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264B1 -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 Google Patents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264B1
KR102374264B1 KR1020200040285A KR20200040285A KR102374264B1 KR 102374264 B1 KR102374264 B1 KR 102374264B1 KR 1020200040285 A KR1020200040285 A KR 1020200040285A KR 20200040285 A KR20200040285 A KR 20200040285A KR 102374264 B1 KR102374264 B1 KR 102374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plug
terminal hole
ta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060A (ko
Inventor
오광택
Original Assignee
오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택 filed Critical 오광택
Priority to KR102020004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2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제1단자홀이 형성되고, 접지단자에 대응하는 제2단자홀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 하부에 결합되어 플러그의 결합 또는 탈거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커버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되 플러그의 탈거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승강체와, 상기 커버와 승강체 사이에서 상기 제1단자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복원유닛; 상기 복원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 단자가 노출되는 하우징; 및 플러그로 상기 복원유닛를 가압하면 상기 복원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전원 단자에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고, 다시 상기 복원유닛를 가압하면 상기 복원유닛이 탄력적으로 상승하여 플러그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탈거시키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Multi-tap with resilient power terminal hole}
본 발명은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멀티탭 상에서 플러그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고 잦은 단자의 접촉으로 전원 구멍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ric plug; Socket)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를 나타낸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면이나 기둥 등에 매입 설치되는 구조와, 멀티탭(Multi-Tap)과 같이 전자제품의 위치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 등이 있다.
이 중 멀티탭은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하여 다수의 전자제품을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2구 이상의 복수 개 소켓을 구비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에 해당하는 소켓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탭에 플러그를 장착하는 과정에 비하여 플러그를 탈착하는 과정은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약자 또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플러그를 탈착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전원에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장착구조가 플러그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탄성 복원력을 통해 플러그를 탈착하고, 플러그 단자의 잦은 접촉으로 전원구멍이 헐겁게 되거나 플러그 단자를 받아들이는 멀티탭의 전원구멍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지는 재난을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단자의 잦은 접촉으로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가 멀티탭에 삽입되는 멀티탭 구멍에 영유아가 젓가락 같은 금속 물질을 삽입하더라도 통전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멀티탭 구멍을 차폐할 수 있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러그와 접촉하여 접지 경로가 되는 접지 단자를 멀티탭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멀티탭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또는 이로 인해 접지 단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커버와 승강체 및 회전체를 포함하는 복원유닛, 상부 케이스와 도전체의 전원단자를 가지는 하부 케이스 사이에 여러 개의 하우징 및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는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 가능한 연결몸체와, 이 연결몸체 양측으로 플러그 단자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경사면, 이 경사면 양측으로 경사면보다 낮은 높이의 평면을 형성하여 이루는 접촉면과, 이 접촉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는 플러그 단자와 접촉할 때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전원단자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과, 각 하우징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전체 프레임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과, 이 전원단자 구멍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Ω" 형 단면을 가지는 전원단자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전원단자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과, 각 하우징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체 프레임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 구멍은 도전체 프레임의 일측으로 구부러진 제1영역과, 제1영역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제2탄성밴드는 도전체 프레임으로부터 일단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지며, 절단된 부분은 제1영역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체는 플러그 단자가 상기 제1단자홀에 삽입되면서 접촉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주변에 상기 경사면 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 평면을 포함하여 플러그 단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면와, 상기 접촉면가 플러그 단자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단자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접촉면를 회전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접촉면 또는 연결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경사면은 상기 평면에 비하여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회전체가 동시 가압되어야만 회전하여 상기 제1단자홀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2단자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접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캡은, 