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992B1 -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992B1
KR102376992B1 KR1020210089647A KR20210089647A KR102376992B1 KR 102376992 B1 KR102376992 B1 KR 102376992B1 KR 1020210089647 A KR1020210089647 A KR 1020210089647A KR 20210089647 A KR20210089647 A KR 20210089647A KR 102376992 B1 KR102376992 B1 KR 10237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wage
flowing unit
flow rate
f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랑규
Original Assignee
(주)에코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베이스 filed Critical (주)에코베이스
Priority to KR102021008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8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P5/2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particles entrained by a fluid str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1/00Measuring average value of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의 내부 하수유속을 측정하여 관로를 진단하고 유지관리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관로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플로잉 유닛; 및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제공되어 플로잉 유닛의 소정의 이동을 센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을 구비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Maintenance system for sewerage with function of measuring for flow velocity by sensing object}
본 발명은 관로의 내부 하수유속을 측정하여 관로를 진단하고 유지관리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소정의 센서를 제공하여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장치를 센싱함으로 하수유속을 측정하도록 하며, 일정 구간의 유속 변화에 대하여 산출하여 관로를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최근 몇 년간 도심의 한복판에서 원형의 커다란 구멍, 일명 싱크홀(sinkhole)이 발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싱크홀은 석회암 등 퇴적암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으로 땅이 가라앉아 생긴 구멍을 뜻한다. 자연적으로 지하수가 땅 속으로 침투하며 지층 밑 공간에 지하수층을 형성하는데, 형성된 지하수층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흙이 쓸려 가거나 석회암 중 탄산칼슘이 녹아 지층 밑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이 상부에 지층으로부터 압력을 견디지 못해 땅이 꺼지는 경우로 싱크홀이 발생한다.
자연 현상 외에도 상하수도 공사, 지하철 공사, 지하수 개발, 하수관로 손상 등의 인위적인 이유에 의해서도 도시 내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서울시의 도로함몰의 주요 발생원인은 상하수도 누수로 인한 토사유실, 건설현장의 영향, 기타 원인불명이 주원인이였으며, 경미한 도로 침하 및 동공까지 포함하면 연평균 681건의 도로함몰이 발생하고 있고, 매년 발생 빈도가 29% 씩 증가하고 있다.
상하수도의 노후 및 부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최소 유속 미달을 통한 관로의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며, 최소 유속 미달의 문제로 하수 내부에 노폐물 퇴적으로 인한 유기물의 부패가 발생되며, 유기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및 가스 발생으로 관로 내부의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하수 내부 노폐물 퇴적은 관로의 단면적이 감소되며, 강우 시 관로의 막힘으로 하수 역류 및 오버플로우로 인한 침수가 발생될 수 있다.
지하매설물의 노후화로 인한 지반침하를 예방하고자 개보수 추진 등 지반침하 대응대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지반침하 요인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및 관련 기술이 부족하며,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노후관의 상태 진단, 주변지반 상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진단기술, 분석방법 등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 중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노후관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진단기술, 분석방법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누수 위치 파악이 용이한 누수탐지장치 (등록번호 제10-2071413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배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누수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되, 배관 내부의 유체이송흐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유체부를 포함하며, 본체부는 배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유닛과, 배관 내부로 에어를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에어주입유닛과, 부유체부와 연결되어, 부유체부가 배관 내부에 투입되어 설치된 초기 위치에서부터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거리측정유닛과, 에어주입유닛 및 거리측정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누수감지유닛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배관 내부의 압력 값에 따라 에어주입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공개 특허기술문헌으로는 "누수 탐지 시스템(등록번호 제10-1982574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상수도관 등의 유체를 수송하는 배관에서 발생되는 누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수탐지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부력을 갖는 부체; 부체 내부에 내장되는 비콘; 비콘과 무선통신을 하게 되며, 배관에 투입되는 비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탐지 시스템이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상수도관 무단수 관내시 및 누수감지용 스마트볼(등록번호 제10-1046216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의 관내부 노후상태조사와 누수여부 및 누수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수도를 단수하지 않고서도 관내부의 스케일 침착 등 노후도를 진단하고, 상수도 배관의 극미세한 균열에 의한 누수를 포함한 