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20B1 -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720B1
KR102032720B1 KR1020180013322A KR20180013322A KR102032720B1 KR 102032720 B1 KR102032720 B1 KR 102032720B1 KR 1020180013322 A KR1020180013322 A KR 1020180013322A KR 20180013322 A KR20180013322 A KR 20180013322A KR 102032720 B1 KR102032720 B1 KR 10203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nge
sealing
suspension strut
stru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917A (ko
Inventor
고재영
Original Assignee
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영 filed Critical 고재영
Priority to KR102018001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7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부가 확장부의 대접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걸림부 설치공의 단턱에 안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및 패킹부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 및 패킹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하우징 및 상부스프링시트의 돌출부의 대접부위의 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며,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극대화시켜 회전으로 인한 찢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 및 패킹부의 간단한 구조변경을 통해 각 구성수단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극대화시켜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integral type suspension strut bearing therewith}
본 발명은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일체형 이용한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3차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 실링부 및 패킹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패킹부를 하우징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차량 현가장치(서스펜션 Suspension)란, 차축 및 차체를 연결하여 차량 주행 시 타이어가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체의 손상을 억제함과 동시에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체 결방식이나 진동제어방식 등에 따라 맥퍼슨 스트럿(Mcpherson strut), 더블 위시본(Double wishbone), 멀티링크(Multi-link), 토션빔(Torsion beam) 등으로 분류되고, 특히 승용차에는 쇼크업소버를 서스펜션으로 사용하되, 스프링을 추가하여 차축에 연결하는 스크럿(Strut) 구조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 스트럿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종래의 서스펜션 스트럿(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의 너클(120)과 차체(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며, 핸들의 조향 시 너클(120)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유압작용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130)를 포함한다.
또한 서스펜션 스트럿(100)은 쇽업소버(130)의 단측에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140)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스트럿 마운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스트럿 마운트(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42) 및 하부플레이트(143)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142) 및 하부플레이트(143)가 볼트(145) 체결을 통해 차체(150)와 결합된다.
또한 스트럿 마운트(140)의 중앙으로는 쇽업소버(130)의 피스톤로드(132)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피스톤로드(132)는 쇽업소버(130)의 상부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된다.
또한 쇽업소버(130)의 외측에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36)이 장착되고, 코일스프링(136)은 상단측이 상부스프링시트(upper spring seat)(135)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스트럿 마운트(140)의 하부플레이트(143) 및 상부스프링시트(135) 사이에는 차륜의 조향 시 하부부재가 회동하여 너클(120) 및 쇽업소버(1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서스펜션 베어링(146)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스프링시트(135) 하부의 피스톤로드(132) 외주부에는 범퍼러버(bumper rubber)(133)가 설치되고, 범퍼러버(133)의 외측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인출된 피스톤로드(1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dust cover)(134)가 설치되는데, 범퍼러버(133)의 상단은 상부스프링시트(35)의 중앙 설치공으로 삽입되어 서스펜션 베어링(146)의 중공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부스프링시트(135)는 중앙이 상향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9)가 형성되며, 돌출부(139)의 돌출면의 중앙에는 범퍼러버(133) 및 피스톤로드(132)가 관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부스프링시트(135)의 돌출부(139)의 설치공으로는 서스펜션 베어링(146)의 하부 외주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스펜션 스트럿(100)은 상단이 자체(150)에 고정되어 차량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면, 피스톤로드(132)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하여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흡수 및 완화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136)의 탄성작용에 의해 또한 충격에너지가 완화되게 된다.
또한 차륜 조향 시 서스펜션 베어링(146)에 의하여 차체(130)에 대해 쇽업소버(130), 코일 스프링(136) 및 너클(12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서스펜션 베어링(146)은 축 방향의 하중을 받음과 동시에 서스펜션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러한 서스펜션 베어링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3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38743호(발명의 명칭 :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서스펜션 베어링 자이가 장착된 자동차 및 그 제작 장법)에 개시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는 롤링 베어링(220)과, 하부 컵(230), 상부 컵(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트럿(299)은 종래기술(200)과, 댐퍼 로드(Damper rod)(292), 서스펜션 스프링(293)을 포함한다.
