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95B1 -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95B1
KR102375395B1 KR1020210102685A KR20210102685A KR102375395B1 KR 102375395 B1 KR102375395 B1 KR 102375395B1 KR 1020210102685 A KR1020210102685 A KR 1020210102685A KR 20210102685 A KR20210102685 A KR 20210102685A KR 102375395 B1 KR102375395 B1 KR 10237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authentication token
unit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산
김종현
이인
Original Assignee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셜인프라테크 filed Critical (주)소셜인프라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2차 콘텐츠를 생산하는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2차 콘텐츠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및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에 의해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된 2차 콘텐츠에 원본성을 부여하여 2차적 저작물로 허가하는 퍼미션 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Platform system for creating contents by allocating authentication token and creating secondary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창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화 속의 특정 구간 혹은 특정 스틸샷을 개별적으로 선별하도록 하고, 독창적으로 선별된 특정 스틸샷마다 고유의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여 소정의 인증 토큰이 할당된 콘텐츠를 창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저작물은 '사람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문학 작품(시, 소설, 각본), 강연, 작곡, 연극, 영화, 춤, 그림, 조각, 건축, 사진,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표현방식에 따라 구현된다.
이 중 2차적 저작물은 원저작물을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 제작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로서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최근 영화 혹은 사진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재 창출과 이에 대한 2차적 저작물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PC, 노트북, 스마트폰을 활용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등의 콘텐츠 제작 툴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출판, 음악, 방송 등 주요 저작물들의 제작, 유통, 이용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P2P,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분쟁과 같은 디지털 인터넷 환경에서 저작권자에게 가져오는 위험에 대한 통제가 불가피해졌다.
디지털 자산의 경우 그 특성상 완벽히 동일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원본성 및 소유권 확인/인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복제 혹은 위조된 정보가 한 사람에게 이용되어진 후에는 인터넷이라는 개방성의 특성으로 다른 사람들의 접근을 컨트롤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물은 원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에 대한 원본과 카피본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 저작물에 고유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등록번호 제10-2178583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계약하고자 하는 대상의 계약 사항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대상의 계약시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 입력 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계약 사항 및 위치 정보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계약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계약서를 생성하는 계약서 생성 모듈; 입력 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계약 사항 및 위치 정보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계약시 위치 정보를 컨텐츠 이니셜라이저(contents initializer) 및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 제공하고,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 인터페이스 모듈; 디지털 원본 확인키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계약서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계약서와 결합하여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를 생성하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 생성 모듈;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계약서를 암호화 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네트워크(network) 상에 분산 저장하도록 P2P 방식으로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블록체인 분산 저장 제어 모듈을 구성한다.
또한, "동영상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등록번호 제10-1745895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동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로서, 동영상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에 삽입되며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확장 컨텐츠에 상응하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표시된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2차원 코드를 인식하여, 2차원 코드에 인코딩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확장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동영상 컨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현재 시청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확장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현재 시청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컨텐츠,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및 게임 컨텐츠 등을 향유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등록번호 제10-1355077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PKI 키를 생성하여 컨텐츠 이니셜라이저로 미리 제공하고, 최초 생성 이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는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를 구성한다.
원 저작물의 보호와 함께, 2차적 저작물 제작의 활성화 및 저작권의 보호라는 세가지 측면은 풀기 힘든 난제 중 하나이나,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성을 부여함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해결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2178583호 등록번호 제10-1745895호 등록번호 제10-1355077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사용자 별로 원본 동영상에 대한 구간의 선택에 따른 콘텐츠 창설이 자유롭도록 한다.
