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25B1 -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25B1
KR102377525B1 KR1020200095590A KR20200095590A KR102377525B1 KR 102377525 B1 KR102377525 B1 KR 102377525B1 KR 1020200095590 A KR1020200095590 A KR 1020200095590A KR 20200095590 A KR20200095590 A KR 20200095590A KR 102377525 B1 KR102377525 B1 KR 10237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entella asiatica
surfactant
extract
aqueou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274A (ko
Inventor
윤종석
김태희
배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9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저히 개선된 온도 안정성,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또는 현저히 개선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nd forming micelle in a self-assembled mann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풀 (Centella asiatica)은 센텔라 혹은 호랑이풀 (tiger herb)이라고도 불리며,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또는 병풀정량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은 의약학 분야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병풀정량추출물에는 아시아티코사이드 (asiaticoside), 마데카식 애시드 (madecassic acid), 또는 아시아틱 애시드 (asiatic acid)가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식 애시드는 콜라겐의 생성과 분비에 관여를 하며, 이에 따라 피부 재생과 진피의 탄력을 높이는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3274호에서는 병풀정량추출물의 피부 미백 개선 효과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의약품뿐만 아니라 병풀정량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병풀정량추출물의 주성분들은 대부분 난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정제수와 같은 수상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다. 병풀정량추출물을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형 및 병풀정량추출물의 적용 농도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병풀정량추출물을 고 농도로 포함하고, 자가조립 (self-assembly) 방식으로 교질 입자 (micelle)를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현저히 개선된 온도 안정성,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및 현저히 개선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병풀정량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계면활성제,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병풀 (Centella asiatica)"은 센텔라 혹은 호랑이풀 (tiger herb)이라고도 불리며, 산형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식물로 남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년생 포복성 약용식물을 의미한다.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병풀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물질로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식 애시드, 및 아시아틱 애시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 성분을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마데카식 애시드 성분을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아시아틱 애시드 성분을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 성분을 약 3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마데카식 애시드 성분을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및 아시아틱 애시드 성분을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추출용매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추출 단계 전에 상기 병풀은 건조 및/또는 분쇄될 수 있다.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이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CH2Cl2), 클로로포름, 헥산 (Hexane),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은 상기한 추출용매에 의해 얻은 추출물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을 고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을 약 0.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을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중량%,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3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3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3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4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4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6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6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7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7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8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8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9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9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정량추출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계면활성제 (surfactant)"는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이 만나는 면 (표면 또는 계면)에서 활성화된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과 같이 자연적인 상태에서 혼합되지 않는 2 이상의 종류의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물질로, 계면에 모이기 쉬운 성질을 갖고 계면의 성질을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계면활성제는 계면에서 이종 (異種)의 물질이 각각 갖는 계면장력 또는 표면장력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한 분자 구조 안에 친수기와 소수기 (또는 친유기)를 모두 포함하는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천연계면활성제 또는 합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anionic surfactant), 양이온 계면활성제 (cationic surfactant), 양쪽성 계면활성제 (ampohteric surfactant),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약 6 중량% 내지 약 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약 6 중량% 내지 약 11 중량%, 약 6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7 중량% 내지 약 12 중량%, 약 7 중량% 내지 약 11 중량%, 약 7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 약 8 중량% 내지 약 11 중량%, 약 8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9 중량% 내지 약 12 중량%, 약 9 중량% 내지 약 11 중량%, 약 9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1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약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glycolipid), 천연계면활성제 (biosurfactant),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당지질 (glycolipid)"은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탄수화물이 결합되어 있는 지질을 지칭하며,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당지질은 지질 부분에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이 결합되어, 극성 머리 부분과 비극성 꼬리 부분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극성 머리 부분에 붙어 있는 탄수화물 때문에 수용성 환경에서 가용성일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구조는 이들이 결합하는 분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발효 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발효 당지질은 미생물을 발효하여 얻어진 발효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에스터 (ester)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에서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발효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용어 "에스터 (ester) 화합물"은 알코올이 산과 반응하여 물을 잃고 축합 반응하여 생성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에스터는 카르복실산, 인산, 황산, 질산, 또는 붕산 에스터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 화합물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 화합물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버터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및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용어 "식물성 오일 (vegetable oil)"은 식물의 과실 또는 종자로부터 압착법과 증류법 등으로 얻어지는 오일을 의미한다.상기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Coconut oil), 동백 오일 (Camellia japonica seed oil), 녹차씨 오일 (Camellia sinensis seed oil), 유차씨 오일 (Camellia oleifera seed oil), 카놀라유 (Canola oil), 올리브 (olive) 오일, 포도씨 오일, 대두유 (Soybean oil), 로즈힙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Meadowfoam seed oil), 보리지 오일, 면실유, 미강유, 살구씨유, 옥수수 오일 (Corn oil), 팜 오일, 팜커넬 오일, 피마자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Sunflower oil), 헤이즐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두 오일 (Walnut oil), 낙화생유 (Peanut oil), 아르간 오일, 또는 이들의 수 (water) 첨가 오일 등일 수 있다.