누수부위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상수도관 무단수 관내시 및 누수감지용 스마트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에 따르면, 몸체;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 외부를 방사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촬영방향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관로 내부의 소리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의 진행방향, 속도 및 각도를 검지하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 카메라, 마이크,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시간 또는 거리로 동기화시키는 CPU; CPU에서 처리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메라, 조명장치, 마이크,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CPU 및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체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경우, 맨홀 내의 유체의 이물질 등이 부체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물질로 인하여, 부체의 이동 속도와 하수 유속 간의 갭이 발생하여 유체의 유속에 대한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수 내 유체의 유속과 부체의 이동 속도 사이 갭 발생을 줄이기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2071413호 등록번호 제10-1982574호 등록번호 제10-1046216호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관로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되, 관로 내부의 유체의 흐름과 동일하게 이동함으로 관로 내부의 유체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관로의 전체 구간에 대한 유속 파악과 동시에 일정 속도 저하 구간에 대한 관로 내부의 유체의 유속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유속이 저하된 일정 구간에 대하여 유속을 재 측정하도록 하여 일정 구간에 대한 상세조사 구간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관로의 내부 하수유속을 측정하여 관로를 진단하고 유지관리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플로잉 유닛; 및 상기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제공되어 상기 플로잉 유닛의 소정의 이동을 센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은, 상기 관로의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각각 제공되며,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한 상기 플로잉 유닛의 접근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은, 상기 플로잉 유닛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한 통과를 센싱하고 상기 플로잉 유닛의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와 상기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통해 상기 관로의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는 애널리시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애널리시스 유닛은, 상기 관로의 상기 소정의 구간을 각각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애널리시스 유닛은,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의 결과가 일정 유속 미만일 경우,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 각각은, 재설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플로우 센싱 유닛이 재배치되며 재설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에 따라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을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플로잉 유닛은, 상기 관로의 내부의 상기 하수유속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자중 벡터 대비 상기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부력 벡터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플로잉 유닛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소정의 곡선의 형상으로 상기 플로잉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슬로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상기 슬로프부는, 외향 돌출된 단차를 통해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미세 난류를 형성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과 상기 유체의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며 상기 유체의 평균 이동 속도와 상기 플로잉 유닛의 이동 속도의 차이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플로우 센싱 유닛을 제공하고, 플로잉 유닛의 이동을 센싱하여, 관로 내부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소정의 구간마다 플로잉 유닛에 대한 이동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산출하여, 소정의 구간에서의 유속 저하 또는 유속 변화를 빠르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플로잉 유닛이 관로 내부의 유체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되, 플로잉 유닛에 형성된 굴곡을 통하여 관로 내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플로잉 유닛의 이동 저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이 관로 내 하수유속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의 이동에 따라 애널리시스 유닛이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이 플로잉 유닛을 센싱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플로잉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자중 벡터와 부력 벡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연결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플로잉 유닛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이 관로 내 하수유속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의 이동에 따라 애널리시스 유닛이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이 플로잉 유닛을 센싱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플로잉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자중 벡터와 부력 벡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연결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플로잉 유닛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의 하수유속이 일정 속도로 흐름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하수유속이 느린 경우, 하수내부에 찌꺼기(이물질)가 퇴적되며, 퇴적된 이물질로부터 혐기성 유기물의 발생 및 유기물의 부패가 발생되어 각종 악취, 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 내부에 형성된 가스는 관로의 내부를 부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하수의 파손 및 싱크홀이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관로 내부의 이물질 퇴적으로 인하여, 관로의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감소된 관로 단면적으로 통수능력이 저하된다. 