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894B1 - 전동가위 - Google Patents
전동가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1894B1 KR102381894B1 KR1020200037540A KR20200037540A KR102381894B1 KR 102381894 B1 KR102381894 B1 KR 102381894B1 KR 1020200037540 A KR1020200037540 A KR 1020200037540A KR 20200037540 A KR20200037540 A KR 20200037540A KR 102381894 B1 KR102381894 B1 KR 102381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oke
- cutting
- cylindrical
- receptor
- compon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수단의 동력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농촌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수단의 동력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농촌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농업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과수적과, 입 따내기, 과수재배, 가지치기 등의 작업에 고효율 및 편의성을 가진 별도의 작업기가 없어 불가피하게 수동가위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출공정이 이루어지는 산업현장에서도 고무나 플라스틱 등 사출공정의 후처리 절단작업용과 전자제품의 PCB에 부품 쏠더링 후처리 돌출부 제거용 등으로도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하루 수천 번 반복 연속되는 가위작업은 가뜩이나 고령화 및 부녀화와 일손부족의 농촌 상황과 더불어 현장 상황이 열악한 중소기업은 기존의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수동가위만으로 작업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극히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근골격계질환 발생 등으로 농촌과 산업현장의 노동복지는 아주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타계하기 위해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전동가위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가위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050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6호가 있다.
여기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050호는 받침날을 선측에 가지는 받침날바디와, 상기 받침날과 협조하여 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을 선측에 가지는 절단날바디를 힌지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받침날바디와 절단날바디의 후방에 결합하는 받침손잡이와 절단손잡이; 상기 받침 및 절단손잡이의 선측에 설치하여 가지 절단 후 받침날과 절단날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받침손잡이 후미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기의 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자와; 상기 절단손잡이 선측에 설치하여 동력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전동전지가위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받침손잡이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선홈에 삽입되어 복원스프링의 상부브리지와 하부 브리지를 경유하여 스위치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브리지를 경유하는 전선은 움직이지 않도록 수축튜브로 단속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의 탄성부 위치의 전선은 전동 전지가위 작동시 당겨지는 현상이 없도록 여유를 주고 수축튜브로 단속하지 않는 상태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6호는 선측에 받침날(101)을 가지는 받침날바디(102)와; 상기 받침날(101)과 협조하여 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103)을 가지는 절단날바디(104)를 힌지핀(105)으로 결합하고;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절단날바디(104)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손잡이(106,107)와;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절단날바디(104)의 후미에 설치하여 가지 절단 후 받침날(101)과 절단날(103)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109)과; 상기 절단날바디(104)와 연결되는 손잡이(107)의 후미에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수단(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절단날바디(104)를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와이어(111)와;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연결되는 손잡이(106)의 후미에 형성하는 롤러박스(113)의 내부에 롤러축(114)으로 유지되어 와이어(111)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12)와; 상기 손잡이(106,107)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수단(11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SW)를 구비하고 전동 전지가위를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SW)는, 어느 하나의 손잡이(106,107)에 연결하는 마이너스접점(121)과; 어느 하나의 손잡이(106,107)에 절연재(125)를 개재하여 구비하는 플러스접점(120)과; 상기 플러스접점(120)과 연결되어 복원스프링(109) 방향으로 도출되는 접점바(126)로 구성하여 손잡이(106,107)를 잡으면 복원스프링(109)과 접점바(126)가 접촉하면서 전기적인 연결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또한 이러한 전동가위의 개량을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와 더불어 동력수단의 구동만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어 저렴한 생산단가로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동력수단의 정, 역회전에 의해 절단몸체가 힌지핀에 의해 지지몸체에서 힌지회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동력수단의 구동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 전동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일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된 제1구성부 및 제1구성부의 타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된 제2구성부가 각각 형성되는 원통체가 구성되고, 원통체의 제2구성부가 형성되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조돌출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구성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 상기 동력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좌, 우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제1인입공이 형성되는 제1요크와, 수평방향의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 하, 좌, 우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인입부가 형성되어 좌, 우 방향의 인입부를 제1요크의 제1인입공에 인입시켜 제1요크가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는 크로스핀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상, 하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크로스핀의 상, 하방향의 인입부가 인입되는 제2인입공이 형성되어 크로스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크로스핀을 기준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2요크로 이루어져 제2구성부에 구비되는 유니버셜조인트; 상기 유니버설조인트의 제2요크의 일측 부위를 수용하고, 수용된 일부위에 수용된 제2요크와 함께 수직선상을 관통하는 핀을 삽입하여 제2요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내부에 중공된 작동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제2요크가 수용되는 반대측으로 작동공에 끼움되면서 끼움되는 외측은 수용체의 반대측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며, 작동공에 끼움되는 내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체와 함께 회전되는 작동체; 상기 케이스의 제2구성부 방향에서 작동체에 인입되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작동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동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작동스크류; 피절날물을 절단하는 받침날이 일단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케이스의 보조돌출체에 인입되어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몸체; 