용어 "식물성 버터 (vegetable butter)"는 식물의 과실 또는 종자의 지방 추출물 또는 식물성 유지를 이용하여 만든 버터를 의미한다. 상기 식물성 버터는 시어버터 (Shea Butter), 코코아버터 (Coco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 (Pistachio Butter), 아보카도 버터 (Avocado Butter), 망고 버터 (Mango Butter), 콩 버터 (Soy Butter), 아몬드 버터 (Almond Butter), 올리브 버터 (Olive Butter), 쿠푸아수 버터 (Cupuacu Butter), 호호바 버터 (Jojoba Butter), 마카다미아 씨 버터 (Macadamia Seed Butter), 살구 버터 (Apricot Butter), 포도 씨 버터 (Grape Seed Butter), 또는 코쿰 버터 (Kokum Butter) 등일 수 있다.
용어 "지방 알코올 (fatty alcohol)"은 일반적으로 고 분자량의 곧은-사슬 제 1 급 알코올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사슬 알코올 (long-chain alcohol)과 혼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 알코올은 옥틸도데칸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데실 알코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 등일 수 있다.
용어 "발효 (fermentation)"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 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는 통상적인 발효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자연 발효, 균 발효, 및 염장 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일반적으로 발효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미생물은 비병원성 미생물, 효모, 또는 건조 효모일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캔디다 봄비콜라 (Candida bombicola)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i)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에서 효모인 캔디다 봄비콜라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하는 단계; 및 (ii) 상기 발효에 의해 얻어진 발효물로부터 오일층을 분리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당지질을 약 2 중량% 내지 약 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당지질을 약 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천연계면활성제 (biosurfactant)"는 동식물의 생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또는 미생물의 대사로 생산되는 계면활성 물질을 의미한다. 천연계면활성제는 분자 내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양쪽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수성 부분은 긴-사슬 지방산 (long-chain fatty acid), 히드록시 지방산 (hydroxy fatty acid), 또는 알파-알킬-베타-히드록시 지방산 (α-alkyl-β-hydroxy fatty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부분은 탄수화물 (carbohydrate), 아미노산 (amino acid), 고리형 펩티드 (cyclic peptide), 인산염 (phosphate),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알코올 (alcoh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계면활성제는 레시틴일 수 있다.
용어 "레시틴 (lecithin)"은 인산, 콜린, 지방산, 글리세롤, 당지질,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등으로 구성된 동식물 조직에서 발생하는 황갈빛의 지방 물질군을 두루 지칭한다. 레시틴은 인산의 콜린 에스테르에 연결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의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계란 및 대두와 같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대두 레시틴, 계란 레시틴, 및 수소화 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수소화 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수소화 레시틴은 레시틴의 제어된 수소화의 산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레시틴을 약 4 중량% 내지 약 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레시틴을 약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비이온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는 물에 이온화되지 않고 용해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합성계면활성제, 천연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슈가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예컨대,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등),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PEG (poly (ethyleneglycol))-스테아레이트류 (예컨대, PEG-100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등),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레스류 (예컨대, 세테아레스-20 등), 스테아레스류 (예컨대, 스테아레스-2, 스테아레스-21, 등), 올레일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예컨대, 올레스-20 등),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스코코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류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60 등),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기름야자오일, 기름야자커넬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C12-13 파레스-9 (C12-13 Pareth-9)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C12-13 파레스-9를 약 1 중량% 내지 약 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C12-13 파레스-9를 약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 알코올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aliphatic higher alcohols)일 수 있다.
