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612B1 -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 Google Patents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612B1
KR102377612B1 KR1020190177014A KR20190177014A KR102377612B1 KR 102377612 B1 KR102377612 B1 KR 102377612B1 KR 1020190177014 A KR1020190177014 A KR 1020190177014A KR 20190177014 A KR20190177014 A KR 20190177014A KR 102377612 B1 KR102377612 B1 KR 10237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bathtub
air
horizontal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081A (ko
Inventor
임진광
Original Assignee
임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광 filed Critical 임진광
Priority to KR102019017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612B1/ko
Priority to PCT/KR2020/019165 priority patent/WO2021133130A1/ko
Publication of KR2021008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욕조본체부;
상기 욕조본체부의 하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하부수평에어튜브;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의 상부로 연통되어 구성한 수직에어튜브;
상기 욕조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에 삽입되는 상부수평에어튜브;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공기압보다 상부수평에어튜브의 공기압이 더 크게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Folding bathtub for patient bed}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를 침대에 뉘인 채 보호자가 간편하게 설치하여 목욕을 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5는 출원인이 기존에 출원한 기술로써 선행기술문헌인 특허공개번호 10-2019-0077941(2019.07.04)호 및 특허등록번호 10-1814284(2018.01.03)이다.
도5는 특허공개번호 10-2019-0077941(2019.07.04)호로 배경기술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간이 욕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간이 욕조는 환자용 침대, 특히 전동식 혹은 수동식으로 상체를 상승시킬 수 있는 타입의 환자용 침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를 침대에 뉘인 채 보호자가 손쉽게 목욕을 시킬 수 있고, 또 목욕 후에는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이식 간이 욕조는 환자 신체를 담글 수 있는 목욕물을 담아 놓는 수단으로 욕조 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욕조 본체(11)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의 시트(SHEET)로 제작되며 바닥과 4곳의 측벽을 가지는 직사각형 욕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욕조 본체(11)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욕조 형태를 취하면서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욕조 본체(11)의 장변을 이루는 벽체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안쪽으로 좁혀지는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욕조 본체(11)의 단변을 이루는 벽체는 수직 형태이든 또는 경사진 형태이든 무관하지만, 장변을 이루는 벽체는 물이 침대 밖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쪽의 폭이 좁은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욕조 본체(11)의 바닥과 4곳의 측벽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각각 제작된 후에 바닥과 각 측벽, 그리고 측벽 간의 융착이나 접착 등에 의해 일체식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욕조 본체(11)는 합성수지 소재의 시트로 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해 미사용 시에는 차곡차곡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사용 시에는 쉽게 펼쳐서 직사각형 욕조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욕조 본체(11)에는 줄 홀(1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줄(13a,13b)을 끼울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욕조 본체(11)에 있는 4곳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2곳의 측벽,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4곳의 측벽 중에서 장변을 이루는 2곳의 측벽에는 상단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줄 홀(12)이 구비되고, 이렇게 구비되는 줄 홀(12)에는 로프, 끈, 와이어 등과 같은 줄(13a,13b)이 각각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줄 홀은 4곳의 측벽 상단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줄 홀에 줄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끼워지는 줄(13a,13b)은 다양한 형태로 욕조 본체(11)측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상기 줄(13a,13b)은 박음질, 접착, 융착, 압착 등을 통해 어느 한 부분이 줄 홀(12) 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줄(13a,13b)은 줄 홀 없이 측벽 상단부에 직접 박음질 등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욕조 본체(11)의 바닥 일측, 예를 들면 환자 신체 하부쪽이나 중간에는 마개(미도시)를 가지는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이때의 배수구로부터 연장되는 호스 등은 환자용 침대의 경우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지지대 사이의 하부로 인출하거나, 또는 간이 욕조가 시트 형태이므로 유연성이 있어서 매트 옆쪽으로 인출하여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이식 간이 욕조는 욕조 본체(11)의 사각틀 형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 줄(13a,13b)을 포함한다.
