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517B1 - 실습용 에어탱크 - Google Patents

실습용 에어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517B1
KR102375517B1 KR1020200112124A KR20200112124A KR102375517B1 KR 102375517 B1 KR102375517 B1 KR 102375517B1 KR 1020200112124 A KR1020200112124 A KR 1020200112124A KR 20200112124 A KR20200112124 A KR 20200112124A KR 102375517 B1 KR102375517 B1 KR 10237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actice
nozzle
tank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780A (ko
Inventor
윤병길
이남종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5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16/101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using an oxygen concent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5Storage of gas or gaseous mixture at high pressure and at high density condition, e.g. in the single state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습 대상체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상기 용기부 내 수용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일 영역 개방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및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주입부 및 방출부와 연결되는 노즐들을 구비하는 내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 주입되거나 방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그 크기가 변동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에어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습용 에어탱크{AIR TANK FOR TRAINING}
본 발명은 실습용 에어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산소탱크는 병원, 구급차 등의 의료시설 및 가정에 구비되어 호흡이 곤란한 환자의 호흡 관리에 사용된다.
이러한 의료용 산소탱크의 경우, 용기 내 수용된 산소가 소진된 경우에 허가받은 전문 업체를 통해 용기 내 산소를 충전한 후 재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의료용 산소탱크는 용기 내 수용된 산소를 환자에게 공급하는 상품이기에, 그 내부가 부식되어 있을 경우에는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렇기에, 산소탱크마다 제작일로부터 충전하여 재사용 가능한 충전기한이 명시되어 있으며, 충전기한이 만료된 산소탱크의 경우, 폐기하거나, 소정의 검사비를 내고 추가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검사를 받은 뒤 재사용 또는 폐기되어지게 된다.
한편, 심각하거나 생명이 위태로운 질병이나 부상이 있는 환자에게 응급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응급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호흡을 잘 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이에, 응급 구조사를 비롯한 응급구조 및 처치 교육을 이수하는 이수자들은 응급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환자 상태에 대응되는 처치를 신속하게 취하기 위한 모의 실습을 거치게 된다.
이때, 모의 실습은 교육용 마네킹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술한 산소탱크의 한정된 용량으로 인해 기 충전된 산소 탱크 하나로는 다수의 실습생에게 충분한 실습 기회가 주어지기 어렵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다수의 산소 탱크를 구비하여, 산소 충전양이 소진된 경우 다른 산소탱크로 교체하여 실습을 수행하거나, 실습 중 소진된 산소탱크를 전문 업체를 통해 충전한 뒤 실습이 재개함으로써 충분한 실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겠으나, 실습 중 산소탱크의 교체 및 충전을 수행하는데 번거로움이 수반되었으며, 그때마다 실습의 흐름이 끊기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게다가. 실습 시 교육용 마네킹에는 실제 산소가 투입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습에 적합한 실습용 에어탱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256호, “의료용 산소통”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육용 마네킹을 이용한 응급처치 관련 실습 시 충분한 실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실습용 에어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는 실습 대상체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상기 용기부 내 수용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일 영역 개방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개방구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상기 주입부 및 방출부와 연통되는 노즐들을 구비하는 내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 주입되거나 방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그 크기가 변동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이하, ‘제1 개방구’라 칭함)에 관통 결합된 노즐(이하, ‘제1 노즐’이라 칭함)과 연결되어, 주변 공기를 흡기한 뒤 압축한 공기를 상기 내부몸체에 주입하는 에어 컴프레서; 및 상기 에어 컴프레서를 통해 수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일 방향(one way)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상기 제1 노즐 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경로 상에 구비되는 일 방향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출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중 다른 하나의 개방구(이하, ‘제2 개방구’라 칭함)에 관통 결합된 노즐(이하, ‘제2 노즐’이라 칭함)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방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이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실습 대상체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호흡기구가 상기 제2 이동경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호흡기구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제 산소가 필요치 않은 실습 상황에 적합하면서도, 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산소탱크와 유사하게 제작된 실습용 에어탱크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실습용 에어탱크 일 측에 구비된 공급부가 주변공기를 흡기한 후, 이를 내부몸체에 공급하기에, 별도의 전문 업체를 통한 충전이 필요치 않고, 단일의 에어탱크로 지속적인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모든 실습생에게 충분한 실습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셋째, 