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47B1 -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 Google Patents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47B1
KR102377947B1 KR1020210104436A KR20210104436A KR102377947B1 KR 102377947 B1 KR102377947 B1 KR 102377947B1 KR 1020210104436 A KR1020210104436 A KR 1020210104436A KR 20210104436 A KR20210104436 A KR 20210104436A KR 102377947 B1 KR102377947 B1 KR 10237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ining
gear
shaf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to KR102021010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채소 절단기는,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2a)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2)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3a)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 및 가압컨베이어(2)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 가압컨베이어(2)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날(3b)을 구비한 절단부(3)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 가압컨베이어(2) 및 절단부(3)가 장착되는 본체부(4)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일측은 상기 절단날(3b)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벨트(12)와 풀리(13)를 통해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3b)을 회전시키는 구동축(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고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날(21)이 형성되어 있되, 외주면 일측에는 복수 개의 연속된 제1기어날(21)이 미형성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된 피동기어(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하게 작동축(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30)에는 일측에 구동장치(40)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30)에는 상기 피동기어(20)의 제1기어날(21)과 맞물리는 제2기어날(51)이 구비된 원통형의 제동기어(50)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작동축(30)가 일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기어(50)의 제2기어날(51)이 상기 피동기어(20)의 가이드홈(22)에 끼워져 피동기어(20)와 제동기어(50)가 작동축(30)과 직교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룬 후, 제1기어날(21)과 제2기어날(51)이 맞물려 피동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모터의 작동이 중지된 후 절단날의 회전을 최대한 신속하게 중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제동기어의 양 벽면에 교체식 라이닝이 설치되어 라이닝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기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여 제동기어 및 작동축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라이닝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채소 절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vegetable cutting machine with safety break}
본 발명은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날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작동이 정지된 후 관성에 의해 절단날이 회전하는 것을 최대한 신속하게 중지시킴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채소 식품 시장은 외식산업의 발달, 학교급식의 확대, 편의지향의 식품소비 흐름으로 인해 단순히 채소를 생산 및 판매하는 시장보다 채소의 전처리 및 가공 시장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산업발달, 맞벌이 가정 및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따라 대형 음식점 등의 중간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정의 소비자에서도 전처리 후 식품, 특히 바로 조리가 가능한 2차 전처리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2차 전처리를 위해 슬라이스, 채썰기, 편설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절단기와 같은 가공 처리 장치의 수요와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집단 급식이 이루어지는 병원, 호텔, 요식업소, 급식업소 등에서는 대량의 야채가 소비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야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썰다 보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조리 작업 인력 소요가 늘어나고, 조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를 따라 채소가 이동하도록 하면서 채소가 절단 영역에 유입할 때 순차적으로 썰어 마치 채썰기 하는 유형의 채소 절단기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채소 절단기에 관한 기술로, "야채 수직 절단기"(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545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 절단날은 사람이 하던 작업을 그대로 흉내내어 절단 영역에서 절단날이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하로 절단날을 왕복 이동시킴과 더불어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 제어가 매우 난해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5145호, 특허문헌 2)에는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절단날이 구비된 형태의 절단부가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제시된 절단부는 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모터의 축과 절단부의 축은 채소 진행 방향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벨트와 풀리를 통해 연결하도록 한다.
그런데, 전기 신호에 의해 모터의 가동이 중지될 때, 모터는 그 순간 그대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만일 작업자가 절단 영역에 손을 위치시켜 절단될 위기에 처한 상태일 때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절단될 위험에 노출되게 한다.
또한, 작업 컨트롤에 있어서도 절단될 채소의 정확한 양을 가늠하지 못하게 되어 여분의 절단 채소가 발생하여 원료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절단 영역에 손을 위치시키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로 채소절단기의 세척을 위해 가압컨베이어의 분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은 가압롤러의 양측부가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가압 컨베이어의 분해 작업이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분해가 복잡하고 난해한 경우 작업자는 집중도가 떨어지게 되며 자칫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분해 작업 과정에서 바로 절단날의 회전이 절단영역에 손을 넣을 경우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는 절단날에 손이 절단될 위험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의 작동 중지 신호에 의해 신속한 모터의 중지 외에도 가압컨베이어의 분해가 용이해야 될 필요성이 있게 된다.
