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928B1 -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928B1
KR102381928B1 KR1020210016416A KR20210016416A KR102381928B1 KR 102381928 B1 KR102381928 B1 KR 102381928B1 KR 1020210016416 A KR1020210016416 A KR 1020210016416A KR 20210016416 A KR20210016416 A KR 20210016416A KR 102381928 B1 KR102381928 B1 KR 10238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powder
leg
sof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혁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최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혁 filed Critical 최주혁
Priority to KR102021001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928B1/ko
Priority to KR1020210138902A priority patent/KR2022011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수직분체부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수직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분체부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WAVE DISSIPATION BLOCK, OCEANIC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의 전방에 수직각부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 수평각부가 연결된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해수와 파도의 에너지를 소산시켜 항만이나 해양구조물이 해수와 파도로 인해 피해를 않도록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거치(정적)되거나 불규칙적으로 거치(난적)되는 단위블록이다.
널리 알려진 이른바 테트라포드는 톤수가 작은 블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른바 씨락(등록특허공보 제991914호 참고), 돌로스(등록특허공보 제1400295호 참고)는 톤수가 큰 블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들 중 씨락과 돌로스와 같은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단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각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사면에 이러한 소파블록을 거치할 때에는, 사면 위쪽에 수평각부를 거치하고, 수직각부가 사면 아래 쪽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거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각부와 수직각부 사이의 몸체는 그보다 하부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얹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거치방법에 따르면,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몸체만이 그 하부단에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에 의해 지지될 뿐,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직각부가 그 하부단에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떠 있는 형태가 되어 거치가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직각부가 그 하부단에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 상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를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하면, 몸체에 걸리는 모멘트가 커져서 몸체가 부러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은, 수직각부가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상당히 누운 자세를 취하게 되어, 수직각부를 타고 월파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와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가지는 형태의 소파블록을 제공하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파 효과가 뛰어난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이거나,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각부 부분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수직분체부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수직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좌측각부 부분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우측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분체부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대칭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상부각부의 중심축과 하부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1자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의, 상부각부의 중심축과 하부각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부각부의 상단부 및 하부각부의 하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수직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전방단부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수직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전방단부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연장될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의, 좌측각부의 중심축과 우측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_"자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각부의, 좌측각부의 중심축과 우측각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각부의 좌단부 및 우측각부의 우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수평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후방단부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수평분체부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후방단부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각부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각부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연장될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두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두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직외측골과 수직내측골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외측골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평막음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외측골에는,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직내측골은,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의 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내측골은 수직채움부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평외측골과 수평내측골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외측골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직막음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외측골에는, 상기 제1수평분채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의 후방 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평내측골은,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의 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내측골은 수평채움부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방단부와 상기 수직각부의 연결부위에는 전방헌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헌치는 상기 수직각부의 후방단부의 일부분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헌치는 상기 수직각부의 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의 연결부위에는 후방헌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는 상기 수평각부의 전방단부의 일부분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후방헌치는 상기 수평각부의 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길이는, 수평각부의 전후방향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직각부와 수평각부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개별 수직분체부의 좌우방향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길이와 수평각부의 길이의 비는, 1 : 1 내지 1.4 : 1.3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각부의 길이와 수평각부의 길이의 비는, 1.5 : 1.4 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의 길이는 상기 수평각부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그보다 아주 약간 더 길 수 있다.
상기 몸체, 전방헌치 및 후방헌치의 하부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평각부의 상부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 전방헌치 및 후방헌치의 하부면이 수평각부의 상부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몸체, 전방헌치 및 후방헌치의 좌(우)측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직각부의 측면의 우(좌)측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 전방헌치 및 후방헌치의 측면이 수직각부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몸체와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가지는 형태로서, 몸체가 강건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몸체와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치수 내지 그 비율이, 사면의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몸체의 하단면 및 수직각부의 후단면이, 그 하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 및 전단면과 각각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율을 가지므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몸체가 강건하며, 월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몸체와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치수 내지 그 비율이, 사면의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직각부의 하단면이, 그보다 2단 하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율을 가지므로, 더욱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거치가 용이하면서도, 상하로 이웃하는 소파블록들 간에 인터록킹이 매우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강건한 해양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대칭 형상의 소파블록이면서도, 위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각부와 수평각부가 하나의 큰 각부가 아닌, 2개의 작은 각부를 연결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표면 형상을 구현하여, 더욱 뛰어난 소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각각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각각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각각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각각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5는 각각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6 내지 도 40은 각각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5는 각각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사면에 거치한 사시도, 측면도, 측단면도, 몸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및 수직각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대략 중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대략 사면의 경사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방향은 대략 사면의 등고선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소파블록은 이동과 거치 과정에서 자세가 변화하지만, 소파블록의 형상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몸체의 연장방향이 전후방향과 대응하고, 몸체의 전방에 연결된 수직각부의 연장방향이 상하방향과 대응하며, 몸체의 후방에 연결된 수평각부의 연장방향이 좌우방향과 대응하는 자세를 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따라서, 소파블록의 자세가 변화한다고 해서 그 형상이 달리 해석되지 않을 것임이 명백하다.
