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086B1 -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 Google Patents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086B1
KR102375086B1 KR1020210151066A KR20210151066A KR102375086B1 KR 102375086 B1 KR102375086 B1 KR 102375086B1 KR 1020210151066 A KR1020210151066 A KR 1020210151066A KR 20210151066 A KR20210151066 A KR 20210151066A KR 102375086 B1 KR102375086 B1 KR 10237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heelchair
fixing
fixed body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호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주)마이벨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벨로 filed Critical (주)마이벨로
Priority to KR102021015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0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which can be easily and detachably installed in a frame of a wheelchair in a one-touch manner, and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manufacturing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comprises: a fixed body part in which a shaft membe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to an insertion port, and a frame of a wheelchai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side; and a fixing part including a locking shaft that is moved in the annular groove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part and is separably locked in an annular groove.

Description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that can be easily and detachably installed in a frame of a wheelchair in a one-touch manner, and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can great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서,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 보조 기구이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a chair equipped with wheels so that a person with limited legs or a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can move while sitting, and is a medical assistance device that helps the physically handicapped or the patient and the elderly with reduced mobility to move easily.

이러한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크게 구분된다.Such a wheelchair is largely divided into a manual wheelchair in which the wheels are driven by manpower and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the wheels are driven using an electric device.

수동휠체어는 접을 수 있고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륜을 손으로 밀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Manual wheelchairs have the advantages of being foldable and light, good portability, and relatively inexpensive, but have disadvantages in mobility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rotate the driving wheels by manually pushing them to move.

반면, 전동 휠체어는 이동성이 뛰어나고 조작이 편리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무거워 휴대하기에 어렵다.On the other hand, electric wheelchairs have excellent mobility and are convenient to operate, but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carry because they are heavy.

한편, 종래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전동 모듈을 장착하여 전동 휠체어와 같이 전동으로 구동가능한 휠체어 구조가 KR 10-1715293(이하, '특허문헌 0001'이라 한다.)으로 제안된 바 있다.Meanwhile, KR 10-17152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0001') has proposed a wheelchair structure that can be driven electrically like an electric wheelchair by mounting a separate electric module in a conventional manual wheelchair.

특허문헌 0001은 휠체어의 바퀴 외측에 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일측과 맞닿아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마찰회전자; 상기 마찰회전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마찰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구동보조장치에 관한것으로서, 기존의 수동 휠체어에 간단하게 구동보조장치를 장착하여 기존 휠체어의 바퀴에 전동 구동 능력을 가지게 하며, 기존 전동휠체어의 경우 크기, 무게 등으로 차량 등에 적재가 어려웠으나 수동휠체어의 접이식 기능을 이용하여 운반 및 적재가 쉽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Patent Document 0001 discloses a friction rotor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at is installed outside the wheel of a wheelchair and rotate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heel;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shaft of the friction rotor to rotate the friction roto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driving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t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 It has the driving ability, and in the case of the existing electric wheelchair, it was difficult to load it into a vehicle due to its size and weight, but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y to transport and load by using the folding function of the manual wheelchair.

그러나, 특허문헌 0001에서는 휠체어의 구동보조장치의 마찰회전자 및 레버부가 단순하게 각각 휠체어의 바퀴 외측에 설치 및 휠체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라 기재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설치방식에 대한 사항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아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보호자, 관리자 등이 특허문헌 0001의 휠체어의 구동보조장치를 휠체어에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0001, it is described that the friction rotor and the lever par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wheelchair are simp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heel of the wheelchair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chair, respectively, and the specific installation method is not described at 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 lot of difficulty for users, guardians, administrators, etc. who use a wheelchair to install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wheelchair of Patent Document 0001 in the wheelchair.

KR 10-1715293KR 10-171529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휠체어의 프레임에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o provide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that can be easily and detachably installed in a frame of a wheelchair in a one-touch method, and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manufacturing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부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동구동륜의 허브모터의 측면에 구비 및 외주면에 환형홈이 형성된 축부재가 상기 삽입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후측부 내측에 휠체어의 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축부재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서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축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nsertion hole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side the front side part, and a shaft member having an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ub motor of the electric driving wheel a fixed body part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the frame of the wheelchair being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side; A locking shaf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of the shaft member from the front of the fixed body to be detachably hooked and fixed in the annular groove. It provides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부는 상기 축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상기 삽입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전측고정몸체와;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 1후측고정날개 및 제 2후측고정날개로 구성되는 후측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 사이에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ed body portion includes a front fixed body in which the shaft membe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with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 rear fixed wing comprising a first rear fixed wing and a second rear fixed wing respectively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fixed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rear fixed wing and the second rear fixed wing.

