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526B1 - 휴대용 빨대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빨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526B1
KR102375526B1 KR1020210106504A KR20210106504A KR102375526B1 KR 102375526 B1 KR102375526 B1 KR 102375526B1 KR 1020210106504 A KR1020210106504 A KR 1020210106504A KR 20210106504 A KR20210106504 A KR 20210106504A KR 102375526 B1 KR102375526 B1 KR 102375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aw
cap
fit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민
Original Assignee
이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민 filed Critical 이흥민
Priority to KR102021010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빨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회용 빨대를 보관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휴대중에도 빨대와 케이스간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외력에도 빨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빨대 케이스 {A PORTABLE STRAW CASE}
본 발명은 빨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 또는 세척을 마친 다회용 빨대를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제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정책이나 기업 운영이 실행되고 있다. 이중 주로 일회용 제품의 사용 및 폐기가 많이 일어나는 장소는 카페로 종이컵, 빨대, 컵홀더 등 다양한 일회용 제품이 사용되고 있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특히 이중 빨대의 경우 위생상 한번 사용하면 바로 폐기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빨대가 폐기되며 이로 인해 많은 일회용 제품 사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종이나 쌀, 귤껍질 등으로 제작되어 자연분해가 되거나 식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폐기가능한 빨대와, 유리나 스테인리스 등 잦은 사용에도 변형, 변성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다회용 빨대가 보급되고 있다.
이중 폐기가능한 빨대의 경우 음료 흡수시 빨대가 음료를 흡수하면서 다수번 사용은 어렵기 때문에 주로 사용 후 세척을 통해 다수번 이용이 가능한 다회용 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다회용 빨대를 보관 및 휴대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빨대 보관용 케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빨대 보관용 케이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439호에 "다회용 빨대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은 보관함 내측에 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빨대가 보관은 하나 보관함 내부에서 빨대가 이동하게 되어 빨대 보관함과 빨대간의 충돌음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유리와 같이 파손 위험이 있는 다회용 빨대를 보관하는 경우 보관함 내부에서 빨대가 변형, 파손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빨대 사용 후 이를 세척하여 보관함에 보관하게 되는데 세척시 빨대 표면이나 내측에 잔존한 물이 보관함 내부에 함께 잔존하게 되어 위생적인 보관이 어렵다는 불편함 또한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439호 "다회용 빨대 보관함"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회용 빨대를 보관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휴대중에도 빨대와 케이스간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외력에도 빨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척시 빨대에 잔존하는 물기가 용이하게 케이스 밖으로 배출될 수 있어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휴대용 빨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할 빨대 규격에 따라 내부에 중앙프레임 또는 고정돌기를 교체하여 케이스 내부에 빨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측단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중앙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개방된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프레임과 합형되는 한 쌍의 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프레임은,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양측단으로 끼움구가 돌출형성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 프레임은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상기 끼움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면이 함몰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가 상기 끼움홈 내측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캡 프레임이 상기 중앙프레임과 합형된다.
또한, 끼움구는 외측면에 수직하여 돌출형성된 밀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단에 돌출형성되는 제1 끼움구; 및 상기 제1 끼움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단에 돌출형성되는 제2 끼움구;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제1 끼움구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 밀착돌기; 및 상기 제2 끼움구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밀착돌기보다 돌출면적 및 돌출정도가 크게 돌출형성된 제2 밀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캡 프레임은 상기 제2 밀착돌기와 끼움 결합된 부분의 결합력이 더 향상되며, 상기 제1 끼움구에 결합된 상기 캡 프레임이 상기 제2 끼움구에 결합된 상기 캡 프레임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은 내측면 가장자리의 모서리마다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 중앙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부프레임 내측으로 인입된 빨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빨대를 상기 내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캡 프레임은 상기 끼움홈이 형성된 일측단과 반대되는 측단에는 배수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빨대에 잔존한 물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중앙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착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일측에 절개선이 상기 밀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내측면 가장자리 모서리마다 상기 밀착부재 내측 중앙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외경이 축소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으로 인입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으로 인입된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면이 상기 내부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회용 빨대를 보관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휴대중에도 빨대와 케이스간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외력에도 빨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세척시 빨대에 잔존하는 물기가 용이하게 케이스 밖으로 배출될 수 있어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휴대할 빨대 규격에 따라 내부에 중앙프레임 또는 고정돌기를 교체하여 케이스 내부에 빨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빨대 케이스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빨대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에 빨대가 삽입된 예시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삽입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삽입예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적용예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빨대가 적용된 예시를 절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빨대 케이스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빨대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에 빨대가 삽입된 예시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회용 빨대(2)를 보관함과 동시에 케이스(1)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휴대중에도 빨대(2)와 케이스(1)간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외력에도 빨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1)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케이스(1)는 중앙프레임(100) 및 상기 중앙프레임(1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캡 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중앙프레임(100)은 케이스(1)의 중앙측에 구성되며 양측단이 각각 개방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이때, 중앙프레임(100) 외면은 각각 측면방향으로 굴곡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중앙프레임(100)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프레임(101)과, 상기 외부프레임(10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장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0)가 내측면에 형성된 내부프레임(102)으로 구성된다.