용어 "고급 지방족 알코올 (aliphatic higher alcohols)"은 지방족 탄화수소의 수소원자의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수산기 (OH)로 바뀐 화합물을 의미한다. 고급이란 탄소수가 많은 것을 의미하여, 탄소수가 6 개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탄소수는 6 내지 40 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방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약 5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방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약 52 중량% 내지 약 58 중량%, 또는 약 54 중량% 내지 약 5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방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약 5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에톡시디글라이콜, 및 옥틸도데카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톡시디글라이콜을 약 45 중량% 내지 약 5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톡시디글라이콜을 약 47 중량% 내지 약 53 중량% 또는 약 49 중량% 내지 약 5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톡시디글라이콜을 약 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옥틸도데카놀을 약 3 중량% 내지 약 7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옥틸도데카놀을 약 4 중량% 내지 약 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옥틸도데카놀을 약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형 (Water-dispersible type)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용어 "수분산형 (Water-dispersible type)"은 수상에 난용성 성분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에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이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유화 또는 가용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6 내지 1.2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8 내지 1.1 : 5.3 내지 5.7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1 : 5.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상기 계면활성제, 및 상기 지방 알코올이 상기 중량비에서 벗어나는 경우, 교질 입자 형성 감소, 온도 안정성 감소,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감소, 또는 항염증 효과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당지질, 상기 레시틴, 및 상기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당지질, 상기 레시틴, 및 상기 C12-13 파레스-9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2 내지 4 : 4 내지 6 : 1 내지 3의 중량비, 또는 바람직하게는, 3 : 5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질 입자 형성, 온도 안정성,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또는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상기 에톡시디글라이콜 및 상기 옥틸도데카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 알코올은 상기 에톡시디글라이콜 및 상기 옥틸도데카놀을 45 내지 55 : 3 내지 7의 중량비, 48 내지 52 : 4 내지 6의 중량비, 또는 바람직하게는, 50 : 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질 입자 형성, 온도 안정성,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또는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에서 교질 입자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수상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에서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수상과 접촉 시, 자발적으로 미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병풀정량추출물을 포집하는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 중 수상 투여 단계에서, 수상을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여 시, 수상에서,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를 벗어난 양의 수상을 투여하는 경우, 자가조립 교질 입자의 형성이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에서 안정적인 교질 입자의 형성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이후에 수상을 추가로 더 투여하더라도, 이미 형성된 교질 입자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에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가 안정적인 교질 입자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수상을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300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경우에도, 이미 형성된 교질 입자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용어 "교질 입자 (micelle)"는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 모인 집합체를 의미하고, 미셀, 마이셀 등의 용어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물에 녹는 경우,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소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닿는 표면을 형성하여 미셀이 형성될 수 있다.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름과 같은 소수성 물질이 물에 유화 또는 가용화될 수 있다.
용어 "자가조립 (self-assembly)"은 각각의 성분들이 자발적으로 비공유 결합에 의해 일정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 화학반응은 무질서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지만, 자가조립의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정형화된 형태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자가조립에 의해 발생된 구조는 공유결합과 같이 강한 결합이 아닌, 수소결합, 이온결합, van der Waals 결합 등 비교적 약한 결합들의 집합적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 내지 고온의 조건에서 온도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3℃ 내지 45℃의 조건에서 보관시, 온도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3℃ 내지 45℃의 조건에서 보관시, 병풀정량추출물의 석출 없이 온도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안정성 개선 효과 또는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현저히 개선된 유화 안정성 개선 효과 또는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서 현저히 향상된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약 10 nm 내지 약 100 nm 또는 평균 약 25 nm의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안정적인 교질 입자를 형성하여, 현저히 향상된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유화 (emulsification)"는 서로 용해되지 않는 두 액체의 한 쪽이 미립자가 되어 다른 액체 속에 분산되어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일과 물은 유화제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화될 수 있다. 