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669B1 -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669B1
KR102374669B1 KR1020150111798A KR20150111798A KR102374669B1 KR 102374669 B1 KR102374669 B1 KR 102374669B1 KR 1020150111798 A KR1020150111798 A KR 1020150111798A KR 20150111798 A KR20150111798 A KR 20150111798A KR 102374669 B1 KR102374669 B1 KR 10237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pad
strut
disposed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618A (ko
Inventor
박한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6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5Joining by conical or compressed rubber clamping inserts as 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트럿 베어링 및 스프링 패드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쇽업소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프링 패드와, 상기 스프링 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트럿 베어링과,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에 결합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체를 지지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차체(chassis of the automobile) 측과 차륜 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하중을 탄성 지지하여서, 상기 차륜으로부터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자동차의 서스펜션 중 맥퍼슨형 서스펜션은 쇽업소버를 포함한다. 상기 쇽업소버는 상기 차륜 측에 연결되는 스트럿 튜브와, 상기 스트럿 튜브 내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차체 측에 연결되는 스트럿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륜으로부터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스트럿 로드가 상기 스트럿 튜브 내로 삽입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럿 튜브의 둘레면에는 스프링 시트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트럿 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럿 로드를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인슐레이터가 결합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측에는 스트럿 베어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 베어링의 하측에는 스프링 패드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스프링 시트 사이에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쇽업소버 작동시에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고물재질인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트럿 베어링으로부터 들뜨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 패드가 상기 스트럿 베어링으로부터 들뜨는 경우, 상기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스트럿 패드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스프링 패드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럿 베어링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쇽업소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프링 패드와, 상기 스프링 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트럿 베어링과,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에 결합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스프링 패드 및 스트럿 베어링이 인서트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패드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럿 베어링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패드 및 스트럿 베어링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워 케이스의 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서트의 상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 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10)와, 쇽업소버(10)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된 스프링(30)과, 쇽업소버(10)를 차체(chassis of the automobile)에 연결하는 인슐레이터(40)를 포함한다.
쇽업소버(10)는 차륜 측에 연결되는 스트럿 튜브(12)와, 스트럿 튜브(12)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트럿 튜브(12)에 결합되는 스트럿 로드(14)를 포함한다. 스트럿 튜브(12)의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고, 스트럿 로드(14)의 상단은 인슐레이터(40)를 통해 상기 차체에 연결된다. 상기 차륜으로부터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스트럿 로드(14)의 하단부가 스트럿 튜브(1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상기 스트럿 튜브(12) 내부의 유압에 의해 상기 진동이 흡수된다.
스트럿 로드(14)의 외측 둘레면에는 스트럿 로드(14)가 스트럿 튜브(12) 내로 삽입되는 길이를 규제하는 범프 스토퍼(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범프 스토퍼의 외측 둘레면에는 더스트 커버(24)가 배치된다.
스트럿 튜브(12)의 외측 둘레면에는 스프링 시트(32)가 고정 결합된다. 또한, 스트럿 로드(14)의 외측 둘레면에는 스프링 패드(34)가 스트럿 로드(14)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프링 패드(34)는 스프링(30)의 상단에 안착된다.
스프링(3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34) 및 스프링 시트(3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스프링(30)의 하단은 스프링 시트(32) 위에 안착되고, 스프링(30)의 상단은 스프링 패드(34) 밑에 접촉되어 스프링 패드(34)를 지지한다. 스트럿 로드(14)의 하단부가 스트럿 튜브(12)의 내부로 삽입될 때, 스프링(30)이 압착되게 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30)은 상기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인슐레이터(40)는 스트럿 로드(14)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스트럿 로드(14)를 상기 차체에 연결한다. 인슐레이터(40)는 스트럿 로드(14)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컵 부재(42)와, 한 쌍의 컵부재(42)의 외측 둘레면에 결합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44)와, 탄성부재(44)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컵부재(42)는 바닥면이 서로 맞대어 있는 컵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컵부재(42) 중 하측에 배치되는 것은 뒤집혀 세워져 있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개구된다. 그리고, 한 쌍의 컵부재(42) 중 상측에 배치되는 것은 똑바로 세워져 있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개구된다.
스트럿 로드(14)의 상단부가 하측의 컵부재(42)로 삽입되어, 한 쌍의 컵부재(42)의 가운데를 관통한 후, 상측의 컵부재(42)의 개구된 상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스트럿 로드(14)의 상단부는 너트(1)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인슐레이터(40)는 스트럿 로드(14)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범프 스토퍼가 하측의 컵부재(4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의 컵부재(42)의 하단은 더스트 커버(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범프 스토퍼 및 더스트 커버(2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차륜으로부터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쇽업소버(10) 및 스프링(30)이 작동될 때, 탄성부재(44)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44)는 상기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여서 상기 진동이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킨다.
