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761B1 -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761B1
KR102377761B1 KR1020210059075A KR20210059075A KR102377761B1 KR 102377761 B1 KR102377761 B1 KR 102377761B1 KR 1020210059075 A KR1020210059075 A KR 1020210059075A KR 20210059075 A KR20210059075 A KR 20210059075A KR 102377761 B1 KR102377761 B1 KR 10237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ar panel
fastening member
unit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철
Original Assignee
한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철 filed Critical 한기철
Priority to KR102021005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5Expansion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all or ceil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면에 판형의 단열재를 덧붙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태양광 패널을 덧붙도록 하기 위한 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하는 단열재 결합구와 상기 단열재 결합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안착턱을 구비하고, 상기 캡유닛은 상기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끼움 결합시 상기 태양광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 상기 안착턱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호 해제시에는 상기 끼움부재와 함께 해제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FRAME MODULE FOR BUILDING EXTERIOR ENABLING SOLAR PANEL TO BE INTEGRATED}
본 발명은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패널을 건물의 외장에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빌딩 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는 이미 상당히 흔해졌고, 최근에는 건물을 신축할 때부터 건물의 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 신축시부터 태양광 패널을 함께 설치하는 공정은 먼저 건물의 외장 시공을 완료한 후, 그 위에 태양광 패널을 덧붙이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먼저 동일한 단위 규격을 갖는 다수의 외벽패널을 건물 내벽체 또는 하지철물에 고정함으로써 건물의 외장 시공이 마무리되면, 이 외벽패널 위에 다수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덧붙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건물의 외장 시공을 마무리한 후 이와는 별도로 태양광 패널의 설치라는 추가의 공정이 요구되므로, 결과적으로 그 시간만큼 건물 완공까지의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태양광 패널이 외벽패널 위에 덧붙는 방식이라, 태양광 패널이 외벽패널보다 그 두께만큼 돌출되어 보이게 되어 건물 외벽과의 일체감을 이루지 못하는 미관상의 단점도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의 고장 또는 파손 등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의 교체를 위해서는 시공자가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던 다수의 고정 나사들을 모두 풀어내고 교체 후에 다시 고정 나사들을 일일이 조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에 대한 태양광 패널의 설치 시공 기간을 줄이면서도 태양광 패널의 손쉬운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은 건축물의 외면에 판형의 단열재를 덧붙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태양광 패널을 덧붙도록 하기 위한 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하는 단열재 결합구와 상기 단열재 결합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안착턱을 구비하고, 상기 캡유닛은 상기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끼움 결합시 상기 태양광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 상기 안착턱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호 해제시에는 상기 끼움부재와 함께 해제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몸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중공의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인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인입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영역부; 상기 고정영역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영역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영역부; 및 상기 탄성영역부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영역부에 의한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호 체결시 상기 태양광 패널을 탄성적으로 누르도록 형성되는 반구형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유닛은, 태양광에 대한 광투과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인 투명 폴리이서술폰(polyestersulfone), 투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또는 투명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단열재의 상이한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단열재 결합구,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안착턱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결착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이웃하여 설치되는 다른 프레임유닛의 제1 결착부재와 밀착하여 이웃한 프레임유닛과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착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단열재 결합구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착부재는 상기 제2 프레임의 단열재 결합구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제1 