이때, 유화입자의 사이즈에 따라 유화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화입자의 사이즈는 유화의 형태, 유화제의 종류, 각 성분의 첨가 순서, 유화 방법, 유화 온도, 유화 장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화입자의 사이즈가 작고 균일할수록,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화장품용 유화입자의 사이즈는 약 0.5 ㎛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용어 "가용화 (solubilization)"는 투명 성상의 묽은 수용액에서, 물에 녹지 않거나 약간 녹는 액체나 고체가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겉보기에 용해도 이상으로 수용액에 녹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항염증 효과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상기 염증은 피부염 (dermatitis)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습진성 피부염일 수 있다. 습진 (eczema)이란 급성기에는 가려움을 동반하는 수포 (vesicle, 작은 물집), 홍반 (erythema, 피부의 적색 변화), 부종 등이 나타나고, 만성기에는 부종과 수포는 감소되는 반면에 태선화 (lichniscation, 건조하고 딱딱해진 피부로 인해서 피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손금 등의 선이 더 뚜렷해지는 것), 인설 (scale), 피부색의 변화 등이 형성되는 피부질환이다. 상기 피부염은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및 지루성 피부염 (seborrheic dermatitis)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개선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병풀정량추출물, 당지질,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화장료 원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화장품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pH 조절제, 보습제, 윤활제, 유화제, 가용화제, 용제 등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물질 예컨대, 주름 또는 미백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식물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선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담체는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 형태의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형태의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액 또는 유탁액 형태의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탁액 형태의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장비누 형태의 원료 제품 또는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 적용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가용화되어, 일반 병풀정량추출물 대비 현저히 개선된 가용화 안정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지방 알코올 및 병풀정량추출물을 혼합하여 교반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균질화시켜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당지질을 첨가하여 균질화시켜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균질화 (homogenization)"는 불균질한 혼합물의 각 성분을 미세한 입자상 혹은 분자상으로까지 분산시켜 전체를 균질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균질화는 분자 분산까지 포함하지 않고, 외견상 균질하게 하는 것만을 지칭할 수도 있다.
상기 균질화는 호모게나이저 (homogenizer)에 의한 기계적 분산, 초음파 분산, 또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유화 분산 등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1차 혼합물에 상기 당지질을 첨가한 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하여 균질화시켜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C12-13 파레스-9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투입되는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상기 당지질, 상기 레시틴,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지방 알코올의 중량% 또는 중량비는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계면활성제는 수상에서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차 혼합물에, 상기 수상을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 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계면활성제는 투입된 수상에서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를 벗어난 양의 수상을 투입하는 경우, 자가조립 교질 입자의 형성이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계면활성제의 수상에서의 안정적인 교질 입자 형성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이후에 수상을 추가로 더 투여하더라도, 이미 형성된 교질 입자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는 i) 상기 2차 혼합물에, 상기 수상을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하여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ii) 상기 투입된 수상에서 안정적인 교질 입자가 형성된 후, 수상을 추가로 더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하는 방법에서 언급된 용어 또는 요소 중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것은, 앞에서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것으로 이해된다.
일 양상에 따른 병풀정량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 안정성, 유화 안정성, 또는 항염증 활성에 있어서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가조립 교질 입자를 형성하여, 현저히 향상된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유화 제형은 물론,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지방,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혼합 발효물의 발효 후 조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저온 (3℃) 보관 시, TECA의 석출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온 (45℃) 보관 시, TECA의 구성 성분 중 아시아틱 애시드의 함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TECA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 사이즈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TECA, 레시틴, C12-13 파레스-9, 및 당지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 사이즈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TECA, 레시틴, C12-13 파레스-9, 및 당지질이 수상과 접촉 시, 자가조립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NO assay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TNF-α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투명 성상의 토너 제형에서 TECA가 안정적으로 가용화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1. 에스터 (ester) 화합물 혼합 발효에 의한 당지질의 수득
본 실험예에서는, 당지질을 수득하기 위하여,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지의 조성이 상이한 4 종류의 발효 배지 (배지 1 내지 4)에서 미생물 발효를 수행하였다. 배지 1 내지 4의 경우, 발효 배지 조성에 에스터 화합물로서, 식물성 오일, 식물성 지방,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하였고, 비교예의 경우 발효 배지 조성에 식물성 오일만을 포함하여, 미생물 발효를 수행하였다.
