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077B1 -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077B1
KR101355077B1 KR1020120092270A KR20120092270A KR101355077B1 KR 101355077 B1 KR101355077 B1 KR 101355077B1 KR 1020120092270 A KR1020120092270 A KR 1020120092270A KR 20120092270 A KR20120092270 A KR 20120092270A KR 101355077 B1 KR101355077 B1 KR 10135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riginal
digital
ke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290A (ko
Inventor
김태수
이병용
Original Assignee
모트렉스(주)
이병용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트렉스(주), 이병용, 김태수 filed Critical 모트렉스(주)
Priority to KR102012009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이 개시된다.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상기 PKI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로 미리 제공하고, 상기 최초 생성 이후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는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CREATING AND CERTIFYING THE ORIGINAL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문서, 음원 등의 다양한 컨텐츠는 각각 다양한 형식과 포맷으로 생성되어 이용되고 있다. 문서의 경우만 보더라도 MS WORD, HWP, PDF 등의 다양한 형식이 산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 등의 컨텐츠에 대한 표준화 요구가 오랜 기간 지속되었지만, 개발자들의 이익과 요구가 상충하기에 특별한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다만, XML 기반의 SOAXML과 같은 포맷은 다양한 동영상, 음원, 문서를 모두 XML 기반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배포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XML 기반의 문서를 통해 호환성을 높이고 모든 유저들이 문서를 이용할 수 있다면 정보의 공유나 전파의 그리고 저장/관리의 면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맞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문서 등의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할 적절한 수단이 부재하였다. 보통의 경우에는 문서 등에 암호를 설정하여 제3자가 컨텐츠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배포하여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1차적 수단이 많이 이용되었으며, 굳이 원본 인증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전자 서명 외에는 다른 수단이 없다.
나름 진보된 형태로는 타임스탬프를 해쉬함수로 변환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정도이다.
즉, 각종 동영상, 음원 등이 불법 유통되는 현 세태에 비추어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을 생성/등록/저장/다운로드하고 이를 인증할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상기 PKI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로 미리 제공하고, 상기 최초 생성 이후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는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XML 문서로 미리 변환하여 상기 원본 확인키와 결합하고, 상기 원본 확인키는, 상기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상기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상기 PKI 키 및 공개키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스탬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원본 컨텐츠의 생성을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GPS 위치 정보 또는 IP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방법은, 컨텐츠 등록 서버가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인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XML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국제 인증 정산 서버가 소정 디지털 컨텐츠에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상기 생성된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가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가 상기 수신된 원본 확인키를 상기 변환된 XML 문서와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가 상기 최초 생성 이후 상기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본 확인키는,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공개키 정보 및 PKI 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스탬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컨텐츠를 XML 기반 문서로 변환하고, 변환된 XML 기반 문서를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PKI 키 등으로 구성되는 원본 확인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고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원본 컨텐츠의 합법적인 유통을 진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치 정보에 의해 제조된 생산 지역까지 기록됨으로써 생산 지역 인증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임스탬프 역시 디지털 컨텐츠와 함께 PKI 키에 의해 암호화되도록 함으로써, 타임스탬프의 조작을 방지하고 원본 진위 여부 및 수정/변경 여부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100)(이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이라 함)은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 컨텐츠 등록 서버(130),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140) 및 클라이언트 단말(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100)은 동영상이나 음원, 각종 문서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XML 기반 문서로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호환성과 유저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100)은 이러한 XML 기반 문서를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PKI 키 등으로 구성되는 원본 확인키와 하나로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 원본 컨텐츠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PKI 키를 이용하여 생성/인증되며,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 전자 서명, 위치 정보 등도 함께 암호화되어 매우 강력한 보안 유지 및 원본 인증이 가능하다.
특히, 타임스탬프는 그 조작이 불가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의 수정이나 변경을 추적할 수 있으며, 전자 서명은 그 이미지의 좌표 정보를 모두 암호화하고 타임스탬프에 따른 이력 정보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 정보는 디지털 원본 컨텐츠가 생성된 GPS 위치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FTA 등에 의한 생산지 정보를 내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는 PKI 키를 생성하여 발급함으로써 디지털 원본 컨텐츠가 컨텐츠 등록 서버(130)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하고,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140)는 각국에 설치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인증을 수행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최초의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50)로부터 등록하기 위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디지털 컨텐츠는 PDF, MS WORD, HWP 등의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에서,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로부터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키를 수신한다. 그리고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50)의 디지털 컨텐츠의 타임스탬프, 클라이언트 단말(150)의 GPS 위치 정보 또는 IP 어드레스, 그리고 PKI 키를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한다. 이때,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타임스탬프는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는 디지털 원본 컨텐츠의 생성을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150)의 GPS 위치 정보 또는 IP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TA의 활성화에 따른 생산지 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GPS 위치 정보 또는 IP 위치 정보는 매우 중요한 원본 진위 확인 요소가 되고 있다.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는 일련 번호가 부여된 원본 확인키를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 및 컨텐츠 등록 서버(130)로 제공한다.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는 해당 원본 확인키를 저장하고 유지/관리한다.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는 PKI 키를 생성하여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로 제공하고,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의 최초 생성 이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컨텐츠 등록 서버(130)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클라이언트 단말(150)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원본 확인키에 포함되는 PKI 키는 국제 인증 정산 센터(120)에서 제공하는 비대칭키로서 보안성에 있어서는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이다.