가스켓과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제1 밀착 플레이트와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인입구의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의 접이부; 상기 접이부로부터 연장되며 마감용 실링재가 고이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고임부; 및 상기 고임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이부의 탄성력에 의해 변위되어 외부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에 의하면, 단열재와 태양광 패널을 하나의 단위 조립체로 묶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단열성을 갖추고 있어 외벽패널과 같이 건물 외벽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유닛 및 캡유닛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쉽게 그 사이즈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위 조립체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외벽패널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구성하면, 단위 조립체는 결과적으로 사이즈 및 기능 면에서 외벽패널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조립체는 외벽패널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외벽패널같이 외벽 그 자체를 이룰 수 있고, 시공 방식 또한 외벽패널과 동일한 방식을 따라 그와 함께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건물의 외벽 시공 과정 그 자체만으로 태양광 패널이 함께 설치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외벽 시공 마무리 후 별도로 태양광 패널을 외벽패널 위에 덧붙이던 종래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결국 외벽 시공부터 태양광 패널 설치까지의 총 공사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은 프레임유닛에 캡유닛을 착탈시키는 동작만으로 태양광 패널을 프레임유닛에 손쉽게 고정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이 고장 또는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캡유닛만 분리하면 프레임유닛으로부터 태양광 패널을 따로 때어낼 수 있게 되어 태양광 패널의 교체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 한 쌍을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제1 영역(A1)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제2 영역(A2)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제3 영역(A3)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 한 쌍을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a",100b") 한 쌍을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치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100)(이하, "프레임 모듈"이라 약칭한다)은 태양광 패널(C)과 결합함으로써 태양광 패널(C)을 건물 외벽 자체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등의 외벽 시공 과정은 내벽체에 앵커 등을 매설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벽패널(W)을 내벽체 외측에 부착하는 방식과, 또는 내벽체 시공 이후 내벽체 외측에 하지철물(M)을 세워 이에 외벽패널(W)을 부착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도면에서와 같이 하지철물(M)을 이용하는 방식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먼저 하부 외벽패널(Wd)이 SDS(Self Drilling Screw) 볼트(B) 등에 의해 하지철물(M)에 고정된다. 이후, 프레임 모듈(100)은 태양광 패널(C)과 결합하여 하나의 단위 조립체(200)를 이룬 상태로 하부 외벽패널(Wd)의 상측에 별도의 체결요소 없이 끼워진다. 이후, 이 단위 조립체(200)는 SDS 볼트(B) 등에 의해 하지철물(M)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되면, 상부 외벽패널(Wu)이 단위 조립체(200)의 상측에 별도의 체결요소 없이 끼워진다. 이후, 건물의 외벽 시공 과정이 마무리되거나, 또는 상술한 과정이 반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건축물 등의 외벽 시공 과정 중에 태양광 패널(C) 설치 공정이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 시공 마무리 후에 별도로 태양광 패널(C)을 외벽패널(W) 위에 덧붙이던 종래의 추가 공정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외벽 시공부터 태양광 패널(C) 설치까지의 총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C)이 외부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고 상부 외벽패널(Wu) 및 하부 외벽패널(Wd)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보여지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모듈(100)의 분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100)은 프레임유닛(110), 캡유닛(150) 및 코너 조인트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유닛(110)은 단열재(I)를 하지철물(M)에 고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프레임유닛(110)은 2개의 측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20)은 단열재(I)의 좌우측 가장자리 영역과 각각 결합한다. 아울러, 측부 프레임(120)은 소통구(121)를 구비할 수 있다. 소통구(121)는 태양광 패널(C)과 연결된 전력선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통로이다. 아울러, 소통구(121)는 태양광 패널(C)과 단열재(I) 사이의 공간에 머무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0)은 단열재(I)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하며, 아울러 이웃한 하부 외벽패널(Wd)과 결합한다. 하부 프레임(130)은 가스켓(133)을 구비할 수 있다. 가스켓(133)은 하부 프레임(130)과 하부 외벽패널(Wd)의 상호 결합시 서로 간의 틈새를 메운다.
상부 프레임(140)은 단열재(I)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하며, 아울러 이웃한 상부 외벽패널(Wu)과 결합한다. 상부 프레임(140)은 체결공(141) 및 가스켓(142)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141)은 SDS 볼트(B) 등에 의해 상부 프레임(140)이 하지철물(M)에 고정되도록 한다. 가스켓(142)은 상부 프레임(140)과 상부 외벽패널(Wu)의 상호 결합시 서로 간의 틈새를 메운다.