외부프레임(101)은 양측단이 각각 개방되어 내장된 내부프레임(102)의 양측말단, 즉 후술된 끼움구(110)가 각각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프레임(101)의 외면 중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외부프레임(101)과 분리가 용이한 캡 프레임(200)의 위치를 안내하는 표시부(103)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103)는 후술된 제1 및 2 끼움구(110a,110b)간의 두께차로 인해 결합력의 차이가 나는 캡 프레임(200) 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캡 프레임(200)을 안내하여 쉽게 중앙프레임(100)과 하나의 캡 프레임(200)을 분리하고, 이를 통해 내장된 빨대(2)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프레임(102)은 외부프레임(101)과 같이 양측단이 각각 개방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내부프레임(102)의 외측면은 외부프레임(10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이러한 내부프레임(102)의 내측면 각 모서리마다 빨대(2)의 외주면가 밀착되어 케이스(1)에 내장된 빨대(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20)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내부프레임(102)의 길이는 외부프레임(101)보다 길게 형성되어 내부프레임(102)의 양측 말단은 각각 외부프레임(101) 밖으로 돌출되어 캡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110)가 형성된다.
끼움구(110)는 외부프레임(101) 외측으로 돌출된 내부프레임(102)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끼움구(110) 외주면에는 밀착돌기(111)가 미세하게 돌출형성되어 캡 프레임(200)이 끼움구(110) 외측으로 끼워질 때 밀착돌기(111)가 끼움홈(210) 내측면과 밀착되어 억지끼움결합되고, 이를 통해 중앙프레임(100)에 캡 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구(110)는 외부프레임(101) 양측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으나 도 3과 같이 끼움구(110)는 중앙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제1 끼움구(110a)와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 끼움구(110b)로 구성되고, 제1 끼움구(110a)의 두께(w1)와 제2 끼움구(110b)의 두께(w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w1>w2).
이때, 제1 끼움구(110a)의 내측면은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빨대(2)가 끼워져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끼움구(110b)의 내측면은 내부프레임(102)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끼움구(110a) 내측으로 끼워진 빨대(2)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 끼움구(110a)와 제2 끼움구(110b)에는 각각 제1 밀착돌기(111a)와 제2 밀착돌기(111b)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이때 제1 밀착돌기(111a)는 제2 밀착돌기(111b)보다 돌출형상 및 돌출정도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밀착돌기(111a)가 형성된 제1 끼움구(110a)와 제2 밀착돌기(111b)가 형성된 제2 끼움구(110b)가 각각 캡 프레임(200)과 결합시 밀착돌기(111a,111b)간의 돌출정도에 따라 캡 프레임(200)과의 밀착력 및 고정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제2 끼움구(110b)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이 제1 끼움구(110a)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보다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한 쌍의 캡 프레임(200)을 양측으로 잡고 이를 각각 잡아당길 시 결합력이 약한 제1 끼움구(110a)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이 쉽게 중앙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캡 프레임(200)을 통해 사용자는 내장된 빨대(2)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표시부(103)는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약한 제1 끼움구(110a)측을 향하는 화살표 등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끼움구(110a)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을 분리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끼움구(110) 및 밀착돌기(111)를 통해 사용자는 제1 끼움구(110a)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을 쉽게 중앙프레임(100)과 분리 및 합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표시부(103)를 통해 쉽게 분리되는 캡 프레임(200)을 확인하여 제2 끼움구(110b)와 결합된 캡 프레임(200)이 하측을 향하는 위치상에서 캡 프레임(200)을 분리함으로써 빨대(2)가 분리시 하측으로 빠져 지면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끼움구(110a)는 제1 밀착돌기(111a)로 인해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잦아 잦은 분리 및 합형이 이루어지나 제2 끼움구(110b)보다 두께가 두꺼워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끼움홈(210) 내측에는 끼움구(110) 인입시 각각의 밀착돌기(111)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돌기(111)가 돌출된 형상과 동일하게 끼움홈(210) 내측면으로 함몰형성된 별도의 밀착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끼움구(110)가 끼움홈(210)으로 인입시 밀착돌기(111)가 밀착홈 내측으로 인입되어 밀착된 상태로 체결 및 합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5를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01)에 내장된 내부프레임(102)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모서리마다 내부프레임(102)의 내측 중앙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0)가 다수개 형성된다.