그리고,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측부에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 및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고정홈에 후측이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축부재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과 관통공에 상기 고정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전후이동축과; 상기 전후이동축의 전측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의 전측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축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노브와; 상기 전후이동축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에 수용되고, 상기 전후이동축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지지턱과;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의 전측과 상기 지지턱의 전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전후이동축이 수용되며, 상기 전후이동축을 상기 가이드홈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턱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가이드공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후측이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and a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xing groove and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ont fixing body, respectively,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ixing body, and the fixing part has a rear side in the fixing groove of the front fixing body A fixed tube inserted and fixed to a certain depth, a guid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of the front fixed body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through-hole of the fixed tube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 knob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nd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xed tube; a support jaw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fixed tube, and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of the fixing tube and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jaw, the front and rear axis is accommodated therein,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front and rear axis of the guide groov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I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jaw and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hole of the front fixed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and the rear side moves in the annular groove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nd is separably caught in the annular groov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shaft that is fixed.

또한,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일측에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다각형 형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부위에 상기 고정몸체부의 회전방지홈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헤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lygonal anti-rot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evention groove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portion of the shaft member adjacent to the annular groove of the shaf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head member which is formed in a shape and is detachably fitted and fixed 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is formed.

나아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xed body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ed body, and is moved in the fram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nd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Auxiliary fixing unit; is preferably provided.

더불어,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내경크기와 상기 축부재의 외경크기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are the same.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축부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is the same as the left and right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haft member.

아울러, 상기 고정몸체부의 후측부 내측에 상기 보조고정부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preferably provided.

여기서, 상기 고정판부의 상부에 보강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본 발명은 휠체어의 전동구동륜이 설치된 고정몸체부를 휠체어의 프레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고정부를 통해 상기 고정몸체부에 휠체어의 전동구동륜을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고정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fixed body part on which the electric driving wheel of the wheelchair is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in particular, the electric driving wheel of the wheelchair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xed body part through the fixed part in a one-touch method, and furth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portion is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몸체부가 분리 및 고정몸체부로부터 전동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몸체부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고정몸체부에 전동구동륜의 허브모터에 구비된 축부재가 삽입고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고정몸체부의 후측부 내측에 휠체어의 프레임이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보조고정부로부터 고정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판부가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보강프레임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부가 보조고정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9는 보강프레임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부가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 A of Figure 1,
Figure 4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of Figure 1,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the electric driving wheel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par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6,
8 is an exploded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driving wheel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portion fixed to the frame of the wheelchair;
9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of FIG. 8;
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haft member provided in a hub motor of an electric driving wheel is inserted and fixed to a fixed body por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part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fixing part;
1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part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fixing part;
1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7;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part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몸체부(10)와 고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10 and a fixing portion 20 .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 , FIG. 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1 , and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먼저,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부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구(111)가 형성된다.First, an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10 as shown in FIGS. 3 to 5 .

상기 삽입구(111)는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된다.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xed body 10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도 6은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몸체부가 분리 및 고정몸체부로부터 전동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the electric driving wheel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part,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구동륜(3)의 허브모터(31)의 측면에 구비된 축부재(311)가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삽입고정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shaft member 31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ub motor 31 of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is removably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 is fixed

상기 축부재(311)의 외주면 일측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홈(312)이 일정깊이로 형성된다.An annular groove 3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member 311 as shown in FIG. 6 .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후측부 내측에는 고정부재(5)에 의해 휠체어(1)의 프레임(2)이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10 by the fixing member 5 .