KR 20-0358545 (2004.08.02) KR 10-2075145 (2020.02.03)
본 발명의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작동이 중지된 후 절단날의 회전을 최대한 신속하게 중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날과 연결되는 구동축에 원형 피동기어를 설치하되, 중간에 기어날이 미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축이 설치되고, 작동축에는 회전이 언제된 제동기어가 설치되어 가이드홈을 통해 피동기어와 제동기어가 측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피동기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여 절단날의 회전을 최대한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때, 제동기어의 양 벽면에 교체식 라이닝이 설치되어 라이닝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기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여 제동기어 및 작동축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라이닝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채소 절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가압컨베이어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모터 중지 후 분해 작업시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2a)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2)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3a)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 및 가압컨베이어(2)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 가압컨베이어(2)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날(3b)을 구비한 절단부(3)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 가압컨베이어(2) 및 절단부(3)가 장착되는 본체부(4)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일측은 상기 절단날(3b)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벨트(12)와 풀리(13)를 통해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3b)을 회전시키는 구동축(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고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날(21)이 형성되어 있되, 외주면 일측에는 복수 개의 연속된 제1기어날(21)이 미형성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된 피동기어(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하게 작동축(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30)에는 일측에 구동장치(40)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30)에는 상기 피동기어(20)의 제1기어날(21)과 맞물리는 제2기어날(51)이 구비된 원통형의 제동기어(50)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작동축(30)가 일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기어(50)의 제2기어날(51)이 상기 피동기어(20)의 가이드홈(22)에 끼워져 피동기어(20)와 제동기어(50)가 작동축(30)과 직교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룬 후, 제1기어날(21)과 제2기어날(51)이 맞물려 피동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30)의 일측에는 동력전달돌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일측은 상기 본체부(4)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30)에 연결되어 있어 작동축(30)으로 하여금 절단부(3) 측을 향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작동축가압스프링(41)과; 본체부(4)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42)의 축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하며 둘레가 상기 동력전달돌기(31)와 맞닿아 동력전달돌기(31)로 하여금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캠(4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동기어(50)의 양측에는 상기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의 라이닝(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닝(60)의 외측으로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의 라이닝홀더(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30)의 단부에는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단부측에 위치한 단부측라이닝홀더(70a)와 상기 스프링홀더(80) 사이에는 단부측라이닝홀더(70a)로 하여금 라이닝(60)을 제동기어(50) 표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라이닝가압스프링(9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닝홀더(70)들은 상기 라이닝(60)의 내주면이 끼워져 지지되는 라이닝결합부(71)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30)은 상기 본체부(4) 일측을 관통되게 설치되는 지지관(32)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상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제동기어(5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라이닝홀더(7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라이닝홀더(70b)로부터 제동기어(50)측 방향의 외주면에는 일측키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측라이딩홀더(70a)의 라이닝결합부(71) 내주면에는 상기 일측키삽입홈(33)에 대응되는 보조키삽입홈(7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방지키(72a)가 상기 일측키삽입홈(33) 및 보조키삽입홈(72)에 끼워져 단부측라이닝홀더(70a)의 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작동축(30)의 일측 단부에는 제1볼트체결홀(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홀더(80)에는 제1볼트체결홀(34)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어 조절볼트(82)가 제1볼트체결홀(34)과 제2볼트체결홀(81)에 체결됨으로써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가압컨베이어(2)는 본체부(4)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2a)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3a)의 상부 일측에는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돌출부(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컨베이어(2)는, 상기 본체부(4)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1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 단부에 상기 하향돌출부(134a)가 하향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모터의 작동이 중지된 후 절단날의 회전을 최대한 신속하게 중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날과 연결되는 구동축에 원형 피동기어를 설치하되, 중간에 기어날이 미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축이 설치되고, 작동축에는 회전이 언제된 제동기어가 설치되어 가이드홈을 통해 피동기어와 제동기어가 측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피동기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여 절단날의 회전을 최대한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동기어의 양 벽면에 교체식 라이닝이 설치되어 라이닝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기어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여 제동기어 및 작동축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이닝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채소 절단기가 제공된다.
