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038A -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038A
KR20170075038A KR1020150183454A KR20150183454A KR20170075038A KR 20170075038 A KR20170075038 A KR 20170075038A KR 1020150183454 A KR1020150183454 A KR 1020150183454A KR 20150183454 A KR20150183454 A KR 20150183454A KR 20170075038 A KR20170075038 A KR 2017007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air conditioning
indoor ai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김연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038A/ko
Publication of KR2017007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관리 모듈과, 차량용 관리모듈에 의해 측정된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REMOTE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용자 단말기에는 많은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차량에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원격시동이나 원격공조에 의해 차량 내부공기를 사전공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더운 여름 날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차량의 냉방기능을 실행하여 차량 내부를 쾌적하게 만든 후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전공조는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예측하여 사전공조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예측한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와 실제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다른 경우, 사전공조로 인해 사용자가 오히려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관리 모듈과, 상기 차량용 관리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각 공기질 인자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인자는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각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안전단계, 경고단계, 위험단계로 각각 분류하여, 측정된 공기질 인자의 수치에 따라 안전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단계, 상기 경고단계 및 상기 위험단계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측정된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간축을 갖는 그래프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미세먼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은 차량용 관리 모듈에 의해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의 적합성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을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조화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공기조화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와 미리 정해진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량 복귀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거나 미리 정해진 일정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관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 기본화면의 각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단계에 따른 공기질 인자의 수치범위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차트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차량화면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옵션화면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차량용 관리 모듈(10)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형태 및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부가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동작할 수 있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일반적으로 차량(1)의 내부에 설치된다. 설치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관리 모듈(10)이 가진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센서(14)를 포함한다. 센서(14)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미세먼지 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을 통해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측정된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를 변환하는 무선통신기 등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명령이 차량용 관리 모듈(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에 따라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원격시동기(12) 및 공기조화장치(5)를 제어하여 차량(1)의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원격시동기(1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원격시동기(12)는 제어 신호에 의해 차량(1)의 시동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원격시동기(12)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원격시동기(12)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원격시동기(12)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공기조화장치(5)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시동기(12)에 의해 시동이 온(ON)상태일 때 공기조화장치(5)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5)는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시동여부와 상관없이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관리 모듈(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20), 제어부(140),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통신부(30), 제어부(40), 차량 모니터링부(5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각각 통신부(110, 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FM(Frequency Modulation)파장, AM(Amplitude Modulation) 파장 등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를 변환하는 무선통신부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용 관리 모듈(10)의 통신부(110, 20)는 서로 간의 통신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관리 모듈(10)의 통신부(20)는 원격시동기(12)와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차량 모니터링부(40)를 포함하여 차량(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차량 모니터링부(40)는 각종 센서(14)를 이용하여 차량(1)의 내부 공기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정보는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을 포함한다.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차량(1)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입력된 명령을 차량용 관리 모듈(10)로 전송하거나, 차량용 관리 모듈(10)에서 전송된 차량(1)에 관한 정보를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차량용 관리 모듈(10)의 제어부(30)는 차량용 관리 모듈(10)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시키거나,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명령에 따라 원격시동기(12)를 제어하여 차량(1)의 시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전송받은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하, 일 예를 들어 효과적으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 기본화면의 각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화면은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을 실행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뜻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단계에 따른 공기질 인자의 수치범위를 나타낸 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화면은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각 공기질 인자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 공기질 인자는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CO2), 미세먼지 농도(PH 2.5)의 4가지 인자를 나타내었다.
기본화면에는 공기질 인자의 이름과 함께 측정된 수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시한 기본화면은 원형을 분할하여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나 디자인에 따라 다르게 가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각 공기질 인자를 나타내는 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는 예시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달라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4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500ppm인 경우에는 초록색으로, 도 5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000ppm인 경우 노란색으로, 도 6과 같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500ppm인 경우 빨간색으로 나타내었다.
색상은 도 7과 같이 미리 정해진 수치범위에 따라 변경된다. 즉,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각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도 7에 기재된 범위는 예시적인 것으로 환경 등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각 단계를 안전단계, 경고단계, 위험단계라 하고, 안전단계는 초록색으로 경고단계는 노란색으로 위험단계는 빨간색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색상은 사용자의 요구나 디자인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각 공기질 인자의 상태를 색상으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손쉽게 차량(1)의 내부 공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본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 인자의 수치와 함께 자동공조 버튼을 마련한다. 사용자는 공기질 인자의 상태를 보고 차량의 공기조화여부를 판단하여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하면 원격시동 및 공기조화가 수행된다. 이때, 공기조화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의해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기본화면과 함께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각 화면은 기본화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링크를 통해 가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차트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측정된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차트화면은 기본화면을 상부로 스크롤하여 가시될 수 있고, 각 공기질 인자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차트가 팝업될 수도 있다.
그래프는 일축이 시각축으로 마련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공기질 인자의 수치변화를 도시할 수 있다. 그래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분간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5분이 경과하면 초기 5분의 데이터는 사라지고 후기 5분의 데이터가 앞으로 이동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차량화면을 나타낸 화면이다.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관련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차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화면은 기본화면으로 하고 공기조화화면을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화면은 기본화면을 좌측으로 스크롤하여 가시될 수 있다. 차량화면에는 차량과 관련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 및 정지, 비상등 온오프, 문 열림 및 닫힘, 비상등 및 경적 온오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표시 버튼이 선택되면 그에 따라 수행되고 해당버튼은 반대 선택이 가능하도록 대기된다. 예를 들어 문열림 버튼을 선택하면 차량(1)의 문이 열리며 문 열림 버튼이 문닫힘버튼으로 전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옵션화면을 나타낸 화면이다. 옵션화면은 차량화면을 상부로 스크롤하여 가시될 수 있다. 옵션화면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공조 가동조건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하지 않아서 자동으로 차량(1)의 공기조화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대시동 유지시간이나 안내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사전공조가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의 각 화면은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각 기능은 예시적이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차량용 관리 모듈(10), 사용자 단말기(100) 및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한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되고,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1 및 도 12는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가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자동으로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가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된다(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센서(14)를 통해 각 공기질 인자의 상태에 관한 수치가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는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된다(210).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킨다(220).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은 각 공기질의 수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각 공기질 인자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그에 맞는 색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고 차량(1)의 공기조화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2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색상으로 공기질 인자의 상태를 손쉽게 알 수 있고, 그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공기조화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공기조화장치는 가동하지 않고 계속하여 차량의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시킨다. 사용자가 자동공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가 가동되어 차량의 공기조화가 수행된다(240).
각 공기질 인자의 상태가 안전단계가 되면 자동으로 공기조화 종료여부를 묻는 창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의 판단으로 공기조화 종료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250). 사용자가 공기조화 종료를 선택하면 공기조화장치가 꺼지며 차량(1)의 공기조화가 종료된다.
이때,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의 측정을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정보를 계속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송받아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하여 공기조화의 수행 및 종료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사용자의 차량복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는 공기조화관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차량복귀 신호가 아닌 정해진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조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복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300),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대기상태(310)를 유지한다. 차량복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된다(320). 정해진 일정에 따라 공기조화가 수행되는 경우,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된다.
측정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330). 적합성여부는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공기질 인자들이 각각 안전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적합한 경우,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5)를 작동시킨다(340).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를 계속하여 측정하며 목표 공기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50). 목표 공기상태는 미리 정해진 공기상태로 예를 들어 모든 공기질 인자들이 안전단계에 해당하는 상태를 뜻할 수 있다. 목표 공기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조화장치를 가동하고, 목표 공기상태에 도달한 경우 공기조화장치를 끈다(360).
이와 같이 자동으로 공기조화를 수행하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실내 공기상태 및 공기조화 수행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자동공조 버튼을 눌러 차량(1)의 공기조화를 수행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을 알림과 동시에 자동으로 공기조화를 수행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관리 모듈은 차량을 위한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 내부에 설치되어 방의 공기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 내부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와 연결되어 그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명령에 따라 방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여 방 내부의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차량 5 : 공기조화장치
10 : 차량용 관리 모듈 12 : 원격시동기
14 : 센서 40 : 차량 모니터링부
100 : 사용자 단말기 130 :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