상기 고정몸체부(10)는 일예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고정몸체(110)와 후측고정날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body portion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ront fixed body 110 and a rear fixed wing 120, as shown in FIGS. 1 to 5 .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중간부 내부에 상기 축부재(311)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상기 삽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11 into which the shaft member 311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

상기 후측고정날개(120)는 제 1후측고정날개(121)와 제 2후측고정날개(1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fixed blade 120 may include a first rear fixed blade 121 and a second rear fixed blade 122 .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 사이에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이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rear fixed wing 121 and the second rear fixed wing 122 .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는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후측부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ar fixed wing 121 may be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fixed body 110 .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는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후측부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ar fixing wing 122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는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전방의 반대측인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rear fixed wing 121 and the second rear fixed wing 122 may each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rear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of the front fixed body 110 .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의 중간부에 각각 고정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A fixing hole 123 may be form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rear fixed blade 121 an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rear fixed blade 122 , respectively.

상기 고정부재(5)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볼트(5a)와 너트(5b)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ing member 5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fixing bolt 5a and a nut 5b, as shown in FIG. 6 .

상기 고정볼트(5a)는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의 고정공(123),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고정공(21) 및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의 고정공(123)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The fixing bolt 5a includes a fixing hole 123 of the first rear fixing wing 121, a fixing hole 21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and the second fixing of the rear side. The fixed hole 123 of the wing 122 may be sequentially horizontally penetrated.

상기 너트(5b)는 상기 고정볼트(5a)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nut 5b may be screwed with the fixing bolt 5a to be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ar fixing wing 122 .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축부재(311)의 전측방향에 위치 및 상기 축부재(311)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fixing part 20 is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311 that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ing body 10 as shown in FIGS. 1 to 6 and the I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10 so as to form orthogonal to the shaft member (311).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부에서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312)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축(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312 of the shaft member 311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body 10 to be detachably hooked and fixed to the annular groove 312 . 260 may be included.

도 8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몸체부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측면도이다.8 is an exploded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driving wheel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part fixed to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FIG. 9 is a side view coupled to FIG.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1)의 전동구동륜(3)이 설치된 상기 고정몸체부(10)를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고정부(20)를 통해 상기 고정몸체부(10)에 휠체어(1)의 전동구동륜(3)을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고정몸체부(10) 및 상기 고정부(2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fixed body portion 10 on which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of the wheelchair 1 is installe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and in particular, the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of the wheelchair 1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xed body 10 through the fixing part 20 in a one-touch manner, and further, the fixed body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the simple structure.

도 10 내지 도 12는 고정몸체부에 전동구동륜의 허브모터에 구비된 축부재가 삽입고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haft member provided in a hub motor of an electric driving wheel is inserted and fixed to a fixed body portion.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111)의 전측방향의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전측부 내부에 고정홈(112) 및 가이드공(113)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5 , a fixing groove 112 and a guide hole 113 are form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 Each may be sequentially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고정홈(112)과 상기 삽입구(111) 사이에 상기 고정홈(112) 및 상기 삽입구(111)와 연통되는 상기 가이드공(113)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112)의 내경크기는 상기 가이드공(113)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13 communicating with the fixing groove 112 and the insertion hole 11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groove 112 and the insertion hole 111 , and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groove 112 .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13 .

상기 고정부(20)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관(210), 전후이동축(220), 노브(230), 지지턱(240), 탄성부재(250) 및 걸림고정축(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ing part 20 is large, as shown in FIGS. 2 to 5 and 10 to 12 , a fixing tube 210 ,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 a knob 230 , a support jaw 240 , and elastic.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mber 250 and a locking shaft 260 .

상기 고정관(210)의 후측은 일예로,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고정홈(112)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된 상태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fixing tube 210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2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while being screwed to a predetermined depth, for example.

상기 고정관(210)의 내부에는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가이드공(113)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11)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A guide groove 211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113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ixing tube 210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

상기 고정관(21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11)과 연통되는 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212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211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tube 210 .

상기 전후이동축(220)은 상기 축부재(311)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관(210)의 가이드홈(211)과 관통공(212)에 상기 고정관(2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211 and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xing tube 2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3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fixing tube 210 . can be

상기 노브(230)는 상기 전후이동축(220)의 전측에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210)의 전측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축(220)과 함께 전후이동할 수 있다.The knob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in various ways, such as by screwing,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tube 210 .

상기 지지턱(240)은 일예로, 상기 전후이동축(220)의 후측에 환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210)의 가이드홈(211)에 수용될 수 있다.The supporting jaw 240 is, for exampl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rear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211 of the fixing tube 210 .