롤링 베어링(220)은 하부 컵(230) 및 상부 컵(240) 사이에서 경계를 형성하는 챔버(212) 내에 위치되며, 외부 레이스(221), 내부 레이스(222), 롤링 용소(223) 및 케이지(224)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링 요소(223)는 케이지(224) 내에 위치된 볼(Ball)이며, 외부 레이스(221) 및 내부 레이스(222) 사이에서 기울어져 접촉된다.
하부 컵(230)은 서스펜션 스프링(293)을 위한 베어링 수단을 형성하며, 가용성 부재(260) 및 바디(2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디(250)는 관형의 축방향 부분(251)과, 환형의 외부방향 방사형 부분(25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요성 부재(260)는 댐퍼 패드(270) 및 2개의 밀봉부(280), (290)들을 포함한다.
또한 댐퍼 패드(270)는 하부 컵(230)의 바디(250)의 환형의 외부방향 방사형 부분(252) 및 축방향 부분(251)을 둘러싸듯이 형성된다.
또한 댐퍼 패드(270)는 몰딩 공정에 의해 바디(25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00)은 댐퍼 패드(270) 및 스프링(293)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댐퍼 패드(270)에 의한 스프링(293)의 지지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293) 사이의 진동 흡수, 소음 감소 및 하중 분배가 향상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밀봉부(280), (290)들이 내외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롤링 요소(223)의 구름현상 및 내구성 저하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베어링은 설치 시, 1)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컵의 하부가 상부스프링시트(135)의 설치공으로 삽입됨에 따라 하부 컵의 하부 외주부에 상부스프링시트가 결합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컵의 하부 외주부에 서스펜션 스프링(293)이 결합되며, 핸들의 조향에 따라 하부 컵이 상프스프링시트 또는 서스펜션 스프링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높은 마찰력을 받게 됨과 동시에 마찰이 지속되는 경우 이들 접촉부위가 마모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200)은 몰딩공정을 통해 하부 컵(230)에 댐퍼 패드(270)를 성형함으로써 댐퍼 패드(270)의 외측에 서스펜션 스프링(293)이 장착되어 지속적인 마찰로 인한 하부 컵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몰딩 공정을 통해 댐퍼 패드(270)를 하부 컵(230)과 일체형으로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하부 컵(230)의 재질인 폴리아미드 PA66과 댐퍼 패드(270)의 재질인 엘라스토머는 경화 이후 물성 차이로 인해 결속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댐퍼 패드(270) 및 하부 컵(230)의 사이의 결속이 해제되면, 핸들의 조향에 따라 하부 컵(23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댐퍼 패드(270)가 공회전하여 쇽업소버 및 너클을 회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댐퍼 패드(270)는 회전 시 서스펜션 스프링(293)과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부 컵(230)과의 결속력이 발생된 마찰력보다 낮거나 임계치 이하이면, 하부 컵(230)과 분리되어 공회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 베어링에 있어서, 댐퍼 패드 및 하부 컵 사이의 결속력은 차량의 성능 및 사고에 직결되나, 종래기술(200)에는 댐퍼 패드 및 하부 컵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구성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스펜션 베어링의 소망의 성능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패킹부가 확장부의 대접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걸림부 설치공의 단턱에 테두리가 안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및 패킹부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상금형, 하금형 및 슬라이드 코어들로 이루어지는 3차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하여 패킹부를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간단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 및 패킹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하우징 및 상부스프링시트의 돌출부의 대접부위의 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며,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극대화시켜 회전으로 인한 찢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하우징 및 패킹부의 간단한 구조변경을 통해 각 구성수단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극대화시켜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하우징 및 커버의 구조를 변경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실링부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철저하게 차단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금속볼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저하, 소음 발생 및 볼의 구름현상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장비 고장 및 불량률을 절감시켜 관리 및 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부가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에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와, 중공으로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로드가 통과되되 하부 외주면이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스프링시트의 중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돌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걸림부 설치공들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는 플렌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하부 외주면 및 하단부에 대접되며, 내주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패킹부 몸체; 상기 패킹부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며,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걸림부들이 돌출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렌지의 걸림부 설치공의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렌지의 상부면에 대접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렌지는 하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들 및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 삽입홈들이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홈들로 각각 삽입되는 제2 돌기들 및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들이 각각 삽입되는 제2 삽입홈들이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부는 사출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사출금형장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과,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고정측 형판 사이에 설치되어 수지가 이동하는 런너들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상코어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코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중앙 부싱을 포함하는 상금형; 가동측 형판과, 상기 가동측 형판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하코어와, 상기 가동측 형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이젝트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금형으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상금형은 상기 상코어의 돌출되는 면에 게이트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형폐 시, 상기 하코어에 장착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 설치공들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출금형장치는 슬라이드 코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들은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동방향의 단부에 반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코어몸체; 