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888B1 - 전동가위 - Google Patents

전동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888B1
KR102381888B1 KR1020200037532A KR20200037532A KR102381888B1 KR 102381888 B1 KR102381888 B1 KR 102381888B1 KR 1020200037532 A KR1020200037532 A KR 1020200037532A KR 20200037532 A KR20200037532 A KR 20200037532A KR 102381888 B1 KR102381888 B1 KR 10238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upport
fixed
pl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605A (ko
Inventor
배경록
김재훈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에이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에이
Priority to KR102020003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수단의 동력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농촌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가위{Electric scissors}
본 발명은 전동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수단의 동력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농촌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농업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과수적과, 입 따내기, 과수재배, 가지치기 등의 작업에 고효율 및 편의성을 가진 별도의 작업기가 없어 불가피하게 수동가위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출공정이 이루어지는 산업현장에서도 고무나 플라스틱 등 사출공정의 후처리 절단작업용과 전자제품의 PCB에 부품 쏠더링 후처리 돌출부 제거용 등으로도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하루 수천 번 반복 연속되는 가위작업은 가뜩이나 고령화 및 부녀화와 일손부족의 농촌 상황과 더불어 현장 상황이 열악한 중소기업은 기존의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수동가위만으로 작업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극히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근골격계질환 발생 등으로 농촌과 산업현장의 노동복지는 아주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타계하기 위해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전동가위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가위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050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6호가 있다.
여기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050호는 받침날을 선측에 가지는 받침날바디와, 상기 받침날과 협조하여 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을 선측에 가지는 절단날바디를 힌지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받침날바디와 절단날바디의 후방에 결합하는 받침손잡이와 절단손잡이; 상기 받침 및 절단손잡이의 선측에 설치하여 가지 절단 후 받침날과 절단날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받침손잡이 후미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기의 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자와; 상기 절단손잡이 선측에 설치하여 동력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전동전지가위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받침손잡이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선홈에 삽입되어 복원스프링의 상부브리지와 하부 브리지를 경유하여 스위치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브리지를 경유하는 전선은 움직이지 않도록 수축튜브로 단속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의 탄성부 위치의 전선은 전동 전지가위 작동시 당겨지는 현상이 없도록 여유를 주고 수축튜브로 단속하지 않는 상태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6호는 선측에 받침날(101)을 가지는 받침날바디(102)와; 상기 받침날(101)과 협조하여 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103)을 가지는 절단날바디(104)를 힌지핀(105)으로 결합하고;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절단날바디(104)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손잡이(106,107)와;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절단날바디(104)의 후미에 설치하여 가지 절단 후 받침날(101)과 절단날(103)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109)과; 상기 절단날바디(104)와 연결되는 손잡이(107)의 후미에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수단(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절단날바디(104)를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와이어(111)와; 상기 받침날바디(102)와 연결되는 손잡이(106)의 후미에 형성하는 롤러박스(113)의 내부에 롤러축(114)으로 유지되어 와이어(111)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12)와; 상기 손잡이(106,107)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동력발생수단(11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SW)를 구비하고 전동 전지가위를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SW)는, 어느 하나의 손잡이(106,107)에 연결하는 마이너스접점(121)과; 어느 하나의 손잡이(106,107)에 절연재(125)를 개재하여 구비하는 플러스접점(120)과; 상기 플러스접점(120)과 연결되어 복원스프링(109) 방향으로 도출되는 접점바(126)로 구성하여 손잡이(106,107)를 잡으면 복원스프링(109)과 접점바(126)가 접촉하면서 전기적인 연결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또한 이러한 전동가위의 개량을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와 더불어 동력수단의 구동만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어 저렴한 생산단가로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동력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편심캠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보조링크체와 함께 링크체가 제2연장부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져, 최종적으로는 절단몸체가 힌지핀에 의해 지지몸체에서 힌지회동을 수행시키게 됨으로써,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는 전동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절날물을 절단하는 받침날이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와 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지지몸체의 받침날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받침날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지지몸체를 고정하도록 다수의 볼트가 지지몸체와 체결되는 고정판; 상기 절단몸체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절단몸체와 고정되며, 절단몸체와 고정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는 링크체; 상기 지지몸체의 받침날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판 및 지지몸체와 일측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에서 제2연장부의 선단에 링크체결되어 링크체가 제2연장부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지게 하는 보조링크체; 상기 링크체의 제1연장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축; 양측이 중공되며, 중공된 부위에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축공이 형성되는 베어링볼이 구비되고, 중공된 양측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베어링볼이 고정축을 수용하는 로드엔드 베어링;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 일측이 상기 동력수단과 연결되며, 타측은 로드엔드 베어링의 하측의 베어링볼에 수용되는 편심축이 형성되어 동력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편심축은 편심회동하여 편심축과 연결된 로드엔드 베어링과 고정축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링크체의 링크작용과 더불어 절단몸체를 힌지회동시켜 피절단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편심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를 제공한다.