아울러 소파블록의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연장방향, 또는 길이방향이라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 상기 축에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을 둘러싸는 방향을 둘레방향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의 단면의 기하학적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선을 중심축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의 각 구성이나 형상, 구조는, 실시예들 간에 서로 치환이나 부가가 가능하고, 삭제 역시 가능하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13), 상기 몸체(11)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는 실질적으로 정팔각 기둥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2)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2)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각부 부분(13-1)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각부 부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수직분체부(13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수직분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는 각각 실질적으로 정팔각 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의 상단부 모서리와 하단부 모서리에는 모따기(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는 측방으로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대칭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각부(12)는 상기 몸체(11)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좌측각부 부분(12-1)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우측각부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각부(12)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분체부(121)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분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는 각각 실질적으로 정팔각 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의 좌측단부 모서리와 우측단부 모서리에는 모따기(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대칭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13-1)의 중심축과 하부각부(13-2)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1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13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의, 좌측각부(12-1)의 중심축과 우측각부(12-2)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_"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1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직외측골(133)과 수직내측골(134)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평외측골(123)과 수평내측골(124)이 규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41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1)의 전후방향 길이는, 수평각부(12)의 전후방향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2) 사이의 거리, 즉 몸체(11)의 전후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가 상기 몸체(1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개별 수직분체부(131, 132)의 좌우방향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길이와 수평각부(12)의 길이의 비는, 1.5 : 1.4 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13)의 길이는 상기 수평각부(12)의 길이보다 아주 약간 더 길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사면에 거치할 때,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몸체(11)의 하단면과 수직각부(13)의 후면은, 하부단에서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과 수평각부의 전면에 각각 면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13)의 하부각부 부분(13-2)의 양 측면은, 각각 하부단에서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몸체(11)의 측면과 면접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외측골(133)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평막음판(1331)이 제공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수평외측골(123)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직막음판(123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평막음판(1331)과 수직막음판(1231)은 상기 수직외측골(133)과 수평외측골(123)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막아 소파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내측골(134)은,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의 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내측골(134)은 수직채움부(1341)로 매워질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평내측골(124)은,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의 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내측골(124)은 수평채움부(1241)로 매워질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와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의 길이방향 단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따기(챔퍼)는 제2실시예의 것보다 더 크게 형성된 형태가 예시된다.
상기 몸체(11)의 전방단부와 상기 수직각부의 연결부위에는 전방헌치(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헌치(111)는 상기 수직각부(13)의 후방단부의 일부분과 상기 몸체(11)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12)의 연결부위에는 후방헌치(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112)는 상기 수평각부(12)의 전방단부의 일부분과 상기 몸체(11)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길이와 수평각부(12)의 길이의 비는, 1 : 1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13)의 길이는 상기 수평각부(12)의 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하부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평각부(12)의 상부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하부면이 수평각부(12)의 상부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좌(우)측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직각부(13)의 측면의 우(좌)측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측면이 수직각부(1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사면에 거치할 때,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몸체(11)의 하단면과 수직각부(13)의 후면은, 하부단에서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과 수평각부의 전면에 각각 면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13)의 하단면은, 그보다 2단의 하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평각부(12)의 상단면과 면접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각부(12, 13)의 세장비(가늘고 긴 비율; 세장비가 클수록 가늘고 긴 형태임)가 더 작고, 몸체(11)의 길이가 더 긴 형태를 가진다.