상기 슬라이드코어몸체를 지지 및 해제하는 앵귤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코어몸체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하우징의 플렌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은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렌지의 상부면의 테두리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외측실링홈과,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연결되는 내측실링홈과, 양단부가 상기 외측실링홈 및 상기 내측실링홈에 각각 연결되는 보강실링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실링공들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실링홈에 안착되는 외주연부와, 상기 외주연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링홈에 안착되는 내주연부와, 양단부가 상기 외주연부 및 상기 내주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실링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보강삽입부들과, 상기 외주연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플렌지의 상기 실링공들로 각각 삽입되는 안착돌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은 금속볼들과, 베어링 케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렌지가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금속볼이 안착되는 금속볼 안착홈들이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케이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금속볼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구 형상의 차단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차단공들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금속볼 안착홈들에 안착된 금속볼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 설치공은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1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상기 실링부는 1차 사출성형품인 하우징을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2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상기 패킹부는 2차 사출성형품인 실링부가 장착된 하우징을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3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패킹부가 확장부의 대접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걸림부 설치공의 단턱을 통과하여 테두리가 단턱에 안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및 패킹부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금형, 하금형 및 슬라이드 코어들로 이루어지는 3차 사출금형장치를 이용하여 패킹부를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간단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 및 패킹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하우징 및 상부스프링시트의 돌출부의 대접부위의 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며,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극대화시켜 회전으로 인한 찢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및 패킹부의 간단한 구조변경을 통해 각 구성수단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극대화시켜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및 커버의 구조를 변경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실링부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철저하게 차단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금속볼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저하, 소음 발생 및 볼의 구름현상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장비 고장 및 불량률을 절감시켜 관리 및 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 스트럿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럿 마운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38743호(발명의 명칭 :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서스펜션 베어링 자이가 장착된 자동차 및 그 제작 장법)에 개시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과 7의 걸림부 설치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베어링 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패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걸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걸림부가 하우징 및 실링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3차 사출금형장치가 형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3차 사출금형장치가 형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상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의 (a)는 도 17의 고정판 및 런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고정판의 일면을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슬라이드 코어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하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캐비티에 2차 사출성형물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5의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스트럿((Strut) 구조 타입의 서스펜션(Suspension)에 장착, 상세하게로는 전술하였던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의 하중을 받음과 동시에 핸들 조향 시 차체(150)로부터 상부스프링시트(135), 쇽업소버(Shock absorber)(130) 및 너클(120)을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플렌지(33)가 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금속볼 안착홈(333)들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우징(3)과,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외측 테두리 및 내측 테두리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실링부(9)와, 하우징(3)의 금속볼 안착홈(333)들 각각에 안착되는 금속볼(B)들과,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에 내측으로 구 형상의 차단공(71)들이 형성되며 하우징(3)의 금속볼 안착홈(333)들에 안착된 금속볼(B)의 외측에 차단공(71)들이 설치되는 베어링 케이지(7)와, 하우징(3)의 하부 외주부에 설치되는 패킹부(6)와, 하우징(3)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5)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4와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장(3)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금속 재질의 인서트(I)가 배치되어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3)이 성형되고, 실링부(9)는 1차 성형한 사출성형품인 하우징(3)을 2차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 장착시켜 2차 사출을 통해 제조되고, 패킹부(6) 또한 2차 사출성형품인 실링부(9)가 구비된 하우징(3)을 3차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 장착시켜 3차 사출을 통해 제조된다.
즉 본 발명의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1)1차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3)을 성형하고, 2)2차 사출성형을 통해 실링부(9)를 하우징(3)과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3)3차 사출성형을 통해 패킹부(6)를 하우징(3)과 일체형으로 성형하게 되고, 이러한 1, 2, 3차 사출성형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5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과 7의 하우징(3)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 몸체(31)와, 하우징 몸체(31)의 외주면 중 높이 방향의 중간지점 보다 상향된 위치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플렌지(33)로 이루어진다.