케이스(1)에 내장되는 통상의 다회용 빨대(2)는 직경이 6, 8, 10 등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a와 같이 직경이 큰 빨대(2)를 사용할 경우 돌출정도가 작은 고정돌기(120)가 있는 중앙프레임(100)을 사용하거나, 도 4b와 같이 직경이 작은 빨대(2)를 사용하기 위하여 돌출정도가 큰 고정돌기(120)가 있는 중앙프레임(100)을 사용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보관 및 휴대할 빨대(2)의 직경에 맞춰 사용자는 용이하게 중앙프레임(100)만을 교체하여 빨대(2) 보관 및 휴대에 최적화된 고정돌기(120)가 내장된 중앙프레임(1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빨대(2)가 중앙프레임(100)을 관통하여 내장되어 보관될 때 고정돌기(120)의 돌출된 말단이 빨대(2)의 외주면과 맞닿아 케이스(1) 내부에서 빨대(2)가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외력에 의해 빨대(2)가 케이스(1)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빨대(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휴대시 빨대(2)가 케이스(1) 내부에서 움직여 충돌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1) 내부 중앙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빨대(2)가 케이스(1) 내부에서 변형, 파손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20)는 내부프레임(10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프레임(102)이 사출성형 제작시 함께 사출되어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에 형성되되, 내부프레임(102)의 연장방향에 따라 내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삽입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삽입예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적용예를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프레임(100)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프레임(102)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120)가 형성되지 않고, 내부프레임(102)에 끼워지는 밀착부재(130) 내측면 가장자리의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밀착부재(130)는 내측면에 고정돌기(120)가 돌출형성되며 내부프레임(102)의 내측면으로 쉽게 교체, 인입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빨대(2)의 직경에 맞춰 중앙프레임(100)을 교체할 필요없이 밀착부재(130)만을 교체하여 빨대(2)의 직경에 맞게 고정돌기(12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밀착부재(130)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프레임(102)의 내측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기둥형성을 가지고, 일측에는 밀착부재(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선(131)이 형성된다.
밀착부재(130)는 도 6a와 같이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6b와 같이 다수개의 주름이 측면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밀착부재(1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밀착부재(130)를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으로 인입시 절개선(131)을 중심으로 밀착부재(130)를 오므려 외경을 축소시킨 상태로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으로 인입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절개선(131)측으로 오므려져 외경이 축소된 밀착부재(130)는 내부프레임(102)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입되고, 도 9와 같이 완전히 인입되어 밀착부재(130)를 축소시키는 인력이 부재하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절개선(13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벌려짐으로써 밀착부재(130)의 외측면이 내부프레임(102)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고정된다. 따라서, 밀착부재(130)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120)는 내부프레임(102)의 내측면 가장자리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밀착부재(130) 내측으로 인입된 빨대(2)의 외주면과 고정돌기(120)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밀착부재(130)를 통해 휴대 및 보관될 빨대(2) 직경에 맞춰 용이하게 밀착부재(130)를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빨대(2)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캡 프레임(200)은 중앙프레임(100)의 개방된 양말단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캡 프레임(2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세척, 해체 작업을 수행하면서 각 캡 프레임(200)을 지정된 측으로 결합고정시킬 필요 없이 간편하게 중앙프레임(100)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캡 프레임(200)은 일측 말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말단 내측으로 중앙프레임(100)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10)이 내측면에 수직하여 함몰형성되고, 개방된 일측 말단과 반대되는 타측 말단에는 세척된 빨대(2) 보관시 빨대(2)에 묻은 물이 케이스(1) 밖으로 흘러나와 배출될 수 있는 배수홀(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가 어느 방향으로 거치되더라도 케이스(1)의 기울기에 따라 세척된 빨대(2)에 잔존한 세척액이 캡 프레임(200)의 배수홀(220)로 이동하여 케이스(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중앙프레임(100)의 양측단에 각각 캡 프레임(200)을 결합하여 합형되고, 내측에 빨대(2)가 내장 및 보관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빨대(2)가 담긴 케이스(1)를 휴대할 수 있고, 보관된 빨대(2)를 꺼낼 때는 중앙프레임(100)에서 하나의 캡 프레임(200)을 분리하여 빨대(2)를 꺼낼 수 있다.
