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531A -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531A
KR20120116531A KR1020110034002A KR20110034002A KR20120116531A KR 20120116531 A KR20120116531 A KR 20120116531A KR 1020110034002 A KR1020110034002 A KR 1020110034002A KR 20110034002 A KR20110034002 A KR 20110034002A KR 20120116531 A KR20120116531 A KR 2012011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user terminal
user
clou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531A/ko
Publication of KR2012011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대화형 음성인식장치로 형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User)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단말기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및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The Network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대화형 음성인식장치로 형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고급화되면서 운전의 편의성이나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텔레매틱스 모듈을 장착한 차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등의 이동통신접속모듈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량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각종정보를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모듈은 차량의 이상 감지시 운전자에게 이를 통보함과 동시에 후속 조치에 대해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넷을 통해 교통 및 생활 정보, 긴급구난 등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최근 지속적인 통신단말기의 컴퓨터화, 지능화 시도에 의해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재편되어 가고 있는 스마트폰/태블릿 PC 시장에 비해 이와 연동될 수 있는 차량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상기의 스마트폰/태블릿 PC와 연동될 수 있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이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고 난해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도 자유로이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아울러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담보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서비스 센터, 차량 보험회사, 경찰서, 소방서 등의 외부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차량의 입고시 실시간으로 차량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받아 빠른 고객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차량 단말기와 연동하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에 따라 차량 이용시에도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와 공유토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이용토록 할 수 있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차량 단말기에 사용자 단말기, 클라우드 서버, 음성인식/출력부, 차량 유닛, 외부기관의 서버 및 블랙박스를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각종 단말기 및 서버가 일체화되어 운용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의 연동에 있어서, 대화형 음성인식모듈로 형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함으로써 이용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User)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단말기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및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단말기와 연동되어 소정의 차량 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인식/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복잡한 사용방식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사용자의 일일 스케줄 알람, 변경 스케줄 알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알람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 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되는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도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사용자의 일일 스케줄 알람, 변경 스케줄 알람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차량유닛과 연동되어 차량 기능에 이상이 있을시, 이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량유닛의 각종 계기정보는 차량단말기로 전송되며, 기준치를 넘어서는 계기정보가 수신되면, 브레이크 파열 위험경고, 엔진 오일 교환 경고, 엔진 브레이크 이상 경고 또는 연료 부족 경고 등에 대해 경고음을 사용자에 송출하여 운전의 안전성에 조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그 일영역이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화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차량 운전석 전면에 장착된 LCD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 창을 분할하여 일영역은 아바타 비서가 등장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다른 일영역은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블랙박스의 저장영상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때에,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호출하여 현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차량 단말기 및 클라우드 서버간은, WiFi망, Wibro망, LTE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 Book) 또는 태블릿 P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형 통신단말기기라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등 어떠한 종류의 기기라도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서비스 센터의 서버, 차량 보험회사의 서버 및 관공서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기관 서버와,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서비스 센터는 차량 정비와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일 수 있으며, 차량의 입고시 차량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차량 유닛에 관한 데이터를 차량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수신받아, 신속한 차량정비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 보험회사의 서버 및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 서버와도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한 바, 예컨대, 차량이 입고되면, 블랙박스의 저장 영상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함으로써 차량사고에 있어서의 과실유무 판단, 손해배상금 또는 보험금 책정 등의 차량 관련 행정처리 등이 매우 간편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량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와, 외부 서버간은 WiFi망, Wibro망, LTE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 및 차량 단말기는 각각의 공유폴더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마트폰 상에서 차량단말기와 공유할 데이터가 담기는 공유폴더를 미리 지정하고, 차량 탑승 후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온(ON)하면 자동적으로 공유폴더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발명의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도 자동적으로 공유폴더의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차량 단말기와 연동하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에 따라 차량 이용시에도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와 공유토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차량 단말기에 사용자 단말기, 클라우드 서버, 음성인식/출력부, 차량 유닛, 외부기관의 서버 및 블랙박스를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각종 단말기 및 서버가 일체화되어 운용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의 연동에 있어서, 대화형 음성인식모듈로 형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차량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와 외부기관 서버를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차량 서비스센터 또는 관공서 등 외부기관에 차량이 입고되면 실시간으로 차량의 데이터를 외부기관서버에 수신받음으로써, 신속한 차량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성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하는 음성인식/출력부의 일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최근 이동통신 시장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휴대폰이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로 대체되는 경향이 급속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의 급속한 발달 및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 환경이 급속도로 변하고 있으며, 신규한 무선통신망을 통한 단말기 간의 정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은 스마트 폰 및 태블릿PC등과 연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신규한 단말기와의 연동문제를 해결하고, 신규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에 특화된 서비스 필요한 점에 착안하여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형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가 하나의 ID 및 IP주소를 갖고 공유접속을 통해 일체화되어 운용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필요할 때마다 수신받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제고에 일조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User) 단말기(130),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단말기(120), 다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및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140) 및 상기 차량단말기와 연동되어 소정의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인식/출력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 Book) 또는 태블릿 P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라면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30)는 차량 단말기(120)와 무선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WiFi망, Wibro망 또는 LTE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30)의 공유 폴더 및 차량 단말기(120)의 공유 폴더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온(ON)하면 자동적으로 공유하게 된다.