통수능력이 저하된 관로는 강우량이 증가하는 경우, 빗물이 유입된 관로의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관로 막힘으로 인한 오버플로우 및 맨홀 뚜껑을 통한 하수 역류 등으로 도시 침수가 발생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수유속으로 인한 관로의 내부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의 유속을 측정하여 하수유속이 평균 이하인 구역을 싱크홀 등의 심각한 문제 발생 이전에 발견하고, 상세 조사하는 문제점 해결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경우, 도 1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의 내부 하수유속을 측정하여 관로를 진단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플로잉 유닛(100), 플로우 센싱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플로잉 유닛(100)이 하수의 흐름과 동일하게 이동하고,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을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측정하여, 하수 내부의 유속 저하 구간을 파악하여 하수의 유속 미달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플로잉 유닛(100)의 경우, 관로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하수 내의 유체의 흐름 속도와 동일하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잉 유닛(100)의 경우, 상류 맨홀의 관로 내부에 투입되어 하부 맨홀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플로잉 유닛(100)이 투입되는 위치는 상류 맨홀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잉 유닛(100)은 플로우 센싱 유닛(200)과 네트워킹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플로우 센싱 유닛(200)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경우,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제공되어, 플로잉 유닛(100)의 소정의 이동을 센싱 하도록 하는 것으로, 관로에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관로의 소정의 구간, 예컨대, 관로에서 기점 또는 합류점에 해당하는 맨홀의 맨홀 뚜껑 하부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경우,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또는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신 장치 등이 포함되고, 설치되어질 수 있다.
플로우 센싱 유닛(200)에서 소정의 구간의 경우, 예컨대, 5Km으로 설정되어질 수 있는데,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경우, 일정한 구간마다 설치되며,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는 플로잉 유닛(100)에 대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Km 간격으로 맨홀뚜껑 아래에 플로잉 유닛(100)을 센싱하는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는데, 플로우 센싱 유닛(200)을 통하여 정해진 소정의 구간(예컨대, 5Km 간격)마다 설치된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작동되어 플로잉 유닛(100)을 센싱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각각 제공되며, 소정의 구간에 대한 플로잉 유닛(100)의 접근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구간은 예컨대, 5Km, 4Km, 3Km와 같이 거리에 따라 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어떤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까지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은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한 센싱 위치로부터 다음 센싱 위치까지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하수의 관로에서 소정의 구간마다 제공되는 것으로 관로의 길이에 따라 혹은 설정된 소정의 구간에 따라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경로를 따라 소정의 구간에 대한 통과를 센싱하고, 플로잉 유닛(100)의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플로잉 유닛(100)은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설치된 구간을 이동하는데,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설치된 구간을 플로잉 유닛(100)이 통과하는 경우, 플로잉 유닛(100)의 통과에 대하여 센싱할 수 있다.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제공된 센싱 위치 중 한 곳을 플로잉 유닛(100)이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제공된 센싱 위치에서 플로잉 유닛(100)이 센싱되는 것 까지를 센싱하여 이동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데이터의 경우, 플로잉 유닛(100)이 이동한 위치에 대한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시간을 측정한 것으로, 플로잉 유닛(100)이 이동한 속도를 알 수 있는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데이터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하수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구간의 거리와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통하여 관로의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는 애널리시스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애널리시스 유닛(300)의 경우, 플로우 센싱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제공받아 관로의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할 수 있다.
애널리시스 유닛(300)과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단말과 단말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평균 유속은 소정의 구간에 대한 거리 즉,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하나의 센싱 위치로부터 다른 센싱 위치까지의 거리와 플로잉 유닛(100)이 이동한 시간에 대한 이동 데이터를 통하여 구간에 대한 평균 유속이 산출될 수 있다.