코너 조인트유닛(160)은 하부 프레임(130), 상부 프레임(140) 및 측부 프레임(1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프레임 모듈(100)의 시공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좌우측 측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은 판형의 단열재(I)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끼움 결합한다. 이때, 측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 각각의 양 단부에는 코너 조인트유닛(160)이 함께 결합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유닛(110), 코너 조인트유닛(160) 및 단열재(I)의 상호 조립이 완료되면, 그 위로 태양광 패널(C)이 얹혀진다. 이후, 4개의 캡유닛(150)이 각각 좌우측 측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에 결합됨으로써 태양광 패널(C)이 프레임유닛(11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태양광 패널(C), 단열재(I), 프레임유닛(110), 캡유닛(150) 및 코너 조인트유닛(16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나의 단위 조립체(200)를 이루게 되고, 이는 이웃한 외벽패널(W)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이 단위 조립체(200)는 단열재(I)를 가지고 있어, 외벽패널(W)과 기능상의 유사성도 가진다. 이러한 조립체(200)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이웃한 하부 외벽패널(Wd) 및 상부 외벽패널(Wu)과 함께 하지철물(M)에 설치되는 외벽 시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모듈(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모듈(100)의 횡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프레임 모듈(100) 한 쌍을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 모듈(100)의 제1 영역(A1)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100)은 태양광 패널(C) 및 단열재(I)와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단위 조립체(200)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프레임 모듈(100) 사이의 공간은 실리콘 실란트와 같은 실링재(S)에 의해 방수 마감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C)은 프레임유닛(110)에 얹혀진 후 캡유닛(150)이 제1 방향(D1)을 따라 프레임유닛(110)에 끼워짐으로써 이 둘(110,150) 사이에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100)은 프레임유닛(110) 및 캡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은 횡단면도이므로, 프레임유닛(110)의 구성요소 중 측부 프레임(120)을 도시한다.
측부 프레임(120)은 단열재 결합구(122), 체결부재(123) 및 안착턱(127)을 구비할 수 있다.
단열재 결합구(122)는 판형 단열재(I)의 가장자리 영역과 끼워 맞춰진다. 이를 위해, 단열재 결합구(122)는 단열재(I)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진다.
체결부재(123)는 캡유닛(150)과의 체결을 위한 요소로서, 단열재 결합구(12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23)는 인입구(124) 및 걸림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구(124)는 캡유닛(150)의 삽입을 위해 중공의 홈 형상을 가진다. 걸림홈(125)은 인입구(124)의 내면에 형성되고, 캡유닛(150)과의 체결을 위해 톱니 또는 래칫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걸림홈(125)은 캡유닛(150)의 인입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턱(127)은 태양광 패널(C)을 지지하는 요소이다. 안착턱(127)은 지지부(128) 및 경사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28)는 인입구(124)의 외면으로부터 그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경사부(129)는 지지부(128)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캡유닛(150)은 끼움부재(151) 및 플랜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151)는 체결부재(123)와의 체결을 위한 요소로서, 몸체(152) 및 걸림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52)는 인입구(124)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124)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153)는 몸체(152)의 외면에 형성되며, 몸체(152)의 인입시 걸림홈(125)과 맞물린다.