연결부재(46)는 탄성부재(44)의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부재(46)는 탄성부재(44)보다 경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46)는 스틸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재질의 탄성부재(44)를 금형 내에서 성형할 때 상기 금형 내에 연결부재(46)를 인서트하여, 탄성부재(44) 및 연결부재(4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 내에서 탄성부재(44) 및 연결부재(4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재(46)는 탄성부재(44)보다 열변형 온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6)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3)를 통해 상기 차체에 결합되어서, 인슐레이터(40)가 스트럿 로드(14)를 상기 차체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44)가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슐레이터(40)의 하측에는 탄성부재(44)의 변형을 돕는 스트럿 베어링(50)이 배치된다. 스트럿 베어링(50)은 스프링 패드(34) 및 인슐레이터(40)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패드 및 스트럿 베어링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프링 패드(34) 및 스트럿 베어링(50) 사이에는 인서트(60)가 배치된다. 인서트(60)는 스프링 패드(34) 및 스트럿 베어링(50)에 결합되어 스프링 패드(34) 및 스트럿 베어링(50)을 일체화시킨다. 스프링 패드(34) 및 스트럿 베어링(50)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프링(30)의 탄성력이 스프링 패드(34)에 작용하더라도, 스프링 패드(34)는 스트럿 베어링(50)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스트럿 베어링(50) 및 스프링 패드(34)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트럿 베어링(50)은 어퍼 커버(51)와, 로워 커버(52)와,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링 부재(53)와, 어퍼 커버(5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어퍼 케이스(54)와, 로워 커버(52)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어퍼 케이스(54)와 결합되는 로워 케이스(55)를 포함한다.
링 부재(53)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에 의해 감싸여진다.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는 링 부재(53)를 감싸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스트럿 베어링(50)이 인슐레이터(40)로부터 하중을 받을 시에 링 부재(53)가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 사이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링 부재(53)를 감싸는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 사이에는 윤활유가 충진되어, 인슐레이터(40)의 탄성부재(44)가 변형될 때 탄성부재(44)의 변형력에 의해 스트럿 베어링(50)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어퍼 케이스(54)의 상측면은 탄성부재(44)의 하측면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고, 로워 케이스(55)는 일부가 스프링 패드(34) 내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프링 패드(34) 위에 안착된다.
어퍼 커버(51), 로워 커버(52) 및 링 부재(5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 커버(51), 로워 커버(52) 및 링 부재(53)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어퍼 커버(51), 로워 커버(52) 및 링 부재(53)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틸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퍼 케이스(54) 및 로워 케이스(55)는 고분자 화합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 케이스(54) 및 로워 케이스(55)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어퍼 케이스(54) 및 로워 케이스(55)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 패드(34) 및 인서트(60)는 고무가류로 접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 패드(34) 및 인서트(60) 사이에는 스프링 패드(34) 및 인서트(60)를 고무가류로 접착한 접착부재(70)가 배치된다. 접착부재(70)는 금형 내에서 고무 용액이 스프링 패드(34) 및 인서트(60) 사이로 흘러들어간 후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패드(34)는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로워 케이스(55)는 스프링 패드(34)보다 경질인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고무가류시에 플라스틱재질은 금속재질보다 표면접착력이 낮다. 따라서, 스프링 패드(34)를 로워 케이스(55)에 고무가류로 접착할 때 로워 케이스(55)보다 표면 접착력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인서트(60)를 스프링 패드(34) 및 로워 케이스(55) 사이에 삽입하여, 고무재질인 스프링 패드(34)가 금속재질인 인서트(60)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럿 베어링(50) 및 스프링 패드(34)를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워 케이스의 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로워 케이스(55)는 중공의 제1 중공부(55a)와, 제1 중공부(55a)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55b)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부(55b)의 하측면에는 인서트(6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55c)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55c)는 제1 플랜지부(55b)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로워 케이스(55)의 제1 플랜지부(55b)의 상측면에는 어퍼 케이스(5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어퍼 케이스(54)와 결합되는 결합돌기부(55d)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부(55d)가 어퍼 케이스(5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부(55d)의 내측면에는 돌기(55e)가 돌출 형성되고, 어퍼 케이스(54)에는 돌기(55e)와 맞물리는 돌기(54i)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부(55d)가 어퍼 케이스(54) 내로 삽입된 상태일 때, 돌기(55e)는 돌기(54i)보다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어퍼 케이스(54)는 결합돌기부(55d)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로워 커버(52)는 결합돌기부(55d)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서트의 상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60)는 로워 케이스(55)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즉, 인서트(60)는 제1 중공부(55a)가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중공부(60a)와, 제2 중공부(60)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플랜지부(55b)가 안착되는 제2 플랜지부(60b)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부(60b)에는 로워 케이스(55)에 형성된 결합돌기(55c)가 삽입되는 결합홀(60c)이 형성된다. 결합돌기(55c)가 결합홀(60c)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로워 케이스(55) 및 인서트(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60b)의 상측면에는 포밍부(60d)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홀(60c)은 포밍부(60d)에 형성된다.
상기 금형 내에서 스프링 패드(34) 및 인서트(60)를 고무가류로 접착시에, 결합돌기(55c)는 인서트(60)와 함께 스프링 패드(34)에 고무가류로 접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 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 패드(34)는 인서트(6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제2 중공부(60a)가 삽입되는 중공의 제3 중공부(34a)와, 제3 중공부(34a)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플랜지부(60b)가 안착되는 제3 플랜지부(34b)를 포함한다. 제3 중공부(34a)는 코일형상의 스프링(30)의 내로 삽입 배치된다.