아울러, 가압컨베이어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모터 중지 후 분해 작업시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채소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작동축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피동기어와 제동기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연장축의 단면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서 작동봉과 스프링홀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채소 절단기의 주요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2a)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2)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3a)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 및 가압컨베이어(2)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 가압컨베이어(2)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날(3b)을 구비한 절단부(3)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 가압컨베이어(2) 및 절단부(3)가 장착되는 본체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의 주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절단날(3b)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10)이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축(10)은 타측이 벨트(12)와 풀리(13)를 통해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3b)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10)의 중간 일측에는 피동기어(20)가 설치되어 있다.
피동기어(20)는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고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날(21)이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원통기어 형태를 취하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연속된 제1기어날(21)이 미형성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이드홈(22)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제동기어(5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피동기어(20)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하게 작동축(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축(30)은 상기 본체부(4) 일측을 관통되게 설치되는 지지관(32)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있다.
아울러, 작동축(30)의 중간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제동기어(5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라이닝홀더(7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일체화된 내측라이닝홀더(70b)로부터 단부측 방향은 내측라이닝홀더(70b) 보다는 외경이 작으면서 지지관(32)에 삽입된 부분보다는 직경이 확대되어 라이닝(60)의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확경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확경부(35)로부터 단부측까지는 지지관(32)에 삽입된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이루어진 축경부(36)로 구성되어 있다.
확경부(35) 외주면은 제동기어(50)의 홀 내주면에 닿거나 공차만큼 이격된 정도로 이루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축경부(36)는 제동기어(50)의 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내측라이닝홀더(70b)로부터 제동기어(50)측 방향의 외주면에는 일측키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측라이딩홀더(70a)의 라이닝결합부(71) 내주면에는 상기 일측키삽입홈(33)에 대응되는 보조키삽입홈(7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방지키(72a)가 상기 일측키삽입홈(33) 및 보조키삽입홈(72)에 끼워져 단부측라이닝홀더(70a) 및 작동축(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 둘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때, 상기 작동축(30) 일측에 구동장치(40)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40)는 유압 실린더 등 다양한 공지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예는 우선 상기 작동축(30)의 일측에 동력전달돌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작동축가압스프링(41)과 작동모터(42) 및 캠(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축(30)에는 연장축(30a)이 결합되어 있고, 이 연장축(30a)의 일측면에는 동력전달돌기(31)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쪽은 작동축가압스프링(41)과 연결되기 위한 핀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축(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축(30a)이 삽입되고, 작동축(30)에는 개구부와 연통되는 핀삽입공이 형성되고, 연장축(30a)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일직선이 되는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미도시된 핀이 핀삽입공을 통해 핀삽입홈까지 삽입됨으로써 연장축(30a)이 작동축(3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축(30a)의 단면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장축(30a)이 끼워지는 작동축(30)의 개구부 및 연장축(30a)이 관통하는 브라켓(4b)의 홀이 연장축(30a)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작동축(3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4)에는 상기 작동축(30) 및 구동축(10)이 관통되는 격벽부재(4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부재(4a)의 일측에는 브라켓(4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가압스프링(41)은 일측이 일측은 상기 브라켓(4b)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30)에 핀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작동축(30)으로 하여금 절단부(3) 측을 향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브라켓(4b)에는 작동모터(42)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모터(42)의 축에는 캠(43)이 편심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축(30)에는 항시 작동축가압스프링(41)에 의해 도면상 상방으로의 복원력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캠(43)이 회전하면서 동력전달돌기(31)를 도면 상의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양이 조절된다.