이하, 플렌지(33)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몸체(31)의 영역을 상부몸체(310)라고 명칭하기로 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몸체(31)의 영역을 하부몸체(320)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의 중공으로는 전술하였던 도 2의 쇽업소버(130)의 피스톤로드(132) 및 범퍼러버(133)가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되고, 하부몸체(320)가 상부스프링시트(135)의 중공으로 삽입된다.
하우징 몸체(31)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31)의 하부몸체(320)는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의 삽입돌부(3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부(321)들은 일단부가 하부몸체(320)의 하단부로부터 타단부가 플렌지(33)의 하부면(331)의 일정 위치까지 연결됨으로써 패킹부(6) 설치 시 패킹부(6)와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패킹부(6)의 밀착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때 만약 하부몸체(320)의 외주면과 패킹부(6)의 내주면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삽입돌부(321)들이 형성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형성되면, 패킹부(6) 및 하부몸체(320)의 밀착성 및 결속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술하였던 도 2의 상부스프링시트(135)와의 지속적인 마찰 및 충격으로 인해 패킹부(6) 및 하부몸체(320)의 결속이 해제되어 패킹부(6)가 소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삽입돌부(321)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패킹부(6)의 내주면에 삽입돌부(321)들이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홈(후술되는 도 11)(611)들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3) 및 패킹부(6)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전술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6과 7을 참조하여 하우징(3)의 상부몸체(310)를 살펴보면, 상부몸체(310)는 내주면의 상단부와 인접한 지점에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커버부착돌기(311)들이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커버부착돌기(311)들은 전술하였던 커버(5)의 걸림턱(미도시)으로 삽입되어 커버(5)가 이탈하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버부착돌기(311)들은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플렌지(33)는 하우징 몸체(31)의 외주면 중 높이 방향으로 중간 지점보다 상향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수직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플렌지(3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몸체(310)의 외주면에 인접한 지점에서, 상부몸체(310)의 외주면을 향할수록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플렌지(33)의 상향 돌출되는 영역과 상부몸체(310)의 외주면에는 금속볼(B)들이 안착될 수 있는 금속볼 안착홈(333)들이 내측으로 간격을 두고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된다.
또한 플렌지(33)는 상면의 외측 테두리에 후술되는 도 9의 실링부(9)의 외주연부(91)가 삽입되는 외측실링홈(341)이 형성되고, 상부몸체(310)의 상단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연결되어 실링부(9)의 내주연부(92)가 삽입되는 내측실링홈(342)이 형성된다.
또한 플렌지(33)는 상면에 외측실링홈(341) 및 내측실링홈(342)에 각각 연결되어 후술되는 도 10의 실링부(9)의 보강부(93)가 삽입되는 보강실링홈(343)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강실링홈(343)들이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90°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4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강실링홈(343)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렌지(33)는 외측실링홈(341)에 인접한 지점에, 양면을 관통하되 일측이 외측실링홈(341)에 연결되는 실링공(344)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실링공(344)들로는 후술되는 도 10의 실링부(9)의 외주연부(91)에 수직 설치되는 안착돌부(94)들이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부몸체(310)의 상단면에는 내측실링홈(342)에 인접한 지점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내측실링홈(342)에 연결되는 보조실링홈(미도시)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보조실링홈들로는 실링부(9)의 내주연부(92)에 수직 설치되는 핀 형상의 보조삽입부(95)들이 각각 삽입된다.
또한 플렌지(33)는 외측실링홈(341)과 인접한 지점에 양면을 관통하되, 일측이 외측실링홈(341)에 연결되면서 후술되는 도 13의 걸림부(637)가 안착되는 걸림부 설치공(348)들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 설치공(348)들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90°의 간격으로 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은 2차 사출성형 시 코어에 의해 밀폐되어 실링부(9)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3차 사출성형 시 개방되어 후술되는 도 10의 걸림부(637)가 성형되게 된다.
도 8은 도 6과 7의 걸림부 설치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걸림부 설치공(348)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33)의 양면을 관통하되, 일측이 외측실링홈(341)에 연결되고, 후술되는 도 10의 걸림부(637)의 지지부(6371)이 삽입된다.