플랜지(155)는 태양광 패널(C)의 고정을 위한 요소이다. 플랜지(155)는 고정영역부(156), 탄성영역부(157) 및 접촉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영역부(156)는 몸체(152)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영역부(157)는 고정영역부(156)로부터 연장되며 고정영역부(156)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접촉부(158)는 탄성영역부(157)의 단부에 위치하며 반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프레임 모듈(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 모듈(100)과 단열재(I) 및 태양광 패널(C)과의 상호 조립 과정은 먼저 단열재(I)의 가장자리가 단열재 결합구(122)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시작된다. 단열재(I)가 끼워지면, 태양광 패널(C)이 지지부(128)에 얹혀지고, 이후 캡유닛(150)이 프레임유닛(110)에 끼워지는 순으로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캡유닛(150)의 몸체(152)가 프레임유닛(110)의 인입구(124)에 제1 방향(D1)을 따라 끼워지면, 이와 함께 플랜지(155)의 접촉부(158)도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패널(C)의 전면과 맞닿는 제1 위치(P1)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인입구(124)의 내면에는 복수의 걸림홈(125)이 구비되어 있어, 걸림돌기(153)는 제1 위치(P1)에 해당하는 깊이에서 대응하는 걸림홈(125)과 체결된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C)이 더 두꺼운 제품인 경우 몸체(152)는 제2 위치(P2)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걸림돌기(153)는 그와 대응하는 걸림홈(125)에 체결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C)의 두께에 따라 그에 알맞는 구성들을 따로 준비할 필요 없이, 단 하나의 구성만으로도 다양한 두께의 태양광 패널(C)들을 각각 고정할 수 있어, 양산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C)이 끼움부재(151)와 체결부재(123)의 상호 끼움 결합 만으로 프레임유닛(110)에 고정되므로, 태양광 패널(C)의 설치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프레임유닛(110)으로부터 캡유닛(150)을 분리해내는 과정은 인입구(124)의 개방단을 힘을 주어 벌리거나 또는 몸체(152)에 제1 방향(D1)의 역방향으로 힘을 주어 인입구(124)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캡유닛(150)은 프레임유닛(110)과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그 분리 과정 또한 상당히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캡유닛(150)이 분리되면, 프레임유닛(110) 및 단열재(I)는 하지철물(M)에 그대로 고정된 상태로 그로부터 태양광 패널(C)만을 따로 분리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C)이 고장 또는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캡유닛(150)만 분리하면 태양광 패널(C)을 따로 때낼 수 있어 태양광 패널(C)을 바꾸어 끼는 교체 과정 또한 상당히 단순해진다.
한편, 태양광 패널(C)은 캡유닛(150)과 프레임유닛(110)의 상호 결합시 플랜지(155)와 안착턱(127)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양광 패널(C)은 몸체(152)가 제1 위치(P1)까지 끼워지면, 접촉부(158)와 맞닿아 가압되면서 플랜지(155)와 지지부(128)의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접촉부(158)는 탄성영역부(157)와 연결되어 있어 그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C)은 결과적으로 프레임 모듈(100)에 탄성을 가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 모듈(100)이 하지철물(M)을 통해 잔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도, 이러한 탄성적 결합 특성에 의해 잔진동이 감쇠될 수 있어 태양광 패널(C)까지 전달되는 진동량 또한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빌딩 옥상에 위치한 냉각탑 또는 공조 시스템 등의 냉각팬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은 건물 벽체를 따라 건물 외벽 또는 하지철물(M) 등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동이 태양광 패널(C)에 오롯이 전달된다면 태양광 패널(C)은 장기간의 잔진동을 받아 피로파괴 또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C)이 리지드(rigid) 결합이 아닌 탄성적(elastic)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고무패킹 또는 고무몰딩과 같은 별도의 진동완화부재를 태양광 패널(C)의 고정 부위에 별도로 끼워넣을 필요 또한 없어진다.