한편, 컨텐츠 등록 서버(130)는 각종 문서, 동영상, 음원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원본 확인키와 결합하기 전에 XML 문서로 미리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140)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50)의 요청에 따라 소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140)는 국내는 물론 각국 별로 구비되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50)은 일반 개인 이용자의 유무선 단말이거나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의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 등록 서버(130)가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인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한다(S101).
다음으로, 컨텐츠 등록 서버(130)가 앞서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XML 문서로 변환한다(S102).
다음으로,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가 디지털 컨텐츠에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103). 이때, 원본 확인키는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공개키 정보 및 PKI 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로 구성되고, 타임스탬프는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한다(S104).
다음으로, 컨텐츠 이니셜라이저(110)가 앞서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 제공한다(S105).
다음으로,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140)가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한다(S106).
다음으로, 컨텐츠 등록 서버(130)가 앞서 수신된 원본 확인키를 XML 문서와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한다(S107).
다음으로, 국제 인증 정산 서버(120)가 최초 생성 이후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108).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상기 PKI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로 미리 제공하고, 상기 최초 생성 이후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는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XML 문서로 미리 변환하여 상기 원본 확인키와 결합하고,
    상기 원본 확인키는,
    상기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상기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상기 PKI 키 및 공개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스탬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원본 컨텐츠의 생성을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GPS 위치 정보 또는 I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시스템.
  3. 컨텐츠 등록 서버가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인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XML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국제 인증 정산 서버가 소정 디지털 컨텐츠에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이니셜라이저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가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등록 서버가 상기 수신된 원본 확인키를 상기 변환된 XML 문서와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국제 인증 정산 서버가 상기 최초 생성 이후 상기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본 확인키는,
    사용자 정보, 타임스탬프(timestamp), 디지털 서명, 위치 정보, 공개키 정보 및 PKI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로 구성되고,
    상기 타임스탬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완료 및 저장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의 서명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의 갱신에 따른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방법.
KR1020120092270A 2012-08-23 2012-08-23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35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70A KR101355077B1 (ko) 2012-08-23 2012-08-23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70A KR101355077B1 (ko) 2012-08-23 2012-08-23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290A KR20120112290A (ko) 2012-10-11
KR101355077B1 true KR101355077B1 (ko) 2014-01-27

Family

ID=4728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270A KR101355077B1 (ko) 2012-08-23 2012-08-23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95B1 (ko) 2021-07-09 2022-03-17 (주)소셜인프라테크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375394B1 (ko) 2021-07-09 2022-03-17 (주)소셜인프라테크 컨텐츠의 선택적 구간 설정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455491B1 (ko) 2021-09-16 2022-10-17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83B1 (ko) * 2018-11-13 2020-11-13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KR102120330B1 (ko) * 2018-11-13 2020-06-08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위치 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863A (ko) * 2006-08-29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에 대한 비대칭형 코드 삽입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32732A (ko) * 2006-10-10 2008-04-16 주식회사 스타뱅크 스캐닝 원본문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시스템및 진본 유지를 위한 보안 관리 방법
KR20080038584A (ko) * 2006-10-30 2008-05-07 윤동국 플랫폼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863A (ko) * 2006-08-29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에 대한 비대칭형 코드 삽입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32732A (ko) * 2006-10-10 2008-04-16 주식회사 스타뱅크 스캐닝 원본문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시스템및 진본 유지를 위한 보안 관리 방법
KR20080038584A (ko) * 2006-10-30 2008-05-07 윤동국 플랫폼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95B1 (ko) 2021-07-09 2022-03-17 (주)소셜인프라테크 데이터 개별 설정과 선택적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375394B1 (ko) 2021-07-09 2022-03-17 (주)소셜인프라테크 컨텐츠의 선택적 구간 설정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KR102455491B1 (ko) 2021-09-16 2022-10-17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290A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45768B (zh) 版权管理方法和系统
JP5060009B2 (ja) デジタルレコードを自己認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457363B2 (ja) 情報処理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KR101054930B1 (ko) 메타데이터 브로커
US20100098248A1 (en)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distributing access permission to digital object
JP4788213B2 (ja) タイムスタンプ検証プログラム及びタイムスタンプ検証システム
KR101355077B1 (ko)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90372782A1 (en) Data Certification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ethod Therefor
KR101523309B1 (ko)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JP5958703B2 (ja) データ証明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証明サーバ
JP4823704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情報委譲方法ならびに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JP2010081372A (ja) 電子文書登録システム、電子文書登録装置、電子文書登録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252432B (zh) 一种基于域的数字权限管理方法、域管理服务器及系统
JP4901272B2 (ja) 情報生成処理プログラム、情報生成装置及び情報生成方法
JP5700423B2 (ja) 長期署名用端末、長期署名用サーバ、長期署名用端末プログラム、及び長期署名用サーバプログラム
JP5179319B2 (ja) 電子文書管理装置および電子文書管理方法
JP4628648B2 (ja) 電子データ保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6107247A (ja) タイムスタンプ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タイムスタンプ情報検証サーバ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
JP200831206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55080B1 (ko) 컨텐츠 프로바이더를 위한 디지털 원본 컨텐츠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N112597117B (zh) 文件共享方法、相关装置及文件共享系统
KR101355081B1 (ko) 일반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원본 컨텐츠 배포 시스템 및 방법
JP2008287359A (ja)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56211B1 (ko)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정산 시스템과 그 방법
WO201211460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