환형형상의 상기 지지턱(240)의 외경크기는 상기 전후이동축(220)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jaw 240 of the annular shap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

상기 지지턱(240)은 상기 전후이동축(220)과 함께 전후이동할 수 있다.The support jaw 240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고정관(210)의 가이드홈(211)의 전측과 상기 지지턱(24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5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211 of the fixing tube 210 and the support jaw 240 .

상기 탄성부재(250)를 이룰 수 있는 스프링의 내측에 상기 전후이동축(220)이 수용될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may be accommodated inside a spring that can form the elastic member 250 .

상기 탄성부재(250)를 이룰 수 있는 스프링은 상기 전후이동축(220)을 상기 가이드홈(211)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A spring capable of forming the elastic member 250 may elastically suppor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211 .

상기 걸림고정축(260)은 상기 지지턱(240)의 전측의 반대측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가이드공(113)에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locking shaft 260 is formed 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jaw 240 and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side fixing body 110 in the guide hole 113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 can be accepted.

상기 걸림고정축(26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312)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locking shaft 26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312 of the shaft member 311 to be separably locked in the annular groove 312 .

상기 전동구동륜(3)의 허브모터(31)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축부재(311)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삽입구(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구(111)에 삽입될 수 있다.The shaft member 31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ub motor 31 of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ront fixed body 110 to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S. 10 and 11 .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while moving to.

상기 축부재(311)가 상기 삽입구(111)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축부재(311)와 상기 걸림고정축(260)이 서로 접하면서 상기 걸림고정축(260), 상기 지지턱(240), 상기 전후이동축(220 및 상기 노브(230)가 상기 고정관(2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전진 및 상기 탄성부재(250)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축(260)의 후측이 반원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라운딩(R)처리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111)의 일측을 향한 상태인 상기 축부재(311)의 일단부부위에 환형의 경사면(311a)이 형성될 수 있다.While the shaft member 3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the shaft member 311 and the locking shaft 26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locking shaft 260, the support jaw 240, In order to allow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and the knob 230 to easily advance forward and outward of the fixing tube 210 and the elastic member 250 to be contracted, as shown in FIG. 10 , the locking fixing shaft An annular inclined surface 311a may be formed at one end portion of the shaft member 311 in a state toward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as well as the rounding (R) treatment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260 can form a semicircular shape there is.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의 경사면(311a)은 상기 삽입구(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구(111)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경사질 수 있다.The annular inclined surface 311a of the shaft member 311 may gradually inclin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111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to the other direction.

도 12에서 상기 걸림고정축(260)의 후측방향에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이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5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걸림고정축(260), 상기 지지턱(240), 상기 전후이동축(220 및 상기 노브(230)가 상기 고정관(210)의 후측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면서 상기 걸림고정축(260)의 후측이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When the annular groove 312 of the shaft member 311 is position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locking shaft 260 in FIG. 12, the locking shaft 260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0, As the support jaw 240 , the front and rear movement shaft 220 , and the knob 230 move backwar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xing tube 210 , the rear side of the locking fixing shaft 260 is an annular groove of the shaft member 311 . It may be lock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312 .

이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1)를 사용하는 사용자, 보호자,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걸림고정축(260), 상기 지지턱(240), 상기 전후이동축(220 및 상기 노브(230)가 다시 상기 고정관(2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전진될 경우, 상기 걸림고정축(260)의 후측이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삽입구(1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축부재(311)가 분리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locking shaft 260, the support jaw 240,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220 and the knob 230 are again moved to the fixing tube 210 by a user, a guardian, or an administrator who uses the wheelchair 1 in this state. ), the rear side of the locking fixing shaft 260 may be separated from the annular groove 312 of the shaft member 311 when it is advanced while being pulled outwardly on the front side thereof, thereby causing the front side fixing body 110 of the The shaft member 311 may be separated in an out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

다음으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에 삽입된 상기 축부재(311)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의 일측에 상기 삽입구(111)와 연통되는 다각형 형상의 회전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easily prevent the shaft member 31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from being rotated in place, FIGS. 1, 2, 4 to 6 and 10 . 12 to 12 , a polygonal anti-rotation groove 114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1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311)의 환형홈(312)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311)의 타측 부위에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회전방지홈(114)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홈(114)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헤드부재(313)가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anti-rotation groove 114 of the fixed body 10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member 311 adjacent to the annular groove 312 of the shaft member 311 . A head member 313 that is formed in a shape and is detachably fitted and fixed 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114 may be formed.

