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190B1 -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190B1
KR102375190B1 KR1020140164740A KR20140164740A KR102375190B1 KR 102375190 B1 KR102375190 B1 KR 102375190B1 KR 1020140164740 A KR1020140164740 A KR 1020140164740A KR 20140164740 A KR20140164740 A KR 20140164740A KR 102375190 B1 KR102375190 B1 KR 10237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loop
stretchable
line
conductive patter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328A (ko
Inventor
유병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190B1/ko
Priority to US14/716,993 priority patent/US106098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6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9Apertured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라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AND STRETCHABLE DEVICE}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처블 장치는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스트레처블한 장치이다.
최근, 스트레처블 장치로서, 기판을 폴리머 등의 스트레처블한 기판으로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스트레처블 장치가 개발되었다.
스트레처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유기 발광층, 밀봉부(encapsulation) 등을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폴리머로 형성하고, 터치 패널은 기판 등을 폴리머로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쳐블해진다.
이러한 스트레처블 장치가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처블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기 위한 배선 등의 도전 패턴 또는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센서 등의 도전 패턴도 스트레처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트레처블 장치에 적합하도록 스트레처블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폐루프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폐루프부는 곡선으로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부는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1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1 라인부 대비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및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2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하여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2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라인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2 폐루프부와 이웃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스트레처블 기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제1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으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1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및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2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하여 교차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제2 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으로부터 플로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2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라인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2 폐루프부와 이웃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셀프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들 및 상기 제1 라인부를 포함하는 제1 터치 라인, 및 상기 제1 터치 라인과 절연 교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들 및 상기 제2 라인부를 포함하는 제2 터치 라인을 더 포함하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스트레처블 장치에 적합하도록 스트레처블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일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타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장치를 일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스트레처블하며,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폐루프부(130), 제2 라인부(140)를 포함한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박막(thin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폐루프부(110)는 연장된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폐루프부(110)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폐루프부(11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며, 이 도전성 재료는 금속 등일 수 있다. 제1 폐루프부(110)는 중심 부분이 개구(open)된 마름모 형상을 가진다. 제1 폐루프부(110)는 제1 라인부(120) 대비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폐루프부(110)의 일 꼭지점에는 제1 라인부(120)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라인부(120)는 일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직선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라인부(120)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1 라인부(120)들 각각은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라인부(120)는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1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1 라인부(120)는 제1 폐루프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폐루프부(110)와 동일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제1 라인부(120)는 제1 폐루프부(110) 대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라인부(120)는 제1 폐루프부(110)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라인부(120) 및 제1 폐루프부(110)는 일체가 아닌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폐루프부(130), 제2 라인부(140)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1 폐루프부(110) 및 제1 라인부(12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폐루프부(130)는 연장된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폐루프부(130)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일 -향(X)과 교차하는 타 방향(Y)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 방향(X)은 타 방향(Y)과 서로 수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 방향(X)과 타 방향(Y) 각각은 서로 교차한다면 어떤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제2 폐루프부(130)는 제1 폐루프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동시에 제1 폐루프부(110)와 이웃하고 있다. 제2 폐루프부(13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며, 이 도전성 재료는 금속 등일 수 있다. 제2 폐루프부(130)는 중심 부분이 개구(open)된 마름모 형상을 가진다. 제2 폐루프부(130)는 제2 라인부(140) 대비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폐루프부(130)의 일 꼭지점에는 제2 라인부(140)가 연결되어 있다.
