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68B1 - 차량용 웜하우징 - Google Patents

차량용 웜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68B1
KR102381668B1 KR1020200096928A KR20200096928A KR102381668B1 KR 102381668 B1 KR102381668 B1 KR 102381668B1 KR 1020200096928 A KR1020200096928 A KR 1020200096928A KR 20200096928 A KR20200096928 A KR 20200096928A KR 102381668 B1 KR102381668 B1 KR 10238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accommodating part
enlarged
vehic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044A (ko
Inventor
손가헌
김홍철
원치건
유철
김지수
장석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이씨 filed Critical (주)케이에이씨
Priority to KR102020009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0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specific dividing lines or planes of the gear 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1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the gear case, e.g. special adaptations for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웜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웜휠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일측으로 원통형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웜휠수용부, 상기 웜휠수용부의 축방향의 타측에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에는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결합부, 웜휠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된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웜축수용부, 웜축수용부의 일측단에서 개구되며 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모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웜하우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웜하우징{WORM HOUSING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웜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웜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량용 웜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되며, 내구 진행 후 차량용 웜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웜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로 웜축과 웜휠 등이 이용되며 이러한 웜축과 웜휠 등은 웜하우징에 내장되어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된다.
여기서, 웜하우징은 웜축과 웜휠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위치를 제공하면서, 웜축과 웜휠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하중과 동하중 특히, 비틀림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웜하우징은 주조품의 제조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고, 웜하우징의 기계적 강도 대비 크기와 부피가 과대하고 중량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자연대류를 통해서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어 모터의 열이 웜축과 웜휠, 웜하우징에 전달되어 과열로 인해 웜하우징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차량용 웜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량용 웜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하면서도, 내구 진행 후 차량용 웜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웜하우징의 연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차량용 웜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량용 웜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되며, 내구 진행 후 차량용 웜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웜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웜휠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일측으로 원통형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웜휠수용부, 상기 웜휠수용부의 축방향의 타측에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에는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결합부, 웜휠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된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웜축수용부, 웜축수용부의 일측단에서 개구되며 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모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웜하우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용 웜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량용 웜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되며, 내구 진행 후 차량용 웜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4의 B-B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4의 B-B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웜하우징은, 웜휠이 수용되며 축(W2)방향의 일측으로 원통형의 개구부(111)가 구비되어 있는 웜휠수용부(110), 웜휠수용부(110)의 축방향의 타측에 격벽(115)이 형성되고 격벽(115)에는 개구부(111)와 연통되는 연통홀(131)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결합부(130), 웜휠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이 수용되며 축(W1)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된 실린더부(159)가 형성되어 있는 웜축수용부(150), 웜축수용부(150)의 일측단에서 개구되며 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171)가 형성되어 있는 모터 결합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차량용 웜하우징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모터축과 결합되는 웜축, 웜축과 치합되어 회전하며 감속된 출력을 샤프트로 전달하는 웜휠 등이 실장되어 차량에 장착된다.
여기서, 모터와 웜축, 웜휠, 샤프트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웜휠수용부(11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웜휠수용부(110)의 축(W2)방향 타측에는 격벽(115)으로 형성되는 샤프트 결합부(130)가 구비되며 샤프트 결합부(130)의 중심부에는 웜휠 수용부의 개구부(111)와 연통되는 연통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웜휠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웜축수용부(150)는 축(W1)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된 실린더부(159)가 형성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이 수용되며 일측단에는 모터 결합부(170)가 구비된다.
모터 결합부(170)에는 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되게 형성되는 연장플랜지(1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웜휠수용부(110)와 웜축수용부(150)의 연결부위에는 절개홀(157)이 형성되어 있어서, 절개홀(157)을 통해 노출된 웜휠과 웜축이 치합되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웜휠수용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1)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내경부(113)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내경부(113)에 절개홀(157)이 구비된다.