상기 전동구동륜(3)의 허브모터(31)의 하우징(32)의 측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하우징(33)의 타측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보조하우징(33)의 일측과 상기 축부재(311)의 타측 사이에 상기 헤드부재(313)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33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32 of the hub motor 31 of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s shown in FIG. 6, and the auxiliary housing 33 ), the head member 313 may be integrally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shaft member 311 and the other side of the shaft member 311 .

도 13은 고정몸체부의 후측부 내측에 휠체어의 프레임이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다음으로,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에 상기 고정몸체부(10)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보조고정부(3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n auxiliary fixing part 30 for stably fixing the fixed body part 10 to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without shaking may be provided.

상기 보조고정부(3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보조고정부(310)와 하부보조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auxiliary fixing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auxiliary fixing unit 310 and a lower auxiliary fixing unit 320 .

상기 상부보조고정부(310)는 일예로, 상기 고정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전측부 상부에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고정구(115)에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auxiliary fixing part 310 is, for example, the fixed body part 10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fixing body 110 of the fixing body part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20 . It may be made of a fixing bolt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ody portion 10 is movably scr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e fixing member 115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하부보조고정부(320)는 일예로, 상기 고정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전측부 하부에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고정구(115)에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auxiliary fixing part 320 is, for example,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110 of the fixed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20, the fixed body part 10. It may be made of a fixing bolt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ody portion 10 is movably scr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e fixing member 115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보조고정부(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전면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3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

다음으로, 상기 축부재(311)의 외경크기는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에 상기 고정몸체부(10)를 흔들림없이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111)에 삽입된 상기 축부재(311)가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의 내경크기와 상기 축부재(311)의 외경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도 10의 L2)는 상기 축부재(3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도 10의 L1)와 동일한 것이 좋다.Next,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311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but the fixed body to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In order to prevent the shaft member 31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10 so that the part 10 can be fixed more stably without shaking,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311 are the same,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to the other side ( L 2 in FIG. 10 )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left and right length (L 1 in FIG. 10 )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haft member 311 .

도 14는 보조고정부로부터 고정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part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fixing part, and FIG. 1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

다음으로, 상기 보조고정부(30)의 후측이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전면 외주면에 점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되는 과정 중 상기 프레임(2)에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Next, there is a high risk of deformation in the frame 2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unit 3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 There is a probl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후측부 내측 즉,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와 제 2후측고정날개(122) 사이에 상기 보조고정부(30)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판부(40)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S. 14 and 15 , the in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10 , that is, between the first rear side fixed blade 121 and the second rear side fixed blade 122 . A fixing plate portion 40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30 may be provided.

일예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고정구(115)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구비된 상기 보조고정부(30)의 후측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고정부(30)의 후측에 상기 보조고정부(30)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원형형상의 판부재(330)가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30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screwed to the fixing part 115 of the fixing body part 10 is the front outside of the front fixing body 110 of the fixing body part 10 . A circular plate member 330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along the auxiliary fixing unit 30 at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unit 30 in a state exposed for a certain length in the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and fixing. .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40)는 일예로, 상부고정판(410)과 하부고정판(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part 40 may include, for example, an upper fixing plate 410 and a lower fixing plate 420 .

상기 상부고정판(410)은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의 상부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의 상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plate 410 may be provid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side fixing blade 12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ar side fixing blade 122 .

상기 상부고정판(410)의 전면 중앙에는 환형형상의 링부재(430)가 형성될 수 있다.An annular ring member 43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

상기 하부고정판(420)은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121)의 하부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122)의 하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plate 420 may be provid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ar fixing blade 121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ar fixing blade 122 .

상기 하부고정판(420)의 전면 중앙에도 환형형상의 링부재(430)가 형성될 수 있다.An annular ring member 430 may also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420 .

도 16은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판부가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430)의 내측에 상기 판부재(330)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링부재(430)의 전측은 상기 링부재(43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member 330 is rotatably accommodated inside the ring member 430 , the front side of the ring member 4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ing member 430 . can be bent.