또한, 절단몸체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지지몸체의 중단 부위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으로 절단몸체가 마찰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1감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엔드 베어링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상측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으로 로드엔드 베어링과 고정축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절단몸체의 절단반경이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2감지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편심캠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보조링크체와 함께 링크체가 제2연장부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져, 최종적으로는 절단몸체가 힌지핀에 의해 지지몸체에서 힌지회동을 수행시키게 됨으로써,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성체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절단몸체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2감지체로 하여금 이중으로 절단몸체의 절단과정을 감지하여 고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5, 6은 본 발명의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판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자성체 및 홀센서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단몸체이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2감지체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5, 6은 본 발명의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1, 2,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절날물을 절단하는 받침날(11)이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몸체(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0)와 힌지핀(15)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힌지회동시에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21)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몸체(10)와 절단몸체(20)의 재질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계속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고, 습기로 인한 부식 및 손상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지지몸체(10)를 고정하도록 다수의 볼트가 지지몸체(10)와 체결되는 고정판(3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절단몸체(20)의 절단날(21)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절단몸체(20)와 고정되며, 절단몸체(20)와 고정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1)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43)가 형성되는 링크체(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판(30) 및 지지몸체(10)와 일측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에서 제2연장부(43)의 선단에 링크체결되는 보조링크체(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보조링크체(50)와 함께 링크체(40)가 제2연장부(43)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지며, 이러한 링크체(40)의 링크작용으로 인해 절단몸체(20)가 힌지핀(15)에 의해 지지몸체(10)에서 힌지회동을 수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체(40)의 제1연장부(4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축(60)이 포함디어 구성되며, 여기서 고정축(60)은 용접과 같은 접합작업으로 제1연장부(41)에 고정될 수도 있고, 고정축(60)이 링크체(40)와 일체로 성형되어 제1연장부(41)에 고정될 수도 있어,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이 중공되며, 중공된 부위에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축공이 형성되는 베어링볼(71)이 구비되고, 중공된 양측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73)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베어링볼(71)이 고정축(60)을 수용하는 로드엔드 베어링(7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일측이 상기 동력수단(80)과 연결되며, 타측은 로드엔드 베어링(70)의 하측의 베어링볼(81)에 수용되는 편심축(91)이 형성되어, 도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수단(90)으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편심축(91)은 편심회동하여 편심축(91)과 연결된 로드엔드 베어링(70)과 고정축(6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링크체(40)의 링크작용과 더불어 절단몸체(20)를 힌지회동시켜 피절단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편심캠(9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동력수단(80)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편심캠(90)의 정, 역회전에 의해 보조링크체(50)와 함께 링크체(40)가 제2연장부(43)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져, 최종적으로는 절단몸체(20)가 힌지핀(15)에 의해 지지몸체(10)에서 힌지회동을 수행시키게 됨으로써, 동력수단(80)의 구동만으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작업결과를 얻게 되는 것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기반의 전동가위에 비해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작동이 빠르고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축(60) 및 편심캠(90)의 편심축(91)이 로드엔드 베어링(7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너트(n)가 각각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동력수단(80)은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포함되어 감속기로 하여금 구동모터에서 인가되는 동력이 감속되며, 이에 따라 편심캠(90)의 회전력 또한 감속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편심캠(90)의 편심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동력수단(80)에는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에 맞게 구동모터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로판이 내장된다.