이러한 잔진동 이외에도, 태양광 패널(C)은 강력한 외풍 등에 의해 제2 방향(D2)을 따라 벤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벤딩 현상은 태양광 패널(C)의 고정단인 가장자리 영역에 상당량의 휨모멘트를 발생시켜 이 영역을 손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안착턱(127)은 단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두께를 갖는 경사부(129)를 구비하고, 접촉부(158)는 2개의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C)이 외풍 등에 의해 제2 방향(D2)을 따라 휘어지는 경우 경사부(129)의 구성으로 인해 태양광 패널(C)의 가장자리 영역이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생겨 휘어진 형상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리지드 결합시보다 상당히 작은 스트레스만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패널(C)의 가장자리 영역이 휘어져 있는 경우에도, 접촉부(158)의 반구형 단면 특성으로 인해 태양광 패널(C)은 그 휘어짐 방향과 무관하게 안착턱(127) 측으로 안정적으로 눌려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레임유닛(110) 및 캡유닛(15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캡유닛(150)은 태양광에 대한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유닛(150)의 플랜지(155)도 광투과성을 가지게 되어, 플랜지(155)에 의해 가리워진 태양광 패널(C) 전면의 가장자리 영역도 태양광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태양광 패널(C)의 발전량을 올릴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고분자 수지는 투명 폴리이서술폰(polyestersulfone), 투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투명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th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라미드(aramid)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딘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styrene) 등일 수 있다. 이들 소재는 광투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탄성도 우수하여, 캡유닛(150)을 프레임유닛(110)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하는 착탈 과정을 보다 작은 힘만으로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프레임 모듈(100)의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110)은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프레임 모듈(100)은 태양광 패널(C) 및 단열재(I)와 상호 조립되어 이웃한 외벽패널(W)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 하나의 단위 조립체(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조립체(200)는 상부 외벽패널(Wu) 및 하부 외벽패널(Wd)과 한 평면 상에서 각각 위 아래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양광 패널(C)이 상부 외벽패널(Wu) 및 하부 외벽패널(Wd)과 하지철물(M)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태양광 패널(C)이 외벽패널(W) 위에 덧붙어 돌출되어 보이는 종래의 구조보다 외관상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하부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모듈(100)의 제2 영역(A2)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110)은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0)은 전술한 단열재 결합구(122), 체결부재(123) 및 안착턱(127) 이외에, 걸림턱(131), 커버턱(132) 및 가스켓(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31)은 단열재 결합구(122)의 후방으로 그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턱(132)은 인입구(124)의 외면 중 안착턱(127)의 반대편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33)은 단열재 결합구(122)의 후방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130)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시공은 먼저 하부 외벽패널(Wd)을 하지철물(M)에 고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하부 외벽패널(Wd)은 그의 상단 영역에 볼트공(WdH)을 갖추고 있어, 이를 통해 SDS 볼트(B)로 하지철물(M)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외벽패널(Wd)은 그의 상단에 패널 돌출턱(WdP)을 가질 수 있는데, 걸림턱(131)은 이 패널 돌출턱(WdP)에 의해 확보된 공간에 걸쳐 끼워짐으로써 하지철물(M)에 가설치되며, 이 경우 패널 돌출턱(WdP)과의 틈새는 가스켓(133)에 의해 밀폐된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30) 자체의 설치 과정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30)이 하부 외벽패널(Wd)과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턱(132)은 하부 외벽패널(Wd)의 상단 영역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하부 외벽패널(Wd)에 위치한 SDS 볼트(B) 및 패널 돌출턱(WdP)이 외부 시야로부터 감추어져, 외부로부터 매끈하게 보이는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커버턱(132)으로부터 걸림턱(131)까지의 총 두께(T1)는 하부 외벽패널(Wd)의 두께(T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어, 태양광 패널(C)을 외벽패널(W) 위에 덧붙이는 경우보다 우수한 외관상의 일체감을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프레임 모듈(100)의 제3 영역(A3)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110)은 상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40)은 전술한 단열재 결합구(122), 체결부재(123) 및 안착턱(127) 이외에, 체결공(141), 가스켓(142), 