제2 라인부(140)는 타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직선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라인부(140)는 복수이며, 복수의 제2 라인부(140)들 각각은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라인부(140)는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중 이웃하는 제2 폐루프부(13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2 라인부(140)는 제2 폐루프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폐루프부(130)와 동일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제2 라인부(140)는 제2 폐루프부(130) 대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2 라인부(140)는 제1 라인부(120)와 중첩하여 교차하고 있다. 제2 라인부(140)는 제1 라인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라인부(120)와 동일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라인부(140), 제2 폐루프부(1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라인부(140), 제2 폐루프부(130) 각각은 동일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라인부(140)는 제2 폐루프부(130)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라인부(140) 및 제2 폐루프부(130)는 일체가 아닌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폐루프부(130), 제2 라인부(140)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2 폐루프부(130) 및 제2 라인부(1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연신성(stretchability)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일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1 라인부(120)를 지지하여 일 방향(X)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1 폐루프부(110)가 일 방향(X)으로는 인장되고 타 방향(Y)으로는 수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일 방향(X)으로 인장된다. 이때, 제1 라인부(120)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은 제1 라인부(120)에 연결된 제1 폐루프부(11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제1 라인부(120)가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라인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라인부(140)에 인가되는 응력은 종횡비를 가지는 제2 라인부(140)의 횡 방향으로 인가됨으로써 제2 라인부(140)에 연결된 제2 폐루프부(130)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을 제1 폐루프부(110)들의 배치 방향인 일 방향(X)으로 당기면, 제1 폐루프부(110)가 일 방향(X)으로 인장됨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장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타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2 라인부(140)를 지지하여 타 방향(Y)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2 폐루프부(130)가 타 방향(Y)으로는 인장되고 일 방향(X)으로는 수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타 방향(Y)으로 인장된다. 이때, 제2 라인부(140)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은 제2 라인부(140)에 연결된 제2 폐루프부(13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제2 라인부(140)가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2 라인부(140)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라인부(120)에 인가되는 응력은 종횡비를 가지는 제1 라인부(120)의 횡 방향으로 인가됨으로써 제1 라인부(120)에 연결된 제1 폐루프부(110)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을 제2 폐루프부(130)들의 배치 방향인 타 방향(Y)으로 당기면, 제2 폐루프부(130)가 타 방향(Y)으로 인장됨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폐루프부(130), 제2 라인부(140)를 포함함으로써, 일 방향(X) 및 타 방향(Y) 각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인장된다. 즉, 스트레처블 장치에 적합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제공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1 폐루프부(110) 및 제2 폐루프부(130) 각각은 곡선으로 연장된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제1 폐루프부(110) 및 제2 폐루프부(130) 각각이 곡선으로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가짐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을 인장할 때, 제1 폐루프부(110) 및 제2 폐루프부(130) 각각에 인가되는 응력이 곡선에 의해 분산되기 때문에,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장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기판(200) 및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을 포함한다.
스트레처블 기판(200)은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다. 스트레처블 기판(200)은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기판(200)이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스트레처블 장치(1000)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스트레처블하며,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제2 폐루프부(130), 제2 라인부(140)를 포함한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박막(thin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과 동일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읜 제1 라인부(120) 및 제2 라인부(140) 각각은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및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각각은 스트레처블 기판(200)으로부터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및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각각이 스트레처블 기판(200)으로부터 플로팅(floating)되어 있음으로써, 스트레처블 기판(200)과 제1 폐루프부(110) 사이 및 스트레처블 기판(200)과 제2 폐루프부(130) 사이 각각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1 폐루프부(110) 및 제2 폐루프부(130) 각각이 스트레처블 기판(200)으로부터 플로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폐루프부(110) 및 제2 폐루프부(130) 각각은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의 연신성(stretchability)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트레처블 장치를 일 방향으로 당긴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의 스트레처블 기판(20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스트레처블 장치(1000)를 일 방향(X)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기판(200)이 일 방향(X)으로 인장되면서, 제1 라인부(120)가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1 폐루프부(110)가 일 방향(X)으로는 인장되고 타 방향(Y)으로는 수축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스트레처블 기판(200) 및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일 방향(X)으로 인장된다. 이때,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된 제1 라인부(120)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은 제1 라인부(120)에 연결된 제1 폐루프부(11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제1 라인부(120)가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라인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라인부(140)에 인가되는 응력은 종횡비를 가지는 제2 라인부(140)의 횡 방향으로 인가됨으로써 제2 라인부(140)에 연결된 제2 폐루프부(130)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처블 장치(1000)를 제1 폐루프부(110)들의 배치 방향인 일 방향(X)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기판(200)으로부터 플로팅된 제1 폐루프부(110)가 일 방향(X)으로 인장됨으로써, 스트레처블 기판(200)이 인장되면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장된다.