따라서, 절개홀(157)로 인한 웜휠수용부(110)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다이캐스팅시 절개홀(157) 주변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과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11)의 끝단과 돌출내경부(113)의 연결부위는 경사면(112)으로 단차지게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개구부(111)와 돌출내경부(113)의 연결 부위에서 면함몰 또는 면뒤틀림이 줄어들게 되어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웜휠수용부(110)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웜휠수용부(110)의 축방향 타측 즉, 원통형의 개구부(111) 반대쪽에는 격벽(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격벽(115)에는 개구부(111)와 연통되는 연통홀(131)이 형성된 샤프트 결합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샤프트 결합부(130)에는 연통홀(131)을 형성하면서 격벽(115)의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돌출부(1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결합부(130)는 격벽(115)의 외측면과 외측돌출부(135)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환형의 돌출단부(13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홀(131)의 주변 격벽(115)의 변형을 줄이고 격벽(115)과 돌출내경부(113)의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웜휠수용부(110)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외측돌출부(135)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원주면을 형성하는 축경단부(135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결합부(130)에는 연통홀(131)을 형성하면서 격벽(115)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돌출부(133)가 구비되어 있어서, 외측돌출부(135)와 내측돌출부(133)가 축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연통홀(131)의 주변 격벽(115)의 변형을 줄이고 격벽(115)과 돌출내경부(113)의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웜휠수용부(110)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내측돌출부(133)는 외측돌출부(135)의 내주면에 구비된 축경단부(135a)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내측돌출부(133b)와, 제1내측돌출부(133b)의 내경보다 더 돌출되며 축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내측돌출부(133a)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연통홀(131)의 형성을 위한 용융물의 흐름을 좋게 함으로써 외측돌출부(135)와 내측돌출부(133) 및 연통홀(131)의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돌출부(133)와 격벽(115)의 연결부위는 격벽(115)의 내측면에서 내측돌출부(133)의 끝단 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경사진 곡면(134)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내측돌출부(133)와 격벽(115) 및 돌출내경부(113)의 연결 부위에서 면함몰 또는 면뒤틀림이 줄어들게 되어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웜휠수용부(110)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웜축수용부(150)의 타측단 즉, 모터 결합부(170)의 반대쪽 외주면에는 직경이 확대된 확경부(15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웜축수용부(150)는 확경부(155)의 내주면에 실린더부(159)의 내경보다 확대된 확경단부(177, 179)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확경단부(177, 179)는 실린더부(159)와 단차지게 내경이 확대되어 실린더부(159)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확경단부(177)와, 제1확경단부(177)의 끝단에서 제1확경단부(177)의 내경보다 더 확대되며 축방향의 외측 웜축수용부(150)의 개구된 방향에 배치되는 제2확경단부(179)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웜축수용부(150)의 단부를 개구되게 형성하기 위한 용융물의 흐름을 좋게 함으로써 확경부(155)와 실린더부(159) 및 절개홀(157)의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확경단부(179)는 축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제2확경단부(179)의 축방향 외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돌출부(178)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웜축수용부(150)의 개구된 단부의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웜축수용부(150)는 외측면에 연장플랜지(171)와 연결되는 수평플랜지(151, 153)가 구비되며 수평플랜지(151, 153)는 웜축수용부(150)의 중심축(W1)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즉, 웜축수용부(150)는 웜휠수용부(110)에 비해 크기와 부피가 작게 형성되는데 웜축수용부(150)에 수용되는 웜축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급격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때 웜축수용부(150)에는 비틀림응력이 발생되고 내구 진행시 누적된 비틀림응력에 의해 크랙의 발생되는 것을 수평플랜지(151, 153)가 지탱하게 됨으로써 웜축수용부(150)의 파손과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플랜지(151, 153)는 웜축수용부(150)의 외측면에서 평판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축방향으로는 연장플랜지(171)부터 확경부(155)까지 연결되게 형성되며, 수평플랜지(151, 153)의 탄성 복원이 잘 이루어지도록 일측 수평플랜지(151)와 타측 수평플랜지(153)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웜축수용부(150)의 외측면에는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플랜지(151, 153)의 축방향 중앙부에 위치되는 원기둥형상의 지지부(1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152)는 비틀림응력 발생시 수평플랜지(151, 153)가 과도하게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평플랜지(151, 153)의 내구성을 높여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결합부(170)는 연장플랜지(171)의 내주면에 실린더부(159)의 내경보다 확대된 확대내경부(173, 175, 176)가 구비되어 있다.
확대내경부(173, 175, 176)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실린더부(159)의 끝단에서 연장플랜지(171)의 끝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확대내경부(173, 175, )끼리의 축방향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은 경사진 곡면(174)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캐스팅시 실린더부(159)와 연장플랜지(171)의 연결 부위에서 면함몰 또는 면뒤틀림이 줄어들게 되어 치수와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모터 결합부(170)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웜휠수용부(110)와 웜축수용부(150)는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결합된다.
즉, 웜휠수용부(110)의 중심축(W2)을 X축으로 가정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축수용부(150)의 중심축(W1)은 X축과 수직인 평면(Y-Z 평면)상에서 개구부(111)의 접선방향을 이루는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과 Y축에 수직인 Z축에서 보았을때 즉, X-Y 평면상에 투영된 상태로 보았을때, 웜축수용부(150)의 중심축(W1)이 웜휠수용부(110)의 중심축(W2)과 이루는 각도(D)가 70° ~ 75°로 배치된다.
이렇게 웜축수용부(150)의 중심축(W1)이 웜휠수용부(110)의 중심축(W2)이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결합됨으로써, 웜축과 웜휠의 치결합시 백래쉬가 줄어들며 치물림이 좋아져서 작동 소음이 줄어들고 웜축과 웜휠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웜휠수용부(110)와 샤프트 결합부(130), 웜축수용부(150) 및 모터 결합부(170)는 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크롬, 니켈, 주석, 납, 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과 알루미늄이 혼합되어 다이캐스팅되며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이 필요 없어지게 되고, 웜하우징의 성능 대비 크기와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리는 0.7 ~ 3.5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게 되며, 구리가 0.7 중량% 보다 적거나 3.5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웜하우징에 요구되는 인장강도와 경도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며 충격강도가 낮아져서 충격시 파손되는 문제가 방발생된다.
그리고, 실리콘은 9.6 ~ 13.5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높이면서 열팽창률을 최소화하게 되며, 9.6 중량% 보다 적거나 13.5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웜하우징에 요구되는 내열성이 떨어지고 내마모성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철은 0.05 ~ 0.1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면서 고온취성과 저온취성을 개선하게 되며, 0.05 중량% 보다 적거나 0.1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웜하우징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지 못하고 고온취성과 저온취성이 악화되어 제품 제조 과정이나 완성 후에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용 웜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차량용 웜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되며, 내구 진행 후 차량용 웜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웜휠수용부 113: 돌출내경부
130: 샤프트 결합부 133: 내측돌출부
135: 외측돌출부 150: 웜축수용부
170: 모터 결합부 171: 연장플랜지