또한 걸림부 설치공(348)은 내부에 단턱(3481)이 형성되고, 단턱(3481)으로는 후술되는 도 10의 걸림부(637)의 걸림부(637)의 걸림턱(637)이 안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걸림턱(637)이 단턱(348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패킹부(6) 및 하우징(3) 사이의 부착성 및 결속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3)의 플렌지(33) 및 상부몸체(310)는 외측실링홈(341), 2 실링홈(342), 보강실링홈(343), 실링공(344) 및 보조실링홈들이 형성됨으로써 2차 금형사출 시 실링부(9)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가 용융되어 각 홈들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3) 및 커버(5)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철저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렌지(33)는 하부면(331)에 제1 돌출부(334)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플렌지(33)의 제1 돌출부(334)들은 후술되는 도 10의 패킹부(6)의 제2 삽입홈(633)들 각각으로 삽입됨으로써 패킹부(6)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렌지(33)는 하부면(331)에 하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는 원 형상의 제1 삽입홈(335)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제1 삽입홈(335)들은 실링공(344)들 사이에 형성되고, 후술되는 도 10의 패킹부(6)의 제2 돌출부(635)들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패킹부(6)와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렌지(33)는 하부몸체(320)와 연결되는 지점에 하부몸체(320)의 삽입돌부(321)들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336)들이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3)은 2차 사출 시 성형되는 실링부(9)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플렌지(33) 및 상부몸체(310)에 복수개의 실링홈(341), (342), (343), (344)들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3) 및 커버(5) 사이의 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3차 사출 시 성형되는 패킹부(6)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플렌지(33) 및 하부몸체(320)에 삽입돌부(321), 제1 돌출부(334) 및 제1 삽입홈(335)들을 형성함으로써 하부몸체(320) 및 상부스프링시트(135)의 돌출부(139) 사이의 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확실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패킹부(6)의 찢김 현상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베어링 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어링 케이지(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구 형상의 차단공(71)들이 내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차단공(71)들은 금속볼(B)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하우징(3)의 금속볼 안착홈(333)들의 위치 및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베어링 케이지(7)는 차단공(71)들이 하우징(3)의 금속볼 안착홈(333)들에 안착된 금속볼(B)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플렌지(33)에 안착됨으로써 하우징(3) 및 커버(5)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금속볼(B)들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금속볼(B)들의 구름현상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5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실링부(9)는 1차 사출성형품인 하우징(3)을 2차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2차 사출을 통해 하우징(3)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또한 실링부(9)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렌지(33)의 외측실링홈(341)으로 삽입되는 외주연부(91)와, 외주연부(91) 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몸체(310)의 내측실링홈(342)으로 삽입되는 내주연부(92)와, 양단부가 외주연부(91) 및 내주연부(92)에 연결되어 플렌지(33)의 보강실링홈(343)으로 삽입되는 보강부(93)들과,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연부(91) 및 내주연부(92) 각각으로부터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하우징(3)의 실링공(344)들 및 보조실링홈(미도시)들 각각으로 삽입되는 안착돌부(94)들 및 보조삽입부(9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안착돌부(94)들은 2차 사출성형에 의해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실링공(334)으로 삽입, 상세하게 말하면 안착돌부(94)들은 2차 사출성형 시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실링공(334)으로 매몰되게 형성되되, 단부가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하부면(331)과 인접한 위치까지 매몰된다.