상기 줄(13a,13b)은 욕조 본체(11)의 적어도 2곳의 측벽 상단, 또는 4곳의 측벽 상단을 따라 형성되는 줄 홀(12) 내에 끼워지게 되며, 이렇게 끼워지는 줄(13a,13b)은 줄 홀(12) 내에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욕조 본체(11)의 4곳의 모퉁이에서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각 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줄 홀 내에 줄을 끼우되, 각 단변쪽에 끼워지는 2개의 줄은 측벽 상단 길이에 맞게 만들어 고정시키고, 각 장변쪽으로 끼워지는 2개의 줄은 측벽 상단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만들어 줄 홀 바깥쪽으로 연장시킨 후에 이렇게 연장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지지대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변쪽에 끼워지는 줄(13a,13b)을 약간 벌려서 팽팽하게 당겨주는 경우에는 굳이 단변쪽에는 줄을 끼우지 않아도 된다.
이때, 환자 다리쪽의 욕조 본체 2곳의 모퉁이 부위의 줄은 줄 홀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밖으로 인출되어 지지대에 묶을 수 있고, 환자 머리쪽의 욕조 본체 2곳의 모퉁이 부위의 줄은 줄 홀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간이 욕조는 각각의 줄(13a,13b)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4개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반드시 줄을 걸거나 지지대를 세워야만 지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하게 된 것이다.
한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19-0077941(2019.07.04) 한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14284(2018.01.03)
첫번째 과제는 접이식 욕조를 갖추기 위하여 필요한 많은 부품을 단순화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과제는 접이식 욕조의 부피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과제는 접이식 욕조의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네번째 과제는 접이식 욕조의 유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다섯번째 과제는 침대의 공간에서 목욕을 하는 와상환자가 욕조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욕조본체부;
상기 욕조본체부의 하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하부수평에어튜브;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의 상부로 연통되어 구성한 수직에어튜브;
상기 욕조본체부의 상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에 삽입되는 상부수평에어튜브;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공기압보다 상부수평에어튜브의 공기압이 더 크게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구성한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은 상기 욕조본체부의 상부를 외부방향으로 접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는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공기주입구인 하부 및 수직부공기주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는 상부공기주입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공기주입구의 주변부는 고압의 공기압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라멘트테이프로 구성하여 보강하되, 상기 필라멘트테이프는 폴리에스터필름과 파이버글라스를 러버점착제로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공기주입구 및 상기 하부 및 수직부공기주입구는 체크밸브의 구성을 가지는 밸브로써 공기를 주입시엔 외부마개를 개방하고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마개를 나사로 잠그도록 구성하며 공기 배출시엔 내부마개를 열어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에 공기압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에어튜브외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튜브외피부는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의 모서리 부분의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와 일직선부분에 해당하는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를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와 상기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는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욕조본체부의 바닥판은 한겹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구성 부분에만 두겹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구성부를 고주파 또는 초음파로 접착하여 부피와 무게 및 유연성을 동시에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공기압은 7psi의 저압을 삽입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의 공기압은 30~60psi로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는 접이식 욕조를 갖추기 위하여 필요한 많은 부품을 단순화한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접이식 욕조의 부피와 무게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접이식 욕조의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네번째 효과는 접이식 욕조의 유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다.