상기 복원유닛이 가압되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노출된 상기 접지단자와 간섭되어 상기 승강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단자홀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승강체 하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작동홀에 삽입되는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중심 프레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홀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부재와 간섭에 의해 상기 중심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재와, 상기 작동홀 내주면에 등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회전체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재가 회전하면서 복원 방향으로 간섭되거나 간섭 해제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회전체재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치형패턴과, 상기 회전체재 상에서 상기 제1치형패턴과 치합하는 제2치형패턴과, 상기 작동부재 상에서 상기 제2치형패턴과 치합하는 제3치형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치형패턴은 슬라이딩 이송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치형패턴과 접촉하고, 상기 회전체재는 상기 이송부재의 외주연에서 상기 작동부재 사이 간격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재와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에 따르면 플러그가 멀티탭에 삽입되기 전에 플러그 단자가 양 측의 제1단자홀에 삽입되어야만 회전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가 멀티탭에 장착되면서 접지단자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멀티탭에 접지단자가 노출되면서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플러그를 한 손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어 노약자가 장애우도 손쉽게 플러그를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얼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하우징 내의 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회전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9는 복원유닛 상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복원유닛이 하강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복원유닛, 스위칭 유닛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스위칭 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스위칭 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
도 16은 스위칭 유닛이 하우징의 작동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스위칭 유닛과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8은 스위칭 유닛이 회전하여 회전체와 작동부재가 서로 간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9는 전원단자 구멍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0은 제 1실시예의 낱개의 전원단자 구멍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21은 전원단자 구멍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전원단자 구멍의 작동을 설명하는 일부 절단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얼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하우징 내의 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100)은 복원유닛(110), 하우징(120) 및 스위칭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100)은 도면에서 멀티탭 구조로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 밖에 벽면이나 기둥, 가구 등에 설치된 매입형 구조의 멀티탭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복원유닛(110)은 커버(111)와, 승강체(112) 및 회전체(113)를 포함한다. 복원유닛(110)은 플러그를 멀티탭에 삽입하면서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분으로 플러그 단자가 복원유닛(110) 내부에 삽입되면서 장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하우징(12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플러그에 압력을 가하면 복원유닛(110)이 하우징(120) 저면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다시 플러그를 탈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플러그에 압력을 가하면 복원유닛(110)이 하우징(120) 상면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플러그에 압력을 가하는 방향은 플러그 장착 방향과 플러그 탈착 방향이 동일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기존 멀티탭에서 플러그를 탈거하기 위해 양 손으로 멀티탭 주변을 잡거나 또는 멀티탭 주변을 플러그 탈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면서 플러그를 당겨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노약자나 장애우도 플러그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제1단자홀(1111)이 형성되고, 플러그의 접지영역에 접촉하는 멀티탭의 접지단자가 노출되는 제2단자홀(1112)이 형성된다. 제1단자홀(1111) 및 제2단자홀(1112)은 국가별 플러그 또는 멀티탭의 구조에 따라서 그 위치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220V용 멀티탭에 플러그(일명 "돼지코" 형상)가 결합되는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한다.
커버(111) 하부에는 승강체(112)가 결합된다. 승강체(112)는 하우징(120) 내부에서 커버(111)와 승강체(112)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승강체(112)와 하우징(120) 사이에, 커버의 제1단자홀(11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승강체(112)가 탄력적으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s1)이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승강체(112)의 저면에는 스프링(s1)을 끼우도록 스프링 지지체(1121)가 아랫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지지체(1121)는 하우징(120) 내부 저면에 삽입되어 승강체(112)의 슬라이딩 이송을 안내한다.