한편, 데스크 톱(Desk top)과 같은 고정형 사용자 단말기(150)의 경우, 고정형 사용자 단말기(150)의 데이터는 USB 케이블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데, 종국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난 후 차량 단말기(120)와 연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 단말기(120)는 사용자 단말기(130) 및 클라우드 서버(140)와 무선망에 의해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차량유닛(170)으로부터 각종 차량 계기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음성인식/출력부(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블랙박스(160)의 저장영상을 전달받아 음성인식/출력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기(120)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는, 예컨대, 소방서, 경찰서, 보험회사, 차량 서비스센터 등의 서버인 외부기관 서버(180)와 연동되어, 소방서, 경찰서, 보험회사, 차량 서비스센터 등의 외부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차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WiFi망, Wibro망, Bluetooth망 또는 LTE망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소방서, 경찰서, 보험회사 등에 입고될 경우 외부기관 서버(180)가 WiFi망을 통하여 차량 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공유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근하여 정보 열람/기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기(120)는 블랙 박스(160)의 저장영상을 클라우드 서버(140)에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영상을 인증된 외부기관에 전송 또는 열람 가능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30) 및 차량 단말기(140)와 무선망, 예컨대, WiFi망, Wibro망, LTE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망 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차량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140)는 블랙박스(160)의 저장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를 차량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처럼 대용량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해두고 필요한 때에만 호출하여 이용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클라우드 서버(140)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130) 및 차량 단말기(120)에 데이터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때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수신받아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140) 이용시 개인정보 유출 등의 위험요인도 존재하는 바, 차량제조회사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차량제조회사가 인증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차량제조회사는 사용자의 차량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조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수신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140)는 고정형 사용자 단말기(150)와 유선 랜(LAN)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130), 차량 단말기(120) 및 클라우드 서버(140)는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사용자 단말기(130), 차량 단말기(120) 및 클라우드 서버(140) 간에는 하나의 사용자 ID와 하나의 IP주소를 통한 공유접속방식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110)는 차량 단말기(120)와 연동되어 소정의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 음성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한 아바타 비서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아바타 비서 서비스에 의해 음성을 송출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각편의성, 정보접근성 및 정보 이해력이 증대될 것이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인식 기술에 기반한 음성인식/출력부(11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에 의하면, 예컨대, 사용자가 "엔진 오일 교환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하면, 차량 유닛(170)의 계기정보를 전달받은 차량단말기(120)에서 엔진 오일 교환여부를 판단한 다음, "엔진 오일 교환이 필요합니다." 또는 "엔진 오일 교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결과를 도출함에 따라 운전 중에도 간편하게 음성인식/출력부(11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안전운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공유된 사용자의 일일 스케줄 알람, 변경 스케줄 알람,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중이거나 새롭게 추가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알람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 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30)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줄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공유된 스케줄을 사용자에 알리고, 변경 스케줄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에 메시지 또는 메일이 도착한 경우 이에 대한 알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차량 단말기(12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또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중이거나 새롭게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음성으로 알릴 수도 있다.
한편으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110)는, 차량유닛(170)과 연동되어 차량 기능에 이상이 있을시, 이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 유닛(170)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계기정보를 차량단말기(130)에서 판단하여, 브레이크 고장, 엔진 브레이크 고장, 엔진 오일 교환여부, 연료 부족여부, 차선 이탈여부 또는 졸음운전 여부 등에 대한 경고음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안전운전에 조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출력부(110)는, 차량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영역은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화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네이게이션 화면 또는 블랙박스의 저장영상은 차량 단말기(120)로 통해 음성인식/출력부(110)의 일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하는 음성인식/출력부의 일예시도이다.
도 2a는 운전석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현시하고 있는 음성인식/출력부(110)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스마트 폰에 적용된 아바타 비서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바타 비서 서비스는 음성인식/출력부(11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연동되어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음성인식/출력부(110)를 통한 아바타 비서 서비스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일일 스케줄 브리핑 서비스: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케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사용자의 스케줄을 차량 단말기가 연동하여 음성/인식출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브리핑한다.