애널리시스 유닛(300)은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제공되는 위치에 있는 관로의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애널리시스 유닛(300)의 경우, 관로의 소정의 구간을 각각 지정하고, 지정된 소정의 구간마다 구간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애널리시스 유닛(300)은 소정의 구간마다 구간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하여 구간마다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데, 애널리시스 유닛(300)의 경우, 관로의 전체적인 평균 유속에 대하여 산출하고, 구간마다 평균 유속을 산출하여 소정의 구간에 대한 평균 유속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소정의 구간마다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하는 것은, 일정 구간에서 하수의 유속이 느려짐 또는 빨라짐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소정의 구간을 지정함으로 인하여, 구간별로 하수에 대한 유속을 비교 분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산출된 구간마다의 평균 유속을 통하여, 전체 관로 내에서 하수의 유속이 변화되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변화되는 구간에서의 유속의 변화폭을 통하여 하수관 내의 문제 발생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애널리시스 유닛(300)의 경우, 구간 평균 유속의 결과가 일정 유속 미만일 경우, 소정의 구간의 거리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간 평균 유속이 0.6m/s미만 관로의 경우, 평균 유속 이하라 할 수 있는데, 평균 유속 이하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해당 시 또는 구에서 지정한 유속 미달 관로 기준에 따라 미달 유속에 대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플로잉 유닛(100)을 통한 유속 측정이 확인되면, 평균 유속에 대한 경과를 소정의 구간마다 확인하여, 소정의 구간에 대한 거리를 재설정하여 세부적인 평균 유속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널리시스 유닛(300)을 통하여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은 기존 평균 유속 미만 구간에 대한 소정의 구간을 재설정하는 것으로, 소정의 구간 재설정을 통하여 소정의 구간은 좁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은 재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기존 5km 구간에 대하여 1Km로 구간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에 대한 기준 평균 유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미리 제공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플로우 센싱 유닛(200)은 각 구간마다 미리 제공되며, 소정의 구간에 따라 플로우 센싱 유닛(200)의 센싱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 각각은,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의 거리에 따라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재배치되며,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에 따라 구간 평균 유속을 재산출할 수 있다.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에 대하여 구간 평균 유속을 재산출하는 것이며,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은 그 거리가 이전 소정의 구간의 거리보다 더 좁아지기에 플로우 센싱 유닛(200) 간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구간에 대한 구간 평균 유속을 재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간 평균 유속은 소정의 구간에 대한 거리에 비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속도에 따라 산출되는 것이기에 소정의 구간에 대한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여 정확한 평균 유속 미만 관로를 산출할 수 있다.
구간 평균 유속을 재산출하여 재설정된 소정의 구간에서 유속의 변화를 미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재설정되기 이전의 하수 관로 중 일정 구간에서 평균 유속 이하의 유속 구간 평균 유속 결과가 산출되었다면, 재설정을 통하여 일정 구간 중 평균 유속 이하의 유속이 형성되는 구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100)은, 관로의 내부의 하수유속을 따라 이동하되, 플로잉 유닛(100)에 작용하는 자중 벡터 대비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부력 벡터가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플로잉 유닛(100)의 경우, 관로의 내부에 제공되어지는 경우, 하수의 관로 내의 유체로부터 부력 벡터(V2)에 대한 작용하는 힘이 존재할 수 있는데, 플로잉 유닛(100)은 자중 벡터(V1)에 비하여 부력 벡터(V2)가 더 크게 작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잉 유닛(100)에 작용하는 부력 벡터(V2)로 인하여, 플로잉 유닛(100)은 관로 내 유체의 상부에 띄워지고 유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플로잉 유닛(100)의 경우,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100)은 외주면에 외향 돌출 형성되는 슬로프부(11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슬로프(slope)부(110)는 복수 개로 플로잉 유닛(10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질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의 플로잉 유닛(100)의 외주면에 슬로프부(110)가 형성되는데, 슬로프부(110)는 소정의 곡선 형상을 가지며 제공되어진다.
슬로프부(110)는 플로잉 유닛(100)의 몸체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 모양의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곡선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슬로프부(110)로 인하여 플로잉 유닛(100)은 표면은 매끄럽지 않으며, 단차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플로잉 유닛(100)은, 외향 돌출된 슬로프부(110)의 단차를 통해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미세 난류를 형성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과 유체의 저항을 줄여주며, 유체와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속도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다.