제3 플랜지부(34b)의 상측면에는 어퍼 케이스(54) 및 로워 케이스(55) 사이의 일측을 실링하는 실링부(34c)가 돌출 형성된다. 어퍼 케이스(54) 및 로워 케이스(55) 사이의 타측은 별도의 실링부재(56)가 실링한다.
실링부재(56)와 스프링 패드(34)에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34c)는, 어퍼 커버(51) 및 로워 커버(52) 사이에 충진된 윤활유가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는, 스프링 패드(34) 및 스트럿 베어링(50)이 인서트(6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패드(34)가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럿 베어링(50)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너트 3: 체결부재
10: 쇽업소버 12: 스트럿 튜브
14: 스트럿 로드 24: 더스트 커버
30: 스프링 32: 스프링 시트
34: 스프링 패드 34a: 제3 중공부
34b: 제3 플랜지부 34c: 실링부
40: 인슐레이터 42: 컵부재
44: 탄성부재 46: 연결부재
50: 스트럿 베어링 51: 어퍼 커버
52: 로워 커버 53: 링 부재
54: 어퍼 케이스 54i: 제1 돌기
55: 로워 케이스 55a: 제1 중공부
55b: 제1 플랜지부 55c: 결합돌기
55d: 결합돌기부 55e: 제2 돌기
56: 실링부재 60: 인서트
60a: 제2 중공부 60b: 제2 플랜지부
60c: 결합홀 60d: 포밍부
70: 접착부재

Claims (12)

  1. 쇽업소버의 둘레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프링 패드;
    상기 스프링 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홀이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는, 상기 스프링 패드로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포밍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포밍부에 형성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인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인서트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고무 용액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인서트 사이로 흘러들어간 후 경화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베어링은,
    어퍼 커버와,
    로워 커버와,
    상기 어퍼 커버 및 로워 커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링 부재와,
    상기 어퍼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어퍼 케이스와,
    상기 로워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와 결합되는 로워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기 어퍼 케이스 및 상기 로워 케이스 사이의 일측을 실링하는 실링부가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으로 삽입되는 중공의 제3 중공부와, 상기 제3 중공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실링부가 형성되는 제3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 케이스 및 상기 로워 케이스 사이의 타측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워 케이스는,
    중공의 제1 중공부와, 상기 제1 중공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12. 스트럿 튜브;
    상기 스트럿 튜브의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럿 로드;
    상기 스트럿 로드와 차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럿 로드를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스트럿 튜브의 둘레면에 결합된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 위에 안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 패드;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스프링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 및 상기 스트럿 베어링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홀이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는, 상기 스프링 패드로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1020150111798A 2015-08-07 2015-08-07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10237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98A KR102374669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98A KR102374669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18A KR20170017618A (ko) 2017-02-15
KR102374669B1 true KR102374669B1 (ko) 2022-03-14

Family

ID=5811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798A KR102374669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364B1 (ko) * 2017-10-24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2032720B1 (ko) * 2018-02-02 2019-10-16 고재영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CN111225808B (zh) * 2018-03-20 2023-01-1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平面轴承
KR102556714B1 (ko) * 2018-07-27 2023-07-18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DE102019201118A1 (de) 2019-01-29 2020-07-3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DE102019201119A1 (de) * 2019-01-29 2020-07-3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2841A1 (en) * 2009-12-10 2012-11-22 Richard Corbett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76A (ko) * 2001-09-18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킹핀축 가변이 가능한 스트러트 인슈레이터 마운트 구조
FR2936580B1 (fr) * 2008-09-26 2013-03-22 Skf Ab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associee
FR2954433B1 (fr) * 2009-12-23 2012-01-13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notamment pour jambe de forc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2841A1 (en) * 2009-12-10 2012-11-22 Richard Corbett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18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669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JP6637279B2 (ja) 懸架軸受装置、当該懸架軸受装置を備えた自動車及び製造方法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7938418B1 (en) Upper mount assembly for air spring suspensions
US6749047B2 (en) Dust cover mount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9581213B2 (en) Rolling bearing and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US7810619B2 (en) Fluid-pressure shock absorber
JP2016070502A (ja) 懸架軸受装置、当該懸架軸受装置を装着した自動車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20160089223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US10253840B2 (en) Cylinder apparatus
KR10250722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US9951841B2 (en) Damping flui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0803151B1 (ko) 쇽 업소버
KR101162304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JP2008230447A (ja) アッパーサポート及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に対するアッパーサポートの取付構造
JPH0361843B2 (ko)
KR20060089000A (ko) 쇽업소버용 범퍼러버
KR100811722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JP6419956B2 (ja) 減衰流体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31044B1 (ko) 공기현가장치
KR101378149B1 (ko) 슬라이드 부시
CN116653515A (zh) 用于悬架的弹簧垫
JP4202735B2 (ja) 液体封入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15121295A (ja) トルクロ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