체결영역부(143) 및 돌출턱(14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141)은 체결영역부(143) 내에 형성되고, 체결영역부(143)는 단열재 결합구(122)의 후방으로 그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2)은 돌출턱(144)의 단부에 위치하며, 돌출턱(144)은 체결영역부(143)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140)은 SDS 볼트(B) 등이 체결공(141)을 통해 하지철물(M)에 체결됨으로써 하지철물(M)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전술한 하부 프레임(130)이 하부 외벽패널(Wd)의 상단에 끼워져 가설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태양광 패널(C), 단열재(I) 및 프레임 모듈(100)이 하나로 묶인 단위 조립체(200) 자체의 설치 과정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단위 조립체(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 외벽패널(Wu)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외벽패널(Wu)은 하부 프레임(130)과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외벽패널(Wu)은 그의 하단 영역에 패널 걸림턱(WuT) 및 패널 커버턱(WuC)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 외벽패널(Wu)은 패널 걸림턱(WuT)이 돌출턱(144)에 의해 확보된 하지철물(M)과의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는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하부 프레임(130)을 하부 외벽패널(Wd)의 상단에 끼워넣는 방식과 유사한데, 이러한 방식에 의해 패널 커버턱(WuC)이 SDS 볼트(B), 체결영역부(143) 및 돌출턱(144)을 가려 매끈한 외관을 얻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여기서, 상부 외벽패널(Wu)과 상부 프레임(140)의 상호 결합시 그 둘 사이의 틈새는 가스켓(142)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00')의 횡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프레임 모듈(100') 한 쌍을 도 3에서와 같이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100')의 측부 프레임(120')은 전술한 단열재 결합구(122'), 체결부재 및 안착턱 이외에, 고착돌기(170) 및 틈막이부재(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착돌기(170)는 인입구(124')의 외면 중 안착턱의 반대편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착돌기(170)는 톱니형의 래칫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틈막이부재(180)는 이웃한 측부 프레임(120') 사이의 틈새를 막거나 좁혀 실링재(S)에 의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틈막이부재(180)는 접이부(181), 고임부(182) 및 요철부(183)를 가질 수 있다.
접이부(181)는 인입구(124')의 외면 중 안착턱의 반대편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181)는 고임부(182)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 탄성적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된다. 고임부(182)는 접이부(181)로부터 연장되며, 흘러내린 실리콘 실란트(S)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요철부(183)는 고임부(182)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고착돌기(170) 및 틈막이부재(180)의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측부 프레임(120')은 한 쌍이 하지철물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될 수 있고, 이들 사이는 실리콘 실란트와 같은 실링재(S)에 의해 메꿔질 수 있다. 통상의 외벽패널 설치 시공과는 달리, 태양광 패널 설치 시공은 전력선 및 컨트롤러와 같이 수분에 취약한 구성들을 수반하므로, 시공시 보다 높은 밀폐력을 갖는 방수 마감이 요구된다.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실란트(S)가 측부 프레임(120')들 사이에 쏘아진 경우 실란트(S)는 고착돌기(170)와 맞닿은 상태로 경화 과정을 거쳐 그에 대응하는 톱니형의 래칫 형상을 가진 채로 굳어지게 되다. 이에 의해, 실란트(S)는 경화 후 고착돌기(170)에 걸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측부 프레임(120')들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 모듈(100')에 의하면,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0')이 본 도면에서와 같이 하지철물에 잇달아 배치되는 경우, 각 측부 프레임(120')의 틈막이부재(180)가 먼저 서로 맞닿게 된다. 구체적으로, 측부 프레임(120')의 최외곽 영역에 위치한 요철부(183)들이 서로 맞닿게 되는데, 이들은 접이부(181)의 탄성력에 의해 제3 방향(D3)을 따라 변위될 수 있어 서로 탄성력을 가진 상태에서 접하게 되며, 또한 요철 형상으로 인해 서로 간의 틈새를 막거나 또는 좁힌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부 프레임(120')들 사이의 간격(G)이 비교적 넓거나 또는 좁은 경우에도 틈막이부재(180)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설치 시공자가 측부 프레임(120')들 사이를 정해진 간격(G)으로 정확하게 설치해야만 하는 부담을 덜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요철부(183)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젤 상태의 실리콘(S)이 주입되면, 실리콘(S)은 다른 곳으로는 흘러내리지 못하고 일단 고임부(182) 내로 모이게 된다. 