슬로프부(110)가 형성하는 표면의 단차를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은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유체의 평균 흐름으로부터 차이를 줄여주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슬로프부(110)의 단차 형성을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방향으로 인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전후방에 생기는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러한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방향 대비 후방에서 형성되는 끌어당기는 저항력이 저하되어 유체의 평균 이동 속도와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잉 유닛(100)의 외주면에 배치된 슬로프부(110)로 인하여 플로잉 유닛(100) 주위에는 미세한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슬로프부(110)로 인하여 형성되는 플로잉 유닛(100)의 주위에 형성된 미세 난류는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서 유체의 흐름을 부드럽게 하며, 플로잉 유닛(100)으로부터 유체의 앞뒤 압력차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슬로프부(110)를 통하여 형성되는 미세 난류를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앞과 뒤의 압력차는 줄어들며, 관로 내부의 유체의 흐름과 플로잉 유닛(100)의 유동 속도의 차이를 저감 시켜줄 수 있다.
플로잉 유닛(100)과 유체의 흐름 사이의 속도 차이 저감을 통하여, 관로 내부의 유체 흐름에 대하여 플로잉 유닛(100) 센싱만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유속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플로잉 유닛(100)의 슬로프부(110)로 인한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미세한 회전이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슬로프부(110)의 소정의 굴곡 형상으로 인하여 유체 내 이물질이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축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끼거나 걸리는 경우, 플로잉 유닛(100)의 이동을 방해하여 정확한 유속 측정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이물질 끼임으로 플로잉 유닛(100)의 크기 증가 및 자중의 증가로 인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슬로프부(110, 110')는 플로잉 유닛(100)에 자연스러운 곡면을 형성하여, 관로 내 유체의 이물질의 축적을 방지하며, 이물질 끼임 시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난류 형성을 통하여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의 커브부(120, 120')를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은 유선형의 형태를 띄게 되는데, 유선형의 형태로 인하여 관로 내의 유체의 흐름이 일정하도록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커브부(120)는 또한, 플로잉 유닛(100)에 자연스러운 단차를 형성하며, 플로잉 유닛(100)이 유선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단차 형성을 통하여 이물질의 끼임으로부터 플로잉 유닛(10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브부(120)는 다단의 단차를 형성하며, 단차를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중심부가 급격히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커버부(120)의 다단을 단차를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중심부로부터 커버부(120)까지는 플로잉 유닛(100)이 유선형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플로잉 유닛(100)의 중심부에 미세한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페이스부(130)의 경우, 내향 볼록하게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향 볼록한 표면을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플로잉 유닛(100')의 서페이스부(130')의 경우, 외향 볼록하게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향 볼록한 표면을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서페이스부(130)는 플로잉 유닛(100)의 표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칭으로 형성됨을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이 일관성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페이스부(130) 또한 플로잉 유닛(100)의 구 표면에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를 형성함으로 유체로부터 표면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서페이스부(130)의 표면 저항을 통하여, 플로잉 유닛(100)의 가속이동을 예방하며, 플로잉 유닛(100)과 유체의 이동 방향의 차이를 저감 시킬 수 있다.
외부의 단말(미도시)에 플로잉 유닛(100)의 데이터 결과값을 송신할 수 있으며, 플로잉 유닛(100)의 데이터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로그램(1)에 해당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 프로그램(1)의 경우, 플로잉 유닛(100)과의 통신 기능을 설정, 플로잉 유닛(100)의 데이터 결과값을 확인, 연결 프로그램(1) 외부로의 파일로 파일 저장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설정부(10A, 10B)는 플로잉 유닛(100)과 통신 속도 설정은 물론, 통신 세기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제공되는 통신 속도 중 9600bps 혹은 115200bps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컨대, 115200bps를 설정한 후 통신 설정부(10A) 중 BLE Avertiser Setting에 '5'를 입력하고 RF PWR버튼을 누르면 정보 표시부(40)에 OK가 표시되며, BLE Reading의 RF PWR버튼을 누르면 정보 표시부(40)에 '5'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의 무선 장치의 무선 세기는 8단계로 설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 표에 정리된 바와 같이 설정되어질 수 있다.