이때 실링부(9)는 2차 사출성형을 통해 성형되는데, 2차 사출성형 시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이 코어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하우징(3)의 실링공(344)들로는 실링부(9)의 재료 수지가 주입되나, 걸림부 설치공(348)으로는 재료 수지가 주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외주연부(91)는 플렌지(33)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외측단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외주연부(91) 및 내주연부(92)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도 10의 A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외주연부(9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부(91)로부터 상향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꺾이는 수직 실링부(913)와, 외주연부(9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된 후 하향되는 외측 실링부(91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주연부(91)는 외측 실링부(913)가 외주연부(9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할수록 상부를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후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커버(5) 및 하우징(3) 조립 시 커버(5) 및 하우징(3)의 외측 간격(틈)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외주연부(91)는 수직 실링부(913)가 외주연부(91)의 상면에 수직 설치되되 상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커버(5) 및 하우징(3) 조립 시 이들의 외측 간격(틈)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링부(9)는 외주연부(91) 자체가 하우징(3) 및 커버(5)의 외측 간격(틈)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주연부(91)의 외측으로 외측 실링부(911)가, 상부로 수직 실링부(913)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3) 및 커버(5)의 외측 간격(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2중으로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소음 발생 및 볼의 구름현상 저하 현상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주연부(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부(9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상부를 향한 후 다시 하부를 향하는 경사면들로 형성되는 내측 실링부(9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주연부(92)는 내주연부(92) 자체가 하우징(3) 및 커버(5)의 내측 간격(틈)을 차단함과 동시에 내측 실링부(921)가 내주연부(9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상부를 향한 후 다시 하부를 향하는 경사면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버(5) 및 하우징(3)의 내측 간격(틈)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빈틈없이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패킹부(6)에 의하여 하우징(3)의 하부 중공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1차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하우징(3) 및 커버(5)의 내측 간격(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더욱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의 커버(5)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걸림턱(51)에 의해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며, 하우징(3)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12는 도 5의 패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패킹부(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 형상의 패킹부 몸체(61)와, 패킹부 몸체(61)의 상단부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부(63)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킹부(6)는 2차 사출성형품인 실링부(9)가 설치된 하우징(3)을 3차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3차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하우징(3)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며, 하우징(3)에 견고하게 밀착 및 결합되어 종래의 찢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시 상부스프링시트(135)의 돌출부(139)와의 틈을 밀봉시켜 하부몸체(320) 및 상부스프링시트(135)의 돌출부(139)의 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빈틈없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부(6)는 패킹부 몸체(61)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가이드홈(611)들이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가이드홈(611)들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하부몸체(320)의 삽입돌부(321)들 각각이 삽입되어 하우징(3)과의 마찰계수 및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하우징(3)과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부(6)는 패킹부 몸체(61)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연결되는 절곡부(610)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의 외주면뿐만 아니라 절곡부(610)에 의해 하부몸체(31)의 하단부까지 밀착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3)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부(6)의 확장부(63)의 상부면(631)에는 제2 돌출부(635) 및 제2 삽입홈(633)들이 간격을 두고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된다. 이때 패킹부(6)의 제2 돌출부(635) 및 제2 삽입홈(633)들은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335)들 및 제1 돌출부(334)들 각각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패킹부(6)의 제2 돌출부(635)들은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제1 삽입홈(335)들 각각으로 삽입되며, 패킹부(6)의 제2 삽입홈(633)들로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제1 돌출부(334)들 각각이 삽입됨으로써 하우징(3)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돌출부(635)들 및 제2 삽입홈(633)들은 확장부(63)의 상부면(631)에 원호를 따라 교차 반복되게 형성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90°의 간격의 제2 돌출부(635)들의 위치에는 제2 돌출부(635)들이 형성되지 않고, 걸림부(637)가 돌출 형성된다.
도 13은 도 12의 걸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걸림부가 하우징 및 실링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걸림부(637)는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6)의 확장부(63)의 상부면(631)에 수직 연결되는 지지부(6371)와, 지지부(6371)의 단부에 인접한 대향되는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637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부(6371)는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의 단턱(348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3차 사출성형 시 걸림부 설치공(348)의 단턱(348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걸림턱(6373)은 단면적이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의 단턱(3481)의 내경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단턱(3481)에 안착되게 된다.
즉 걸림부(637)는 3차 사출성형 시, 지지부(6371)가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리부 설치공(348)의 단턱(3481)을 형성하는 내부로 삽입되고, 걸림턱(6373)은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을 통과하여 테두리가 걸림부 설치공(348)의 단턱(3481)에 안착됨으로써 패킹부(6) 및 하우징(3)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패킹부(6)는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의 외측면 및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하부면에 대접되는데, 걸림부(637)의 걸림턱(6373)이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을 통과하여 단턱(3481)에 대접됨으로써 패킹부(6)에 마찰 및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걸림턱(6373)에 의하여 패킹부(6)가 지지되어 패킹부(6) 및 하우징(3)의 결속 해제를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3차 사출금형장치가 형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3차 사출금형장치가 형폐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차 사출금형장치(500)는 도 15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금형(501)과, 상금형(501)에 대하여 이동되는 하금형(503), 슬라이드코어(505), (505‘)들로 이루어진다.
