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305B1 -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305B1
KR102381305B1 KR1020180105490A KR20180105490A KR102381305B1 KR 102381305 B1 KR102381305 B1 KR 102381305B1 KR 1020180105490 A KR1020180105490 A KR 1020180105490A KR 20180105490 A KR20180105490 A KR 20180105490A KR 102381305 B1 KR102381305 B1 KR 10238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wall
dome
concret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332A (ko
Inventor
김경자
Original Assignee
김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자 filed Critical 김경자
Priority to KR102018010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의 특색과 환경에 따라서 테마하우스를 제공하고 위한 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ALC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ALC 블럭으로 조적되어 이루어진 원형 벽체와; 상기 원형 벽체 중간에 원호를 갖는 다수의 창문과; 상기 ALC 블럭으로 이루어진 원형 벽체 상단에 형성되는 테두리 보와; 상기 테두리 보 상부에 처마와 돔으로 이루어진 지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DOME BUILDING USING AUTOCLAVED LIGHWEIGHT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역의 특색과 환경에 적합한 테마하우스를 제공하기 위한 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형태는 벽면을 이루는 사각형 형태의 구조로서 벽면과 벽면이 만나 벽체를 이루는 구조이며, 지붕은 슬라브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바람이 없고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서는 단열에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은 벽체를 흙으로 바르고 산밑의 양지바른 장소에 위치하고 방위는 남향 동남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현대에는 따듯하고 양지 바른 장소는 한정됨으로 현대식 양옥집과 빌딩에서는 창문을 이중창으로 하고 벽체의 단열을 높이기 위해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벽체를 두껍게 하여 단열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열을 높이기 위해 내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거나 벽체를 두껍게하면 단열의 효과는 있으나 건축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눈이 많이 오는 강원도 및 산간지방이나, 제주도와 같이 바람이 많은 지역에서 단열재를 과도하게 설치하고 유리창과 같이 공기가 유통되는 부분은 최대한 차단하여 건축하게 됨으로 건축비가 과도하게 소요됨은 물론 이렇게 건축된 집안 내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 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4047호(공개일자 2018년 06월 14일)의 "돔 건축물의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 이라한다)은,
돔 건축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금속프레임 및 철근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벽 철골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와, 금속프레임 및 철근을 이용하여 상기 벽 철골구조물의 상부에 돔 형태의 지붕 철골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벽 철골구조물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제1내장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철골구조물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제2내장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철골구조물 및 제2내장재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발포 우레탄을 살포하여 지붕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벽 철골구조물 및 제1내장재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발포 우레탄을 살포하여 벽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외형상 건축물이 돔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기존의 콘크리트 건물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선행기술과 같이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또는 형강 방식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별도의 단열재가 설치하여야 함으로 건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의 환기시설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은 벽 철골구조물(20)의 외면(실외측면) 또는 내·외면(실내측 면과 실외측면)에 발포 우레탄을 살포(spray)하여 벽 단열층을 형성한다. 즉 액상 우레탄을 벽 철골구조물(20) 및 제1내장재(30) 표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면 우레탄이 분사되는 동시에 거품처럼 발포, 경화되면서 벽 단열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벽 외면에 단열층을 형성하기 위해 우레탄을 분사하게되면 환경친화 적이라 할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대기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40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첫째,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이하 "ALC블럭" 이라함)을 조적하여 원형으로 벽체를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하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둘째, 제주도와 같이 지역의 특색에 따라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섬지방 등에 건축시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외형을 돔 형상으로 건축함으로 정형화 되지 않은 곡선미와 부드러운 건축양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지역을 특색에 적합하도롤 테마형식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반을 터파기 공사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으로부터 20센치미터 이상 돌출되도록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ALC 블럭 전용 몰탈을 1쎈치미터로 균일하게 깔은 후 ALC 블럭을 반복하여 조적하되 환봉을 1미터 간격으로 수직설치 하면서 벽체를 원형으로 조적하는 단계;