즉, 캠(43)은 둘레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돌기(31)와 맞닿아 동력전달돌기(31)로 하여금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축(30)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동기어(20)의 제1기어날(21)과 맞물리는 제2기어날(51)이 구비된 원통형의 제동기어(50)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기어(5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의 홀이 상기 작동축(30)의 확경부(35) 및 축경부(36)보다 크게 이루어져 작동축(3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홀 주변의 라이닝(60)들에 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브레이크 과정에서 작동축(3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라이닝(60)과 제동기어(50) 표면의 마찰에 의해 제동기어(50) 및 피동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는 구조이다.
더하여, 도 4, 5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동기어(50)의 양측에는 상기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의 라이닝(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닝(60)의 외측으로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의 라이닝홀더(70)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축(30)의 단부에는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단부측에 위치한 단부측라이닝홀더(70a)와 상기 스프링홀더(80) 사이에는 라이닝홀더(70)로 하여금 라이닝(60)을 제동기어(50) 표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라이닝가압스프링(90)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축(30)의 일측 단부에는 제1볼트체결홀(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홀더(80)에는 제1볼트체결홀(34)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어 조절볼트(82)가 제1볼트체결홀(34)과 제2볼트체결홀(81)에 체결됨으로써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된다.
이때, 조절볼트(82)의 볼트 결합 정도에 따라 라이닝가압스프링(90)의 탄성이 조절되어 라이닝(60)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닝(60)이 닳을 경우 라이닝가압스프링(90)을 보다 강하게 결합해줄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이닝홀더(70)는 상기 라이닝(60)의 내주면이 끼워져 지지되는 라이닝결합부(71)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동모터(42)가 스위치 조작이나, 미도시된 센서의 수신에 따른 컨트롤장치의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캠(43)이 동력전달돌기(31)를 밀어 연장축(30a), 작동축(30)이 전진하게 된다.
이때, 구동축(10) 및 구동축(10)에 연결된 피동기어(20)는 절단날(3b)의 회전을 위해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다가 제동기어(50)가 회전하는 피동기어(20)에 맞닿게 된 상태에서 피동기어(20)의 가이드홈(22) 내에 제동기어(50)의 제2기어날(51)이 위치하게 되면 작동축(30) 및 제동기어(50)가 캠(43)의 동작 범위 내에서 계속 전진하여 제동기어(50)와 피동기어(20)의 기어날(51, 21)이 서로 맞물리게 되며, 제동기어(50)는 라이닝(60)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상태이므로 피동기어(20)의 회전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10)의 회전이 억제되어 절단날(3b)의 회전이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즉,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작동축(30)가 일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기어(50)의 제2기어날(51)이 상기 피동기어(20)의 가이드홈(22)에 끼워져 피동기어(20)와 제동기어(50)가 작동축(30)과 직교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룬 후, 제1기어날(21)과 제2기어날(51)이 맞물려 피동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절단을 개시하기 위해 작동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캠(43)이 회전하면서 되면 연장축(30a)에는 작동축가압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작동축(3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동기어(50)가 피동기어(2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피동기어(20)가 작동함으로써 절단이 재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동축(30)의 단부로부터 스프링홀더(80) 및 라이닝가압스프링(90)을 분리한 후 작동축(30)에 끼워진 라이닝홀더(70) 및 라이닝(60) 및 제동기어(50)를 분리한 후 라이닝(60)을 새로 준비하여 분해의 역순으로 끼움 조립함으로써 간편하게 라이닝(60) 교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컨베이어의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절단 영역에서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우선, 분리벽(3a)은 컨베이어벨트(2a)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두 개로 구성되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리벽(3a)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압롤러(129)를 감싼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c)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3c)의 상부에는 가압롤러(129)를 마주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d)가 형성되어 분리벽(3a)을 타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를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밀어내어 가압롤러(129)와 연결된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출부(3d)는 가압컨베이어(2) 부품들을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가압컨베이어(2)는, 본체부(4)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2a)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컨베이어(2)가 본체부(4)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본체부(4)로부터 탈착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유닛(125)은 탄성력으로 분리벽(3a) 측으로 향하는 힘을 갖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한 돌출부(1443)에 의해 슬라이드유닛(125)이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밀릴 때 슬라이드유닛(125) 단부측의 상향돌출부(125a)가 하향돌출부(134a)를 밀어내어 하향돌출부(134a)의 후방측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장력조절유닛(133)의 탄성에 의한 회전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하향돌출부(134a)에 의해 상향돌출부(125a)가 걸린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유닛(125)은 원래의 위치 즉, 분리벽(3a) 측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어 손쉽게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가압컨베이어(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컨베이어(2)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장력조절유닛(133)이 각각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가압컨베이어(2)는 주롤러(121)와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롤러(121)는 상기 본체부(4)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컨베이어프레임(122)의 후단에 장착된다.
