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221B1 -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221B1
KR102378221B1 KR1020170104991A KR20170104991A KR102378221B1 KR 102378221 B1 KR102378221 B1 KR 102378221B1 KR 1020170104991 A KR1020170104991 A KR 1020170104991A KR 20170104991 A KR20170104991 A KR 20170104991A KR 102378221 B1 KR102378221 B1 KR 10237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return tank
hydraulic
turbid
hydraul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711A (ko
Inventor
이진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2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B63B2702/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5Prevention of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들 중 해수에 노출이 심한 유압장치의 해수가 유입된 혼탁유를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에 구속하여 청결도를 기준치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청결치가 기준치에 만족되면 필터펌프로 복귀탱크를 거쳐 주유압 공급탱크로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제적인 잠수함 운용이 가능한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에 구비되어 해수에 노출되는 복수의 유압장비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는 복귀탱크와, 상기 복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복귀탱크에서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가 이송되는 주유압 공급탱크와, 상기 주유압 공급탱크로부터 상기 유압장비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귀탱크 외에 독립된 독립 복귀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압장비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도록 하여 재사용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Submarine hydraulic equipment Seawater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들 중 해수에 노출이 심한 유압장치의 해수가 유입된 혼탁유를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에 구속하여 청결도를 기준치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청결치가 기준치에 만족되면 필터펌프로 복귀탱크를 거쳐 주유압 공급탱크로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제적인 잠수함 운용이 가능한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유압시스템은 잠항 시 잠수함의 유압시스템으로 해수가 유입되어 되며, 이로 인해, 유압시스템의 유압유가 해수에 의해 오염된다. 그렇게 오염된 유압유는 유압밸브들의 부식손상, 공동현상(cavitation) 등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수함 운용 중에 잠수함에 설치되는 수많은 복수의 유압장비들에는 유압유가 공급되며, 이러한 유압유는 주유압 공급탱크를 통하여 공급된다.
한편, 유압유가 공급된 유압장비들 중 해수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유압장비들의 유압유에는 해수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로 변하게 된다. 이 경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를 다시 드레인하여 복귀탱크를 거쳐 해수를 제거하게 되고,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는 주유압 공급탱크로 이송되어 다시 유압장비로 공급된다. 이때 필터펌프를 통하여 다시 한 번 해수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유압장비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을 경우 모든 유압장비로부터 복귀되는 혼탁한 유압유가 하나의 복귀탱크로 유입 즉, 집유되기 때문에 특정 유압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혼탁된 유압 유입을 처리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든 유압장비의 복귀 유압유가 하나의 복귀탱크로 집유되기 때문에 특정 유압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혼탁된 유압유 유입을 방지하지 못해 잠수함의 운용을 멈추고 유지보수 처리를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35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잠수함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들 중 해수에 노출이 심한 유압장치의 해수가 유입된 혼탁유를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에 구속하여 청결도를 기준치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청결치가 기준치에 만족되면 필터펌프로 복귀탱크를 거쳐 주유압 공급탱크로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제적인 잠수함 운용이 가능한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수함에 구비되어 해수에 노출되는 복수의 유압장비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는 복귀탱크와, 상기 복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복귀탱크에서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가 이송되는 주유압 공급탱크와, 상기 주유압 공급탱크로부터 상기 유압장비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귀탱크 외에 독립된 독립 복귀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압장비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도록 하여 재사용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는, 상기 유압장비로부터 유입되는 혼탁된 유압유의 청결도를 감지하는 혼탁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와 복귀탱크 사이에는, 삼방밸브가 개재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상기 독립 복귀탱크와 복귀탱크, 독립 복귀탱크에서 배출된 혼탁된 유압유가 다시 독립 복귀탱크로 리플로우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삼방밸브와 독립 복귀탱크 사이에는 필터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는 독립 복귀탱크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유압장비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는 복귀탱크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는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로 유입될 시 그 중간에는 필터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는 제어부를 통해 독립 복귀탱크 또는 복귀탱크로 분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여 그 양이 평상시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로 유입되지 않고 복귀탱크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 인터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가 판단할 시 상기 독립 복귀탱크에 구비되는 레벨센서를 