상기 ALC 블럭이 조적되어 형성된 벽체의 유리창 설치 위치의 상 하부에 가로로 환봉인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환봉인방 상부에 연속하여 ALC 블럭을 조적한 후 최상단에 원형 테두리 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 보 상부에 철근을 이용하여 처마철근골조와 지붕철근골조를 형성하되 지붕철근골조는 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처마철근골조와 돔 형상의 지붕철근골조 상부에 지붕 창문 위치를 제외한 전부에 와이어매쉬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매쉬패널이 설치된 지붕과 처마 외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붕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과 처마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도와 중도 및 상도를 거쳐 페인트를 도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봉인방을 설치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 하부에 설치된 환봉인방 사이에는 벽체의 원주를 따라서 다수의 창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ALC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ALC 블럭으로 조적되어 이루어진 원형벽체와;
상기 원형벽체 중간에 호(弧)를 갖는 다수의 창문과;
상기 ALC 블럭으로 이루어진 원형벽체 상단에 형성되는 테두리 보와;
상기 테두리 보 상부에 처마와 돔으로 이루어진 지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벽체 중간에 설치된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 공기가 지붕에 설치된 지붕창으로 순환되도록 건축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에 설치된 지붕창에는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덮개는 리모콘 또는 내벽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돔으로 이루어진 지붕은 내측으로부터 마감재, 철근골조, 단열재를 갖는 와이어매쉬, 콘크리트 도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원형벽체로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는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ALC 블럭)으로 조적하여 원형벽체를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하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제주도와 같이 지역의 특색에 따라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섬지방 등에 건축시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외형을 돔 형상으로 건축함으로 정형화되지 않은 곡선미와 부드러운 건축양식을 제공하여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도 한 환경 친화적인 건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있다.
도1은 종래의 돔 형태의 건축구조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돔 형상의 지붕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일부 절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건축물 구조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 설계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체 시공을 나타낸 것으로 기초콘크리트에 ALC 블록이 조적된 상태를 나타낸 발췌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돔 건축물은 시공시 벽체를 조적하는 블럭을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ALC 블럭)으로 사용함으로서 불연, 내화, 단열이 우수한 성능을 갖도록하는 동시에 벽체는 원형으로 구성하고 지붕은 돔 형태로 건축토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내부의 면적과 공간을 최대한 효률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내부의 공간을 사각형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건물 외벽 형태 역시 사각형구조로 이루어 질 수 밖에 없다.
즉, 건축물의 내부구조를 사각형으로 해야만 집안에 설치되는 장롱 등 가구의 배치와 공간의 활성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집들은 대부분 면과 면이 만나는 벽체로 이루어져 바람이 많은 지역이나 섬 지방의 경우 바람 등에 노출되어 벽면과 바람이 작접적으로 맞닿아 단열이 안된 부분에서는 내부로 바람이 새들어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기존과 같이 반드시 장롱 등을 구비하지 않고 내부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인테리어를 하거나 여러 개의 방중 하나를 옷방으로 사용하게 됨으로 내부의 벽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일수록 기존의 일율적인 구조보다는 변화된 구조를 선호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벽체를 별도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 ALC 블럭으로 조적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서 단열기능을 갖도록하는 동시에 벽체 구조를 원형으로 하고 지붕을 돔 형태로 형성함으로 바람이 부딪치더라도 일측으로 흘러가도록 함으로 바람이 부딪치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서 단열구조를 높인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반을 터파기 공사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으로부터 20센치미터 이상 돌출되도록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ALC 블럭 전용 몰탈을 1센치미터로 균일하게 깔은 후 ALC 블럭을 반복하여 조적하되 환봉을 1미터 간격으로 수직설치 하면서 벽체를 원형으로 시공하는 단계;
⒞상기 ALC 블럭이 조적되어 형성된 원형 벽체의 창문 설치 위치의 상 하부에 가로로 환봉인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환봉인방 상부에 연속하여 ALC 블럭을 조적한 후 최상단에 원형 테두리 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테주리 보 상부에 철근을 이용하여 처마철근골조와 지붕철근골조를 형성하되 지붕철근골조는 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처마철근골조와 돔 형상의 지붕철근골조 상부에 지붕 창문 위치를 제외한 전부에 와이어매쉬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매쉬패널이 설치된 지붕과 처마 외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붕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과 처마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도와 중도 및 상도를 거쳐 방수 페인트를 도포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먼저 ALC 블럭(10)을 이용하여 원형벽체(12)를 조적하기 위해 지반을 터파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11)를 형성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11)는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반 아래로 터파기를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깊이 팔수도 있고 얕게 팔수도 있다.