Figure 112021078862312-pat00001
플로잉 유닛(100)과 외부의 단말의 연결을 통하여 연결 프로그램(1)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외부의 단말에 다운로드 할 수 있는데, 플로잉 유닛(100)과 외부의 단말은 USB케이블, 무선 네트워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확인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리딩부(30)의 Read Information버튼을 선택하면, 파일에 대한 내용이 정보 표시부(40)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표시부(40)에는 통신 이름(도 11의 정보 표시부(40) 내 EcoBaseBLE로 기재), MacAddress, 모드(도 11의 정보 표시부(40) 내 peripheral로 기재), RFPower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설정부(70)의 Read time 버튼을 선택할 경우, 전원이 인가된 후 시간에 대하여 정보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의 정보 표시부(40) 내 00 hour 00min 05sec 241msec로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 설정부(70)의 Set time의 경우, PC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을 마친 후 정보 리딩부(30)의 Read Data버튼을 누르면 파일명이 저장 경로 표시부(50)에 표시되며, 프로세스바(31)를 통하여 프로세스 내역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며,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Data가 저장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분석부(60) 내 Data Analysis 버튼을 클릭한 후 파일명을 선택하고, 열기를 누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alysis 파일이 생성된다.
analysis파일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플로잉 유닛(100)이 플로우 센싱 유닛(200)을 도 14와 같이 통과한 것을 analysis 파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분석 결과 체류시간과 평균 유속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결 프로그램
10: 통신 설정부
20: 연결 확인부
30: 정보 리딩부
31: 프로세스바
40: 정보 표시부
50: 저장 경로 표시부
60: 정보 분석부
70: 시간 설정부
100: 플로잉 유닛(flowing unit)
110: 슬로프부
120: 커브부
130: 서페이스부
200: 플로우 센싱 유닛(flow sensing unit)
300: 애널리시스 유닛(annalysis unit)

Claims (10)

  1. 관로의 내부 하수유속을 측정하여 관로를 진단하고 유지관리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플로잉 유닛; 및
    상기 관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제공되어 상기 플로잉 유닛의 소정의 이동을 센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플로잉 유닛은,
    상기 관로의 내부의 상기 하수유속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자중 벡터 대비 상기 플로잉 유닛에 작용하는 부력 벡터가 더 크게 작용하며,
    상기 플로잉 유닛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소정의 곡선의 형상으로 상기 플로잉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배치되는 슬로프부;
    상기 플로잉 유닛이 유선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자연스러운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자연스러운 단차를 통하여 이물질의 끼임으로부터 상기 플로잉 유닛을 보호하는 커브부; 및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내향 볼록한 표면을 형성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하는 서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로프부는,
    외향 돌출된 단차를 통해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미세 난류를 형성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과 상기 유체의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며 상기 유체의 평균 이동 속도와 상기 플로잉 유닛의 이동 속도의 차이를 저감시키며,
    상기 커브부는,
    다단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커브부까지 상기 플로잉 유닛이 유선형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플로잉 유닛의 중심부에 미세한 이물질의 축적을 방지하고,
    상기 서페이스부는,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잉 유닛의 표면에 단차를 형성하여, 유체로부터의 표면 저항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 저항을 통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의 가속이동을 예방하여, 상기 플로잉 유닛과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의 차이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은,
    상기 관로의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각각 제공되며,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한 상기 플로잉 유닛의 접근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은,
