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16B1 -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 Google Patents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16B1
KR102379616B1 KR1020210039979A KR20210039979A KR102379616B1 KR 102379616 B1 KR102379616 B1 KR 102379616B1 KR 1020210039979 A KR1020210039979 A KR 1020210039979A KR 20210039979 A KR20210039979 A KR 20210039979A KR 102379616 B1 KR102379616 B1 KR 1023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rail groove
steel house
triangular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21003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04B2/6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마감부재의 시공이 쉽고 간편한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는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1본체부(110)와 상기 제1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제1연결부(120)를 구비한 제1스터드 본체(100)와,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2본체부(210)와 상기 제2본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중첩되는 제2연결부(220)를 구비한 제2스터드 본체(200)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상호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Triangular stud for steel house frame}
본 발명은 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마감부재의 시공이 쉽고 간편한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하우스는 주요 골조를 냉연강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두께 1mm 전후의 경량 스터드로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건축물로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임시 주택, 공장, 창고 등의 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10)는 스틸하우스의 외벽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시공되는 바, 상부의 슬래브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벽체의 보강재로도 사용이 적합하도록 "C"자 형태로 횡단면을 가진 경량의 형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10)는 "C"자 형태의 단면 구조상, 압축강도에 매우 취약하므로 단층 건물에 적용이 한정되어 보다 높은 수직하중을 받게 되는 복층 건물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틸하우스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 외장 마감재들(A,B)이 다수의 스크류(S)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바, 상기 스크류(S)가 스터드(10)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키게 되므로 스터드(10)의 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723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마감재와의 결합으로 인한 강도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는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제1연결부를 구비한 제1스터드 본체와,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중첩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한 제2스터드 본체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상호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는 실내측을 향하는 제1평면과, 상기 제1평면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이웃하는 한 쌍의 제1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는 각 제1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나란한 플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비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제1평면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일정한 폭을 가진 제1레일홈과 상기 제1레일홈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홈 보다 큰 일정한 폭을 가진 제2레일홈을 구비한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에는 내장마감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부가 제1레일홈으로 돌출되도록 헤드부가 상기 제2레일홈에 끼워지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나사부에 끼워져 이웃하는 제1본체의 제1평면을 연결하며 실내마감재가 결합되는 수평연결바와, 상기 결합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연결바와 결합볼트를 제1평면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는 삼각형태의 제1스터드 본체와 제2스터드 본체가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C"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종래의 스터드와는 달리 상하방향의 압축강도가 우수하여 복층 건물에 적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스터드 본체와 제2스터드 본체에 레일부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제1스터드 본체와 제2스터드 본체의 단면적이 증가하면서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일부를 이용하여 실내,외 마감재들을 스크류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의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상기 제1스터드 본체와 제2스터드 본체에 마감재의 설치로 인한 스크류 홀이 형성되지 않아 강도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는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와,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는 제1본체부(110)와 제1연결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본체부(110)는 아연강판을 절곡 및 롤포밍(Roll forming) 등의 굽힘가공을 통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갖도록 성형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는 실내측을 향하는 제1평면(111)과, 상기 제1평면(11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이웃하는 한 쌍의 제1경사면(112)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20)는 제1본체부(110)로부터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120)는 각 제1경사면(112)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나란한 