고임부(182) 내에 모인 실리콘(S)은 요철부(183)들의 요철 형상이 서로 정확히 맞물려져 그들의 틈새가 막힌 경우(도 8 참조)라면 더 이상 흐를 수 없으나, 요철 형상이 서로 정확히 맞물리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요철부(183)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갈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틈새를 지나는 실리콘(S)은 요철부(183)의 형상으로 인해 접하는 표면적이 넓어져 다른 영역의 실리콘(S)보다 신속히 경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요철부(183)들 사이의 틈새는 먼저 경화된 실리콘(S)에 의해 자연스레 차단되고, 이에 따라 실리콘(S)은 고임부(182)에 고여진 상태 및 고착돌기(170)와 맞닿은 상태에서 굳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틈막이부재(180)에 의하면, 실링재(S)를 한정된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굳힐 수 있어, 실링재(S)가 다른 곳으로 자유로이 흘러내려 불특정한 형상을 가진 상태로 경화된 경우보다 우수한 밀폐력 및 방수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100a",100b")의 횡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프레임 모듈(100a",100b") 한 쌍을 도 3에서와 같이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은 2개의 측부 프레임, 즉 제1 프레임(120a") 및 제2 프레임(120b")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에는 제1 결착부재(190a) 및 제2 결착부재(190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착부재(190a)는 제1 밀착 플레이트(191a), 제1 끼움홈(192a) 및 제1 가스켓(19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 플레이트(191a)는 제1 프레임(120a")의 단열재 결합구(122")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끼움홈(192a)은 제1 밀착 플레이트(191a)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1 가스켓(193a)은 제1 끼움홈(192a)에 설치된다.
제2 결착부재(190b)는 제2 밀착 플레이트(191b), 제2 끼움홈(192b) 및 제2 가스켓(19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착 플레이트(191b)는 제2 프레임(120b")의 단열재 결합구(122")의 외면 중 제1 밀착 플레이트(191a)와 높낮이를 달리하는 위치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2 끼움홈(192b)은 제2 밀착 플레이트(191b)의 단부에 위치하며, 홈의 방향이 제1 끼움홈(192a)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2 가스켓(193b)은 제2 끼움홈(192b)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결착부재(190a) 및 제2 결착부재(190b)의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 모듈(100a",100b")은 하지철물(M)에 대해 측방향으로 잇달아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프레임(120a")의 제1 결착부재(190a)가 하지철물(M)과 맞닿은 상태에서 또 다른 프레임 모듈(100b")이 이웃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프레임 모듈(100b")의 제2 프레임(120b")의 제2 결착부재(190b)는 제1 결착부재(190a)를 덮어 하지철물(M) 쪽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 가스켓(193b)은 제1 밀착 플레이트(191a)를 눌러 그와 함께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제1 가스켓(193a)도 제2 밀착 플레이트(191b)와 밀착되어 총 2번의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웃한 프레임 모듈들(100a",100b") 사이의 틈새가 상당히 견고하게 밀봉되어, 이 틈새를 통한 빗물의 스며듬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우수한 방열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 모듈들(100a",100b")을 잇달아 설치한 이후 이들 사이의 틈새에 실란트를 주입하던 종래의 추가 방수 마감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도 줄어들게 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100',100a",100b":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110: 프레임유닛
120: 측부 프레임
130: 하부 프레임
140: 상부 프레임
150: 캡유닛
160: 코너 조인트유닛
170: 고착돌기
180: 틈막이부재
190a,190b: 제1 결착부재, 제2 결착부재

Claims (8)

  1. 건축물의 외면에 판형의 단열재를 덧붙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태양광 패널을 덧붙도록 하기 위한 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하는 단열재 결합구와 상기 단열재 결합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안착턱을 구비하고, 상기 캡유닛은 상기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끼움 결합시 상기 태양광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 상기 안착턱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호 해제시에는 상기 끼움부재와 함께 해제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몸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중공의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인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인입구의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의 접이부; 상기 접이부로부터 연장되며 마감용 실링재가 고이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고임부; 및 상기 고임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이부의 탄성력에 의해 변위되어 외부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단열재의 상이한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단열재 결합구,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안착턱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결착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이웃하여 설치되는 다른 프레임유닛의 제1 결착부재와 밀착하여 이웃한 프레임유닛과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착부재,