또한, 동력수단(80)은 구동모터의 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축전지가 포함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수단(80)의 구동모터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스위치(p)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버튼스위치(p)를 통해 동력수단(80)의 on/off가 이루어지고, on 일 때에는 동력수단(80)은 정, 역회전을 반복하여 수행되고, off 일 때에는 동력수단(80)의 작동이 멈추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지지몸체(10)와 절단몸체(20)의 일부는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케이스(100)가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버튼스위치(p)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100)의 일부위에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인입되는 굴곡부(10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0)은 하부에 고정판(30)을 지지하는 지지판(31)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판(31)의 일측으로 후술되는 수직판(33)과 결합되는 제1돌편(32)이 다수 형성된다.
수직판(33)은 상기 지지판(31)의 제1돌편(32)이 형성되는 일측 부위로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로 제1돌편(32)이 인입되는 제1인입홈(34)이 형성되어 지지판(31)과 고정되고 옆으로 후술되는 설치판(37)과 결합되는제2인입홈(35)이 형성된다.
설치판(37)은 상기 동력수단(80)과 편심캡(90) 사이에 설치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체결에 의해 동력수단(80)을 고정하고, 일측으로 수직판(33)에 형성되는 제2인입홈(35)에 인입되는 제2돌편(38)이 형성되어 수직판(33)과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판(30)과 일체인 지지판(31)이 수직판(33)과 결합되어 고정판(3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면서도 수직판(33)과 결합되는 설치판(37)으로 인해 동력수단(8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동력수단(8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지지몸체(10) 및 절단몸체(20)를 포함한 케이스(100)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견고하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90)의 상, 하측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1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심캠(90)의 하측의 케이스(100)에는 자성체(110)를 감지하는 홀센서(120)가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120)가 편심캠(90)의 정, 역회전을 감지하여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에 맞게 동력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지지몸체(10)의 중단 부위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턱(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턱(130)으로 절단몸체(20)가 마찰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1감지체(140)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엔드 베어링(70)의 상측면에 이격된 케이스(100)에 로드엔드 베어링(7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턱(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150)으로 로드엔드 베어링(70)과 고정축(60)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이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2감지체(160)가 구비된다.
제1, 2감지체(140, 160)가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을 벗어남을 감지하면 동력수단(80)으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차단하여 동력수단(80)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성체(110)를 감지하는 홀센서(120) 및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2감지체(140, 160)로 하여금 이중으로 절단몸체의 절단과정을 감지하여 고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지지몸체 11 : 받침날
20 : 절단몸체 21 : 절단날
30 : 고정판 40 : 링크체
41 : 제1연장부 43 : 제2연장부
50 : 보조링크체 60 : 고정축
70 : 로드엔드 베어링 71 : 베어링볼
73 : 연결부 80 : 동력수단
90 : 편심캠 91 : 편심축
100 : 케이스 110 : 자성체
120 : 홀센서 130 : 제1걸림턱
140 : 제1감지체 150 : 제2걸림턱
160 : 제2감지체

Claims (5)

  1.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받침날(11)이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몸체(10);
    상기 지지몸체(10)와 힌지핀(15)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며,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과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21)이 일단에 형성되는 절단몸체(20);
    상기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지지몸체(10)를 고정하도록 다수의 볼트가 지지몸체(10)와 체결되는 고정판(30);
    상기 절단몸체(20)의 절단날(21)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절단몸체(20)와 고정되며, 절단몸체(20)와 고정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1)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43)가 형성되는 링크체(40);
    상기 지지몸체(10)의 받침날(11)이 형성되는 반대측 단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판(30) 및 지지몸체(10)와 일측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에서 제2연장부(43)의 선단에 링크체결되어 링크체(40)가 제2연장부(43)의 선단을 기준으로 링크작용을 이루어지게 하는 보조링크체(50);
    상기 링크체(40)의 제1연장부(4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축(60);