플랜지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터드 본체(200)는 아연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2본체부(210)와, 상기 제2본체부(210)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중첩되는 제2연결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제2본체부(210)는 아연강판을 절곡 및 롤포밍(Roll forming) 등의 굽힘가공을 통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갖도록 성형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터드 본체(200)는 실내측을 향하는 제2평면(211)과, 상기 제평면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이웃하는 한 쌍의 제2경사면(212)을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220)는 각 제2경사면(212)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나란한 플랜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본체부(210)와 제2연결부(220)는 상기한 제1스터드 본체(100)의 제1본체부(110)와 제2연결부(220)와 대비할 때 설치 방향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1본체부(110)의 제1경사면(112)과 제2본체부(210)의 제2경사면(2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비드(130,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강도 보강용 비드(130,230)는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의 압축하중 및 비틀림 하중으로 인한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의 강도저하를 막아준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220)를 상호결합시키는 스크류(S)를 비롯하여 볼트와 너트일 수도 있고 리벳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0)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220)의 강도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용 홀을 형성시키지 않는 방식이 선호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결합수단(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가공을 통해 형성된 돌부와 홈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돌부와 홈부의 억지끼움 방식으로 강도 저하 없이 상기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2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의 시공특성상, 상기 돌부와 홈부에는 상하방향으로만 하중이 작용하므로 상기 돌부와 홈부가 분리될 우려는 전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는 "C"자 형태의 단면에 비하여 단면 구조상 압축강도가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직하중을 받게 되는 복층 건물의 골조로 이용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스틸하우스의 외벽을 이루는 내장마감재(A)와 외장마감재(B)는 각각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의 제1평면(111)과 상기 제2스터드 본체(200)의 제2평면(211)에 스크류(S)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골조용 스터드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본체부(110)는 제1평면(111)의 중앙에 상하방향을 따라 레일부(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부(14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제1레일홈(141)과, 상기 제1레일홈(141)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레일홈(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홈(142)은 제1레일홈(141) 보다 큰 일정한 폭을 가진다.
이와 같이, 레일부(140)가 구비되면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의 단면적이 증가하면서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제2레일홈(14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비드(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 보강용 비드(130)는 레일부에(14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의 압축하중 및 비틀림 하중으로 인한 상기 레일부(140)의 강도 저하를 막아준다.
한편, 상기 레일부(140)에는 내장마감재(A)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50)는 나사부(151b)가 제1레일홈(141)으로 돌출되도록 헤드부(151a)가 상기 제2레일홈(142)에 끼워지는 결합볼트(151)와, 상기 결합볼트(151)의 나사부(151b)에 끼워져 이웃하는 제1본체부(110)의 제1평면(111)을 연결하는 수평연결바(152)와, 상기 결합볼트(151)의 나사부(151b)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연결바(152)와 결합볼트(151)를 제1평면(111)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1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바(152)의 양단에는 결합볼트(151)의 헤드부(151a)에 끼울 수 있도록 관통공(152a)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볼트(151)의 헤드부(151a)는 일반적인 육각헤드 형상이 아닌 상기 제1레일홈(141)의 폭보다 작은 폭과 상기 제1레일홈(14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151a)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볼트(151)를 레일부(140)의 단부가 아닌 중간에서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즉, 헤드부(151a)를 수직으로 세워서 결합볼트(151)를 제1레일홈(141)에 끼운 다음 결합볼트(151)를 일측으로 90도 회전시키면 헤드부(151a)가 수평상태가 되면서 상기 헤드부(151a)가 제2레일홈(142)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결합볼트(151)를 레일부(140)의 단부가 아닌 중간에서 끼워서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150)는 결합볼트(151)를 레일부(140)에 끼운 다음 상기 수평연결바(152)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152a)을 결합볼트(151)의 나사부(151b)에 끼운 후에 조임너트(153)를 상기 나사부(151b)에 체결하여 단단히 조여주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연결바(152)를 제1평면(111)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스터드 본체(200)의 제2본체부(210)에도 상술한 레일부(140)와 동일한 레일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제2스터드 본체(200)끼리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에서의 내장마감재(A)와 외장 마감재(B)들은 상기 수평연결바(152)에 스크류(S)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에 각각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터드 본체(100)와 제2스터드 본체(200)에는 스크류(S) 홀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내,외장마감재(A,B)의 설치로 인한 강도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제1스터드 본체 110...제1본체부