또한, 스트레처블 장치(1000)의 스트레처블 기판(20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타 방향(Y)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2 라인부(140)를 지지하여 스트레처블 장치(1000)를 타 방향(Y)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기판(200)이 타 방향(Y)으로 인장되면서, 제2 라인부(140)가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의 제2 폐루프부(130)가 타 방향(Y)으로는 인장되고 일 방향(X)으로는 수축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스트레처블 기판(200) 및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타 방향(Y)으로 인장된다. 이때,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된 제2 라인부(140)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은 제2 라인부(140)에 연결된 제2 폐루프부(13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제2 라인부(140)가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2 라인부(140)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라인부(120)에 인가되는 응력은 종횡비를 가지는 제1 라인부(120)의 횡 방향으로 인가됨으로써 제1 라인부(120)에 연결된 제1 폐루프부(110)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처블 장치(1000)를 제2 폐루프부(130)들의 배치 방향인 타 방향(Y)으로 당기면, 스트레처블 기판(200)으로부터 플로팅된 제2 폐루프부(130)가 타 방향(Y)으로 인장됨으로써, 스트레처블 기판(200)이 인장되면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기판(200) 및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을 포함함으로써, 일 방향(X) 및 타 방향(Y) 각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인장된다. 즉, 스트레처블한 스트레처블 장치(1000)가 제공된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터치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일 수 있으며, 스트레처블 장치(10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경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양극 또는 음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서 기능할 경우,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은 스트레처블 기판(200)에 지지된 제1 라인부(120) 및 제2 라인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기판(200),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 및 연결 라인(300)을 포함한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은 셀프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서 형성되며, 복수의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 각각이 터치 센서로서 형성된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 및 연결 라인(300)을 제외한 스트레처블 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조는 셀프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공지된 터치 패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는 연결 라인(300)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라인(300)은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레처블 기판(200)의 인장에 대응하여 복수번 절곡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라인(300)은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과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이 셀프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형성됨으로써, 일 방향(X) 및 타 방향(Y) 각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인장된다. 즉, 스트레처블한 터치 패널인 스트레처블 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기판(200),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으로 형성된 제1 터치 라인(TL1) 및 제2 터치 라인(TL2)을 포함한다.
제1 터치 라인(TL1)은 복수의 제1 폐루프부(110)들 및 복수의 제1 라인부(120)들을 포함하며, 일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터치 라인(TL2)은 복수의 제2 폐루프부(130)들 및 복수의 제2 라인부(140)들을 포함하며, 타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터치 라인(TL2)은 제1 터치 라인(TL1)과 절연 교차하며, 제1 터치 라인(TL1) 및 제2 터치 라인(TL2) 각각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으로 형성된 제1 터치 라인(TL1) 및 제2 터치 라인(TL2)은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로서 형성된다.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인 제1 터치 라인(TL1) 및 제2 터치 라인(TL2)을 제외한 스트레처블 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조는 상호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공지된 터치 패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장치(1000)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으로 형성된 제1 터치 라인(TL1) 및 제2 터치 라인(TL2)이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형성됨으로써, 일 방향(X) 및 타 방향(Y) 각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인장된다. 즉, 스트레처블한 터치 패널인 스트레처블 장치(10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폐루프부(110), 제1 라인부(120),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100)

Claims (20)

  1. 지지 기판 위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및
    상기 지지 기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라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은 상기 기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1 라인부는 상기 기판 위에 부착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폐루프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폐루프부는 곡선으로 연장된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라인부는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1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6. 제1항에서,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1 라인부 대비 큰 면적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7. 제1항에서,
    상기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및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2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하여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라인부
    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2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9. 제8항에서,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라인부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10. 제7항에서,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2 폐루프부와 이웃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11. 스트레처블 기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1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제1 라인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으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스트레처블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1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장치.
  14. 제11항에서,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및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중 이웃하는 제2 폐루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하여 교차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제2 라인부
    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으로부터 플로팅된 스트레처블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부들과 상기 제2 라인부는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라인부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레처블 장치.
  18. 제14항에서,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제1 폐루프부는 상기 제2 폐루프부와 이웃하는 스트레처블 장치.
  19. 제14항에서,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셀프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인 스트레처블 장치.
  20. 제14항에서,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 폐루프들 및 상기 제1 라인부를 포함하는 제1 터치 라인; 및
    상기 제1 터치 라인과 절연 교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폐루프들 및 상기 제2 라인부를 포함하는 제2 터치 라인
    을 더 포함하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 센서(touch sensor)인 스트레처블 장치.