Claims (19)

  1.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관리 모듈(10)과,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각 공기질 인자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인자는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각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안전단계, 경고단계, 위험단계로 각각 분류하여,
    측정된 공기질 인자의 수치에 따라 안전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단계, 상기 경고단계 및 상기 위험단계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측정된 각 공기질 인자의 수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간 축을 갖는 그래프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10)은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센서(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4)는 미세먼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11.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의 적합성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5)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부적합함을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량(1) 내부의 공기조화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어플리케이션(13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공기조화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5)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관리 모듈(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와 미리 정해진 상기 차량(1)의 실내 공기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5)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차량(1) 복귀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거나 미리 정해진 일정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1)의 공기조화장치(5)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방법.
KR1020150183454A 2015-12-22 2015-12-22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KR20170075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454A KR20170075038A (ko) 2015-12-22 2015-12-22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454A KR20170075038A (ko) 2015-12-22 2015-12-22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38A true KR20170075038A (ko) 2017-07-03

Family

ID=5935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454A KR20170075038A (ko) 2015-12-22 2015-12-22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0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633A (zh) * 2017-07-15 2017-12-01 合肥皖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的汽车智能空调控制系统
KR20190047591A (ko) * 2017-10-27 2019-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자동차 실내공간의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 차량 청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4148A (ko) * 2018-05-25 2019-12-04 인충교 적외선 귀 체온계
KR20210005765A (ko) * 2019-07-04 2021-01-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633A (zh) * 2017-07-15 2017-12-01 合肥皖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的汽车智能空调控制系统
KR20190047591A (ko) * 2017-10-27 2019-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자동차 실내공간의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 차량 청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4148A (ko) * 2018-05-25 2019-12-04 인충교 적외선 귀 체온계
KR20210005765A (ko) * 2019-07-04 2021-01-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 청결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5038A (ko) 차량의 원격 공기조화관리시스템 및 공기조화관리방법
US10452084B2 (en) Operation of build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US9804611B2 (en) HVAC controller with ventilation boost control
US1058643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ight fixture operation using gas concentration sensors
EP2782359B1 (en)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
EP2846105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3004073C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ight fixture operation using gas concentration sensors
WO2015029758A1 (ja) 電気機器、空気調和機、外部制御器、携帯端末及び空調システム
KR101656754B1 (ko) 기능설정 스위치 모듈이 구비된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12445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원격 차량 공조 제어 방법
US10306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wireless regulatory compliance
JP2015031473A (ja) 空気調和機
CN110053551A (zh) 车辆氛围灯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JP2010130873A (ja) 電力監視装置
KR100545623B1 (ko)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CN106707782B (zh) 环境参数处理方法、设备绑定方法及装置
US10935271B2 (en) System and method of HVAC health monitoring for connected homes
EP3214384B1 (en) Remote controlle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EP2696146A1 (en) Air-conditioning remote controller,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system
WO2012086705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端末
US10232682B2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 heating or air conditioning device of a vehicle and heating or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N10565402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N109282452B (zh) 空调控制方法和系统、主控设备和被控空调
US10848566B2 (en) Communications network
CN104344498A (zh) 多联机空调及其无线控制方法和无线控制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