컨베이어프레임(122)은 일측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선단에 배치된 가압롤러(129)로 채소를 파지하는 것으로, 채소를 가압하고 채소의 진입에 따라 상기 분리벽(3a)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가 선단에 장착되고 후단은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유닛(125)이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 슬라이드유닛(125)에는 가이드기구가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제한봉(123)과,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에서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이 상기 이동제한봉(1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상기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분리벽(3a)에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외측으로 가압롤러(129)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130), 및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봉(123)과 가이드공(127) 간의 결합이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2개소에서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제한봉(12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봉(123a)과 제2봉(1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27)은 상기 제1봉(123a)과 제2봉(123b)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프레임(126)에 각각 제1공(127a)과 제2공(1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수단(131)은, 상대적으로 인접 설치되는 상기 이동제한봉(127)의 제2봉(123b)과 상기 제1설치봉(128)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a)는 상기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보조롤러(135)도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게 되므로, 결국 컨베이어벨트(2a)를 주롤러(121), 가압롤러(129) 및 보조롤러(135)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주롤러(121)에 의한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더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126)의 일측 단부에 상기 상향돌출부(125a)가 상향으로 꺾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향돌출부(125a)의 안쪽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126)과 상향돌출부(125a)가 만나는 지점에 하향돌출부(134a)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핑홈(12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핑홈(125b)은 작동 과정에서 하향돌출부(134a)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가 장착되며 후단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의 사이에는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컨베이어벨트(2a)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후단을 탄성 구속하는 제2탄성수단(138)이 연결된다.
이러한 장력조절유닛(133)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 및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135)의 일측에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봉(136)이 형성된다.
더불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후방에는 회전프레임(134)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상향돌출부 하방으로 돌출된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하향돌출부(134a)는 탈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향돌출부(125a)에 밀려난 후 제2탄성수단(138)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프레임(134)이 원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상기 상향돌출부(125a)의 앞쪽에 위치한 채 스토핑홈(125b)에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의 전진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제1탄성수단(131) 및 제2탄성수단(138)으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제1탄성수단(131)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며, 제2탄성수단(138)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채소가 상기 이동컨베이어(1)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압컨베이어(2)에 접근시 채소의 크기만큼 상기 가압컨베이어(2)가 위로 회동되고, 채소가 상기 절단부(3)로의 진입을 위해 슬라이드유닛(125)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롤러(129)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이동프레임(126)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단부(3)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분리벽(3a)에 대면하여 상기 분리벽(3a) 및 지지부재(3c)를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과 겹쳐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아울러, 컨베이어프레임(122)에 설치된 이동제한봉(123)이 관통되는 가이드공(127)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프레임(126)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이동프레임(126)이 상기 후진하면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제한봉(123)의 제2봉(123b)으로부터 제1설치봉(128)이 이격됨에 따라 신장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은 가이드공(127)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장착되는 이동제한봉(123)에 대해 이동프레임(126)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이드공(127)의 일단 및 타단에서 이동제한봉(12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로써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결정된다.
한편,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 컨베이어벨트(2a)의 장력이 느슨해지게 되는데, 느슨해진 장력으로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회동제한이 약화되면서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회동된다.
즉 회전프레임(134)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의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34)의 회동은 컨베이어벨트(2a)가 견고한 장력을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소가 이동컨베이어(1)와 가압컨베이어(2) 사이를 통과할 대 상기 채소를 파지하고, 상기 채소가 통과하게 되면, 가압컨베이어(2)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유닛(125)의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려 하므로, 이에 따라 가압롤러(129)는 분리벽(3a)에 대면하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프레임(126)의 전진에 따라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었으므로, 컨베이어벨트(2a)는 그 길어진 길이만큼 보조롤러(135)를 압박하여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이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2탄성수단(138)은 회전프레임(134)의 하방 회동에 따라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a)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게 한다.