KR1020140164740A 2014-11-24 2014-11-24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KR10237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740A KR102375190B1 (ko) 2014-11-24 2014-11-24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US14/716,993 US10609816B2 (en) 2014-11-24 2015-05-20 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and stretch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740A KR102375190B1 (ko) 2014-11-24 2014-11-24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328A KR20160062328A (ko) 2016-06-02
KR102375190B1 true KR102375190B1 (ko) 2022-03-17

Family

ID=5601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740A KR102375190B1 (ko) 2014-11-24 2014-11-24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09816B2 (ko)
KR (1) KR102375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542B1 (ko) * 2016-06-17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지문 복합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190327829A1 (en) * 2016-07-12 2019-10-24 Fujikura Ltd. Stretchable board
KR102552283B1 (ko) * 2016-07-15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527814A (zh) * 2016-11-23 2017-03-2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保护盖板
KR102486523B1 (ko) 2017-06-07 2023-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패시터 구조체, 캐패시터 구조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캐패시터 구조체 제조 방법
KR20190081475A (ko) 2017-12-29 2019-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17607A (zh) * 2018-03-26 2018-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走线结构、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766951A (zh) 2018-05-30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及制备方法、柔性电子装置
CN110580107A (zh) * 2018-06-11 2019-12-1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面板以及显示装置
US10999925B2 (en) * 2018-09-19 2021-05-04 Ii-Vi Delaware, Inc. Stretchable conductor circuit
JP6977894B2 (ja) * 2018-12-27 2021-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伸縮性配線基板
GB2614428A (en) * 2021-12-31 2023-07-05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4613A1 (en) * 2007-09-28 2009-04-02 Au Optronics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Panel with Low Coupling Capacitan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Capacitive Touch Panel
JP2009212545A (ja) * 2008-02-29 2009-09-17 Nissha Printing Co Ltd メッシュ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381B2 (en) 2004-06-04 2012-07-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trolled buckling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rconnects and nanomembran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KR100869107B1 (ko) * 2007-06-07 2008-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01952115B (zh) * 2008-02-19 2013-11-1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网状片
US8207473B2 (en) 2008-06-24 2012-06-26 Ime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EP2410411B1 (en) * 2009-03-20 2019-03-06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Capacitive touch circuit pattern
WO2010143528A1 (ja) * 2009-06-11 2010-1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式入力装置
US20120019473A1 (en) * 2010-07-21 2012-01-26 Chimei Innolux Corporation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JP2014021401A (ja) * 2012-07-20 2014-02-03 Dexerials Corp 導電性光学素子、入力素子、および表示素子
KR101941661B1 (ko) * 2012-09-04 2019-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5535B1 (ko) 2012-09-11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7477B1 (ko) 2012-10-22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US20140184552A1 (en) * 2012-12-27 2014-07-03 Synaptics Incorporated Near-field and far-field capacitive sensing
CN103488341A (zh) * 2013-09-23 2014-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4613A1 (en) * 2007-09-28 2009-04-02 Au Optronics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Panel with Low Coupling Capacitan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Capacitive Touch Panel
JP2009212545A (ja) * 2008-02-29 2009-09-17 Nissha Printing Co Ltd メッシュ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328A (ko) 2016-06-02
US10609816B2 (en) 2020-03-31
US20160150641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190B1 (ko) 스트레처블 도전 패턴 및 스트레처블 장치
KR102482410B1 (ko)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820321B (zh) 一种阵列基板和显示面板
US9536860B2 (en) Stretchable display
CN110111695B (zh) 可伸展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12113305A5 (ko)
US10285263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84459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9817529B2 (en) Flexible touch panel
US20180059837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25221A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61417B2 (en) Capacitive touch scre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2278925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210137941A (ko) 터치 패널
US9778808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029226A1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US20170131827A1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70064139A (ko) 터치 패널
KR10236218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M541027U (zh) 可撓式電子裝置
CN112020699A (zh) 触摸屏、触摸显示屏和显示装置
US20230019276A1 (en) Electronic device
US10444885B2 (en) Touch screen and display panel
KR101985437B1 (ko) 플렉서블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334B1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