이는 지반이 연약 지반인 경우에는 지하실이 없는 경우 1층 높이의 크기로 깊게 파고, 단단한 암석층 또는 단단한 지반인 경우 1미터 정도의 깊이로 터파기를 하더라도 문제가 없으나 이는 건축시 건축 설계도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벽체를 ALC 블럭(10)으로 조적 함으로서 ALC 블럭(10)과 지반이 직접 맞닿으면 습기가 흡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ALC 블럭(10)은 가볍고 단열이 양호한 반면에 무수한 기공으로 이루어져 습기가 건조되지 않고 365일 흡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습도 조절이 안되는 단점이 있어 지반하고 맞닿는 부분에는 기초콘크리트(11)로 기초공사를 하고 그 위에 ALC 블럭(10)를 조적함으로서 항상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ALC 블럭(10)은 특성상 단열, 내화, 불연의 장점이 있는 동시에 자체습기 제어 능력을 가지게 됨으로 습도가 높은 날은 습기를 흡수하여 건축물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고 날씨가 맑은 날은 ALC 블럭(10)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원형벽체(12)는 지반에 기초콘크리트(11)를 타설하여 지반 위로 20센치미터 이상 위로 올라오도록 기초콘크리트(11)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 ALC 블럭(10) 전용 몰탈을 바른 후 ALC 블럭(10)를 연속하여 조적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1)를 형성한 후 상면에 ALC 블럭(10)으로 조적하되 전체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원형벽체(12)를 형성한다.
이때 원형벽체(12)에는 1m 간격으로 환봉(15)이 설치된다. 상기 환봉(15)은 기초콘크리트(11)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조적되는 ALC 블럭(10)을 관통하며 몰탈에 의해 견고하게 매립고정된다.
상기 원형벽체(12)는 통상의 건축물에 형성되는 창문(13)과 같이 중간에 원호를 갖는 다수의 창문(13)을 형성된다.
상기 벽체 중간에 설치되는 창문(13) 상부에는 환봉인방(16)이 설치되어 창문(13) 상부에 조적되는 ALC 블럭(10)이 하부에 위치하는 창문틀에 직접적으로 하 중을 가하는 것은 방지토록 한다.
상기 창문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환봉인방(16) 양단부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환봉에 용접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원형벽체(13)의 중간에 설치되는 창문(13)은 원형 벽체의 원주를 따라 설치됨으로 창문 역시 호(弧)를 이루게 되며 설치되는 창문의 형태는 기존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기존의 창문은 여닫이 방식, 미서기 방식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 하나를 선태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면에는 창문 위치만 도시되고 창문의 구조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ALC 블럭(10)으로 이루어진 원형벽체(12) 상단에 테두리 보(14)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보(14)는 ALC 블럭(10)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나무,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두리 보(14)는 상부 지붕(18)의 지붕철근골조(19)와 연결되되 원형벽체(12)에 수직으로 설치된 환봉(15)과 처마(17) 및 지붕(18)의 골조를 이루는 지붕철근골조(19)의 단부와 연결되도록 하여 전단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지붕(18)의 골조를 이루는 지붕철근골조(19)는 돔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붕(18)의 기초골조를 돔 형상의지붕철근골조(19)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지붕철근골조(19) 외면에 와이어매쉬패널(20)을 설치한다.