둘째, 원본 동영상의 저작권 보호는 물론, 동영상의 구간 선택에 따른 영상의 원본성을 부여하여 구간 선택에 따른 2차적 저작물의 창설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셋째, 원 저작물과 독립적인 2차적 저작물의 개별적 원본성 부여를 통하여 2차적 저작물에 대한 콘텐츠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2차 콘텐츠를 생산하는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2차 콘텐츠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및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에 의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된 상기 2차 콘텐츠에 원본성을 부여하여 2차적 저작물로 허가하는 퍼미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도록 하는 섹션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저장하는 섹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은, 상기 섹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셀렉 섹션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섹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수신하여, 상기 2차 콘텐츠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은,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며,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들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은,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상기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퍼미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된 2차 콘텐츠는 상기 2차적 저작물의 원본으로 제3자와 거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쉐어링 유닛은,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2차적 저작물은, 상기 2차적 저작물 내에 원 저작물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영화 제작사, 영화 배급사, 저작물 타이틀, 영화 개봉일, 영화 감독, 영화 각본, 영화 출연진, 상영 시간, 상영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소정의 상세 정보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상기 2차적 저작물은, 상기 2차적 저작물은, 상기 소정의 상세 정보 중 상기 2차적 저작물에 매칭되는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2차적 저작물 내에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소정의 상세 정보의 순서를 리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 별로 고유의 감성과 독창성에 기반하여 동영상의 구간 설정에 따른 2차적 저작물의 생성이 활성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사용자가 구간 선택한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여 복제 및 위조 방지는 물론 원본성이 확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원본 동영상을 활용한 2차적 저작물의 생성에 따라 원본 동영상에 대한 수익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창설한 2차적 저작물에 대한 또 하나의 개별적인 원본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 중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퍼미션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가 2차적 저작물로 허가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쉐어링 유닛을 통해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2차적 저작물을 이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 중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퍼미션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가 2차적 저작물로 허가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쉐어링 유닛을 통해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중, 2차적 저작물을 이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콘텐츠 중 일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고유의 감성과 독창성에 기반하여 동영상 중 일부를 선택하여 2차 콘텐츠(10)를 생산하고, 2차 콘텐츠(10)에 위변조와 임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하여 위변조 방지와 함께 2차적 저작물로서 거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private section select unit, 100),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token assignment unit, 200), 퍼미션 유닛(permission unit, 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100)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2차 콘텐츠(10)를 생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선택하여 2차 콘텐츠(10)를 생산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택 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단말기(1)는 최근 흔히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데스크톱 PC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디지털 동영상, 드라마, SNS 동영상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영화 제작사 또는 영화 배급사에서 제공하는 영화 동영상에 해당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선택 구간의 경우, 사용자의 감성과 독창성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선택 구간의 길이 또는 장면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 예컨대, 드라마 또는 버라이어티(variety)영상에 대하여서도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선택 구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독창적인 장면에 대한 컷 또는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등과 같은 형태의 2차 콘텐츠(10) 생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2차 콘텐츠(10)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할 수 있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경우, 암호화된 형태로 2차 콘텐츠(10)에 제공되는 것으로, 고유한 성질을 가져 상호 교환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사본이 인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경우, 복제 불가능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하며, 예컨대,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과 같은 토큰에 해당할 수도 있다.
퍼미션 유닛(300)의 경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에 의해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부여된 2차 콘텐츠(10)에 원본성을 부여하여 2차적 저작물로 허가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부여된 2차 콘텐츠(10)는 2차적 저작물로서 원본성이 부여되며, 원본성이 부여된 2차적 저작물은 원본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2차적 저작물의 원본으로서의 가치는 유일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며, 원본으로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보장받을 수 있는 가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2차 콘텐츠(10) 내에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표기되는 표시일 수 있으며, 상세 정보 등을 통하여 표기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은,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쉐어링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쉐어링 유닛(400)은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부여된 2차적 저작물과 함께, 2차적 저작물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transaction information)를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한다.
2차적 저작물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라 함은, 2차적 저작물에 발생된 모든 이벤트의 기록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2차적 저작물의 복사, 수정, 거래, 결제, 권리자 변경, 라이센싱 계약 등, 2차적 저작물에 부수할 수 있는 모든 이벤트를 총망라하게 된다.
노드(N)의 경우,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노드(N)는 다른 노드(N)와 연결되며, 쉐어링 유닛(400)은 복수 개의 노드(N)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노드(N)는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노드(N)는 네트워크에서 연결 포인트 혹은 데이터의 재분배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하는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N)라 할 수 있다.