이처럼 실시예의 소파블록들은 각부의 길이, 각부의 두께(직경), 몸체의 길이, 몸체의 두께(직경)의 치수의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제5실시예]
이하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외측골(133)에는,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돌출채움부(1332)가 제공될 수 있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내측골(134)은,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의 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내측골(134)은 수직채움부(1341)로 매워질 수 있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평외측골(123)에는,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의 후방 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방돌출채움부(1232)가 제공될 수 있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평내측골(124)은,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의 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내측골(124)은 수평채움부(1241)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전방단부와 상기 수직각부의 연결부위에는 전방헌치(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헌치(111)는 상기 수직각부(13)의 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11)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헌치(111)는, 제1수직분체부(131)의 뒷면, 제2수직분체부(132)의 뒷면 및 상기 수직채움부(1341)에 의해 규정되는 수직각부(13)의 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11)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12)의 연결부위에는 후방헌치(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112)는 상기 수평각부(12)의 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헌치(112)는, 제1수평분체부(121)의 뒷면, 제2수평분체부(122)의 뒷면 및 상기 수평채움부(1241)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각부(12)의 전방단부의 전체면과 상기 몸체(11)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헌치부의 표면을 평면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헌치부의 표면은 사각형 내지 삼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각부(13) 또는 수평각부(12)의 표면은 직사각형을 이루는바, 몸체(11)의 8개의 변 중 상기 직사각형의 네 변과 대응하는 4개 변은, 상기 직사각형의 네 변과 각각 사다리꼴 형태로 연결되는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하부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평각부(12)의 상부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하부면이 수평각부(12)의 상부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좌(우)측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직각부(13)의 측면의 우(좌)측면의 프로파일과 대략적으로 상보적인 형태여서, 몸체(11), 전방헌치(111) 및 후방헌치(112)의 측면이 수직각부(1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을 사면에 거치할 때,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13)의 후면에 마련된 헌치는 하부단의 소파블록의 수평각부(12)의 전면에 마련된 헌치와 서로 상보적으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소파블록의 수평각부(12)를 사면에 거치할 때, 수평각부(12)의 제2수평분체부(122)와 후방돌출채움부(1232)가 모두 사면에 접하도록 거치할 수 있다.
즉 후방돌출채움부(1232)는 소파블록이 사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는 소파블록의 바닥면을 더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전방돌출채움부(1332)는 내해측 또는 육측으로 유동하는 해수를 측방으로 갈라 해당 수직각부(13)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6실시예]
이하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몸체(11)는 실질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제1수직분체부(131), 제2수직분체부(132), 제1수평분체부(121) 및 제2수평분체부(122)는 상기 몸체(11)로부터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점차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13-1)의 중심축과 하부각부(13-2)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1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13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연장될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의, 좌측각부(12-1)의 중심축과 우측각부(12-2)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_"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1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연장될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제2수직분체부(132)는, 중심각이 예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제2수평분체부(122)는, 중심각이 예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중심각이 직각에 해당하거나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분체부가 원뿔대 형태이기 때문에, 몸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두 분체부가 중첩되는 호의 중심각은 변화할 수 있다. 가령 제6실시예의 분체부의 경우, 분체부의 기단부, 즉 가장 직경이 큰 부분이 중첩되는 호 부분의 중심각은 직각에 가깝지만, 분체부의 선단부 즉 가장 직경이 작은 부분이 중첩되는 호 부분의 중심각은 45도 내지 55도 정도이다.
제6실시예의 분체부는, 그 선단부까지 두 분체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수직분체부(131)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13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직외측골(133)과 수직내측골(134)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12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평외측골(123)과 수평내측골(124)이 규정될 수 있다.
[제7실시예]
이하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7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6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13-1)의 중심축과 하부각부(13-2)의 중심축은, 몸체(11)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부각부(13-1)의 상단부 및 하부각부(13-2)의 하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제1수직분체부(131)의 중심축과 제2수직분체부(13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수직각부(13)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연장될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수평각부(12)의, 좌측각부(12-1)의 중심축과 우측각부(12-2)의 중심축은, 몸체(11)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각부(12-1)의 좌단부 및 우측각부(12-2)의 우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분체부(121)의 중심축과 제2수평분체부(1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2)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연장될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이와 달리 상기 이웃하는 두 분체부(121과 122, 또는 131과 132)의 중심축이 몸체(11)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이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7실시예의 분체부는, 제6실시예와 달리 선단부 부근에서는 두 분체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제8실시예]
이하 도 36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6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13-1)의 중심축과 하부각부(13-2)의 중심축은, 몸체(11)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부각부(13-1)의 상단부 및 하부각부(13-2)의 하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수직각부(13)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평각부(12)의, 좌측각부(12-1)의 중심축과 우측각부(12-2)의 중심축은, 몸체(11)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각부(12-1)의 좌단부 및 우측각부(12-2)의 우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수평각부(12)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소파블록