세척 등의 이유로 가압컨베이어(2)를 분리할 경우에는, 보조롤러(13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파지봉(136)을 파지하여 가압컨베이어(2)를 들어올리면, 주롤러(121)를 축으로 컨베이어프레임(122)이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슬라이드유닛(125)은 컨베이어프레임(122)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가압롤러(129)를 감싼 컨베이어벨트(2a)가 분리벽(3a) 및 지지부재(3c)를 타고 올라가다 돌출부(3d)에 닿게 되면서 슬라이드유닛(125)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상향돌출부(125a)가 하향돌출부(134a)를 밀어올리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유닛(125)은 전술한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원래 방향으로 되돌아오려는 힘을 갖게 되는데, 제2탄성수단(138)의 복원력에 의해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의 원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하향돌출부(134a)가 상향돌출부(125a)의 앞에 위치하고 스토핑홈(125b)에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유닛(125)과 분리벽(3a) 사이는 이격된 틈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가압컨베이어(2)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1 : 이동컨베이어 2 : 가압컨베이어
2a : 컨베이어벨트 3 : 절단부
3a : 분리벽 3b : 절단날
3c : 지지부재 3d : 돌출부
4 : 본체부 4a : 격벽부재
4b : 브라켓 10 : 구동축
11 : 구동모터 12 : 벨트
13 : 풀리 20 : 피동기어
21 : 제1기어날 22 : 가이드홈
30 : 작동축 30a : 연장축
31 : 동력전달돌기 32 : 지지관
33 : 일측키삽입홈 34 : 제1볼트체결홀
35 : 확경부 36 : 축경부
40 : 구동장치 41 : 작동축가압스프링
42 : 작동모터 43 : 캠
50 : 제동기어 51 : 제2기어날
60 : 라이닝 70 : 라이닝홀더
70a : 단부측라이닝홀더 70b : 내측라이닝홀더
71 : 라이닝결합부 72 : 보조키삽입홈
72a : 회전방지키 80 : 스프링홀더
81 : 제2볼트체결홀 82 : 조절볼트
90 : 라이닝가압스프링
121 : 주롤러 122 : 컨베이어프레임
123 : 이동제한봉 124 : 장착봉
125 : 슬라이드유닛 125a : 상향돌출부
125b : 스토핑홈 126 : 이동프레임
127 : 가이드공 128 : 제1설치봉
129 : 가압롤러 130 : 지지봉
131 : 제1탄성수단
133 : 장력조절유닛 134 : 회전프레임
134a : 하향돌출부 135 : 보조롤러
136 : 파지봉 137 : 제2설치봉
138 : 제2탄성수단

Claims (5)

  1.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2a)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2)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3a)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 및 가압컨베이어(2)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 가압컨베이어(2)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날(3b)을 구비한 절단부(3)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 가압컨베이어(2) 및 절단부(3)가 장착되는 본체부(4)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일측은 상기 절단날(3b)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벨트(12)와 풀리(13)를 통해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3b)을 회전시키는 구동축(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고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날(21)이 형성되어 있되, 외주면 일측에는 복수 개의 연속된 제1기어날(21)이 미형성된 가이드홈(22)이 형성된 피동기어(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4)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하게 작동축(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30)에는 일측에 구동장치(40)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30)에는 상기 피동기어(20)의 제1기어날(21)과 맞물리는 제2기어날(51)이 구비된 원통형의 제동기어(50)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작동축(30)이 일측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기어(50)의 제2기어날(51)이 상기 피동기어(20)의 가이드홈(22)에 끼워져 피동기어(20)와 제동기어(50)가 작동축(30)과 직교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룬 후, 제1기어날(21)과 제2기어날(51)이 맞물려 피동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30)의 일측에는 동력전달돌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일측은 상기 본체부(4)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작동축(30)에 연결되어 있어 작동축(30)으로 하여금 절단부(3) 측을 향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작동축가압스프링(41)과;