구분 성분 비교예 배지 1 배지 2 배지 3 배지 4
1 글루코스 10 g/L - - - -
2 글리세롤 - 10 g/L 10 g/L 10 g/L 10 g/L
3 올리브오일 100 g/L - - - -
4 시어버터 - 100 g/L - - -
5 옥틸도데칸올 - - 100 g/L - 100 g/L
6 올레일알코올 - - - 100 g/L 100 g/L
7 Yeast extract 3 g/L 1 g/L 1 g/L 1 g/L 1 g/L
8 Malt extract 3 g/L - - - -
9 Peptone 3 g/L - - - -
10 Soya bean meal 3 g/L - - - -
11 (NH4)2SO4 2 g/L - - - -
12 KH2PO4 1 g/L 1 g/L 1 g/L 1 g/L 1 g/L
13 MgSO4 0.5 g/L 0.7 g/L 0.7 g/L 0.7 g/L 0.7 g/L
14 CaCl2 0.1 g/L 0.3 g/L 0.3 g/L 0.3 g/L 0.3 g/L
15 NaCl 0.1 g/L 0.05 g/L 0.05 g/L 0.05 g/L 0.05 g/L
16 NH4Cl - 1.5 g/L 1.5 g/L 1.5 g/L 1.5 g/L
17 NaNO3 - 5 g/L 5 g/L 5 g/L 5 g/L
구분 성분 비교예 배지 1 배지 2 배지 3 배지 4
1 글루코스 10 g/L - - - -
2 글리세롤 - 10 g/L 10 g/L 10 g/L 10 g/L
3 올리브오일 100 g/L 800 g/L 800 g/L 800 g/L 600 g/L
4 시어버터 - - - - 100 g/L
5 옥틸도데칸올 - - - - -
6 올레일알코올 - - - - -
7 Yeast extract 3 g/L 1 g/L 1 g/L 1 g/L 1 g/L
8 Malt extract 3 g/L - - - -
9 Peptone 3 g/L - - - -
10 Soya bean meal 3 g/L - - - -
11 (NH4)2SO4 2 g/L - - - -
12 KH2PO4 1 g/L 1 g/L 1 g/L 1 g/L 1 g/L
13 MgSO4 0.5 g/L 0.7 g/L 0.7 g/L 0.7 g/L 0.7 g/L
14 CaCl2 0.1 g/L 0.3 g/L 0.3 g/L 0.3 g/L 0.3 g/L
15 NaCl 0.1 g/L 0.05 g/L 0.05 g/L 0.05 g/L 0.05 g/L
ㅌ16 NH4Cl - 1.5 g/L 1.5 g/L 1.5 g/L 1.5 g/L
17 NaNO3 - 5 g/L 5 g/L 5 g/L 5 g/L
구체적으로, 1차 발효 시, 상기 표 1에 나타낸 1차 발효 배지 조성에 효모인 캔디다 봄비콜라 (Candida bombicola) 균주를 접종하고, 25℃, 300 rpm 및 1 vvm 조건 하에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1차 발효된 배양액을 상기 표 2에 나타낸 2차 발효 배지 조성에 접종한 후, 1차 발효와 동일한 조건 하에 96 시간 동안 2차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효 종료 후, 배지층과 오일층을 분리하여 오일층을 획득하였다. 분리된 오일층에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당지질이 함유된 발효물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실험예 2.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또는 지방 알코올의 혼합 발효에 따른 당지질 생성량 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또는 지방 알코올의 혼합 발효에 의해 수득된 당지질의 생성량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비교예 및 배지 1 내지 4에서 미생물 발효 후 수득된 발효물 각각의 조성을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발효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1 : 9 내지 5 : 5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실리카 TLC에 각 희석된 샘플을 적하하여, 가장 분리능이 우수하였던 전개용매 조건 (클로로폼 : 메탄올 : 아세톤 : 아세트산 = 10 : 1 : 0.3 : 0.1)으로 챔버에서 전개하였다. 전개가 끝난 TLC는 꺼내어 말린 후 10% 황산에 1~2초간 재빠르게 담그고 꺼내어 잘 말려주었다. 이후, 핫 플레이트 (hot plate)를 이용하여 120℃ 조건에서 발색이 될 때까지 열을 가해주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성 오일만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 배지 조성에서 발효된 경우 (비교예), 발효 후 중성지방의 조성에 있어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달리,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하여 혼합 발효한 경우 (배지 1 내지 4), 1차 발효 배지에 포함된 기질에 따라, 최종 발효 후 중성지방의 조성에 있어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1차 발효 배지 및 2차 발효 배지에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을 모두 혼합 발효한 경우 (배지 4), 발효 후 중성지방의 조성에 있어, 당지질과 같은 유용한 발효 대사산물의 생산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을을 포함하여 혼합 발효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을 상승시키고 당지질과 같은 발효 대사산물의 생산을 더욱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 (TECA)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고 농도의 TECA를 포함하는 수분산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험을 위하여, 당지질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유무를 달리하여, 상이한 조성을 갖는 총 4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 알코올인, 에톡시디글라이콜 (ethoxydiglycol) 및 옥틸도데카놀 (octyldodecanol)을 칭량 후 TECA를 첨가하여 60℃ 조건에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후, 천연계면활성제인 수소화 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을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 (homogenizer)로 6,000 rpm에서 10 분간 균질화시켜 1차 혼합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1차 혼합물에 추가로 당지질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C12-13 파레스-9 (C12-13 Pareth-9)를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로 8,000 rpm에서 10 분간 균질화시켜 2차 혼합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2차 혼합물에 증류수를 총 중량 100% (w/w)가 되도록 투입한 후 교반 및 냉각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지질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유무를 달리하고, TECA를 10% 포함하는 총 4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4)을 수득하였다.