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산소탱크를 이용하여 실습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다수개의 산소 탱크 구입 및 산소탱크 충전 등에 소모되는 비용이 부가적으로 발생하지 않기에 비용적인 면에서도 경제적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의 용기부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는 실습 대상체인 교육용 마네킹에 장착되는 호흡기구에 유체 즉,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비로서, 현장에서 마주하게 될 응급 상황의 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실습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실제 산소가 필요치 않은 모의 실습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를 도시한 것이고, 도2(도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의 용기부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100)는 용기부(110), 공급부(120) 및 방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부(110)는 실습 대상체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수용한다. 이때, 용기부(110)는 외부몸체(111) 및 내부몸체(112)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111)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일 영역 개방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111A, 111B)를 구비한다. 참고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111A, 111B)에는 후술할 내부몸체(112) 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노즐들(112A, 112B)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몸체(111)는 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을 가지되,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를 구비하는 형상이면 그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외부몸체(111)의 외형은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실습생이 현장에서 응급 상황을 마주할 시 대처하는데 당황하지 않도록 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산소탱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부몸체(111)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내부몸체(112) 내부에 공기가 인입될 경우에, 내부몸체(112)가 일정 크기 팽창되면 그 이상 팽창되지 않으면서도, 팽창된 내부몸체(112)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내부몸체(112)는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외부몸체(111)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111A, 111B) 측에 각각 위치되며 주입부(120) 및 방출부(130)와 연결되는 노즐들(112A, 112B)을 구비한다.
이때, 내부몸체(112)는 수용공간 내 주입되거나 방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그 크기가 변동되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고무재질의 고강도 고무풍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2a 내지 도2b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몸체(111)의 내부공간(A1) 내 내부몸체(112)가 위치되며, 내부몸체(112)는 양단에 각각 노즐들(112A, 112B)이 구비된다.
이때, 제1 개방구(111A) 측에 제1 노즐(112A)이 위치되고, 제2 개방구(111A) 측에는 제2 노즐(112B)이 위치되어, 제1 노즐(112A)과 연결된 후술할 주입부(120)를 통해 내부몸체(112) 내 수용공간(A2)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고, 수용공간(A2)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내부몸체(112)는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노즐(112A)과 연결된 후술할 방출부(130)에 의해 수용공간(A2) 내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A2)에 수용되었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내부몸체(112)는 수축하게 된다.
참고로, 외부몸체(111)가 금속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내부몸체(112)가 최대한 팽창되어 그 외면이 외부몸체(111)의 내측면과 모두 맞닿게 되도록 공기가 충전되더라도, 내부몸체(112)가 터지지 않고 그 외면이 외부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외부몸체(111)의 내측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내부몸체(112)가 외부몸체(111)에 맞닿을 경우에 일부분이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부(120)는 용기부(1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에어 컴프레서(121) 및 일 방향 밸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컴프레서(121)는 제1 개방구(111A) 측에 위치한 제1 노즐(112A)과 연결되어, 주변 공기를 흡입한 뒤 압축한 공기를 내부몸체(112)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에어 컴프레서(121)는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내부몸체(112)에 반복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에어 컴프레서는 주변공기를 흡입 및 압축하기 위한 구성(예컨대, 펌프 또는 실린더, 모터, 흡입기 등)과 상기 구성에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예컨대, 저장탱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종래 주지되어진 에어 컴프레서에 관한 대표적인 구성으로, 구현하기에 따라 그 구성이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일 방향 밸브(122)는 에어 컴프레서(121)를 통해 수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일 방향(one way)으로 이루어지도록 에어 컴프레서(121)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제1 노즐(112A) 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경로 상에 구비된다. 참고로, 제1 이동경로는 도면 상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이동경로는 에어 컴프레서(121)로부터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공급관(AP)의 일단부에서 제1 노즐(112A)과 마주 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관(AP)의 타단부에 이르는 공기 공급관(AP)의 유로를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 방향 밸브(122)는 제1 노즐(112A)과 에어 컴프레서(121)로부터 제1 노즐(112A) 측으로 연결된 공기 공급관(AP) 사이에 배치되어, 일 방향 밸브(122)의 양단이 제1 노즐(112A) 및 공기 공급관(AP)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된다. 이때, 일 방향 밸브(122)에 형성된 공기 유로가 제1 노즐(112A)과 공기 공급관(AP)의 유로들과 연통되어, 제1 이동경로에 포함되게 된다.