② 변경 스케줄 알림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에 변경된 스케줄이 있을 경우, 음성인식/출력부를 통해 조정된 스케줄을 알려준다.
③ 사용자 단말기로의 푸쉬 알람 서비스: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여 알려준다. 이와 같은 푸쉬 알람 서비스는 사용자가 차량 밖에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송출되는 바, 변경되는 스케줄 등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④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알림 서비스: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새롭게 추가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음성인식 출력부를 통해 알려서, 사용자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⑤ 메시지/메일 보이스 알람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에 메시지 또는 메일이 도착하면, 이에 대한 알람서비스를 제공한다.
⑥ 차량 기능 경고 서비스: 브레이크 고장, 엔진 브레이크 고장, 엔진 오일 교환여부, 연료 부족여부, 차선 이탈여부 또는 졸음운전 여부 등에 대해 음성으로 경고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⑦ 대화형 음성인식 서비스: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고, 이에 상응하는 명령수행결과를 음성으로 전달받음에 따라 이용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 비서 서비스가 채택된 음성인식/출력부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의 만족도 및 차량의 상품가치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사용자 단말기, 차량 단말기 및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주므로, 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음성인식/출력부
120: 차량 단말기
130: 사용자 단말기
140: 클라우드 서버
150: 고정형 사용자 단말기
160: 블랙박스
170: 차량 유닛
180: 외부기관 서버

Claims (8)

  1.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User)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단말기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및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기와 연동되어 소정의 차량 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인식/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된 사용자의 일일 스케줄 알람, 변경 스케줄 알람,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알람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차량 유닛과 연동되어 차량 기능에 이상이 있을 시, 이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그 일영역이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화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출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대화형 음성인식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서비스 센터의 서버, 차량 보험회사의 서버 및 관공서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기관 서버와,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및 차량 단말기는 각각의 공유폴더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10034002A 2011-04-13 2011-04-13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116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002A KR20120116531A (ko) 2011-04-13 2011-04-13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002A KR20120116531A (ko) 2011-04-13 2011-04-13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531A true KR20120116531A (ko) 2012-10-23

Family

ID=4728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002A KR20120116531A (ko) 2011-04-13 2011-04-13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5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173A1 (ko) * 2012-11-21 2014-05-30 Park Won Sub 스마트폰과 드라이브폰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31627A (ko) * 2013-09-16 2015-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2613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Ict 카 컨버전스 시스템
US9577720B2 (en) 2015-01-13 2017-02-21 Hyundai Motor Company In-vehicle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657950A (zh) * 2017-08-22 2018-02-0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基于云端和多命令词的汽车语音控制方法、系统及装置
US10289919B2 (en) 2015-01-27 2019-05-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5411A (ko) * 2019-07-04 2021-01-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173A1 (ko) * 2012-11-21 2014-05-30 Park Won Sub 스마트폰과 드라이브폰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31627A (ko) * 2013-09-16 2015-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2613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Ict 카 컨버전스 시스템
US9577720B2 (en) 2015-01-13 2017-02-21 Hyundai Motor Company In-vehicle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9919B2 (en) 2015-01-27 2019-05-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657950A (zh) * 2017-08-22 2018-02-0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基于云端和多命令词的汽车语音控制方法、系统及装置
KR20210005411A (ko) * 2019-07-04 2021-01-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의 카모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카모지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531A (ko)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US10102174B2 (en) Smart harness
KR101278544B1 (ko) 해상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9338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vehicular emergency updates following an accident
US10769710B2 (en) System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copy/paste function of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0104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application portability over multiple environments
US10366438B2 (en) Product notification and recommendation technology utilizing detected activity
WO2012021716A3 (e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carrier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premium messages
KR20130096978A (ko) 사용자 단말, 서버, 상황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06358A3 (en) Systems and methods to receive funds via mobile devices
US20180285855A1 (en) System for proxy payment based on shared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60136739A (ko) 차량용 전화 번호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453508A (zh) 基于随时间对设备使用进行建模以管理多设备消息收发系统上的对话、感知和可用性
CN109923834A (zh) 用于协作工作空间环境的上下文对话
CN107832874A (zh) 一种天气提醒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006589A1 (en) Network capability notification
CN101840421A (zh) 一种个人网页内容的更新提示方法、系统及服务器
CN109542647A (zh) 信息发送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06850708A (zh) 具有gps定位跟踪功能的家校通系统及其方法
CN103064897A (zh) 基于gis系统的地理实体信息加载方法和系统
US20150281388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program
US8789142B2 (en)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according to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9993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dynamic map data,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