    상기 플로잉 유닛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한 통과를 센싱하고 상기 플로잉 유닛의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와 상기 소정의 이동 데이터를 통해 상기 관로의 구간 평균 유속을 산출하는 애널리시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애널리시스 유닛은,
    상기 관로의 상기 소정의 구간을 각각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마다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을 독립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애널리시스 유닛은,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의 결과가 일정 유속 미만일 경우,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로우 센싱 유닛 각각은,
    재설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플로우 센싱 유닛이 재배치되며, 재설정된 상기 소정의 구간에 따라 상기 구간 평균 유속을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89647A 2021-07-08 2021-07-08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37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47A KR102376992B1 (ko) 2021-07-08 2021-07-08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47A KR102376992B1 (ko) 2021-07-08 2021-07-08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992B1 true KR102376992B1 (ko) 2022-03-21

Family

ID=8093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47A KR102376992B1 (ko) 2021-07-08 2021-07-08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9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824A (ja) * 2007-07-19 2010-11-11 ウォーター リソーシズ 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地下埋設管の3次元地理情報の獲得装置
KR101046216B1 (ko) 2011-03-15 2011-07-04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무단수 관내시 및 누수감지용 스마트볼
KR101102073B1 (ko) * 2007-07-19 2012-01-04 주식회사 로보젠 지하 매설관의 3차원 지리정보 획득장치
JP2014195773A (ja) * 2013-03-29 2014-10-16 鈴木 宏 洗浄管路調査方法及び洗浄管路調査システム
KR101982574B1 (ko) 2017-04-28 2019-09-10 장선용 누수 탐지 시스템
KR102071413B1 (ko) 2018-10-26 2020-01-30 장선용 누수 위치 파악이 용이한 누수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824A (ja) * 2007-07-19 2010-11-11 ウォーター リソーシズ 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地下埋設管の3次元地理情報の獲得装置
KR101102073B1 (ko) * 2007-07-19 2012-01-04 주식회사 로보젠 지하 매설관의 3차원 지리정보 획득장치
KR101046216B1 (ko) 2011-03-15 2011-07-04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무단수 관내시 및 누수감지용 스마트볼
JP2014195773A (ja) * 2013-03-29 2014-10-16 鈴木 宏 洗浄管路調査方法及び洗浄管路調査システム
KR101982574B1 (ko) 2017-04-28 2019-09-10 장선용 누수 탐지 시스템
KR102071413B1 (ko) 2018-10-26 2020-01-30 장선용 누수 위치 파악이 용이한 누수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3323B (zh) 管网漏水主动监测及定位系统及其方法
CN108362356A (zh) 分析管道雨污混接分布的方法及系统
CN103912791B (zh) 地下管网泄漏探测方法
CN105065917A (zh) 城市排水管网在线检测方法
CN208125228U (zh) 分析管道雨污混接分布的系统
CN109725366B (zh) 雨水堵塞点的定位方法及系统
CN106337485A (zh) 道路安全智能排水管网系统及方法
Gokhale et al. A new development in locating leaks in sanitary sewers
CN109060003A (zh) 一种小流域岩溶水系统的高分辨率水文监测方法
CN111089646A (zh) 一种用分布式光纤探测管道外水进入埋地管道或暗涵的位置的方法
KR102376992B1 (ko) 오브젝트의 이동 센싱을 통한 하수유속 측정 기능이 구비된 하수관로 유지 관리 시스템
CN109440777A (zh) 地下结构混凝土施工缝渗漏超前监测预警装置及施工方法
KR100869052B1 (ko) 배관재의 누수와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확인이 용이한 감지관
CN109163224B (zh) 一种市政排水管道泄漏监测系统
JP5361621B2 (ja) 降水異常検知方法、降水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マンホール用蓋
JP4756092B2 (ja) 下水道管路における異常水浸入場所の特定のための温度記録方法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CN210487976U (zh) 地下空间工程渗漏声纳检测装置
JP2012002512A (ja) 管路検査装置
CN111141416A (zh) 一种用布里渊光时域分析技术探测管道外水进入埋地管道或暗涵的位置的方法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CN212510535U (zh) 一种埋地管道漏水检测报警系统及管道系统
US20180051453A1 (en) Water backup prevention system
CN114136558A (zh) 一种临地铁深基坑地下连续墙的声纳渗流检测方法
CN208432603U (zh) 一种水质自动监测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