도 5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의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회전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9는 복원유닛 상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복원유닛이 하강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회전체(113)는 커버(111)와 승강체(112)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체(113)는 제1단자홀(1111)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회전이 이루어져 제1단자홀(1111)을 개방할 수 있는 안전장치이다. 회전체(113)는 플러그 단자에 접촉하는 경사면(1131)과, 경사면(1131) 주변에 배치되어 경사면(1131) 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 평면(1132)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접촉면(1133)과, 한 쌍의 접촉면(1133)을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승강체(112) 상에 결합되는 연결몸체(1134)와, 접촉면(1133)이 제1단자홀(1111)을 개방하는 경우 연결몸체(1134)가 다시 원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135)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1133)은 경사면(1131) 상에 플러그 단자가 접촉하면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접촉면(1133)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만 플러그 단자가 접촉하면 회전체(113)의 회전 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연결몸체(1134)는 접촉면(1133)이 동일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회전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만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접촉면(1133)은 상대적으로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비하여 높이가 높아지면서 커버(111)의 제1단자홀(1111) 안쪽 테두리와 접촉하여 간섭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들이 젓가락과 같은 금속 막대를 제1단자홀(1111)에 집어 넣었을 때, 회전체(113)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전원단자 구멍(122)과 통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131)은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도록 평면의 중심 부분에 배치된다. 즉, 플러그 단자 보다 단면적이 작은 젓가락이나 바늘을 제1단자홀(1111)에 삽입하더라도 경사면(1131) 상에 정확하게 접촉하기 어려울뿐더러 한 쪽에만 넣어서는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탭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13)는 승강체(112) 상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 구조의 탄성부(1135)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고, 회전체(113)의 일 측 접촉면(1133)에 마련된 스프링 결합구조(1136)에 별도의 스프링을 결합하여 승강체(112)로부터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1) 상에서 제2단자홀(1112)은 접지캡(11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접지캡(114)은 접지단자(11)를 차폐하는 구조로써,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멀티탭나 멀티탭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접지단자에 고착되면서 플러그의 접지 영역과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플러그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11)가 노출되도록 개방되어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0은 접지캡(114)이 제2단자홀(1112, 도 9 참조)을 완전 폐쇄한 상태이고, 도 11은 제2단자홀(1112)을 일부 개방한 상태이며, 도 12는 제2단자홀(1112)이 완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접지캡(114)은 접지단자(11)의 경사진 외측 부분에 간섭되면서 복원유닛(110)이 승강할 때 승강체(112)의 제2단자홀(1112)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지캡(114)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제2단자홀(1112)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체(112)로부터 접지단자(11) 방향으로 접지캡(114)을 밀어내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복원유닛(110)이 하강하면 제2단자홀(1112)이 개방되고, 복원유닛(110)이 상승하면 제2단자홀(1112)이 폐쇄되도록 탄성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지캡(114)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 이외에도 승강체(112) 상에서 회전하면서 제2단자홀(1112)를 개폐하는 구조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복원유닛, 스위칭 유닛 및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스위칭 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스위칭 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 도 16은 스위칭 유닛이 하우징의 작동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스위칭 유닛과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8은 스위칭 유닛이 회전하여 회전체와 작동부재가 서로 간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20)은 내부에 복원유닛(110)이 수용되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홈(121,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도 2 및 3에서와 같이, 하우징(120)은 플러그 접속 개수에 따라서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4개의 하우징(120) 및 하나의 스위치(12)가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하우징(120)은 내부 저면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 단자(122)가 배치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전원 단자(122)는 케이스 바텀(20) 상에 결합되고, 하우징(120)은 케이스 바텀(20) 상에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20)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저면에 전원 단자(122) 및 접지단자(11)가 노출된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3은 복원유닛(110), 스위칭 유닛(130) 및 하우징(120)의 측면을 도시하고, 도 14는 스위칭 유닛(130)만을 확대하여 도시하며, 도 15는 스위칭 유닛(130)이 하우징(120)의 작동홀(123)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 및 도 17은 하우징(120)의 배면에서 작동홀(123) 내부에 스위칭 유닛(130)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스위칭 유닛(130)은 작동홀(123)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복원유닛(110)이 하우징(120) 내부에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승하면서 플러그를 탈거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130)은 중심 프레임(131)과 이송부재(132), 회전체재(133) 및 작동부재(134)를 포함한다.
삭제
중심 프레임(131)은 일단부가 승강체(112)의 배면 또는 승강체(112)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이송부재(132)와 회전체재(133)를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131)의 일단부에는 승강체(112) 상에서 회전체(113)의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다.
이송부재(132)는 중심 프레임(131)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고, 중심 프레임(131)과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재(132)는 외주연에 돌출된 가이드 부재(1321)가 구비되고, 회전체재(133)와 마주하는 면에는 제1치형패턴(1322)이 형성된다.