상기 지붕철근골조(19)와 외면에는 와이어매쉬패널(20)이 연결되는데 이의 와이어매쉬패널(20)은 지붕(18)의 내구성을 갖는 동시에 단열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붕와이어매쉬(20)를 설치한 후에는 처마와 지붕 외면에 콘크리트를 분사방식으로 타설하여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지붕(18)과 처마(17)에 분사된 콘크리트(24)가 건조되면 외면에 원하는 색상을 도색하게 되는데 방수를 위해 하도, 중도, 상도를 실시하여 방수 페인트를 도포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이 완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의 건축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ALC 블럭(10)을 이용한 돔 건축물의 구성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11)와;
상기 기초콘크리트(11) 상면에 ALC 블럭으로 조적되어 이루어진 원형벽체(12)와;
상기 원형벽체(12) 중간에 원호를 갖는 다수의 창문(13)과;
상기 ALC 블럭(10)으로 이루어진 원형벽체(12) 상단에 형성되는 테두리 보(14)와;
상기 테두리 보(14) 상부에 처마(17)와 돔으로 이루어진 지붕(1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돔 형상의 지붕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일부 절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초콘크리트(11) 상면에 ALC 블럭(10)으로 조적된 하단 외면에는 특정한 형상 모양으로 자연석 타일 또는 인조석타일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벽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의 벽체로 이루어지고 이의 벽체는 ALC 블럭(10)으로 조적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벽체(12)를 이루는 중간부에는 창문(13)이 설치된다.
상기 창문(13)은 원형벽체(12)의 형상 모양과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창문(13)을 열고 밖을 보면 원형벽체(12)와 창문(13)의 전체적인 구조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시야가 넓게 펼쳐지는 특징이 있다.
즉, 기존의 건물 창문은 직선의 벽면으로 이루어져 좌우 시각에 투시되는 부분이 가려져 좌우 넓게 투시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은 벽체와 창문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투시되는 좌우 시각이 넓게 형성된다.
또한 원형으로 형성된 벽체 상단에는 처마(17)와 지붕(18)을 형성하되 처마의 철근골조(19)는 원형 벽체(12)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환봉(15) 단부와 연결되고 처마(17)의 철근골조(19)는 지붕(18)을 형성하는 철근골조(19)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붕(18)에 철근골조(19)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면 그 위에 와이어 매쉬패널(20)이 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콘크리트(24)가 분사방식으로 타설된다.
상기 와이어매쉬패널(20)은 내부에 단열재(20')가 채워지고 외면은 와이어매쉬로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매쉬패널(20)에 채원진 단열재(20')는 스치로폼, 발포우레탄 등으로 시중에서 사용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2에 있어서 지붕의 절개부분에 도시된 와이어매쉬 패널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구첸적으로는 단열재를 와이어 매쉬로 감싼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현관 전방에는 보조벽체(23)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현관 출입시 빗물 또는 눈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에서 현관을 열고 닫음을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현관에 설치되는 보조벽체(23)는 천장과 외벽이 설치되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함으로 바람과 눈비가 현관으로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 현관으로부터 손실되는 난방열과 냉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2의 하단 외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타일 또는 인조석 타일이 부착되어 기초 콘크리트와 ALC 블럭의 이음부가 외면에서 보이지 않도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하단 외면에 부착되는 자연석타일 또는 인조석 타일대용으로 주변환경에 부합되도록 테마 형태로 그림, 조각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을 테마 형태로 표출하고자 하면 하단 자연석 타일 부착부와 지붕에 테마에 적합한 조형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그림 벽화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건축물 구조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 설계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원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창문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지붕(18)에 형성된 지붕창(21)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공기의 흐름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구조는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13)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에 설치된 지붕창(21)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 환기가 자연스런 대류활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집안으로 유입된 공기는 온도가 낮은 공기는 바닥에 깔리고 온도가 높은 공기는 천장 위로 상승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창문(1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자연적으로 