특히, 중앙프레임(100)과 한 쌍의 캡 프레임(200)을 서로 분리하여 추후 용이하게 케이스(1)를 사용자가 세척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빨대가 적용된 예시를 절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캡 프레임(200)은 캡 프레임 본체(201)와 말단캡(202)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캡 프레임 본체(201)는 상단에 끼움구(110)와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210)이 내측에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말단캡(202)과 결합되어질 수 있다.
말단캡(202)은 캡 프레임 본체(201)의 하단에 결합고정되어 캡 프레임 본체(201)와 말단캡(202)이 합형시 캡 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말단캡(202)의 하면에는 배수홀(220)이 형성된다.
이때, 말단캡(202)의 상단과 캡 프레임 본체(201) 하단 내측에는 상술된 끼움구(110) 및 끼움홈(210)과 같이 캡 프레임 본체(201)와 말단캡(202)이 결합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턱과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말단캡(202)의 내측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물을 흡수 및 함수(含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부재(230)가 내장될 수 있다.
흡수부재(230)는 말단캡(202) 내측 하단에 끼움결합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스(1) 내 빨대(2)에 잔존하는 물이 배수홀(220)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1차적으로 흡수부재(230)가 빨대(2)에 잔존하는 물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는 빨대(2) 세척 후 사용자가 어느정도 잔존된 물을 제거할 시간 없이 바로 케이스(1) 내부로 보관하는 경우 빨대(2)에 잔존하는 많은 양의 물이 바로 배수홀(220)측으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스(1)가 보관된 가방 내부로 물이 배출되어 가방 내 물건 등으로 물이 뭍는 다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어 1차적으로 흡수부재(230)가 빨대(2)에 잔존하는 물을 흡수하고, 극소량의 물만 배수홀(220)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술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흡수부재(230)는 상면 중앙에 빨대(2)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끼움돌기(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231)는 도 11과 같이 빨대(2)가 캡 프레임(200) 내측으로 보관시 빨대(2)의 말단이 끼움돌기(231)의 외측으로 끼워짐으로써 빨대(2)에 잔존되는 물이 흡수부재(230)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빨대(2)의 말단 위치도 고정함으로써 빨대(2)가 케이스(1)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중앙프레임(100)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20)를 통해 빨대(2) 중앙측은 외주면이 고정돌기(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캡 프레임(200)에 내장되는 빨대(2)의 양말단은 별도로 고정할 구성이 없어 강한 외력에 의해 빨대(2) 말단이 캡 프레임(200) 내측에서 이동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수부재(230)의 끼움돌기(231)가 캡 프레임(200)으로 내삽된 빨대(2) 내경측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빨대(2)의 말단 또한 케이스(1)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흡수부재(230)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케이스(1)는 다회용 빨대(2)를 보관함과 동시에 케이스(1)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휴대중에도 빨대(2)와 케이스(1)간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외력에도 빨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시 빨대(2)에 잔존하는 물기가 용이하게 케이스(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되, 캡 프레임(200)에 내장된 흡수부재(230)가 1차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극소량의 물만 배수홀(22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할 빨대(2) 규격에 따라 중앙프레임(100) 또는 밀착부재(130)를 교체하여 케이스(1) 내부에 빨대(2)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케이스 2: 빨대
100: 중앙프레임 101: 외부프레임
102: 내부프레임 103: 표시부
110: 끼움구 110a: 제1 끼움구
110b: 제2 끼움구 111: 밀착돌기
120: 고정돌기 130: 밀착부재
131: 절개선 200: 캡 프레임
201: 캡 프레임 본체 202: 말단캡
210: 끼움홈 220: 배수홀
230: 흡수부재 231: 끼움돌기

Claims (5)

  1. 양측단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중앙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개방된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프레임과 합형되는 한 쌍의 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프레임은,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양측단으로 끼움구가 돌출형성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 프레임은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상기 끼움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면이 함몰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가 상기 끼움홈 내측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캡 프레임이 상기 중앙프레임과 합형되고,
    상기 캡 프레임은,
    캡 프레임 본체와 말단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말단캡은,