    양측이 중공되며, 중공된 부위에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축공이 형성되는 베어링볼(71)이 구비되고, 중공된 양측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73)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베어링볼(71)이 고정축(60)을 수용하는 로드엔드 베어링(70);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80);
    일측이 상기 동력수단(80)과 연결되며, 타측은 로드엔드 베어링(70)의 하측의 베어링볼(81)에 수용되는 편심축(91)이 형성되어 동력수단(80)으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편심축(91)은 편심회동하여 편심축(91)과 연결된 로드엔드 베어링(70)과 고정축(6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링크체(40)의 링크작용과 더불어 절단몸체(20)를 힌지회동시켜 피절단물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편심캠(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몸체(10)와 절단몸체(20)의 일부는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케이스(1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은 하부에 고정판(30)을 지지하는 지지판(31)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판(31)의 일측으로 제1돌편(32)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1)의 제1돌편(32)이 형성되는 일측 부위로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로 제1돌편(32)이 인입되는 제1인입홈(34)이 형성되어 지지판(31)과 고정되고 옆으로 제2인입홈(35)이 형성되는 수직판(33)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수단(80)과 편심캠(90) 사이에 설치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체결에 의해 동력수단(80)을 고정하고, 일측으로 수직판(33)에 형성되는 제2인입홈(35)에 인입되는 제2돌편(38)이 형성되어 수직판(33)과 고정되는 설치판(3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90)의 상, 하측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1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90)의 하측의 케이스(100)에는 자성체(110)를 감지하는 홀센서(1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을 벗어나는 지지몸체(10)의 중단 부위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130)으로 절단몸체(20)가 마찰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1감지체(140)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엔드 베어링(70)의 상측면에 이격된 케이스(100)에 로드엔드 베어링(7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턱(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150)으로 로드엔드 베어링(70)과 고정축(60)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절단몸체(20)의 절단반경이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인 제2감지체(1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가위.
KR1020200037532A 2020-03-27 2020-03-27 전동가위 KR10238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32A KR102381888B1 (ko) 2020-03-27 2020-03-27 전동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32A KR102381888B1 (ko) 2020-03-27 2020-03-27 전동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05A KR20210120605A (ko) 2021-10-07
KR102381888B1 true KR102381888B1 (ko) 2022-04-04

Family

ID=7811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32A KR102381888B1 (ko) 2020-03-27 2020-03-27 전동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0342A1 (en) * 2022-02-07 2023-08-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owered metal snip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0606A1 (en) 2004-01-22 2005-07-28 Yao Ching H. Electric driving scissors
US20170238472A1 (en) 2014-11-25 2017-08-24 Pellenc (Societe Anonyme) Hand-held power tool with protected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80U (ko) * 1975-06-24 1977-01-10
JPS5662826U (ko) * 1979-10-01 1981-05-27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0606A1 (en) 2004-01-22 2005-07-28 Yao Ching H. Electric driving scissors
US20170238472A1 (en) 2014-11-25 2017-08-24 Pellenc (Societe Anonyme) Hand-held power tool with protected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05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8659B2 (en) Portable electric tool
CN201238501Y (zh) 便携式电动绿篱机
KR102381888B1 (ko) 전동가위
JPH0898627A (ja) 剪断ブレード/鋸ブレードの組合せアセンブリを具えた生け垣用剪定器
CN109287271B (zh) 机电一体荔枝采收机
EP1747710A1 (en) Pruning assembly
CN205378575U (zh) 电动修剪机
CN105409427A (zh) 一种割草机用调高机构
KR102381894B1 (ko) 전동가위
GB2325387A (en) Hedge trimmer
CN211090787U (zh) 园林多功能清理工具
US4646437A (en) Cutting tools
CN108522015B (zh) 一种落地式水果采摘装置
EP0391916A1 (de) Elektrisch angetriebene schere.
EP2263444B1 (en) Electric cutting tool
JP3196477U7 (ko)
CN211607466U (zh) 一种林木修剪装置
CN204527827U (zh) 手持封包机
CN101755622A (zh) 剪草机
CN201290258Y (zh) 剪草机
US5442857A (en) Portable powered hack-saw
CN212696695U (zh) 一种大樱桃采摘装置
RU2728348C1 (ru) Стряхиватель
KR100426056B1 (ko) 전동 전지가위
CN116649093A (zh) 一种用于吊蔓种植的瓜类果实的采摘装置和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