상승되어 지붕(18)에 형성된 지붕창(21)으로 배기 되도록 건축물 내부구조가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지붕창(21)을 닫으면 더운 공기가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천장에 정체된 상태가 됨으로 겨울철의 경우 지붕(18)으로부터 손실되는 열은 줄이고 난방 효율은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붕(18)에 형성된 지붕 창은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리모컨 또는 손이닿는 벽 일측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붕 창의 자동개폐장치는 시중에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제어장치가 나와 있으므로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 창의 덮개(22)를 투명 강화 유리로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덮개(18)를 닫은 상태에서 하늘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으나 창문, 지붕 창, 도어, 기타 전기적 시스템은 현대 건축물의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사물인터넷으로 원격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 될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붕(18) 구조는 내측으로부터 철근골조(19), 단열재(20')를 갖는 와이어 매쉬패널(20) 분사방식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24)층, 콘크리트 외면에 도색되는 방수 페인트(2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붕 내측의 철근골조 외면에는 황토흙, 콘크리트, 벽지, 목재, 목재패널 중 어느 하나로 내측 마감재가 이루어지나 이는 건축물 신축에 있어서 선택사항이고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처마(17)는 집 전체 360도로 형성되며 빗물이나 눈이 녹아 내릴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처마(17)는 필요에 따라서 태양전지의 솔라판을 설치하여 전기를 자가 발전할수도 있다. 이때 처마는 집 전체 360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솔라판은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솔라판을 설치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도4와 같이 방구조가 거실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축물에 있어서 내부의 방 배열은 거주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서 배열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은 각각의 방에서 지붕 천장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할 수 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거실은 지붕 천장과 연결되도록하고 각각의 방은 별도의 칸막이 천장을 설치하여 내부에서 지붕 천장과 바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방 상부가 지붕천장과 바로 연결되지 않도록 내부 칸막이 천장을 설치할 경우는 각 방과 연결되는 지붕 창을 설치할 필요 없다.
이와 같이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서 각각의 방에 내부 천장을 설치할 경우에는 원형 벽체(12)에 형성된 열고 닫도록 설치된 창문(1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거실을 통하여 거실 상부 지붕천장에 설치된 지붕창(21)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수도 배관, 전기 배선, 주방의 환기시설 등은 기존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조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또한 바닥 난방 시설과 기타 부대시설 역시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체 시공을 나타낸 것으로 기초콘크리트에 ALC 블록이 조적된 상태를 나타낸 발췌도로서. 지면에는 기초콘크리트(11)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기초콘크리트(11) 상면에는 ALC 블럭(10)으로 반복적으로 조적한 것이다.
상기 도5와 같이 조적하는 것은 지반으로 부터 발생되는 습기 또는 물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건물의 전체적인 벽 형태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으로 조적하여 원형으로 벽체를 형성하고 지붕은 돔 형상으로 건축하여 내부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하고, 외부로는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제주도를 비롯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섬지방 등에 건축시 바람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외형을 돔 형상으로 건축함으로 정형화되지 않은 곡선미와 부드러운 건축양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사용함으로서 건축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불연, 내화, 단열이 우수하고, 자체 습도 제어 능력을 갖는 돔 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ALC블럭 11:기초콘크리트
12:원형벽체 13:창문
14:테두리보 15:환봉
16:환봉인방 17:처마
18:지붕 19:지붕철근골조
20:와이어매쉬패널 20':단열재
21:지붕창 22:덮개
23:보조벽체 24:콘크리트
25:방수페인트

Claims (6)

  1. ALC 블럭을 이용한 건축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터파기 공사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으로부터 20센치미터 이상 돌출되도록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ALC 블럭 전용 몰탈을 1센치미터로 균일하게 깔은 후 ALC 블럭을 반복하여 조적하되 환봉을 1미터 간격으로 수직설치 하면서 벽체를 원형으로 조적하는 단계;
    상기 ALC 블럭이 조적되어 형성된 벽체에 창문 설치 위치의 상, 하부에 가로로 환봉인방을 설치하되, 환봉인방 양단부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환봉에 용접 연결하 단계;