    상기 캡 프레임 본체의 하단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캡 프레임 본체와 상기 말단캡이 합형시 상기 캡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말단캡의 하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말단캡의 상단과 상기 캡 프레임 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끼움구 및 끼움홈과 같이 상기 캡 프레임 본체와 상기 말단캡이 결합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턱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말단캡의 내측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물을 흡수 및 함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말단캡 내측 하단에 끼움결합되며,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 빨대 케이스 내 빨대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배수홀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1차적으로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빨대에 잔존하는 물을 흡수하며,
    상기 흡수부재는,
    상면 중앙에 빨대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빨대가 상기 캡 프레임 내측으로 보관시 상기 빨대의 말단이 상기 끼움돌기의 외측으로 끼워짐으로써 빨대에 잔존되는 물이 상기 흡수부재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빨대의 말단 위치도 고정함으로써 상기 빨대가 케이스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는 외측면에 수직하여 돌출형성된 밀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단에 돌출형성되는 제1 끼움구; 및 상기 제1 끼움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단에 돌출형성되는 제2 끼움구;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제1 끼움구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 밀착돌기; 및 상기 제2 끼움구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밀착돌기보다 돌출면적 및 돌출정도가 크게 돌출형성된 제2 밀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캡 프레임은 상기 제2 밀착돌기와 끼움 결합된 부분의 결합력이 더 향상되며, 상기 제1 끼움구에 결합된 상기 캡 프레임이 상기 제2 끼움구에 결합된 상기 캡 프레임보다 쉽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내측면 가장자리의 모서리마다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 중앙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부프레임 내측으로 인입된 빨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빨대를 상기 내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착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일측에 절개선이 상기 밀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내측면 가장자리 모서리마다 상기 밀착부재 내측 중앙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외경이 축소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으로 인입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으로 인입된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면이 상기 내부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빨대 케이스.
KR1020210106504A 2021-08-12 2021-08-12 휴대용 빨대 케이스 KR10237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04A KR102375526B1 (ko) 2021-08-12 2021-08-12 휴대용 빨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04A KR102375526B1 (ko) 2021-08-12 2021-08-12 휴대용 빨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526B1 true KR102375526B1 (ko) 2022-03-16

Family

ID=8093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04A KR102375526B1 (ko) 2021-08-12 2021-08-12 휴대용 빨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5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671A (ja) * 2001-08-17 2003-02-26 Noriko Kato ストローストック、ホルダーケース
KR20200001439U (ko) 2018-12-21 2020-07-01 성소정 다회용 빨대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671A (ja) * 2001-08-17 2003-02-26 Noriko Kato ストローストック、ホルダーケース
KR20200001439U (ko) 2018-12-21 2020-07-01 성소정 다회용 빨대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2929B (zh) 蓋機構、包裝體以及分配容器
KR101280064B1 (ko) 물티슈 용 포장팩
KR200497252Y1 (ko) 빠짐 방지용 빨대
KR102375526B1 (ko) 휴대용 빨대 케이스
KR100454385B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101568284B1 (ko) 포장팩 용 개폐라벨
KR101898089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JP6118556B2 (ja) 収納容器およびキャップ部材
KR10106600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7696Y1 (ko) 일회용봉투를 포함한 물티슈 케이스
KR101496838B1 (ko)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KR101699403B1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KR102101886B1 (ko) 안팎이 뒤집어져 세척이 용이한 다회용 빨대
KR102273458B1 (ko) 간편 개폐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
KR200420867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2223860B1 (ko) 휴대용 일회용품 보관 케이스
KR20140142831A (ko) 롤 테이프 디스펜서
CN108903735A (zh) 能够提高稳定性的肥皂收纳盒
KR102556204B1 (ko)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CN210654222U (zh) 一种同型半胱氨酸检测试剂盒
JP3113618B2 (ja) 流し台用ゴミ容器
RU2790735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тонкой 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JP3224205U (ja) おしり洗浄器具
JP3169135U (ja) 蛇腹式おしり洗浄器
JPH068814Y2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