상기 링부재(430)의 후측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410)의 전면 중앙과 상기 하부고정판(420)의 전면 중앙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ring memb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and the front center of the lower fixing plate 420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and fixing, respectively.

상기 고정판부(40)의 후면이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전면 외주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된 밀착고정될 수 있어 상기 프레임(2)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40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in a larger area to prevent deformation in the frame 2 with high efficiency can do.

도 17은 보강프레임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부가 보조고정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late part having a reinforcing frame formed thereon is separated from an auxiliary fixing part, and FIG. 1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17 .

다음으로, 상기 휠체어(1)에 착석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휠체어(1)의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프레임(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reinforcing frame 41 for improving the support force of the fixed body 10 with respect to the load appli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 by the user seated in the wheelchair 1 will be further provided. can

먼저,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40)의 상부고정판(410)이 상부는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7 and 18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of the fixing plate 40 extends vertically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fixing body 110 of the fixing body 10 by a certain length. to be exposed in the upper oute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110 .

상기 보강프레임(41)은 상기 고정판부(40)의 상부고정판(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전면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4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of the fixing plate 40 to be closely fixed to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

상기 보강프레임(41)은 일예로, 크게, 일측보강리브(411), 타측보강리브(412) 및 하부보강판(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41 may include, for example, one side reinforcing rib 411 , the other reinforcing rib 412 , and a lower reinforcing plate 413 .

상기 일측보강리브(411)는 상기 고정판부(40)의 상부고정판(410)의 상부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one-side reinforcing rib 411 may be vertically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of the fixing plate part 40 .

상기 타측보강리브(412)는 상기 고정판부(40)의 상부고정판(410)의 상부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reinforcing rib 412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ixing plate 410 of the fixing plate part 40 .

상기 하부보강판(413)은 상기 일측보강리브(411)의 하부와 상기 타측보강리브(412)의 하부 사이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면 후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lower reinforcing plate 413 is formed horizontally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one side reinforcing rib 41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reinforcing rib 412, and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10 is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10 . can be mounted on

도 19는 보강프레임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부가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part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삽입구(111)에 전동구동륜(3)의 축부재(311)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몸체부(10)에 상기 전동구동륜(3)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1)에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하부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haft member 311 of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ed body 10 and the electric driving wheel 3 is installed in the fixed body 10, the wheelchair 1 ), the load of the user may be applied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as shown in FIG. 19 .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2)의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전측고정몸체(110)의 전측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front fixed body 110 of the fixed body part 10 is gradually moved upwards of the front fixed body 110 by the user's load appli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2 of the wheelchair 1 . can be rotated.

이로 인해,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프레임(2)의 전면 외주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는 상기 전측고정몸체(110)의 상부 및 일측보강리브(411), 타측보강리브(412)의 밀착세기가 점차 커지면서 상기 휠체어(1)의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pper and one side reinforcing ribs of the front fixed body 110 are vertically extended for a certain length in the upper oute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110 and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2 in a larger area. (411), as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other side reinforcing rib 412 gradually increases, the support force of the fixed body 10 for the load appli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 can be further improved.

10; 고정몸체부, 20; 고정부.10; Fixed body portion, 20; fixed part.

Claims (9)