노드(node, N)의 경우, 미리 지정된 서버 등 자체적인 데이터 저장소인 스토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쉐어링 유닛(400)은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동시에 복수 개의 노드(N)와 공유함을 통하여 2차적 저작물에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뿐 아니라, 2차적 저작물 외면에 발생하는 변경 등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100)은, 섹션 설정부(110), 섹션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섹션 설정부(110)의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에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가 영화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영화에 대한 공식 스틸컷은 제작사 혹은 배급사에서 선택된 것에 해당하지만, 사용자마다 인상적, 감동적인 장면이 다르기에 사용자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 중 일부 구간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설정함을 통하여 관객에게는 참여형 방식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의 지속적인 노출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섹션 저장부(120)의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10)에 해당하는 것으로, 2차 콘텐츠(10)는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고 이를 저장함을 통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원 저작물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로부터 생산된 것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100)은, 섹션 저장부(120)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셀렉 섹션 확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셀렉 섹션 확인부(130)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구간이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과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구간이 선택되는지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렉 섹션 확인부(130)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를 통하여 생성되는 2차 콘텐츠(10)의 고유성, 유일성 등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생산한 2차 콘텐츠와 2차적 저작물에 해당하는 일부 구간이라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과 동일한 경우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구간에 대하여서도 선택한 구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셀렉 섹션 확인부(130)는 단순한 선택한 구간에 대한 정량적인 일치성을 판단하는 것뿐 아니라, 보정에 대한 효과를 통한 판단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픽셀, 그레이 레벨, 색상 및 색체의 채도, 명도에 따라서도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한 동일성, 유사성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가 조커 영화에 해당하는 경우, A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 중 10.1초로부터 10.9초에 해당하는 구간을 선택하였으며, B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 중 10.3초로부터 10.12초에 해당하는 구간을 선택하였다면, A와 B는 선택한 구간이 일부 오버랩 되지만,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한 장면에 대한 전체적인 아우라와 심상에 대한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가 조커 영화인 경우, A가 선택한 일부 구간은 조커의 범행의 정당성을 내포함과 동시에 범행장면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B가 선택한 일부 구간은 조커의 범행장면과 피해자의 영상을 포함하게 됨을 통하여 오버랩되는 구간이 존재하지만 생성된 2차 콘텐츠에 대한 해석의 차이 및 분위기 등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셀렉 섹션 확인부(130)는 선택된 일부 구간의 시간적 일치 및 불일치에 대한 단순한 차이, 구간의 일치 퍼센트(percent)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물론, 선택된 일부 구간의 전체적인 내용 및 아우라에 대하여 평가하고 판단하여 제작된 2차 콘텐츠의 고유성 및 유일성을 판단하며, 이러한 판단의 내용을 평가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섹션 저장부(12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수신하여, 2차 콘텐츠(10)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할 수 있다.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의 경우, 2차 콘텐츠(10)마다 독자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하는 것으로 콘텐츠에 따라 부여되는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10) 별로 상이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2차 콘텐츠(10)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2차 콘텐츠(10)는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받으며, 개별적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각각이 구별되는 독자적인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2차 콘텐츠(10)는 콘텐츠 자체의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표면적인 구성인 동시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각기 개별적이고 독자적인 구성을 통하여 단 하나뿐인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복수 개의 노드(N)에 공유되며, 복수 개의 노드(N) 중 어느 하나의 노드(N)에서의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복수 개의 노드(N)에 공유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들을 비교한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경우도 복수 개의 노드(N)에 의해 공유되는 것으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복수 개의 노드(N)를 통해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노드(N)에 공유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의 경우,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발행, 2차 콘텐츠(10)로의 부여, 거래, 수정 등에 대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에 대한 허용은 복수 개의 노드(N)가 공유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사용자별로 개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개수에 따라 2차 콘텐츠(10)를 생산하고 생산된 2차 콘텐츠(10)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사용자별로 10개에 해당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개수는 쉐어링 유닛(400)이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또는 원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개수가 제한적일 수 있다.