다섯번째 효과는 와상환자 침대공간을 욕조공간으로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제1a도는 완성된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의 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에서 상부수평에어튜브를 삽입하기 전 공기를 제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상부수평에어튜브와 하부수평에어튜브 및 수직에어튜브 만을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상부수평에어튜브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에 에어튜브외피부를 감싼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공기주입구가 실제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에 적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공기주입구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배경이 되는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 1a 내지 도면 4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욕조본체부(400)의 하부의 테두리부에 하부수평에어튜브(200)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의 상부로 연통되어 수직에어튜브(300)를 구성하여 공기주입을 할 때에 동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욕조본체부(400) 상부의 테두리부에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130)을 구성하여,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130)에 상부수평에어튜브(100)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300)의 공기압보다 상부수평에어튜브(100)의 공기압이 더 크게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하여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측벽에 별도의 지탱부가 없어도 충분히 형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130)은 상기 욕조본체부(400)의 상부를 내부나 외부방향으로 접어서 구성하여 욕조의 물이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에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300)는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공기주입구인 하부 또는 수직부공기주입구(600)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100)는 상부공기주입구(110)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공기주입구(110)의 주변부는 고압의 공기압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라멘트테이프로 구성하여 보강하되, 상기 필라멘트테이프는 폴리에스터필름과 화이버글라스를 러버점착제로 일체화하도록 구성한다. 상부공기주입구(110)는 고압의 공기압을 주입해야 하므로 고압의 공기압을 견디기 위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공기주입구(110) 및 상기 하부 또는 수직부공기주입구(600)는 체크밸브의 구성을 가지는 밸브로써 공기를 주입시엔 외부마개(840)를 개방하고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마개(840)를 나사로 잠그도록 구성하며 공기 배출시엔 내부마개(820)를 열어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여 공기를 주입하기 용이하고 공기주입을 하고 난후에도 공기의 누설이 없이 나사로 잠그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100)에 공기압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에어튜브외피부(120)를 구성한다.
상기 에어튜브외피부(120)는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100)의 모서리 부분의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와 (121,123,125,127)일직선부분에 해당하는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122,124,126,128)를 구분하여 구성하여 고압의 공기압에도 상부수평에어튜브(100)가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121,123,125,127)와 상기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122,124,126,128)는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여 상부수평에어튜브(100)의 공기압을 잘 지탱하여 주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물론 에어튜브외피부를 직조하여 하나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욕조본체부(400)의 바닥판은 한겹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300)의 구성 부분에만 두겹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300)의 구성부를 고주파 또는 초음파로 접착하여 부피와 무게는 줄이고 유연성은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상기 수직에어튜브(300)의 공기압은 7psi의 저압을 삽입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100)의 공기압은 30~60psi로 주입하도록 하면 환자의 목욕을 하는 동안에도 욕조의 형틀이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기존의 침대용 욕조 형태가 고무보트 형태로 한정된 공간의 침대에 욕조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어튜브 자체의 재질과 두께를 고려하여 3psi 미만의 공기를 직경이 14~15cm 정도의 에어튜브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는 전체적으로 0.4~0.5mm 두께의 t.p.u 나 p.v.c 필름을 욕조 형태 전체를 두겹으로 고주파 압착 방법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여 에어튜브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면 욕조내부 공간이 협소해져서 거동불가 환자의 경우 침대의 크기로 제작된 욕조의 내부는 환자가 완전히 누운 상태에서 목욕을 하기에는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 사용하기에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침대의 공간을 와상환자가 충분히 활용하여 목욕함에 불편함이 없되 욕조 자체의 부피와 무게는 최소화하여 사용함으로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에어튜브의 직경은 작아지되 욕조 전체의 무게와 부피는 줄어들고 욕조의 형태는 유지하는 기술적 과제가 대두되었다.
기존의 방식은 욕조의 몸체 전체가 동일한 두께의 원단을 사용하여 접착함으로 공기압을 일정 정도 이상으로 주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만일 고압(30~60psi)의 공기를 주입하려면 자전거 튜브같이 에어튜브 두께가 두껍고 무거워지게 된다.