11: 몸체
111:전방헌치
112: 후방헌치
12: 수평각부
12-1: 좌측각부 부분
12-2: 우측각부 부분
121: 제1수평분체부
122: 제2수평분체부
123: 수평외측골
1231: 수직막음판
1232: 후방돌출채움부
124: 수평내측골
1241: 수평채움부
13: 수직각부
13-1: 상부각부 부분
13-2: 하부각부 부분
131: 제1수직분체부
132: 제2수직분체부
133 수직외측골
1331: 수평막음판
1332: 전방돌출채움부
134: 수직내측골
1341: 수직채움부

Claims (9)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수직분체부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수직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수평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분체부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는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각각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소파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직외측골과 수직내측골이 규정되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수평외측골과 수평내측골이 규정되는, 소파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외측골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평막음판이 제공되고,
    상기 수평외측골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평분체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직막음판이 제공되는, 소파블록.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외측골에는, 상기 제1수직분체부와 상기 제2수직분체부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수평외측골에는, 상기 제1수평분채부와 상기 제2수평분체부의 후방 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되는, 소파블록.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내측골은, 제1수직분체부와 제2수직분체부의 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지는 형태의 수직채움부로 매워지고,
    상기 수평내측골은, 제1수평분체부와 제2수평분체부의 전방 단부가 평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매워지는 형태의 수평채움부로 매워지는, 소파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단부와 상기 수직각부의 연결부위에는 전방헌치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의 연결부위에는 후방헌치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헌치는 상기 수직각부의 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면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이고,
    상기 후방헌치는 상기 수평각부의 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면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형태인, 소파블록.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을 사면에 거치하되, 사면 위쪽에 수평각부를 거치하고, 수직각부가 사면 아래 쪽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거치하며, 상기 수평각부와 수직각부 사이의 몸체는 그보다 하부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얹어지며,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몸체(11)의 하단면과 수직각부(13)의 후면은, 하부단에서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과 수평각부의 전면에 각각 면접하는, 해양구조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을 사면에 거치하되, 사면 위쪽에 수평각부를 거치하고, 수직각부가 사면 아래 쪽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거치하며, 상기 수평각부와 수직각부 사이의 몸체는 그보다 하부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얹어지며,
    상부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13)의 하단면은, 그보다 2단의 하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평각부(12)의 상단면과 면접하는, 해양구조물.
KR1020210016416A 2021-02-04 2021-02-0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38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16A KR102381928B1 (ko) 2021-02-04 2021-02-0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10138902A KR20220112659A (ko) 2021-02-04 2021-10-19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16A KR102381928B1 (ko) 2021-02-04 2021-02-0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902A Division KR20220112659A (ko) 2021-02-04 2021-10-19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928B1 true KR102381928B1 (ko) 2022-04-01

Family

ID=811837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416A KR102381928B1 (ko) 2021-02-04 2021-02-0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10138902A KR20220112659A (ko) 2021-02-04 2021-10-19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902A KR20220112659A (ko) 2021-02-04 2021-10-19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1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649A (en) * 1981-05-14 1985-03-12 Joseph Sciortino Modular block structures for breakwaters, harbor dams and the like
KR200235982Y1 (ko) * 2001-03-02 2001-09-28 박영우 해안 및 항만구조물용 소파 콘크리트 피복석 블록
CN201581379U (zh) * 2009-07-10 2010-09-15 赖意珍 消波块
KR102166388B1 (ko) * 2020-02-20 2020-10-15 주식회사 해건 친환경 헥사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649A (en) * 1981-05-14 1985-03-12 Joseph Sciortino Modular block structures for breakwaters, harbor dams and the like
KR200235982Y1 (ko) * 2001-03-02 2001-09-28 박영우 해안 및 항만구조물용 소파 콘크리트 피복석 블록
CN201581379U (zh) * 2009-07-10 2010-09-15 赖意珍 消波块
KR102166388B1 (ko) * 2020-02-20 2020-10-15 주식회사 해건 친환경 헥사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659A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2956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102275243B1 (ko) 공간부가 많은 6각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2381928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06348572A (ja) 消波ブロック
KR102043054B1 (ko) 선박
KR102381929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WO2011065206A1 (ja) 消波装置
KR20230012351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181955B1 (ko) 방사형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KR102624034B1 (ko)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20230135835A (ko)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 구조물의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
KR101849210B1 (ko) 항만 방파제용 태극 요철형 케이슨
KR102571823B1 (ko) 기존 소파블록 보강용 비행접시형 소파블록 및 이를 방파제에 구축하는 구축공법
KR102571979B1 (ko) 촛대바위형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0183593Y1 (ko)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102194036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WO2013031001A1 (ja) 防潮堤
KR102559240B1 (ko)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574104B1 (ko) 면 접촉 소파블록 및 이를 거치한 해양구조물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