일예로, 일 방향 밸브(122)는 공기의 흐름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체크밸브(check valv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방출부(130)는 용기부(110) 내 수용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밸브바디(131), 연결구(132) 및 개폐밸브(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바디(131)는 제2 개방구(111B) 측에 위치한 제2 노즐(112B)과 연통되며, 제2 노즐(112B)을 통해 수용공간에서 방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바디(131)의 일단은 제2 노즐(112B)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고, 제1 노즐(112B)에 구비된 유로와 밸브바디(131)에 구비된 제2 이동경로가 연통되어, 제2 노즐(112B)에서 이동한 내부몸체(112) 내 공기가 제2 이동경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제2 이동경로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밸브바디(131) 내 공기가 연결구(132) 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유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결구(132)는 밸브바디(131)에 구비되어, 실습 대상체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호흡기구(BA)가 제2 이동경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즉, 밸브바디(131)의 제2 이동경로의 일단은 제2 노즐(112B)과 연통되고, 타단은 연결구(132)로 이어져 호흡기구(BA)에 구비된 에어통로와 연통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밸브(133)는 밸브바디(131)에 구비되어, 연결구(132)를 통해 호흡기구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개폐밸브(133)는 공기의 공급 및 공급 정지뿐 아니라 유량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개폐밸브(133)와 유량 제어를 위한 유량제어밸브(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방출부(13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 종래 의료용 산소탱크에 주지되어진 다양한 형태의 밸브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 외에도 압력 게이지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모의 실습에 사용되는 실습용 에어탱크(100)가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산소탱크와 유사하도록 구현하여 실제 상황에서 그 사용법을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실습용 에어탱크(100)의 밸브 형태에 따라, 연결구(132)와 호흡기구(HA) 사이에는 호흡기구 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 레귤레이터(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100)는 내부몸체(112) 내 공기 주입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주입부(120)의 주입기능을 수동으로 멈출 수 있겠으나, 이를 자동으로 멈추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예시로, 상술한 제어수단을 통해 내부몸체(112)에 충전되던 공기의 주입을 멈추는 판단 기준은 에어 컴프레서(121)로부터 내부몸체(112)에 공기가 유입되는 속도, 시간 등에 따른 유입량을 예측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일정수준의 공기량이 유입되었다 판단하여 주입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제어수단은 내부몸체(112)가 팽창함에 따라 외부몸체(111)의 내면에 맞닿게 되는 면적이 기준치에 도달하면 주입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의 주입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을 위해 내부몸체(111) 내 공기를 충전하는 중 사용자가 제때 주입을 정지하지 못하더라도, 내부몸체(111) 내 충전된 공기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주입을 멈추어, 실습용 에어탱크(100) 내 공기가 과하게 충전되거나, 이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수단은 외부에서 가시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습용 에어탱크(100) 내 공기 잔량, 추가로 요구되는 공기 충전양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은 실습용 에어탱크(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에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와 입력부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내부몸체(112) 내 충전되던 공기 주입을 멈추기 위한 기준치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의 제어의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예시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습용 에어탱크(100) 내 공기 충전을 위한 공급부(120)는 방출부(130)를 통해 내부몸체(112) 내 공기량 변화가 발생함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실습 중 내부몸체(112) 내 공기 잔량을 체크하여 그 충전된 공기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방출부(130)를 통한 공기의 외부방출이 멈추어진 뒤 제어수단은 내부몸체(112) 내 수용된 공기의 잔량이 없거나, 일정수준 이하인 경우, 공급부(120)가 내부몸체(112) 내 공기를 충분히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수단은 공급부(120)를 통한 내부몸체(112) 내 공기 주입이 완료되어, 내부몸체(112) 내 공기 잔량이 실습이 이루어져도 충분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신호를 통해 외부에 해당 사항을 공지함으로써, 실습이 신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100)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습용 마네킹을 대상으로 산소 공급에 관한 실습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실제 산소가 아닌 공급부(120)에서 흡기하여 제공된 공기를 사용하여 모의 실습을 수행하기에, 사용기한에 대한 명시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되며, 각 구성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가 불가능해지지 않는 한 지속적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모의 실습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현장에서 능숙하게 의료용 산소탱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급부(120)를 제외한 구성의 사용법을 익히는데 주 목적이 있으므로, 방출부(130)의 조작 및 조작에 따른 용기부(110) 내 공기 방출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수단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용 에어탱크(100)에 포함된 구성이므로 해당 구성이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에서의 실습용 에어탱크(100)는 사용자의 개입에 의해 상술한 구성들의 직접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실습용 에어탱크