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개수의 제한은 다양한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로부터 2차적 저작물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별로 개수를 제한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가 원 저작물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미리 설정된 개수는 동영상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별로 개수의 제한이 설정되어질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가 달라짐에 따라,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미리 설정된 개수로 부여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퍼미션 유닛(300)은,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부여된 2차 콘텐츠(10)는 2차적 저작물의 원본으로 제3자와 거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 저작물의 경우, 퍼미션 유닛(300)을 통하여 그 원본성을 인증받은 것으로 제3자와의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2차적 저작물의 경우, 사용 권한에 대하여 무상 혹은 유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작물의 결제에 대하여서는 사용 권한을 가진 권리자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2차적 저작물이 거래되는 경우, 권리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 2차적 저작물이 권리자로부터 소비자에게로 사용 권한이 이동되며, 이를 통해 2차적 저작물에는 사용 권한자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적 저작물에는 제3자의 거래를 통해 사용 권한 변경, 결제, 승인 등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 바,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발생된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는 쉐어링 유닛(400)에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2차적 저작물은 제3자와의 거래뿐 아니라, 제3자와 라이센스(license) 계약 등을 통하여 일정 기간 사용을 허락하는 등의 형태로 2차적 저작물을 제3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라이센스 계약의 경우도 계약 기간, 계약 형태, 사용권 허가 부분 등에 대한 내용에 대한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쉐어링 유닛(400)의 복수 객의 노드(N)와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400)은,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쉐어링 유닛(400)은 복수 개의 노드(N) 각각에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이들 상호 공유된 정보를 대비하도록 매칭하여 상호 정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노드(N)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통해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2차적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는 선택적으로 정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2차적 저작물은, 2차적 저작물 내에 원 저작물인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사, 배급사, 저작물 타이틀, 개봉일, 감독, 각본, 출연진, 상영 시간, 상영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소정의 상세 정보로 제시할 수 있다.
소정의 상세 정보는 2차적 저작물의 원 저작물인 동영상 콘텐츠의 상세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2차적 저작물에 원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제시함으로 원 저작물에 대한 정보 공개 빈도수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상세 정보는 2차적 저작물에 매칭되는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2차적 저작물 내에 가중치에 따라 소정의 상세 정보의 순서를 리스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의 2차적 저작물 상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2차적 저작물에 대한 소정의 콘텐츠 정보 링크를 제시하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은, 2차적 저작물의 상에 형성되어, 2차적 저작물의 재생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도가 설정될 수 있다.
2차적 저작물 상에 콘텐츠 정보 링크가 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콘텐츠 정보 링크는 원 저작물에 대한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
2차적 저작물 상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의 경우, 2차적 저작물의 외부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가상의 경계 라인을 따라 링크 정보가 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링크 정보는 재생 시간에 따라 그 형태가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재생 시간 20초의 짧은 동영상에 해당하는 2차적 저작물의 경우, 재생시간 초반 3초간 링크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하며, 초반 3초 이후 투명도가 조절되어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N: 노드
1: 단말기
10: 2차 콘텐츠
20: 소정의 인증 토큰
100: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
110: 섹션 설정부
120: 섹션 저장부
130: 셀렉 섹션 확인부
200: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300: 퍼미션 유닛
400: 쉐어링 유닛

Claims (10)

  1.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2차 콘텐츠를 생산하는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2차 콘텐츠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에 의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된 상기 2차 콘텐츠에 원본성을 부여하여 2차적 저작물로 허가하는 퍼미션 유닛; 및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라이빗 섹션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도록 하는 섹션 설정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저장하는 섹션 저장부; 및
    상기 섹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이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셀렉 섹션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렉 섹션 확인부는,
    상기 섹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과 상기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한 정량적인 일치성을 판단하며,
    상기 섹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과 상기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에 구간의 일치 퍼센트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상기 섹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과 상기 미리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한 픽셀, 그레이 레벨, 색상, 채도 및 명도 군으로 이루어진 것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동일성과 유사성을 판단하며,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섹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수신하여, 상기 2차 콘텐츠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고,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은,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며,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상기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며,