통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센서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는, 그 하부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는 드레인 밸브가 구비되어,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해수 및 유압유는 비중에 의해 해수가 침전되되, 침전된 해수를 상기 드레인 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해수노출구역의 유압장비들이 주유압 공급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복귀탱크 및 독립 복귀탱크로 우회하여 유입되기 때문에 해수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한 번 사용된 유압유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가 구비됨으로서 부하가 복귀탱크 및 독립 복귀탱크로 양분되어 잠수함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메인으로 사용되는 복귀탱크 고장 시 독립 복귀탱크를 복귀탱크로 대체할 수 있어 작전수행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은, 잠수함(300)에 구비되어 해수에 노출되는 복수의 유압장비(230)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는 복귀탱크(210)와, 상기 복귀탱크(210)와 연결되어 상기 복귀탱크(210)에서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가 이송되는 주유압 공급탱크(220)와, 상기 주유압 공급탱크(230)로부터 상기 유압장비(230)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상기 복귀탱크(210) 외에 독립된 독립 복귀탱크(100)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압장비(230)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는,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유입되는 혼탁된 유압유의 청결도를 감지하는 혼탁도 센서(110)를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탁도 센서(110)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와 복귀탱크(210) 사이에는, 삼방밸브(130)가 개재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와 복귀탱크(210), 독립 복귀탱크(100)에서 배출된 혼탁된 유압유가 다시 독립 복귀탱크(100)로 리플로우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삼방밸브(130)와 독립 복귀탱크(100) 사이에는 필터펌프(120)가 구비된다. 또한, 삼방밸브(130)는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그 중간에는 필터(140)가 개재되어 상기 필터(140)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복귀탱크(210)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상기 필터(140)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잠수함(3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는 제어부(160)를 통해 독립 복귀탱크(100) 또는 복귀탱크(210)로 분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는 유압유가 사용되는 유압장비가 복수로 구비되며, 이러한 유압장비로 공급되는 유압유의 배분은 상기 제어부(160)를 통하여 각 유압장비에 필요한 만큼의 유압유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160)가 판단하여 그 양이 평상시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지 않고 복귀탱크(210)로만 유입되도록 되며, 이는 독립 복귀탱크(100) 및 복귀탱크(210) 간에 구비되는 밸브 인터락(150)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160)가 판단할 시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에 구비되는 레벨센서(101)를 통하여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벨센서(101)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는 혼탁된 유압유의 수위를 레벨센서(101)를 통하여 판단하게 되며, 이때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는 혼탁된 유압유가 적을 경우에는 복귀탱크(210)로만 유입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는, 그 하부에 경사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03)의 끝단에는 드레인 밸브(102)가 구비되어,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해수 및 유압유는 비중에 의해 해수가 침전되되, 침전된 해수를 상기 드레인 밸브(1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잠수함 운용 중에 잠수함에 설치되는 수많은 복수의 유압장비(230)들에는 유압유가 공급되며, 이러한 유압유는 주유압 공급탱크(220)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와 같이 유압유가 공급된 유압장비(230)들 중 해수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유압장비들의 유압유에는 해수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로 변하게 된다. 이 경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를 다시 드레인하여 복귀탱크(210)를 거쳐 해수를 제거하게 되고,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는 주유압 공급탱크(220)로 이송되어 다시 유압장비(230)로 공급된다. 이때 필터펌프(221)를 통하여 다시 한 번 해수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유압장비(230)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을 경우 모든 유압장비로부터 복귀되는 혼탁한 유압유가 하나의 복귀탱크(210)로 유입 즉, 집유되기 때문에 특정 유압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혼탁된 유압 유입을 처리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이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100)를 구성하고, 이 독립 복귀탱크(100)와 기존의 복귀탱크(230) 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잠수함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유압장비(230)를 통하여 드레인 되어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는 혼탁유는 혼탁도 센서(110)를 통하여 청결도가 감지된다. 따라서 혼탁도의 정도에 따라 복귀탱크(210)로 이송되거나, 다시 독립 복귀탱크(100)로 리플로우되어 일회 내지 수회의 필터링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필러(140)를 거치면서 필터링되는 것이고,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복귀탱크(210)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도록 하여 혼탁도의 정도에 따라 복귀탱크(210) 또는 독립 복귀탱크(100)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귀탱크(210) 또는 독립 복귀탱크(100)를 통하여 필터링된 유압유는 주유압 공급탱크(220)로 유입되며, 유입된 유압유는 다시 유압장비(230)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해수가 유입된 혼탁유를 독립 복귀탱크(100)에 구속하여 청결도를 기준치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청결치가 기준치에 만족되면 필터펌프(120)로 복귀탱크(210)를 거쳐 주유압 공급탱크(220)로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번 사용된 유압유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별도의 독립 복귀탱크(100)가 구비됨으로서 부하가 복귀탱크(210) 및 독립 복귀탱크(100)로 양분되어 잠수함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독립 복귀탱크 101 : 레벨센서