%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에톡시디글라이콜 50 50 50 50
옥틸도데카놀 5 5 5 5
병풀정량추출물 10 10 10 10
천연계면활성제:
수소화 레시틴
5 5 5 5
당지질 - - 3 3
비이온 계면활성제:
C12-13 파레스-9
- 2 - 2
정제수 Up to 100
실험예 3. 고 농도의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의 4 종류의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4)을 3℃, 25℃, 및 45℃의 온도 조건에서 4 주간 보관하며 TECA의 석출 유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지질을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1 및 2의 경우, 3℃, 25℃, 및 45℃의 모든 온도 조건에서, TECA의 석출이 발견되었다. 특히,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 모두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1의 경우, 제조 3일 후에 모든 온도 조건에서 TECA의 석출이 발견되었다. 다만, 당지질은 포함하지 않고, C12-13 파레스-9를 포함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안정성이 개선되어, 제조 후 4 일 내지 7 일 동안은 TECA의 석출없이 안정성이 유지되었고, 제조 7 일 후 모든 온도 조건에서 TECA의 석출이 발견되었다.
또한, C12-13 파레스-9은 포함하지 않고, 당지질을 포함한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어, 3℃ 및 25℃의 저온 조건에서는 제조 후 10 일 내지 15 일 동안은 TECA의 석출없이 안정성이 유지되다가 제조 10 일 내지 15 일 후에 TECA의 석출이 발견되었으며, 45℃의 온도 조건에서는 TECA의 석출이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한 실시예 4의 경우, 3℃, 25℃, 및 45℃의 모든 온도 조건에서 TECA의 석출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예를 통해, TECA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6 내지 1.2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온도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레시틴, 및 C12-13 파레스-9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2 내지 4 : 4 내지 6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온도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처방 보관 온도 (℃) 보관기간
3 25 45
실시예 1 제조 익일 후 석출 제조 3일 후 석출 제조 3일 후 석출 4주
실시예 2 제조 4일 후 석출 제조 7일 후 석출 제조 7일 후 석출
실시예 3 제조 10일 후 석출 제조 15일 후 석출 X
실시예 4 X X X
(1) 저온 (3℃) 안정성 평가
특히, 저온 보관 (3℃)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하지 않은 경우, 제조 익일 후 석출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실시예 2와 같이, 당지질은 포함하지 않고, C12-13 파레스-9를 포함하는 경우, 저온 안정성을 일정 기간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실시예 3과 같이, C12-13 파레스-9는 포함하지 않고, 당지질을 포함하는 경우, 저온 안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4와 같이,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한 경우, 저온 안정성을 가장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TECA의 경우 저온 보관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본 실험예를 통해,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저온에서의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기존의 일반 TECA가 가지는 저온에서의 안정성 약화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고온 (45℃) 안정성 평가
TECA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식 애시드, 또는 아시아틱 애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아시아틱 애시드가 고온 안정성에 가장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서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의 4 종류의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4)을 45℃ 조건에서 4 주간 보관하며 아시아틱 애시드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45℃ 조건에서 보관된 각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4)의 2.5 g을 50 mL 정량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에서 메탄올로 용해하여 얻어진 샘플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하기와 같다:
컬럼 (Column): Capcell pak C18, Shiseido
유속 (Flow): 1.0 ml/min
오븐 온도 (Oven Temperature): 35℃
이동상 (Mobile Phase): Acetonitrile : Water = 55 : 45 (Trifluoroacetic acid 0.1%)
검출기 (Detector): 207 nm
엔드 타임 (End time): 12 min
주입 부피 (Inject volume): 20 ul.