111...제1평면 112...제1경사면
120...제1연결부 130,230...강도 보강용 비드
140,240...레일부 141...제1레일홈
142...제2레일홈 150...고정부재
151...결합볼트 151a...헤드부
151b...나사부 152...수평연결바
153...조임너트 210...제2본체부
220...제2연결부 200...제2스터드 본체
300...결합수단 A...내장마감재
B...외장마감재 S...스크류

Claims (5)

  1.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제1연결부를 구비한 제1스터드 본체;
    강판을 삼각형태로 성형한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중첩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한 제2스터드 본체;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상호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실내측을 향하는 제1평면과, 상기 제1평면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이웃하는 한 쌍의 제1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각 제1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나란한 플랜지이고,
    상기 제1경사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제1평면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일정한 폭을 가진 제1레일홈과, 상기 제1레일홈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홈 보다 큰 일정한 폭을 가진 제2레일홈을 구비한 레일부를 구비하는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용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에는 내장마감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부가 제1레일홈으로 돌출되도록 헤드부가 상기 제2레일홈에 끼워지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나사부에 끼워져 이웃하는 제1본체의 제1평면을 연결하며 실내마감재가 결합되는 수평연결바와, 상기 결합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연결바와 결합볼트를 제1평면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를 구비한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KR1020210039979A 2021-03-26 2021-03-26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KR10237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79A KR102379616B1 (ko) 2021-03-26 2021-03-26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79A KR102379616B1 (ko) 2021-03-26 2021-03-26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16B1 true KR102379616B1 (ko) 2022-03-29

Family

ID=8099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79A KR102379616B1 (ko) 2021-03-26 2021-03-26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6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05B1 (ko) 2001-10-09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하우스 내력벽체용 단열 스틸스터드
KR20130002653U (ko) * 2011-10-25 2013-05-03 전병탁 레일식 와이드뷰 투명방음벽
KR20160023284A (ko) * 2014-08-22 2016-03-03 황광복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20180138225A (ko) * 2017-06-19 2018-12-31 광건티앤씨(주) 내화 칸막이 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05B1 (ko) 2001-10-09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하우스 내력벽체용 단열 스틸스터드
KR20130002653U (ko) * 2011-10-25 2013-05-03 전병탁 레일식 와이드뷰 투명방음벽
KR20160023284A (ko) * 2014-08-22 2016-03-03 황광복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20180138225A (ko) * 2017-06-19 2018-12-31 광건티앤씨(주) 내화 칸막이 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968B2 (en) System and method having an improved beam and beam coupling system
US5218803A (en) Method and means for reinforcing a steel stud wall
US5906080A (en) Bracket for interconnecting a building stud to primary structural components
KR100634895B1 (ko) 구조부재 및 구조부재의 제조방법
US20030084637A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portion of a metal joist adjacent an opening therethrough and methods for forming reinforded openings in metal support members
US20090139176A1 (en) Slotted Tabbed Rim Track and Building Method
US5782054A (en) Wood wall structure
US20090007507A1 (en) Energy efficient assembly building construction using light-gage metal studs and concrete slabs
KR102379616B1 (ko) 스틸하우스 골조용 삼각 스터드
US7373762B2 (en) Multi-functional assembly including a panel and stud with oppositely configured “V” notches along a cross sectional configuration
US9279249B2 (en) Corner stud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558865B1 (ko)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및 금속패널 고정 시스템
KR100782716B1 (ko) 면외 구조 성능이 향상된 패널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강판벽체
JP3385892B2 (ja) エレベーター用カゴ室
KR20060112277A (ko) 폐단형 스터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벽체 시스템
JP2018009366A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JPH05148907A (ja) 住戸ユニツトからなる建築物
JP5270478B2 (ja) 建築物の制振構造
KR200267465Y1 (ko)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JP3979284B2 (ja) 壁構面と屋根構面との連結構造
US20030226329A1 (en) Three dimensional adapter element for interconnecting a metal stud to a further and angularly extending stud
TWM592624U (zh) 太陽能板之結合組件
AU2013200458A1 (en) A modular building frame panel
JP2023122687A (ja) 間仕切り壁下地構造、間仕切り壁および間仕切り壁下地構造の作製方法
JP2001342708A (ja) 建築用パネル部材を用いた建築構造と断熱材の取付け構造と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