    상기 인입구의 외면 중 안착턱의 반대편 외면에 형성된 톱니형의 래칫 구조를 갖는 고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고임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 탄성적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고임부는 상기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고임부와 상기 실링재가 고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웃한 한쌍의 요철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젤 상태의 실리콘(S)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S)이 흘러내리지 못하고 일단 상기 고임부 내로 모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의 인입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영역부;
    상기 고정영역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영역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영역부; 및
    상기 탄성영역부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영역부에 의한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호 체결시 상기 태양광 패널을 탄성적으로 누르도록 형성되는 반구형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유닛은,
    태양광에 대한 광투과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인 투명 폴리이서술폰(polyestersulfone), 투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또는 투명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단열재 결합구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착부재는 상기 제2 프레임의 단열재 결합구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제1 가스켓과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웃한 프레임유닛의 제1 밀착 플레이트와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8. 삭제
KR1020210059075A 2021-05-07 2021-05-07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KR10237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75A KR102377761B1 (ko) 2021-05-07 2021-05-07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75A KR102377761B1 (ko) 2021-05-07 2021-05-07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761B1 true KR102377761B1 (ko) 2022-03-22

Family

ID=8098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75A KR102377761B1 (ko) 2021-05-07 2021-05-07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22B1 (ko) * 2022-06-20 2023-01-11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외벽의 결로방지 구조물
KR20240062278A (ko) 2022-10-28 2024-05-09 (주)에이비엠 시공성이 개선된 벽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8165B1 (en) * 2000-10-23 2003-07-08 John T. Wright Extrusion devices for mounting wall panels
KR200456085Y1 (ko) * 2010-07-14 2011-10-13 김창식 패널 연결용 프레임
JP3198925U (ja) * 2014-05-20 2015-07-30 天暘▲けい▼晶国際股▲ふん▼有限公司 太陽電池フレーム構造
KR101742153B1 (ko) * 2016-05-12 2017-06-15 김재욱 태양광패널용 수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8165B1 (en) * 2000-10-23 2003-07-08 John T. Wright Extrusion devices for mounting wall panels
KR200456085Y1 (ko) * 2010-07-14 2011-10-13 김창식 패널 연결용 프레임
JP3198925U (ja) * 2014-05-20 2015-07-30 天暘▲けい▼晶国際股▲ふん▼有限公司 太陽電池フレーム構造
KR101742153B1 (ko) * 2016-05-12 2017-06-15 김재욱 태양광패널용 수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22B1 (ko) * 2022-06-20 2023-01-11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외벽의 결로방지 구조물
KR20240062278A (ko) 2022-10-28 2024-05-09 (주)에이비엠 시공성이 개선된 벽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761B1 (ko) 태양광 패널 일체형 건물 외장용 프레임 모듈
US7600350B2 (en) Thermally broken sunshade anchors
KR100874580B1 (ko) 데크 고정용 패스너
KR101185383B1 (ko) 차양용 몰딩바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CN101166884A (zh) 用于将玻璃窗固定到外壁结构的装置以及方法
KR101710526B1 (ko)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570509B1 (ko) 건축용 외장재
KR101077633B1 (ko) 캐노피용 지붕구조물 조립부재
KR200419957Y1 (ko) 건축벽 판넬 조립구조
KR101625501B1 (ko)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444819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部材
ITMI20090109U1 (it) Kit di montaggio per la posa e/o l'installazione di costruzioni sopra il tetto
KR100880339B1 (ko) 창호프레임
KR20100040419A (ko) 건축물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200460239Y1 (ko) 투광성 패널용 커넥터
JP3137757U (ja) シーリングレス化粧部材
KR102070107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14600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체결구
KR101840230B1 (ko) 지붕판넬용 방수마감부재
KR930002723Y1 (ko) 창문틀 골재의 모서리 커버
CN109952218A (zh) 具有可闩锁盖的压力释放组装件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JP2837181B2 (ja) パネルの目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