110 : 용기부
111 : 외부몸체
111A : 제1 개방구
111B : 제2 개방구
112 : 내부몸체
112A : 제1 노즐
112B : 제2 노즐
120 : 공급부
121 : 에어 컴프레서
122 : 일방향 밸브
130 : 방출부
131 : 밸브바디
132 : 연결구
133 : 개폐밸브

Claims (3)

  1. 실습용 에어탱크로서,
    상기 실습용 에어탱크는 의료용 산소탱크 사용 실습을 위한 에어탱크이고,
    상기 실습용 에어탱크는:
    실습 대상체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상기 용기부 내 수용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일 영역 개방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및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주입부 및 방출부와 연결되는 노즐들을 구비하는 내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몸체는 의료용 산소탱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 주입되거나 방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그 크기가 변동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에어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이하, ‘제1 개방구’라 칭함)측에 위치한 노즐(이하, ‘제1 노즐’이라 칭함)과 연결되어, 주변 공기를 흡기한 뒤 압축한 공기를 상기 내부몸체에 주입하는 에어 컴프레서; 및
    상기 에어 컴프레서를 통해 수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일 방향(one way)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상기 제1 노즐 측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경로 상에 구비되는 일 방향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에어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개방구 중 다른 하나의 개방구(이하, ‘제2 개방구’라 칭함)에 위치한 노즐(이하, ‘제2 노즐’이라 칭함)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방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이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실습 대상체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호흡기구가 상기 제2 이동경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호흡기구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에어탱크.
KR1020200112124A 2020-09-03 2020-09-03 실습용 에어탱크 KR10237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24A KR102375517B1 (ko) 2020-09-03 2020-09-03 실습용 에어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24A KR102375517B1 (ko) 2020-09-03 2020-09-03 실습용 에어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780A KR20220031780A (ko) 2022-03-14
KR102375517B1 true KR102375517B1 (ko) 2022-03-18

Family

ID=8082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124A KR102375517B1 (ko) 2020-09-03 2020-09-03 실습용 에어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5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91B1 (ko) * 2011-07-10 2011-12-16 이강준 이동식 재난구조용 공압하트머신
KR101307675B1 (ko) * 2013-05-23 2013-09-12 이강준 에어콤프레셔가 구비된 이동식 공압하트머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34391A (no) * 2003-10-01 2005-02-21 Laerdal Medical As Anordning for trening på maskeventilering
KR200399256Y1 (ko) 2005-07-25 2005-10-20 전영호 의료용 산소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91B1 (ko) * 2011-07-10 2011-12-16 이강준 이동식 재난구조용 공압하트머신
KR101307675B1 (ko) * 2013-05-23 2013-09-12 이강준 에어콤프레셔가 구비된 이동식 공압하트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780A (ko)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710B2 (en) Respiratory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US6253767B1 (en) Gas concentrator
US10556074B2 (en) Artificial respiration system with timing control and automatic mask detection
US8936023B2 (en) Reservoir system for gas delivery to a patient
JP2002515304A (ja) 圧力センサを備えた投与室を有する医療投与装置
US9072854B2 (en) Reservoir system for gas delivery to a patient
US11964108B2 (en) Process and device for ventilating a patient
US10478586B2 (en) Artificial respir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automatic mask detection
US3105488A (en) Respiratory devices
KR102375517B1 (ko) 실습용 에어탱크
KR20190095031A (ko) 의료용 인공호흡기
JP4758901B2 (ja) マスクシールトレーナ
KR101222684B1 (ko) 긴급 구조용 호흡기
US3502075A (en) Portable resuscitator apparatus
CN210813221U (zh) 一种单向呼吸装置
JP4869719B2 (ja) 動物実験用の試験物質投与システム
US7222622B2 (en) Gas-dispensing device with self-contained gas container having a diffusion membrane
NL2001943C (en) Respiration aid and method.
CN215135140U (zh) 一种呼吸器和一种呼吸气囊
RU100906U1 (ru) Ингалятор для носа
RU2057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ботов-тренажеров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обучения навыкам сердечно-легочной реанимации
US20210272477A1 (en)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408723A (en) Process of administering aeriform fluids
CN114681728A (zh) 一种呼吸器、呼吸气囊、以及呼吸器的使用方法
Bednarski Anesthetic Machine and Equipment Ch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