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974B1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974B1
KR102374974B1 KR1020210118754A KR20210118754A KR102374974B1 KR 102374974 B1 KR102374974 B1 KR 102374974B1 KR 1020210118754 A KR1020210118754 A KR 1020210118754A KR 20210118754 A KR20210118754 A KR 20210118754A KR 102374974 B1 KR102374974 B1 KR 10237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cc
whitening
lactic acid
cosmetic composition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지
양정우
반오현
김광섭
박현민
Original Assignee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21011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산균 미백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 [기탁번호: ATCC BAA-2838]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기탁번호: ATCC BAA-28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Bifidobacterium bifidum IDCC 4201}
본 발명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백은 전 세계 화장품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 피부의 두께, 피로,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 중 멜라닌(melanin)이라는 피부 색소에 의한 영향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 있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합성되며, 주요 합성경로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여러 산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멜라닌의 정상적인 생합성은 자외선(UV) 조사, 산화 스트레스 등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면 기미, 주근깨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고 피부암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자극으로부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핵심 효소인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여 피부 과색소 침착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노력으로 종래에는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등이 화장품 첨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tyrosinase 효소 활성 저해를 위한 천연물 개발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피부 안전성, 제형 안정성 및 불충분한 미백효과로 인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거나 사용량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뷰티시장에서 박테리아나 효모와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다.
유산균은 인체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로써 정장 작용(intestinal regulation)뿐 아니라 항균 활성, 면역 증강 등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을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는 예가 증가하면서 유산균이 피부 보습과 노화 방지 등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유산균 발효산물에 대한 피부 미백 효능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2770호 (2014년 10월 22일 공고)
본 발명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 미백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 [기탁번호: ATCC BAA-2838]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기탁번호: ATCC BAA-28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산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0.01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Melan-A 세포를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의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색으로 비교한 그림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기능을 가진 미백 유산균을 포함한다. 미백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 [기탁번호: ATCC BAA-2838]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기탁번호: ATCC BAA-28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미백 유산균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100중량%, 10중량% 내지 80중량%, 20중량% 내지 80중량% 또는 30중량% 내지 70중량%는 발효산물(supernatants) 형태일 수 있다.
미백 유산균은 티로신을 DOPA로 전환하는 티로시나아제의 억제 활성이 우수한다. 또한 미백 유산균은 DOPA를 dopaquinone으로 전환하는 티로시나아제의 억제 활성이 우수하다.
미백 유산균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를 통해 멜라닌 생성량을 줄임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유산균 균주는 용해물 형태로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용해물은 물리적 접촉을 통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해 전에 유산균 균주는 배양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MRS 배지, BL한천배지, BCP첨가 평판측정용배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배양될 수 있다. 용해물은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 액체, 에멀젼,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균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유산균의 화장품 조성물에서의 함량은 0.01 내지 50중량%, 0.01 내지 20중량%, 0.01 내지 10중량%, 1 내지 10중량%, 0.5 내지 5중량% 또는 0.1 내지 1중량% 일 수 있다.
미백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모두 포함할 경우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질량은 플란타럼 IDCC 3501 질량의 1 내지 99%, 10 내지 90%, 20 내지 80% 또는 30 내지 7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프로바이오틱스 발효산물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은 김치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 3302,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IDCC 3451,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IDCC 4101,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IDCC 4401은 모유를 먹인 유아의 대변에서 분리하였다.
모든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자체 생산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하였고, 4×109~1010CFU/mL의 균을 원심분리하여 발효산물인 상등액을 얻었다.
미백 유산균 피부미백 효과 확인
1)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확인(Tyrosinase inhibition test)
티로신에 대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50%(v/v)와 100%(v/v) 두 농도로 실험하였으며, 이중 50% 농도는 발효산물 용액을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1:1로 희석하였다. L-tyrosine과 tyrosinase(2,000 unit/mg)는 buffer에 각각 0.1 mg/mL, 500 unit으로 녹여 준비하였다. 50, 100% 두 농도 시료 40 ㎕를 L-tyrosine 80 ㎕, tyrosinase 80 ㎕와 혼합하여 200 ㎕의 테스트 볼륨을 완성하였고, 여기에 사용된 발효산물 용액은 10%와 20%(v/v)이였다. 혼합액을 96 well plate에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뒤 SpectraMax ABS Plus Microplate Readers(Molecular Devices,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은 다음 계산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측정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03238251-pat0000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농도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은 다른 균주들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59.1%로 가장 우수하였고, 20% 농도에서도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86.5%로 가장 두드러졌다. 10%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28%에 불과하였으나, 20% 농도에서는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73.3%로 다른 균주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멜라닌 생성 억제 확인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검사를 위한 시료는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높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과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거의 없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배양액의 2% 농도로 사용하였다. Melan-a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 cells/well로 분주한 후,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과 시료를 함께 처리하고,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SpectraMax ABS Plus Microplate Readers(Molecular Devices,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양성대조군으로 β-알부틴 100 ppm과 음성대조군으로 α-MSH 200 nM을 사용하였다. 멜라닌 생성 정도의 육안 비교를 위한 사진 및 측정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알부틴은 대조군(control)과 α-MSH에 비해 옅은 색을 띠었으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과 달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에서도 β-알부틴과 유사하게 옅은 색을 보였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알부틴은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음성대조군 α-MSH는 멜라닌을 과다하게 생성하였다. α-MSH과 함께 세포에 처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는 멜라닌 생성에 낮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은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 미백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 [기탁번호: ATCC BAA-2850]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산물 형태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미백성분은,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0.01 내지 2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8754A 2021-09-07 2021-09-07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54A KR102374974B1 (ko) 2021-09-07 2021-09-07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54A KR102374974B1 (ko) 2021-09-07 2021-09-07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974B1 true KR102374974B1 (ko) 2022-03-17

Family

ID=8093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54A KR102374974B1 (ko) 2021-09-07 2021-09-07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9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943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알엔에이 유산균 파쇄물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항 염증, 피부 미백 및 항 노화용 조성물
KR20140023675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2013-02-25 2014-10-22 우리들제약(주)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2827A (ko) * 2019-11-01 2021-05-11 (주)정 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3479B1 (ko) * 2020-12-30 2021-06-10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943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알엔에이 유산균 파쇄물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항 염증, 피부 미백 및 항 노화용 조성물
KR20140023675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2013-02-25 2014-10-22 우리들제약(주)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2827A (ko) * 2019-11-01 2021-05-11 (주)정 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3479B1 (ko) * 2020-12-30 2021-06-10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875B2 (en)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12421A1 (ko)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2569150B (zh) 包含幼苗人参发酵物的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53057B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JP2002187838A (ja) 皮膚外用剤
KR102074383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417383B (zh) 包含食鹿角菜假交替单孢菌的培养物或其提取物的用于皮肤美白用组合物
KR102374974B1 (ko)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idcc 4201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439A (ko)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5289A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7198A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394642B1 (ko) 바실러스 화진포엔시스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67567A (ko) 와일드프란지파니꽃 및 진퍼리하늘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1724B1 (ko) 슈도알터로모나스 펩티도라이티카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54911B1 (ko) 아미그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8176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유산균 hk9 복합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40058357A (ko) 유산균 복합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8358A (ko)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259157B2 (ja) 皮膚外用剤
KR20230147236A (ko) 바다포도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