그 결과, 도 3 및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 조건에서 4 주 보관 시, 실시예 1과 같이,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하지 않은 경우, 아시아틱 애시드의 함량이 가장 감소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같이, 당지질만 포함하거나, C12-13 파레스-9만 포함하는 경우, 고온 안정성이 개선되어, 실시예 1 보다는 적은 폭으로 아시아틱 애시드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와 같이, 당지질 및 C12-13 파레스-9를 모두 포함한 경우, 고온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아시아틱 애시드의 함량이 거의 감소하지 않고,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0 1 주 2 주 3 주 4 주
실시예 1 100 94.6 90.2 83.5 80.8
실시예 2 100 97.1 95.3 90.5 86.9
실시예 3 100 99.2 98.7 93.6 91.8
실시예 4 100 99.7 99.8 99.6 99.6
본 실험예를 통해,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기존의 일반 TECA가 가지는 고온에서의 안정성 약화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고 농도의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 사이즈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입자 사이즈를 입도 분석기 (Zetasizer nano ZS, MALVERN C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입자 사이즈는 약 10000 nm 이하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 약 446 nm의 균일하지 않은 입자 사이즈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경우, 입자 사이즈는 약 100 nm 이하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 약 25 nm의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TECA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6 내지 1.2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TECA 및 계면활성제 간 극성 밸런스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레시틴, 및 C12-13 파레스-9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2 내지 4 : 4 내지 6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유화 또는 가용화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고 농도의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조립 교질 입자 (Self-assembled micelle) 형성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경우, TECA 및 계면활성제가 수상 내에서 교질 입자를 형성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입자 사이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입자 사이즈는 약 10000 nm 이하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 약 446 nm의 균일하지 않은 입자 사이즈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경우, 입자 사이즈는 약 100 nm 이하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 약 25 nm의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4 조성물 내에 포함된, TECA 및 계면활성제가 수상 내에서 교질 입자를 형성하여 균일한 크기를 갖는 교질 입자들이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지지한다. 반면, 실시예 1 조성물 내에 포함된, TECA 및 계면활성제는 수상 내에서 안정적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TECA, 계면활성제 등의 불균일한 크기의 입자들이 불안정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지지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제조 과정 중 수상 투여 단계에서, 교질 입자가 형성되며, 이때, 교질 입자 형성을 위하여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와 같은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며, 물리적 교반 및 교질화 작업 또한 요구되지 않는, 즉 자가조립 방식에 의하여 교질 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제조 과정 중 수상 투여 단계에서, 수상을 TECA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여 시, 수상에서, 자가조립 교질 입자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나, 상기 범위를 벗어난 양의 수상을 투여하는 경우, 자가조립 교질 입자의 형성이 불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상에서 안정적인 교질 입자의 형성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이후에 수상을 추가로 더 투여하더라도, 이미 형성된 교질 입자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TECA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6 내지 1.2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TECA 및 계면활성제는 수상에서 안정적인 교질 입자를 형성하여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교질 입자의 형성이 불안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레시틴, 및 C12-13 파레스-9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2 내지 4 : 4 내지 6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TECA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수상이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인 경우, TECA 및 계면활성제는 수상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자가조립 교질 입자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고 농도의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TEC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O assay (Nitric oxide assay) 및 종양괴사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발현 분석을 통해,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항염 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증 유발자인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 100 ng/ml를 대식세포 (macrophage)에 처리한 경우의 NO (Nitric oxide) 생산량을 100%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4를 각각 1, 5, 및 10 ppm의 농도로 대식세포에 처리한 경우의 NO 분비량 (%)을 도 6a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4를 처리한경우, LPS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NO 분비를 약 50% 내지 약 80%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동일 농도의 실시예 4는 현저하게 증가된 NO 분비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 100 ng/ml를 대식세포에 처리한 경우의 TNF-α 발현량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4를 각각 1, 5, 및 10 ppm의 농도로 대식세포에 처리한 경우의 TNF-α 발현량을 도 6b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4를 처리한 경우, LPS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TNF-α 발현을 약 50% 내지 약 80%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동일 농도의 실시예 4는 현저하게 증가된 TNF-α 발현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TECA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레시틴, 및 C12-13 파레스-9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 고 농도의 TECA의 적용
본 실험예에서는,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서 TECA가 안정적으로 가용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4가 적용된 토너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농도를 달리하는 총 3 종류의 토너 제형 (실시예 5 내지 7)을 제조하였다.