도 17은 도 15의 상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의 (a)는 도 17의 고정판 및 런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고정판의 일면을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금형(50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에 설치되는 고정판(511)과, 고정판(51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515)과, 고정판(551) 및 고정측 형판(515) 사이에 설치되어 수지가 이동하는 런너(513)들과, 고정측 형판(515)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상코어(516)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코어(516)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중앙 부싱(51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코어(516)의 돌출성형면(5161)은 형폐 시 전술하였던 도 5의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상부면과 대접된다.
또한 상코어(516)의 돌출성형면(5161)에는 4개의 게이트(514)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게이트(514)들은 형폐 시 하금형(503)에 장착된 하우징(3)의 걸림부 설치공(348)으로 내부로 소정 삽입되게 된다.
고정판(511)은 상금형(501)의 최외측에 설치되며, 도 18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를 공급받는 스프루(5110)와, 스프루(5110)로부터 공급받은 수지를 런너(513)들 각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십자가 형상의 이동경로(5111)들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런너(513)들은 이동경로(5111)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되, 고정판(511)의 일면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단부의 게이트(514)들이 상코어(516)의 돌출성형면(5161)에 형성되게 된다.
도 19는 도 11의 슬라이드 코어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코어(50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슬라이드코어몸체(555)를 지지 및 해제시키는 앵귤러 핀(551)과, 고정 블록(553)과, 고정 블록(553)의 하부에 설치되어 앵귤러 핀(551)의 지지 또는 해제에 따라 하향 이동하는 슬라이드코어몸체(555)로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드코어몸체(555)는 단부로부터 반원형의 안착홈(5551)이 형성되고, 안착홈(5551)을 형성하는 내주면(5553)에는 전술하였던 도 5의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코어몸체(555)의 내주면(5553)은 형폐 시 하금형(503)의 하코어(533)에 장착된 하우징(3)의 플렌지(33)와 실링부(9)의 대실링체(91)의 외측면에 대접됨으로써 상금형(501)의 4개의 게이트(514)들에 의해 주입되는 수지의 상코어(516)로 역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5의 하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캐비티에 2차 사출성형물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금형(503)은 도 20과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에 설치되는 2차 사출성형물(590)이 가동측 형판(531)과, 가동측 형판(531)의 중앙에 형성되는 하코어(533)와, 가동측 형판(5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젝트핀(53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코어(533)에는 2차 사출성형물(590)이 장착된다.
이때 하금형(503)은 형폐 시 하코어(533)에 장착된 2차 사출성형물(590)의 하우징(3)의 플렌지(33)와 실링부(9)의 대실링체(91)의 외측면이 슬라이드 코어(555)의 내주면(5553)에 의해 밀폐되게 되고, 2차 사출성형물(590)의 하우징(3)의 플렌지(33)의 걸림부 설치공(348)으로는 게이트(514)들이 일부 삽입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코어(533)는 하코어(533)로부터 이격될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갖고,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견고한 부착이 필요한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와 패킹부(6)의 패킹부 몸체(61)가 하코어(533)로부터 인접한 위치에서 성형되기 때문에 이 둘의 물성차이로 인해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이때 만약 하금형(503)으로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가 상금형을 향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 견고한 부착이 필요한 하우징(3)의 하부몸체(320)와 패킹부(6)의 패킹부 몸체(61)가 하코어(533)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부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패킹부가 확장부의 대접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걸림부 설치공을 통과하여 테두리가 단턱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및 패킹부의 밀착성 및 결속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 및 패킹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하우징 및 상부스프링시트의 돌출부의 대접부위의 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철저히 차단함과 동시에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며,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극대화시켜 회전으로 인한 찢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하우징 및 패킹부의 간단한 구조변경을 통해 각 구성수단의 접촉면적 및 마찰계수를 극대화시켜 하우징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1)은 하우징 및 커버의 구조를 변경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실링부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철저하게 차단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금속볼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저하, 소음 발생 및 볼의 구름현상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장비 고장 및 불량률을 절감시켜 관리 및 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1: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3:하우징 5:커버
6:패킹부 7:베어링 케이지 9:실링부
31:하우징 몸체 33:플렌지 61:패킹부 몸체
63:확장부 71:차단공 91:외주연부
92:내주연부 93:보강부 94:안착돌부
310:상부몸체 311:커버부착돌기 321:삽입돌부
333:금속볼 안착홈 341:외측실링홈 342:내측실링홈
343:보강실링홈 344:실링공 611:가이드홈
500:3차 사출금형장치 501:상금형 503:하금형
505:슬라이드코어 511:고정판 513:런너
515:고정측 형판 516:상코어 517:중앙 부싱
551:앵귤러 핀 553:고정 블록 555:슬라이드코어몸체
531:가동측 형판 533:하코어 535:이젝트 핀

Claims (7)

  1. 상부가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에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와, 중공으로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로드가 통과되되 하부 외주면이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스프링시트의 중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돌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걸림부 설치공들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는 플렌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하부 외주면 및 하단부에 대접되며, 내주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패킹부 몸체;