    본체부(4) 일측에 설치된 작동모터(42)의 축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하며 둘레가 상기 동력전달돌기(31)와 맞닿아 동력전달돌기(31)로 하여금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캠(4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어(50)의 양측에는 상기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의 라이닝(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닝(60)의 외측으로 작동축(30)이 내측으로 관통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라이닝홀더(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30)의 단부에는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단부측에 위치한 단부측라이닝홀더(70a)와 상기 스프링홀더(80) 사이에는 단부측라이닝홀더(70a)로 하여금 라이닝(60)을 제동기어(50) 표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라이닝가압스프링(9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홀더(70)들은 상기 라이닝(60)의 내주면이 끼워져 지지되는 라이닝결합부(71)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30)은 상기 본체부(4) 일측을 관통되게 설치되는 지지관(32)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있으며, 작동축(30)의 중간은 상기 두 라이닝홀더(70) 중 제동기어(5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라이닝홀더(7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라이닝홀더(70b)로부터 제동기어(50)측 방향의 외주면에는 일측키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측라이딩홀더(70a)의 라이닝결합부(71) 내주면에는 상기 일측키삽입홈(33)에 대응되는 보조키삽입홈(7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방지키(72a)가 상기 일측키삽입홈(33) 및 보조키삽입홈(72)에 끼워져 단부측라이닝홀더(70a)의 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작동축(30)의 일측 단부에는 제1볼트체결홀(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홀더(80)에는 제1볼트체결홀(34)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어 조절볼트(82)가 제1볼트체결홀(34)과 제2볼트체결홀(81)에 체결됨으로써 스프링홀더(8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2)는 본체부(4)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2a)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3a)의 상부 일측에는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돌출부(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컨베이어(2)는,
    상기 본체부(4)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1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a)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 단부에 상기 하향돌출부(134a)가 하향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KR1020210104436A 2021-08-09 2021-08-09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KR10237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36A KR102377947B1 (ko) 2021-08-09 2021-08-09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36A KR102377947B1 (ko) 2021-08-09 2021-08-09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947B1 true KR102377947B1 (ko) 2022-03-24

Family

ID=8093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436A KR102377947B1 (ko) 2021-08-09 2021-08-09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45Y1 (ko) 2004-05-10 2004-08-11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수직 절단기
KR102075145B1 (ko) 2019-09-10 2020-02-07 주식회사 마루에프앤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45Y1 (ko) 2004-05-10 2004-08-11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수직 절단기
KR102075145B1 (ko) 2019-09-10 2020-02-07 주식회사 마루에프앤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9B1 (ko) 야채절단장치
KR100887680B1 (ko) 약재 절단기
KR101282435B1 (ko) 식육슬라이서
EP3194128A1 (en) Machine for cutting logs with grinding wheels and method
CN105128045A (zh) 一种切丝机及其切丝方法
KR102377947B1 (ko) 안전 브레이크가 구비된 채소 절단기
CN110328692B (zh) 一种家用土豆切片机
CN106426379B (zh) 一种多功能自动切菜机
CN110116432B (zh) 一种全自动换刀的智能切菜机
KR20170001462U (ko) 야채 절단기
KR101473098B1 (ko) 배추 절단기
KR102326755B1 (ko)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20190002222U (ko) 식품 절단기
CN109571624A (zh) 一种西芹杆切断机
KR20040044141A (ko) 식육 슬라이서
CN204183605U (zh) 一种自动切肉机
CN104936752B (zh) 包括紧凑的传动系统的食物切割设备
JP4705561B2 (ja) 食肉スライサ
CN201444907U (zh) 一种穿串机
CN210471856U (zh) 一种榨汁机
CN204935711U (zh) 一种切丝机
KR200355001Y1 (ko) 골절기를 이용한 냉동식품 자동 절단장치
KR100977648B1 (ko) 식육 슬라이서
JP2004066445A (ja) 食品スライサ
CN219544176U (zh) 一种制袋机的分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