    상기 상 하부에 설치된 환봉인방 사이에는 벽체의 원주를 따라서 다수의 곡선 창문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창문 설치 위치의 상부에 설치된 환봉인방 상부에 연속하여 ALC 블럭을 조적한 후 최상단에 원형 테두리보를 설치하되, 테두리 보는 원형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된 환봉의 단부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 보 상부에 철근을 이용하여 처마 철근골조와 지붕 철근골조를 형성하되, 처마 및 지붕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 골조의 단부는 테두리 보와 연결하고, 지붕 철근 골조는 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처마 철근골조와 돔 형상의 철근골조 상부에 지붕 창문 위치를 제외한 전부에 내부는 단열재가 채워지고 외면은 와이어 매쉬로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 와이어 매쉬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 매쉬 패널이 설치된 지붕과 처마 외면에 콘크리트를 분사방식으로 타설하여 지붕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과 처마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도와 중도 및 상도를 거쳐 방수 페인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의 돔건축물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돔 건축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05490A 2018-09-04 2018-09-04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8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90A KR102381305B1 (ko) 2018-09-04 2018-09-04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90A KR102381305B1 (ko) 2018-09-04 2018-09-04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32A KR20200027332A (ko) 2020-03-12
KR102381305B1 true KR102381305B1 (ko) 2022-04-01

Family

ID=6980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90A KR102381305B1 (ko) 2018-09-04 2018-09-04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80A (ja) * 2001-05-14 2002-11-27 Sebon Kk 長方形の平板状軽量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る境界壁の構築方法
KR100545370B1 (ko) * 2005-10-06 2006-01-24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창호에 설치되는 인방의 기능을 가진 조적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908B1 (ko) * 2000-05-12 2002-12-11 주식회사 피앤티기연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20180005986A (ko) * 2016-07-07 2018-01-17 (주)대덕전력에너지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2020946B1 (ko) 2016-12-05 2019-09-11 박동화 돔 건축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80A (ja) * 2001-05-14 2002-11-27 Sebon Kk 長方形の平板状軽量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る境界壁の構築方法
KR100545370B1 (ko) * 2005-10-06 2006-01-24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창호에 설치되는 인방의 기능을 가진 조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32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4888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080034681A1 (en) First House II
JP2007162388A (ja) 建物
KR102381305B1 (ko)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돔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4607739B2 (ja) 建物
JP3106422B2 (ja) 住宅の断熱壁構造
Batagarawa et al. Hausa traditional architecture
JP4873932B2 (ja) 建物
JP4542497B2 (ja) 建物
JP2007162389A (ja) 建物
USRE20851E (en) Building construction
Marchesi et al. VILLA MEG AN ENLIGHTENED COMMISSION CAN GENERATE AN ARCHITECTURE WHERE INTERIORS AND EXTERIORS INTERACT PERFECTLY
JP2018071333A (ja) 住宅の屋根裏換気を行わず、屋根裏断熱を強化。加えて、屋上の積雷も含めて一体的断熱層として、屋根部分の断熱を高めるとともに、屋根裏から屋上に通した塩ビパイプなどにより湿気および暑気を排出する建築工法
JPH0135137B2 (ko)
JP5437727B2 (ja) ダブルスキン外壁を備えた建物
JP4949697B2 (ja) 建物
Mašović et al. Sustainable Design Strategy for Single-Family Housing in Bosnia and Hercegovina
Jatav et al. Energy saving in building by using energy efficient green building materials
Sharma et al. Study of Climatic Parameters and Residential Housing Structures in Kota Region
Shtargot et al. High and dry
JPS6250618B2 (ko)
JP200400322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
Marriage et al. Façades and cladding: Façades and cladding
Hagerman Hammer & Hand's construction methods and approach to the glasswood commercial passive house retrofit
FR2631054A1 (fr) Structure de mur de batiment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