    상기 퍼미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된 2차 콘텐츠는 상기 2차적 저작물의 원본으로 제3자와 거래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쉐어링 유닛은,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상기 2차적 저작물과 상기 2차적 저작물의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02685A 2021-07-09 2021-08-04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375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0037 2021-07-09
KR1020210090037 2021-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395B1 true KR102375395B1 (ko) 2022-03-17

Family

ID=8093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685A KR102375395B1 (ko) 2021-07-09 2021-08-04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838B1 (ko) * 2022-03-25 2022-09-06 (주)씨이랩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거래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2003B1 (ko) * 2022-03-25 2023-04-18 (주) 씨이랩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한 데이터 거래 수익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46257B1 (ko) * 2022-07-05 2023-06-23 주식회사 뷰이 콘텐츠 시청 개입을 통해 콘텐츠 변형 기능을 제공하며, 변형 기능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기 위한 시스템
WO2023200024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콘텐트를 거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19989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좌표 값 정보가 반영되어 재조합과 연계성을 제공하는 토큰 데이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77B1 (ko) 2012-08-23 2014-01-27 모트렉스(주)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21155B1 (ko) * 2016-10-24 2017-04-10 주식회사 인디비쥬얼 동영상 클립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895B1 (ko) 2016-11-29 2017-06-12 유한회사 올빼미하우스 동영상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20570A (ko) * 2018-08-17 2020-02-26 배영식 컨텐츠 관리를 위한 플랫폼 및 방법
KR102178583B1 (ko) 2018-11-13 2020-11-13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77B1 (ko) 2012-08-23 2014-01-27 모트렉스(주)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21155B1 (ko) * 2016-10-24 2017-04-10 주식회사 인디비쥬얼 동영상 클립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895B1 (ko) 2016-11-29 2017-06-12 유한회사 올빼미하우스 동영상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20570A (ko) * 2018-08-17 2020-02-26 배영식 컨텐츠 관리를 위한 플랫폼 및 방법
KR102178583B1 (ko) 2018-11-13 2020-11-13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838B1 (ko) * 2022-03-25 2022-09-06 (주)씨이랩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거래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2003B1 (ko) * 2022-03-25 2023-04-18 (주) 씨이랩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한 데이터 거래 수익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00024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콘텐트를 거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46257B1 (ko) * 2022-07-05 2023-06-23 주식회사 뷰이 콘텐츠 시청 개입을 통해 콘텐츠 변형 기능을 제공하며, 변형 기능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기 위한 시스템
KR20240019989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좌표 값 정보가 반영되어 재조합과 연계성을 제공하는 토큰 데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395B1 (ko)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US2017011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US11288345B2 (en) Identifying copyrighted material using embedded timestamped copyright information
US11017061B2 (en) Identifying copyrighted material using copyright information embedded in electronic files
JP7473652B2 (ja) 加工コンテンツの真正性アセスメント
US20220086187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and encrypted peer-to-peer network
US11216898B2 (en) Identifying copyrighted material using copyright information embedded in tables
KR102239448B1 (ko)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US112703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irtual goods
US20230086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Content Unlock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Privacy-Protecting Tokens, Ownership-Based Limitations of Content Access, Policy-Based Time Capsule Technology, and Content Lock Mechanisms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75394B1 (ko) 컨텐츠의 선택적 구간 설정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455491B1 (ko)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WO2022270551A1 (ja) Nft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nft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220150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irtual goods
KR20090001575A (ko)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 확인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JP6746024B1 (ja) 3dモデル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モデル配信サーバ、3dサービスサーバ、3dモデルデータの管理方法、モデル配信サーバのプログラム、および3dサービスサーバのプログラム
CN110619522A (zh) 基于区块链的知识产权证券化方法及装置
Demos Returning the Photographer's Autonomy: The Integr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to Copyright Registration
Ramani et al. Blockchain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2400869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based Asset Ownership
Saraswat et al. Copyright Protec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dian Perspective and International Obligations
US20240176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erivative digital assets by branching on an original non-fungible token
Gupta et al. Using Blockchain for Digital Copyrights Management
Karuppiah Blockchain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