상기 작동스크류의 선단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가 지지몸체에 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연장되는 하측부위가 옆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지몸체의 받침날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는 제1요크의 상, 하측으로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요크가 위치되는 원통체의 내부 하측 부위에 자성체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성부의 작동스크류가 구비되는 측의 상, 하부로 각각 절단몸체가 회동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로 된 감지체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수단의 정, 역회전에 의해 절단몸체가 힌지핀에 의해 지지몸체에서 힌지회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동력수단의 구동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요크 및 크로스핀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셜조인트로 동력수단의 동력을 수용체 및 작동체로 동력을 전달되기 때문에, 절단몸체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회동될 때 수용체는 제2요크와 연결되어 동력수단과 연결된 제1요크는 회동하지 않고 동력을 계속적으로 전달하게 되고, 제2요크를 통해 수용체 및 작동체에 치합된 작동스크류는 절단몸체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연동되어 동력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단몸체를 통하여 계속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성체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절단몸체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2감지체로 하여금 이중으로 절단몸체의 절단과정을 감지하여 고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니버설조인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성체 및 홀센서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로 감지체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니버설조인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성체 및 홀센서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로 감지체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유니버설조인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 5는 본 발명의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1,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일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되어 후술되는 동력수단(20)이 구비되는 제1구성부(12) 및 제1구성부(12)의 타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되어 후술되는 유니버셜조인트(30), 수용체(40) 등이 구비되는 제2구성부(13)가 각각 형성되는 원통체(11)가 구성되고, 원통체(11)의 제2구성부(13)가 형성되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지지몸체(70)의 일부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보조돌출체(15)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제1구성부(12)에 구비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구성부(13)에 구비되어 동력수단(20)에 연결됨으로써, 동력수단(20)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유니버셜조인트(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0)는 동력수단(20)에 일측이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좌, 우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제1인입공(32)이 형성되는 제1요크(31)와, 수평방향의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 하, 좌, 우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인입부(34)가 형성되어 좌, 우 방향의 인입부(34)를 제1요크(31)의 제1인입공(32)에 인입시켜 제1요크(31)가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는 크로스핀(33)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상, 하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크로스핀(33)의 상, 하방향의 인입부(34)가 인입되는 제2인입공(36)이 형성되어 크로스핀(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크로스핀(33)을 기준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2요크(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니버설조인트(30)의 제2요크(35)의 일측 부위를 수용하고, 수용된 일부위에 수용된 제2요크(35)와 함께 수직선상을 관통하는 핀(41)을 삽입하여 제2요크(3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내부에 중공된 작동공(43)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체(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40)의 제2요크(35)가 수용되는 반대측으로 작동공(43)에 끼움되면서 끼움되는 외측은 수용체(40)의 반대측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며, 작동공(43)에 끼움되는 내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체(40)와 함께 회전되는 작동체(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제2구성부(13) 방향에서 작동체(50)에 인입되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작동체(5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동체(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작동스크류(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피절날물을 절단하는 받침날(71)이 일단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케이스(10)의 보조돌출체(15)에 인입되어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몸체(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선단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가 지지몸체(70)에 힌지핀(85)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연장되는 하측부위가 옆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지몸체(70)의 받침날(71)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81)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절단몸체(80)는 상측이 고정된 작동스크류(60)의 이동에 따라 힌지핀(85)에 의해 힌지회동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절단몸체(80)가 힌지핀(85)에 의해 힌지회동될 때 작동스크류(60)와 작동체(50)에 의해 작동스크류(60)와 연결된 수용체(40) 또한 절단몸체(8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되며, 수용체(40)는 제2요크(35)와 연결되어 동력수단(20)과 연결된 제1요크(31)는 회동하지 않고 동력을 계속적으로 전달하게 되고, 제2요크(35)를 통해 수용체(40)와 작동스크류(60)는 절단몸체(80)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연동되어 동력수단(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단몸체(80)는 계속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력수단(20)의 정, 역회전에 의해 절단몸체(80)가 힌지핀(85)에 의해 지지몸체(70)에서 힌지회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동력수단(20)의 구동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력수단(20)과 수용체(40) 사이에 유니버설조인트가 구비됨으로써, 동력수단(20)의 동력은 계속적으로 전달되면서도 절단몸체(80)의 회동에 따라 작동스크류(60) 및 수용체(40)가 같이 연동되어 절단몸체(80)의 작동이 원활히 수행되는 효과 또한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몸체(70)와 절단몸체(80)의 재질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계속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고, 습기로 인한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동력수단(80)은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포함되어 감속기로 하여금 구동모터에서 인가되는 동력이 감속되며, 이에 따라 작동스크류(60)를 이동시키는 회전력 또한 감속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스크류(60)의 왕복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동력수단(20)에는 절단몸체(80)의 절단반경에 맞게 구동모터를 정, 역회전시키는 프로그램 회로판이 내장된다.