또 환자의 목욕시에는 환자 상반신을 비스듬히 올리고 목욕을 시켜야 환자가 불편함이 없고 보호자도 어려움이 없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10-1814284(2018.01.03)가 있으나 침대마다 모양이 다르고 봉 홀더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별도의 지지봉이 있어야 하며 끈을 묶고 풀고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욕조 형태를 유지하는데 하부수평에어튜브(200)로 욕조 전체를 구성하는 대신 수직에어튜브(300)와 하부수평 에어튜브(200)를 구성하여 욕조 형태를 유지하되 침대 상부를 들어 올려도 욕조 중간이 구부러져 욕조 측벽 중간이 밖으로 밀려 나오지 않아 물이 밀려나오지 않아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욕조 바닥판과 측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선행특허처럼 욕조를 제작시 바닥판을 사각형으로 하고 이를 둘러싸는 측벽을 바닥판과 고주파 접착 등으로 접착 후 바닥을 둘러싸는 측벽하단에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마치 요철모양처럼 하단에 구성한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공기가 통하는 수직에어튜브(300)를 중간 중간에 수직기둥을 구성한다.
즉 , 와상환자의 경우 침대는 이미 어떤 형태든 쿠션이 있기에 바닥판은 홑겹으로 구성하여도 전혀 무방하다.
측벽은 욕조 측벽을 형성하는 안쪽 측벽과 에어튜브 구성을 위한 측벽을 둘러싸고 하단과 수직이 연결된 요철형태의 바깥쪽 측벽이 서로 접착되어 에어튜브를 구성함으로 에어튜브 이외의 부분은 제거되어 기존의 욕조가 전체적으로 부피와 무게를 줄였다.
그런데 이렇게 측벽하단과 수직부에 수직에어튜브(300)를 구성하면 펼쳐진 상태에서는 하단과 상단이 동일한 길이가 되지만. 공기를 주입시 에어튜브가 둥근 형태가 되면서 하단은 신축성에 의해 길이가 약간 늘어나고 수직부위 측벽은 길이가 줄어들어 욕조 형태가 찌그러지게 된다.
이때 수직 기둥부의 길이 축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반원형 성형을 하여 접착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렇더라도 일정 부분 길이 변화는 발생하고 제조 비용도 증가한다.
이렇게 침대 상단을 약간 들어 올렸을 때 욕조 상단 장변이 바깥쪽으로 휘어지지 않으며, 공기 주입시 측벽 하단과 상단의 길이 차이를 해결하려면 상단에 막대형태의 봉으로 욕조 상단의 형태를 유지해주면 해결이 되지만 이는 작은 봉들을 삽입 결합해야 하는 등 부품이 늘어나고 보관시 번거롭고 조립 해체 또한 번거롭다.
본원발명은 상단에 상부수평에어튜브(100)를 구성하되 고압에 견디는 재질에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운 에어튜브의 구성이 요구된다.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 튜브가 견디려면 자전거 튜브등 두껍고 중량이 무거운 EPDM 재질의 에어튜브가 있지만 인체에 친환경적이지 않고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에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고압에 견디는 상부수평에어튜브(100) 구성을 위해 0.25MM 내외의 TPU 혹은 PVC 필름등을 이용하여 에어튜브를 만들고 이 튜브를 인장강도가 높고 가벼우며 부피가 작은 재질로 에어튜브를 감싸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에 적합한 재질로 폴리에스터 50 데니아 고밀도 평직 원단 4겹~5겹정도를 재봉하여 일자형 튜브 및 모서리부 튜브 외피를 만들거나 혹은 강력사 이상의 500데니아 정도의 실로 -자형 튜브외피를 직조한다.
이때 500 데니아 정도의 강력사로 직조한 원단의 경우는 한 겹만 재봉을 하여도 되지만 밀도가 부족하여 에어튜브를 내장하고 고압을 가하면 직조한 원단의 실이 밀려나며 올이 풀리게 되어 사용이 어렵다.
반대로 50데니아 정도의 강력사로 튜브 외피를 직조시엔 두께가 너무 얇아 고압 공기 주입을 견디지 못하고 외피가 터져나간다. 따라서 미싱 재봉으로 튜브 외피를 제작시엔 50데니아 정도로 평직한 원단 여려겹을 사용하고, 직조로 튜브 외피를 만들시엔 500데니아 정도의 강력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초강력사를 이용하여 평직하여 재봉을 하거나 튜브형태로 직조할 수도 있으나 경제성 및 유연성이 떨어진다.