Claims (18)

  1. 웜휠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일측으로 원통형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웜휠수용부;
    상기 웜휠수용부의 축방향의 타측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결합부;
    상기 웜휠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이 수용되며 축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된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웜축수용부;
    상기 웜축수용부의 일측단에서 개구되며 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모터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격벽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돌출부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원주면을 형성하는 축경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상기 격벽과 외측돌출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환형의 돌출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수용부와 상기 웜축수용부의 연결부위에는 절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내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내경부에 상기 절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끝단과 상기 돌출내경부의 연결부위는 경사면으로 단차지게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격벽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돌출부는 상기 축경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내측돌출부와, 상기 제1내측돌출부의 내경보다 더 돌출되며 축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돌출부와 격벽의 연결부위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내측돌출부의 끝단 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수용부의 타측단 외주면에는 직경이 확대된 확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수용부는 상기 확경부의 내주면에 상기 실린더부의 내경보다 확대된 확경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단부는, 상기 실린더부와 단차지게 내경이 확대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확경단부와, 상기 제1확경단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1확경단부의 내경보다 더 확대되며 상기 웜축수용부의 개구된 방향에 배치되는 제2확경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경단부는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확경단부의 축방향 외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수용부는 외측면에 상기 연장플랜지와 연결되는 수평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플랜지는 상기 웜축수용부의 중심축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수용부의 외측면에는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랜지의 축방향 중앙부에 위치되는 원기둥형상의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결합부는 상기 연장플랜지의 내주면에 상기 실린더부의 내경보다 확대된 확대내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내경부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에서 상기 연장플랜지의 끝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확대내경부끼리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은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웜하우징.
  18. 삭제
KR1020200096928A 2020-08-03 2020-08-03 차량용 웜하우징 KR10238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28A KR102381668B1 (ko) 2020-08-03 2020-08-03 차량용 웜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28A KR102381668B1 (ko) 2020-08-03 2020-08-03 차량용 웜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44A KR20220017044A (ko) 2022-02-11
KR102381668B1 true KR102381668B1 (ko) 2022-04-06

Family

ID=8026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28A KR102381668B1 (ko) 2020-08-03 2020-08-03 차량용 웜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197A (ja) * 2010-11-09 2011-02-17 Nsk Ltd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9087945A1 (ja) * 2017-10-30 2019-05-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ギヤ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117B1 (ko) * 2011-06-30 2013-08-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197A (ja) * 2010-11-09 2011-02-17 Nsk Ltd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9087945A1 (ja) * 2017-10-30 2019-05-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ギヤ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44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9345B1 (en) Differential gear unit
US20120083384A1 (en) Planetary gearbox having nested planetary gear stages
US4506561A (en) Transmission housing
KR102381668B1 (ko) 차량용 웜하우징
JP5091692B2 (ja) 遊星歯車機構付き変速機
KR100727561B1 (ko) 하이브리드용 자동 변속기
CN202203340U (zh) 一种短筒柔轮谐波传动减速器
EP2239478A1 (en) Fixe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6712705B2 (en) Damper mechanism
JP7355410B2 (ja) ハーモニック減速裝置
KR20220134798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토크 센서 하우징
CN211089354U (zh) 一种增程发电机及车辆
US20090156353A1 (en) Planetary gear set
JP2014092208A (ja) 波動歯車装置及び伝達比可変装置
CN111619341A (zh) 一种减速器、电驱动系统以及电动汽车
CN112984049A (zh) 一种发动机的飞轮结构及发动机
CN212985932U (zh) 齿轮箱的电机直联结构
CN113661347A (zh) 传动组件和用于组装所述传动组件的方法
JP2006090739A (ja) 回転体のバランス取り構造
US20040118112A1 (en) Torque converter
CN210461892U (zh) 阀门及其阀芯
KR102405029B1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CN213125704U (zh) 一种电驱动装置
CN114393377B (zh) 新能源汽车减速器和对主减速齿轮磨齿的差速器装配方法
CN219366726U (zh) 大扭矩商用车轻量化差速器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