또한, 동력수단(20)은 구동모터의 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축전지가 포함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수단(20)의 구동모터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스위치(p)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버튼스위치(p)를 통해 동력수단(20)의 on/off가 이루어지고, on 일 때에는 동력수단(20)은 정, 역회전을 반복하여 수행되고, off 일 때에는 동력수단(20)의 작동이 멈추도록 제어된다.
앞서 언급한 버튼스위치(p)는 케이스(10)의 원통체(11)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체(11)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인입되는 굴곡부(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조인트(30)는 제1요크(31)의 상, 하측으로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9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요크(31)가 위치되는 원통체(11)의 내부 하측 부위에 자성체(90)를 감지하는 홀센서(100)가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100)가 제1요크(31)의 정, 역회전을 감지하여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에 맞게 동력수단(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성부(13)의 작동스크류(60)가 구비되는 측의 상, 하부로 각각 절단몸체(80)가 회동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로 된 감지체(110)가 각각 구비된다.
감지체(110)가 절단몸체(8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수용체(40) 또는 작동체(50)를 감지하여 절단몸체(80)의 회동반경을 벗어남을 감지하면 동력수단(20)으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차단하여 동력수단(20)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성체(90)를 감지하는 홀센서(100) 및 절단몸체(80)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체(110)로 하여금 이중으로 절단몸체(80)의 절단과정을 감지하여 고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원통체
12 : 제1구성부 13 : 제2구성부
15 : 보조돌출체 20 : 동력수단
30 : 유니버셜조인트 31 : 제1요크
32 : 제1인입공 33 : 크로스핀
34 : 인입부 35 : 제2요크
36 : 제2인입공 40 : 수용체
41 : 핀 43 : 작동공
50 : 작동체 60 : 작동스크류
70 : 지지몸체 71 : 받침날
80 : 절단몸체 81 : 절단날
90 : 자성체 100 : 홀센서
110 : 감지체
12 : 제1구성부 13 : 제2구성부
15 : 보조돌출체 20 : 동력수단
30 : 유니버셜조인트 31 : 제1요크
32 : 제1인입공 33 : 크로스핀
34 : 인입부 35 : 제2요크
36 : 제2인입공 40 : 수용체
41 : 핀 43 : 작동공
50 : 작동체 60 : 작동스크류
70 : 지지몸체 71 : 받침날
80 : 절단몸체 81 : 절단날
90 : 자성체 100 : 홀센서
110 : 감지체
Claims (4)
-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일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된 제1구성부(12) 및 제1구성부(12)의 타측으로 원통형 홈으로 된 제2구성부(13)가 각각 형성되는 원통체(11)가 구성되고, 원통체(11)의 제2구성부(13)가 형성되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조돌출체(15)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제1구성부(12)에 구비되어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20);
상기 동력수단(20)에 일측이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좌, 우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제1인입공(32)이 형성되는 제1요크(31)와, 수평방향의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 하, 좌, 우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인입부(34)가 형성되어 좌, 우 방향의 인입부(34)를 제1요크(31)의 제1인입공(32)에 인입시켜 제1요크(31)가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는 크로스핀(33)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상, 하 양측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부위에 크로스핀(33)의 상, 하방향의 인입부(34)가 인입되는 제2인입공(36)이 형성되어 크로스핀(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크로스핀(33)을 기준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2요크(35)로 이루어져 제2구성부(13)에 구비되는 유니버셜조인트(30);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0)의 제2요크(35)의 일측 부위를 수용하고, 수용된 일부위에 수용된 제2요크(35)와 함께 수직선상을 관통하는 핀(41)을 삽입하여 제2요크(3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내부에 중공된 작동공(43)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체(40);
상기 수용체(40)의 제2요크(35)가 수용되는 반대측으로 작동공(43)에 끼움되면서 끼움되는 외측은 수용체(40)의 반대측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며, 작동공(43)에 끼움되는 내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체(40)와 함께 회전되는 작동체(50);
상기 케이스(10)의 제2구성부(13) 방향에서 작동체(50)에 인입되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작동체(5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동체(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작동스크류(60);
