)은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로 자율주행을 통해 근접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정보 제공 모듈(443)에 의해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에 대한 전면 디스플레이(430)로의 출력과 함께, 도 7과 같이 차량 전면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모듈(461)에 대한 제어를 통해 차량 전면 와이퍼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전동 사이드미러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모듈(462)에 대한 제어를 통해 2개의 전동 사이드미러 전체를 접었다 폈다 하거나, 둘 중의 하나에 대해서 접은 상태, 모두 접거나 핀 상태 등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구동 기반 메시지 제공 모듈(444)은 마치 사람처럼 차량 전면 와이퍼 및 전동 사이드 미러 등을 이용한 차량 자체 모션으로 차량 공유자에 대한 반가움을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 공유자는 차량의 모션과 캐릭터를 보고 자신의 차량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모션과 캐릭터는 개인화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차량과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100 :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
200 : 네트워크
300 : 카모지 제공 서버
400 : 자율주행차량 단말
410 : 송수신부
411 : 네트워크 통신모듈
412 :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420 : 센서부
421 : 카메라
422 : 압력센서
430 : 전면 디스플레이
440 : 제어부
450 : 저장부
460 : 구동부
5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5)

  1. 차량 공유자가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자율주행차량(10)에 형성되어 자율주행을 제공하며, 전면 디스플레이(430)에서 제공하는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설정한 카이모티콘(이하, "카모지")를 출력하여, 차량 공유자와의 챗봇을 통한 대화, 탑승자 모니터링, 차량 내부 청소 유도, 탑승자 반겨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자율주행차량 단말(400); 를 포함하고,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카메라(421)를 통해 차량 공유자가 물건을 놓고 내리는 것을 영상 인식으로 감지하여 위치를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출력하거나 또는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물건을 놓고 내리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차량 도어락을 클로즈 상태로 제어하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를 통해 갖고 내리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면 디스플레이(430)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영상 인식으로 인식하지 못한 물건이 나중에 카메라(421)에 의해 발견된 경우, 차량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배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 단말(400)은,
    차량 공유자의 위치로 배달에 따라 차량 공유자에게 근접하는 경우, 선택된 카모지 캐릭터가 전면 디스플레이(430)에 출력되어 차량 공유자를 환영하고 차량 공유자가 자신에 대한 것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KR1020190080851A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KR10230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1A KR102303410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1A KR102303410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11A KR20210005411A (ko) 2021-01-14
KR102303410B1 true KR102303410B1 (ko) 2021-09-24

Family

ID=741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851A KR102303410B1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911A (ja) * 2003-09-16 2005-04-28 Denso Corp 車両内忘れ物防止装置
JP2018180946A (ja) * 2017-04-13 2018-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装置、及び通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531A (ko) * 2011-04-13 2012-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00837U (ko) * 2016-09-18 2018-03-28 배요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의사 표시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911A (ja) * 2003-09-16 2005-04-28 Denso Corp 車両内忘れ物防止装置
JP2018180946A (ja) * 2017-04-13 2018-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装置、及び通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11A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83B1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7450531A (zh) 动态地将用户引导至自主驾驶交通工具的搭载位置的系统
CN107415938A (zh) 基于乘员位置和注意力控制自主车辆功能和输出
US10235879B2 (en) Notification system of a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03466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camera
KR20210005765A (ko)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US10706270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moving body
JP6934840B2 (ja) 遠隔運転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03412B1 (ko) 자율주행차량의 가상 조향 핸들 제공 시스템
KR102303410B1 (ko)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JP2018194976A (ja) メッセージ表示用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表示装置、及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CN114407630A (zh) 车门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8031539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KR102303422B1 (ko) 자율성 극대화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율성 제공 서버
JP7372144B2 (ja) 車載処理装置、及び車載処理システム
KR10192930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0912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235274B1 (ko) 자율주행차량 기반의 추월 우선권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단말
JP7169637B2 (ja) 移動装置及び移動装置用プログラム
CN208515481U (zh) 一种信息交互系统和包含该信息交互系统的车辆
KR20210005767A (ko) 자율주행차량 기반의 ar 도로 광고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US11671700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JP20190368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90038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20210005415A (ko) 자율주행차량의 커스터마이징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차량 커스터마이징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