또한 선행발명처럼 욕조가 사각 형태일 경우 욕조 제작은 라운딩 형태보다 수월하지만 욕조 모서리가 꺽여서 공기 주입이 원활하지 못하기에 이를 해결하려면 모서리부에 별도의 공기통과를 위한 라운딩형태의 튜브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제작 과정도 상당히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아지며 경제성도 떨어진다.
본원발명은 욕조 모서리 내경반경을 약 3.5cm 가량만 둥글게 하여 욕조의 공간이 협소해짐을 최소화 할 뿐 아니라 공기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였다.
특히 상부수평에어튜브를 고압의 공기압을 견디게 외피를 감싸는 방법에 있어서 사각형태로의 외피를 일체형으로 제작도 어려울 뿐 아니라 제작하였다 하여도 에어튜브를 외피에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내피를 외피로 감싸고 고주파로 접착하거나 초음파로 접착하는 방법은 기술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접착강도가 약해 사용이 불가하거나 불량률이 높게 발생한다.
또한 타포린 류의 유리섬유나 폴리에스터사 그믈망을 필름 중간에 넣은 합지 형태의 필름은 유연성도 부족하고, 접착하여 튜브를 만들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서 중간에 그물망이 접착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고압의 공기압을 견디지 못하고 터져버리게 된다.
이에 상부수평에어튜브(100)의 에어튜브외피부(120)는 모서리부분과 일직선부분을 교대로 나누어 끼우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특히 욕조의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피와 외피 모두 모서리 라운딩부분의 90도가 중요하다. 내피튜브의 공기주입구 부분은 외피를 덧씌웠을 때 펀칭하여 주입구를 드러나게 하면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 주입구 주변부가 밀리며 터져 나갈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별도로 한번 더 Polyester Film에 fiberglass 를 십자형으로 직조하여 보강한 것에 Rubber 계열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조한 필라멘트테이프를 일자 형태 외피튜브로 만들어 보강한다.
상부공기주입구(110)를 드러나게 하기 위하여는 필라멘트테이프(0.15mm)를 두 세겹 겹쳐 만든 튜브를 펀칭하여 외피에 삽입하여 보강하여준다. 또 모서리부와 일직선부는 서로 겹치게 외피를 끼우고 그 부위 또한 십자형 필라멘트 테이프를 감아서 보강한다.
이렇게 제작하면 에어튜브는 약 0.25mm 강력사 외피 0.3~0.4mm 정도의 두께로 매우 얇고 유연하며 공기주입구 주변이나 외피가 겹치는 부분의 보강을 위해 감아주는 두께 0.15mm 인장력이 50.1 kgf/25mm 정도의 십자형 필라멘트 테이프를 두 세번 감아 주어도 사용함에 있어서 전혀 불편함이 없게 된다.
욕조 상단은 바깥으로 접어 튜브 홀을 만들고 튜브를 삽입한다. 이때 안으로 접을 수도 있으나 튜브 속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깥쪽으로 접어 튜브 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벽의 형성된 수직에어튜브(300) 상단이 고압의 상부수평에어튜브(100)를 받쳐주는 형태가 바람직한데 그러기 위해서 수직에어튜브(300)의 수직기둥 상단과 상단의 상부수평에어튜브(100)가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형태 때문에 상단 상부수평에어튜브(100) 홀의 구성을 위해 바깥으로 접어서 접착시 수평기둥 부위는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건너뛰고 접착을 한다.
하단에 구성한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수직에어튜브(300)는 tpu의 경우 두께 0.5mm에 경도가 80~85A일 경우 공기 주입 압력은 약 7psi가 적절하고 상단에 구성한 상부수평에어튜브(100)에는 30~60psi 정도의 공기압이 적절한데 사용 상황상태에 따라 공기압은 가변적이다.