102 : 드레인 밸브 103 : 경사부
110 : 혼탁도 센서 120 : 필터펌프
130 : 삼방밸브 140 : 필터
150 : 밸브 인터락 160 : 제어부
210 : 복귀탱크 220 : 주유압 공급탱크
221 : 필터펌프 230 : 유압장비
300 : 잠수함

Claims (10)

  1. 잠수함(300)에 구비되어 해수에 노출되는 복수의 유압장비(230)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는 복귀탱크(210)와, 상기 복귀탱크(210)와 연결되어 상기 복귀탱크(210)에서 해수가 제거된 유압유가 이송되는 주유압 공급탱크(220)와, 상기 주유압 공급탱크(220)로부터 상기 유압장비(230)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귀탱크(210) 외에 독립된 독립 복귀탱크(100)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압장비(230)의 유압유에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될 시 혼탁된 유압유가 복귀되도록 하여 재사용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는,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유입되는 혼탁된 유압유의 청결도를 감지하는 혼탁도 센서(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와 복귀탱크(210) 사이에는,
    삼방밸브(130)가 개재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와 복귀탱크(210), 독립 복귀탱크(100)에서 배출된 혼탁된 유압유가 다시 독립 복귀탱크(100)로 리플로우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삼방밸브(130)와 독립 복귀탱크(100) 사이에는 필터펌프(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복귀탱크(210)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230)에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오염도가 상기 혼탁도 센서(110)에 기설정된 오염도보다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삼방밸브(130)는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그 중간에는 필터(14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3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는 제어부(160)를 통해 독립 복귀탱크(100) 또는 복귀탱크(210)로 분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160)가 판단하여 그 양이 평상시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되지 않고 복귀탱크(210)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 인터락(1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비(23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가 독립 복귀탱크(100)로 유입될 시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양을 상기 제어부(160)가 판단할 시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에 구비되는 레벨센서(101)를 통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센서(101)는,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복귀탱크(100)는,
    그 하부에 경사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03)의 끝단에는 드레인 밸브(102)가 구비되어, 해수가 유입되어 혼탁된 유압유의 해수 및 유압유는 비중에 의해 해수가 침전되되, 침전된 해수를 상기 드레인 밸브(1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KR1020170104991A 2017-08-18 2017-08-18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KR10237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91A KR102378221B1 (ko) 2017-08-18 2017-08-18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91A KR102378221B1 (ko) 2017-08-18 2017-08-18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11A KR20190019711A (ko) 2019-02-27
KR102378221B1 true KR102378221B1 (ko) 2022-03-23

Family

ID=6556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991A KR102378221B1 (ko) 2017-08-18 2017-08-18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2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548B4 (de) 2010-01-14 2014-09-25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ydraulischen Systems eines Unterseebootes und Unterseeboot mit einer Hydraulik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20150011138A (ko) * 2013-07-22 2015-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폐유 처리 시스템
KR20160003432A (ko) * 2014-07-01 2016-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11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485B1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JP2001505120A (ja) 改良型水処理システム
KR20190098034A (ko) 수처리 장치
KR101045694B1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2134047B1 (ko) 빌지수 및 슬러지 재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KR102622548B1 (ko) 수처리장치
KR102378221B1 (ko)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US20160016825A1 (en) Mobile, high quality, water treatment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able in harsh environments
JP2015527185A5 (ko)
JP2015142885A (ja) 生物膜濾過装置、淡水化システム、及び、生物膜濾過装置の洗浄方法
DE202008018158U1 (de)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Fett- und Ölemulsionen
JP3196204U (ja) 油分混入排水処理装置
US20160200610A1 (en) Cost Optimized System for WWTP Using Lagoons and In-Situ Membrane Bio Reactor Modules
DE10340648B3 (de) Desinfektions- oder Reinigungsmittelanschlußeinrichtung
DE102006008715B4 (de) Wasserenthärtungsanlage sowie dazugehöriges Regenerationsabwasserhebeverfahren
SE534449C2 (sv) Rengöringsenhet för rengöring av ett behandlingssystem för ballastvatten
JP6205050B2 (ja) 汚染された排水を処理する設備および方法
KR101122271B1 (ko) 선박용 식수공급장치
JP6425126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06334568A (ja) 逆洗システム
US20190315634A1 (en) Water reclaim method and system
KR102051650B1 (ko) 슬러지 탱크 내 빌지 자동 제거 장치
JP3175905U (ja) 沈殿浮上加熱による廃水処理装置
KR102110633B1 (ko) 평형수 필터의 부식 방지를 위한 세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