전측부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동구동륜의 허브모터의 측면에 구비 및 외주면에 환형홈이 형성된 축부재가 상기 삽입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후측부 내측에 휠체어의 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축부재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서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축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An insertion hole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side the front side, and a shaft member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ub motor of the electric drive wheel and an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n a fixed body part in which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side;
A locking shaft tha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of the shaft member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and is detachably hooked and fixed in the annular groove.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는 상기 축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상기 삽입구가 내부에 형성되는 전측고정몸체와;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 1후측고정날개 및 제 2후측고정날개로 구성되는 후측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후측고정날개와 상기 제 2후측고정날개 사이에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body portion includes a front fixed body in which the shaft membe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with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 rear fixed wing comprising a first rear fixed wing and a second rear fixed wing respectively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fixed body become,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rear fixed wing and the second rear fixed w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측부에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 및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고정홈에 후측이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관과;
상기 축부재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과 관통공에 상기 고정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전후이동축과;
상기 전후이동축의 전측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의 전측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축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노브와;
상기 전후이동축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에 수용되고, 상기 전후이동축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지지턱과;
상기 고정관의 가이드홈의 전측과 상기 지지턱의 전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전후이동축이 수용되며, 상기 전후이동축을 상기 가이드홈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턱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가이드공에 상기 전측고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후측이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형홈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3. The method of claim 2,
A fixing groove and a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xing groove and the insertion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ont fixing body in the front part of the front fixing body,
The fix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with a rear 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ixing groove of the front fixing body, and a guid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of the front fixing body therein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ing body. a fixing tube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in the;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through-hole of the fixed tube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 knob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xed tube;
a support jaw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fixed tube, and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of the fixed tube and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jaw,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haft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I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jaw and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hole of the front fixed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fixed body, and the rear side moves in the annular groove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and is separably caught in the annular groove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일측에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다각형 형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환형홈과 인접한 상기 축부재의 부위에 상기 고정몸체부의 회전방지홈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헤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A polygonal anti-rot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portion,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member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the portion of the shaft member adjacent to the annular groove of the shaft member to be detachably fit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on groove is formed. One-touch fixing bracket for u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측부에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Auxiliary height that is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ed body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fixed portion, moves in the fram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nd is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Government;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내경크기와 상기 축부재의 외경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are the s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삽입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축부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ody is the same as the left and right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haft memb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후측부 내측에 상기 보조고정부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One-touch fixing bracket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wheelchair in close contac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의 상부에 보강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9. The method of claim 8,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KR1020210151066A 2021-11-05 2021-11-05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KR102375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66A KR102375086B1 (en) 2021-11-05 2021-11-05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66A KR102375086B1 (en) 2021-11-05 2021-11-05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086B1 true KR102375086B1 (en) 2022-03-16

Family

ID=8093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066A KR102375086B1 (en) 2021-11-05 2021-11-05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08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404A (en) * 2009-11-27 2011-06-09 Sadao Sakugi Electric wheelchair
KR101715293B1 (en)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e auxiliary device of wheelchair
KR20200137756A (en) * 2019-05-31 2020-12-09 김윤자 wheel mounted device of wheelchair
KR102232781B1 (en) * 2019-04-16 2021-03-26 (주)마이벨로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102235508B1 (en) * 2019-09-26 2021-04-02 (주)마이벨로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20210115507A (en) * 2020-03-13 2021-09-27 (주)마이벨로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404A (en) * 2009-11-27 2011-06-09 Sadao Sakugi Electric wheelchair
KR101715293B1 (en)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e auxiliary device of wheelchair
KR102232781B1 (en) * 2019-04-16 2021-03-26 (주)마이벨로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20200137756A (en) * 2019-05-31 2020-12-09 김윤자 wheel mounted device of wheelchair
KR102235508B1 (en) * 2019-09-26 2021-04-02 (주)마이벨로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20210115507A (en) * 2020-03-13 2021-09-27 (주)마이벨로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6055A (en) Wheel with coaxial drive system mounted in the wheelhub field of the invention
KR101972799B1 (en) Attachable wheelchair assistive device that applies the self-energizing effect
KR101715293B1 (en) Drive auxiliary device of wheelchair
GB2061197A (en) Modular wheel chair
KR102375086B1 (en) One-touch fixing bracket for wheelchair
KR102232781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100933303B1 (en) Apparatus for bicycle
KR102047096B1 (en) Wheelchairs With Removal Electric Driving devices
KR20120096118A (en) Passivity and electro motion wheelchairs
KR102384455B1 (en)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102265686B1 (en) Propulsion assist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applying mechanical self-energizing effect
KR102235508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KR20170101398A (en)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detachable driving device
KR20070034760A (en) Tilt angle adjusting device for electric wheelchair chair
ES2321456T3 (en) ADDITIONAL DRIVE DEVICE FOR MANUAL WHEELCHAIRS.
KR100472749B1 (en) Multi skill a wheel chair
CN214967911U (en) Electric wheelchair
CN212235014U (en) Foldable wheelchair
KR20200137756A (en) wheel mounted device of wheelchair
KR102498690B1 (en) Drive module an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CN111374842A (en) Foldable wheelchair
JP4214552B2 (en) Assembled electric wheelchair and electric wheelchair assembling method
CN113397844A (en) Walking aid
KR101772509B1 (en) electric wheelchair having easy-steering and no-central axis
CN213157114U (en) Wheelchair auxiliary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