피절날물을 절단하는 받침날(71)이 일단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케이스(10)의 보조돌출체(15)에 인입되어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몸체(70);
상기 작동스크류(60)의 선단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는 일부위가 지지몸체(70)에 힌지핀(85)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연장되는 하측부위가 옆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지몸체(70)의 받침날(71)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81)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8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원통체(11)의 외측으로 사용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인입되는 굴곡부(1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0)는 제1요크(31)의 상, 하측으로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9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요크(31)가 위치되는 원통체(11)의 내부 하측 부위에 자성체(90)를 감지하는 홀센서(1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성부(13)의 작동스크류(60)가 구비되는 측의 상, 하부로 각각 절단몸체(80)가 회동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로 된 감지체(110)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540A KR102381894B1 (ko) | 2020-03-27 | 2020-03-27 | 전동가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540A KR102381894B1 (ko) | 2020-03-27 | 2020-03-27 | 전동가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0610A KR20210120610A (ko) | 2021-10-07 |
KR102381894B1 true KR102381894B1 (ko) | 2022-04-04 |
Family
ID=7811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7540A KR102381894B1 (ko) | 2020-03-27 | 2020-03-27 | 전동가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189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89735A (zh) | 2006-07-20 | 2009-07-22 | 美克司株式会社 | 电动式剪刀 |
US20170238472A1 (en) | 2014-11-25 | 2017-08-24 | Pellenc (Societe Anonyme) | Hand-held power tool with protected transmission |
KR102016292B1 (ko) | 2018-06-22 | 2019-08-29 | (주)이수종합상사 | 휴대용 전동 가위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35175B1 (fr) * | 2008-08-22 | 2011-02-11 | Pellenc Sa | Dispositif permettant de determiner la position relative entre deux organes dont l'un au moins est mobile, et machines et appareils en faisant application |
-
2020
- 2020-03-27 KR KR1020200037540A patent/KR1023818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89735A (zh) | 2006-07-20 | 2009-07-22 | 美克司株式会社 | 电动式剪刀 |
US20170238472A1 (en) | 2014-11-25 | 2017-08-24 | Pellenc (Societe Anonyme) | Hand-held power tool with protected transmission |
JP2017536137A (ja) | 2014-11-25 | 2017-12-07 | ペランク (ソシエテ アノニム)Pellenc (Societe Anonyme) | 保護される動力伝達装置を有する携帯用電動工具 |
KR102016292B1 (ko) | 2018-06-22 | 2019-08-29 | (주)이수종합상사 | 휴대용 전동 가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0610A (ko) | 202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598659B2 (en) | Portable electric tool | |
US10046468B2 (en) | Cutting apparatus | |
US20120246942A1 (en) | Power pruner | |
KR101681629B1 (ko) | 2개의 샤프트를 갖는 기계화된 휴대용 전기 공구 | |
PT2156732E (pt) | Ferramenta eléctrica portátil de comando por gatilho | |
EP1747710A1 (en) | Pruning assembly | |
KR102381894B1 (ko) | 전동가위 | |
KR102381888B1 (ko) | 전동가위 | |
US10780593B2 (en) | Cutting apparatus | |
CN208480307U (zh) | 一种菠萝采摘辅助装置 | |
CN212279229U (zh) | 一种滴灌带铺设机 | |
CN212464132U (zh) | 弧度可调的绿篱修剪装置 | |
KR20160074059A (ko) | 자동 전지 가위 | |
CN203646138U (zh) | 一种树木修剪装置 | |
CN210538545U (zh) | 一种猪腹剖切机器人系统 | |
KR200469796Y1 (ko) | 전동 전지가위 | |
CN108522015B (zh) | 一种落地式水果采摘装置 | |
CN201290258Y (zh) | 剪草机 | |
KR20170084002A (ko) | 자동 전지 가위 | |
EP2263444B1 (en) | Electric cutting tool | |
CN112237126A (zh) | 一种滴灌带铺设机 | |
CN105409609A (zh) | 一种手持电动剪锯一体机 | |
KR100426056B1 (ko) | 전동 전지가위 | |
CN104787391B (zh) | 便携式手持自动封包机 | |
JP3027017U (ja) | 電動高枝カッ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