공기 주입구는 체크밸브 형태로 이른바 보스톤 밸브로 알려진 형태의 밸브를 부착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엔 외부마개를 열고 주입 한 후 공기 누설을 2차로 방지하기 위해 외부마개를 나사형태로 잠그며 공기 배출시엔 내부마개를 열어서 공기를 순식간에 배출시킨다.
상부공기주입구(110)과 하부 또는 수직부공기주입구(600)는 동일한 형태의 공기주입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공기주입구(800)는 공기주입구케이스(810)와 이에 결합되는 내부마개(820) 일단에는 숫나사부(825)를 가지고 있어 연결된다.
내부마개(820)타단부는 외부마개삽입부(830)를 가지고 있고 외부마개(840)의 암나사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욕조는 저압(7~10psi)의 하부수평에어튜브(200)및 수직에어튜브(300)와 고압(30~60psi)의 상부수평에어튜브(100)로 욕조 형태를 유지하며 기존의 제품들보다 침대공간을 목욕공간으로 최대한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철거시엔 공기 제거도 용이하고 쉽게 접을 수 있으며 환자의 몸을 들어 올리지 않고도 환자의 몸을 좌우로 번갈아 뉘인 후 혼자서도 손쉽게 욕조를 펼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적어 보관이 용이하며 설치시에는 휴대용 고압 공기 주입기 외엔 별도의 다른 부속품들이 필요 없는 단순한 장점이 있다.
바닥과 측벽의 하부수평에어튜브(200)와 수직에어튜브(300)의 공기기둥이 있는 부분만 두겹이고 나머지 부분은 한겹의 바닥판 및 측벽으로 되어있어 유연성이 뛰어나고 무게와 부피가 현저히 줄어든다.
동일한 크기의 고무보트형 욕조보다 부피가 약 1/4정도이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상부수평에어튜브 110:상부공기주입구
120:에어튜브외피부 121,123,125,127: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
122,124,126,128: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 130: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
200:하부수평에어튜브 300:수직에어튜브 400:욕조본체부
600:하부및수직부공기주입구 700:배수구 800:공기주입구
810:공기주입구케이스 820:내부마개 825:숫나사부
830:외부마개삽입부 840:외부마개 1000: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

Claims (10)

  1. 욕조본체부;
    상기 욕조본체부 하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하부수평에어튜브;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의 상부로 연통되어 구성한 수직에어튜브;
    상기 욕조본체부 상부의 테두리부에 구성한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에 삽입되는 상부수평에어튜브;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에 공기압을 지지하도록 에어튜브외피부를 구성하며,
    상기 에어튜브외피부는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의 모서리 부분의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와 일직선부분에 해당하는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는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공기주입구인 하부 또는 수직부에 공기주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는 상부공기주입구로 별도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공기압보다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의 공기압을 더 크게 주입하도록 구성하되,
    환자의 목욕시에 환자 상반신을 비스듬히 올리고 목욕을 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욕조본체부의 일측을 들어 올려도 욕조 중간이 구부러져 상기 욕조본체부의 측벽 중간이 밖으로 밀려 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욕조본체부의 상기 측벽에 별도의 지탱부가 없어도 충분히 형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하우징은 상기 욕조본체부의 상부를 내부 또는 외부방향으로 접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기주입구의 주변부는 고압의 공기압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라멘트테이프로 구성하여 보강하되, 상기 필라멘트테이프는 폴리에스터필름과 화이버글라스를 러버점착제로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기주입구 및 상기 하부 및 수직부공기주입구는 체크밸브의 구성을 가지는 밸브로써 공기를 주입시엔 외부마개를 개방하고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마개를 나사로 잠그도록 구성하며 공기 배출시엔 내부마개를 열어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어튜브외피부와 상기 일직선에어튜브외피부는 서로 겹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9. 