    상기 패킹부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며,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걸림부들이 돌출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렌지의 걸림부 설치공의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의 걸림부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렌지의 상부면에 대접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렌지는 하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들 및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 삽입홈들이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플렌지의 하부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홈들로 각각 삽입되는 제2 돌기들 및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들이 각각 삽입되는 제2 삽입홈들이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사출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사출금형장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과,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고정측 형판 사이에 설치되어 수지가 이동하는 런너들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상코어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코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중앙 부싱을 포함하는 상금형;
    가동측 형판과, 상기 가동측 형판의 일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하코어와, 상기 가동측 형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이젝트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금형으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상금형은 상기 상코어의 돌출되는 면에 게이트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형폐 시, 상기 하코어에 장착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 설치공들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금형장치는 슬라이드 코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들은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동방향의 단부에 반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코어몸체;
    상기 슬라이드코어몸체를 지지 및 해제하는 앵귤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코어몸체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하우징의 플렌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5. 청구항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은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렌지의 상부면의 테두리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외측실링홈과,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연결되는 내측실링홈과, 양단부가 상기 외측실링홈 및 상기 내측실링홈에 각각 연결되는 보강실링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실링공들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실링홈에 안착되는 외주연부와, 상기 외주연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실링홈에 안착되는 내주연부와, 양단부가 상기 외주연부 및 상기 내주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실링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보강삽입부들과, 상기 외주연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플렌지의 상기 실링공들로 각각 삽입되는 안착돌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은 금속볼들과, 베어링 케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렌지가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금속볼이 안착되는 금속볼 안착홈들이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케이지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금속볼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구 형상의 차단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차단공들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금속볼 안착홈들에 안착된 금속볼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설치공은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1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상기 실링부는 1차 사출성형품인 하우징을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2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상기 패킹부는 2차 사출성형품인 실링부가 장착된 하우징을 사출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켜 3차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KR1020180013322A 2018-02-02 2018-02-02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KR10203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22A KR102032720B1 (ko) 2018-02-02 2018-02-02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22A KR102032720B1 (ko) 2018-02-02 2018-02-02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17A KR20190093917A (ko) 2019-08-12
KR102032720B1 true KR102032720B1 (ko) 2019-10-16

Family

ID=6762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22A KR102032720B1 (ko) 2018-02-02 2018-02-02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7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4656B1 (fr) * 2008-08-01 2013-05-17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KR102374669B1 (ko) * 2015-08-07 2022-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101782073B1 (ko) * 2016-02-19 2017-09-26 고재영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KR101809230B1 (ko) * 2016-03-29 2017-12-14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사이드 게이트 자동 컷팅 사출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17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073B1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US10953577B2 (en) Vehicular hybrid suspension a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5410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90093918A (ko)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의 제조방법
US8783702B2 (en) Single-axis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chassis components for vehicles
KR101225742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200406515A1 (en) 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32655B1 (ko)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36790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방법
KR102084258B1 (ko)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US20190291525A1 (en) Ball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32720B1 (ko)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1971469B1 (ko)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용 3차 사출금형장치
KR20210035943A (ko) 일체형 현가장치 마운트용 베어링
KR102033575B1 (ko) 볼 조인트 조립체
KR102187630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1814612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1934876B1 (ko) 볼 조인트
KR20170124198A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제조방법
KR102417331B1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