성분 / %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구분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증류수
부틸렌글라이콜 3 3 3 보습제
글리세린 2 2 2 보습제
실시예 4 1 5 10 유효 성분
1,2-헥산디올 2 2 2 방부제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상인, 투명 성상의 토너 제형에 상기 실시예 4를 1% 내지 10%의 농도로 적용하는 경우, TECA의 석출 없이 안정하게 가용화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TECA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4 조성물은, TECA가 계면활성제에 포집되어 형성된, 안정적인 교질 입자 상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실시예 4 조성물을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여, 다른 원료 (특히, 수상 원료)와 혼합하여 최종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상기 형성된 교질 입자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에서 TECA의 가용화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로 인해, 기존 TECA의 수상에 대한 낮은 용해도 때문에 고 농도의 TECA를 다양한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병풀정량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계면활성제,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지질 (glycolipid), 레시틴 (lecithin),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 상기 계면활성제 : 상기 지방 알코올을 1 : 0.6 내지 1.2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수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수상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을 0.001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에서 교질 입자 (micelle)를 형성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에서 자가조립 (self-assembly)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지질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에서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발효물로부터 수득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온도 안정성 개선 효과, 유화 안정성 개선 효과, 가용화 안정성 개선 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 2, 4, 5,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성상의 가용화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지방 알코올 및 병풀정량추출물을 혼합하여 교반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레시틴을 첨가하여 균질화시켜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당지질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균질화시켜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상기 레시틴, 상기 당지질, 및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계량; 및 상기 지방 알코올의 혼합 중량비는 1 : 0.6 내지 1.2 : 5 내지 6 이고,
    상기 수상은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초과 내지 30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상기 2차 혼합물에 투입되는 것인,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상을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병풀정량추출물, 상기 레시틴, 상기 당지질, 및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투입된 수상에서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095590A 2020-07-30 2020-07-30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7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90A KR102377525B1 (ko) 2020-07-30 2020-07-30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90A KR102377525B1 (ko) 2020-07-30 2020-07-30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74A KR20220015274A (ko) 2022-02-08
KR102377525B1 true KR102377525B1 (ko) 2022-03-23

Family

ID=8025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590A KR102377525B1 (ko) 2020-07-30 2020-07-30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80B1 (ko) 2022-08-18 2023-05-12 엘앤피코스메틱(주)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207A (ko) 2022-05-11 2023-11-20 주식회사 나노진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9322A (ko) 2022-07-13 2024-01-22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병풀 유래의 난용성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페르펜 계열 화합물의 오일 에멀전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항염 및 피부자극 완화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21027A (ko)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라이프앤휴먼킹 병풀 잎 및 산자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826A (ja) 2004-02-04 2005-09-15 Kose Corp デコリ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633639B1 (ko) 2015-06-12 2016-06-27 정관영 자기회합 겔 특성을 이용한 세포막 유사 구조의 나노 겔타입의 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308B1 (ko) * 2017-03-08 2018-10-24 정관영 하이드로겔형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4734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826A (ja) 2004-02-04 2005-09-15 Kose Corp デコリ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633639B1 (ko) 2015-06-12 2016-06-27 정관영 자기회합 겔 특성을 이용한 세포막 유사 구조의 나노 겔타입의 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80B1 (ko) 2022-08-18 2023-05-12 엘앤피코스메틱(주)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74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25B1 (ko)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63565B2 (en) Nanoemulsion comprising metabolites of ginseng saponin as an active component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skin-care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the same
KR102053280B1 (ko)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KR101851388B1 (ko) 진세노사이드의 경피흡수 촉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
CN105902408B (zh) 含有褐藻和红藻精华的化妆品组合物
KR102236253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316B1 (ko)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38327B1 (ko) 피부 외용제 내의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킬 수있는 조성물
KR102263449B1 (ko) 고순도 발효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370B1 (ko)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5976B1 (ko) 나노유화기술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미세 유화 입자 및 이를 사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94245A (zh) 用于增进皮肤吸收的乳浊液结构以及其制造方法
EP1752137A2 (de) Hydrophile bzw. ambiphile Grundlagen und Zubereitungen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EP1395238B1 (en) Skin preparation
KR20190025307A (ko)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74103B1 (ko) 발효 마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5977B1 (ko) 나노유화기술에 의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미세 유화 입자 및 이를 사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3534B1 (ko) 병풀정량 추출물과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6194A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259A (ko) 흰서양송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6940B1 (ko) 액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48265B1 (ko)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