제1항에 있어서 욕조본체부의 바닥판은 한겹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구성 부분에만 두겹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구성부를 고주파 또는 초음파로 접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에어튜브와 상기 수직에어튜브의 공기압은 7~10psi의 저압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수평에어튜브의 공기압은 30~60psi로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KR1020190177014A 2019-12-27 2019-12-27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KR10237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14A KR102377612B1 (ko) 2019-12-27 2019-12-27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PCT/KR2020/019165 WO2021133130A1 (ko) 2019-12-27 2020-12-25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14A KR102377612B1 (ko) 2019-12-27 2019-12-27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81A KR20210084081A (ko) 2021-07-07
KR102377612B1 true KR102377612B1 (ko) 2022-03-24

Family

ID=7657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14A KR102377612B1 (ko) 2019-12-27 2019-12-27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7612B1 (ko)
WO (1) WO202113313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65A (ja) 1998-11-02 2000-05-16 Iwai Shoji Kk 介護浴槽用枠体及び介護浴用寝袋,介護浴用覆設シー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介護入浴システム
JP2005013307A (ja) * 2003-06-24 2005-01-20 Teiirekkusu:Kk ベビーバ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348A (en) * 1988-02-22 1989-04-18 Richard Paterson Convertable bed and bathroom combination
JP2590854Y2 (ja) * 1991-01-05 1999-02-24 茂 岩井 介護用簡易浴槽
KR200324485Y1 (ko) * 2003-06-12 2003-08-25 김형범 공기 텐트
KR200466980Y1 (ko) * 2011-12-26 2013-05-22 오더블유상사 주식회사 구난겸용 에어매트리스
KR101590760B1 (ko) * 2013-07-23 2016-02-03 김종석 절첩식 욕조
KR20170016102A (ko) * 2015-08-03 2017-02-13 조동영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일회용 이동식,접이식 욕조
KR20170067381A (ko) * 2015-12-08 2017-06-16 김상엽 에어 텐트 하부에 메모리 폼과 에어 매트가 포함된 차량 위에 설치 가능한, 에어 튜브를 이용하여 골조를 이루는 차량용 에어 텐트
KR101814284B1 (ko) * 2016-05-26 2018-01-03 임진광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간이 욕조
KR20190077941A (ko) 2017-12-26 2019-07-04 임진광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간이 욕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65A (ja) 1998-11-02 2000-05-16 Iwai Shoji Kk 介護浴槽用枠体及び介護浴用寝袋,介護浴用覆設シー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介護入浴システム
JP2005013307A (ja) * 2003-06-24 2005-01-20 Teiirekkusu:Kk ベビーバ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3130A1 (ko) 2021-07-01
KR20210084081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42469A1 (zh) 一种具有裙边的防周漏支架装置及加工方法、裙边褶皱方法、心脏瓣膜
CN103501709A (zh) 负压伤口闭合装置
CN106136693B (zh) 用于充气床垫内部结构的系统及方法
US20040040082A1 (en) Self-rising swimming pool construction
GB2519244A (en) Inflatable pool
KR102377612B1 (ko) 환자침대용 접이식 욕조
CN107714135A (zh) 止血袖带和用于制造该止血袖带的方法
KR20150001959U (ko) 교차연통되는 텐트지지용 공기주입 파이프
US9127471B1 (en) Spa cover with inflatable bladders
CA2744270C (en) Airbeam
CN106963177A (zh) 充气床
US20160016643A1 (en) Foldable floating mattress
JP2014210609A (ja) 蓋付き水槽
CN115162793B (zh) 高强度的充气泳池
KR102028566B1 (ko) 다목적 목욕장치
US20200040595A1 (en) Modular pool
US20220205265A1 (en) Collapsible containers with transparent side walls
US20220096303A1 (en) Inflatable hyperbaric chamber with a multilayer structure
CN106539606A (zh) 一种假腔封堵装置
JP5473285B2 (ja) アーチ型気柱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気柱テント
WO2023236350A1 (zh) 高强度的充气泳池
CN218205984U (zh) 充气泳池的池底按摩结构
CN212562673U (zh) 一种充气式戏水池
JP7355355B2 (ja) 加圧バックを備えた輸液バック加圧装置
KR101590760B1 (ko) 절첩식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