회전체재(133)는 제1치형패턴(1322)과 마주하여 제2치형패턴(1331)이 형성되고, 이송부재(132)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 이송됨과 동시에 제1치형패턴(1322)과 제2치형패턴(1331)이 치합하면서 회전력이 발생한다. 가이드 부재(1321)와 회전체재(133)는 작동부재(134) 사이 간격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고, 회전체재(133)는 제1치형패턴(1322)과 제2치형패턴(1331)의 치합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작동부재(134)에 형성된 제3치형패턴(1341)의 경사면에 의해 더 회전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한다. 이로써 플러그가 멀티탭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멀티탭에서 플러그가 분리되는 과정은 스위칭 유닛(130)의 슬라이딩 및 회전 운동에 의해 동일한 사이클을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부재(134)는 하우징(120)의 작동홀(123) 내주연에 등 간격으로 고정된다. 작동부재(134)는 회전체재(133)에 비하여 지름이 클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134)는 가이드 부재(1321)를 포함하는 회전체재(133)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0)의 배면에서 작동홀(123)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삭제
따라서 플러그로 복원유닛(110)을 가압하면 복원유닛(110)이 하강하면서 플러그 단자와 전원 단자(122)가 접속되고, 회전체재(133)가 작동부재(134)의 제3치형패턴(1341)과 간섭되면서 복원유닛(110)의 하강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다시 플러그 또는 복원유닛(110)을 가압하면 이송부재(132)가 회전체재(133)를 더 회전시키면서 작동부재(134)의 사이 간격으로 회전체재(133)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복원유닛이 탄력적으로 상승함으로써 플러그를 복원유닛(110)로부터 분리한다. 즉, 플러그를 한 번 가압하면 멀티탭에 장착되고, 다시 플러그를 가압하면 멀티탭에서 탈거된다.
도 19는 전원단자 구멍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0은 제 1실시예의 낱개의 전원단자 구멍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21은 전원단자 구멍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전원단자 구멍의 작동을 설명하는 일부 절단 확대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실시예의 전원단자(122)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1221)과, 각 하우징(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전체 프레임(1221)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1222)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도전체 프레임(1221)은 하우징(120)의 개수에 따라서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전체 프레임(1221)은 하우징(120) 또는 하부 케이스(20)에 결합되면서 하우징(120) 또는 하부 케이스(20)과 간섭될 수 있도록 돌출구조 또는 홈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 구멍(1222)은 도전체 프레임(1221) 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도전체 프레임(1221)으로부터 일체로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원단자 구멍(1222)은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전원단자 구멍(1223)을 포함한다. 전원단자 구멍(1223)은 전원단자 구멍(122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제1단자홀(1111, 도 3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플러그 단자와 접촉할 때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대략 일 단면이 "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단자 구멍(1223)은 플러그 단자가 처음 접촉하는 부분의 지름이 더 넓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른 형태의 전원단자(222)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2221)과, 각 하우징(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전체 프레임(2221)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2222)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전원단자 구멍(2222)은 도전체 프레임(2221)의 일측으로 구부러진 제1탄성밴드(2223)와, 제1탄성밴드(2223)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탄성밴드(2223)를 포함한다. 이때 제1탄성밴드(2223)와 제2탄성밴드(2224) 사이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된다. 제1탄성밴드(2223)와 제2탄성밴드(2224)는 제1단자홀(1111, 도 3 참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탄성밴드(2223)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부림 형성되면서 그 사이 공간에 제2탄성밴드(22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탄성밴드(2223)는 도전체 프레임(2221)으로부터 일단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지며, 절단된 부분(2225)은 제1탄성밴드(2223)로부터 탄력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9(a)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기 전에 제1탄성밴드(2223)의 절단된 부분이 도전체 프레임(2221)로부터 이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된 상태로써 제1탄성밴드(2223)의 절단된 부분이 도전체 프레임(2221)에 인접하도록 탄력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플러그 단자가 전원단자 구멍(2222) 상에서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단자의 구조는 상술한 도 19 및 20의 전원단자 구멍(122)의 구조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원구멍은 항상 플러그 단자를 조이기 때문에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헐거워짐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에 따르면 플러그가 멀티탭에 삽입되기 전에 플러그 단자가 양 측의 제1단자홀에 삽입되어야만 회전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가 멀티탭에 장착되면서 접지단자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멀티탭에 접지단자가 노출되면서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플러그를 한 손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어 노약자가 장애우도 손쉽게 플러그를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례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110 : 복원유닛
120 : 하우징
130 : 스위칭 유닛

Claims (6)

  1. 적어도 커버(111)와 승강체(112) 및 회전체(113)를 포함하는 복원유닛(110), 상부 케이스(10)와 도전체의 전원단자를 가지는 하부 케이스(20) 사이에 다수개의 하우징(120) 및 스위칭 유닛(130)을 포함하여 이루는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3)는 회전 가능한 연결몸체(1134)와, 이 연결몸체(1134) 양측으로 플러그 단자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경사면(1131), 이 경사면(1131) 양측으로 경사면보다 낮은 높이의 평면(1132)을 형성하여 이루는 접촉면(1133)과, 이 접촉면(1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135)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는 플러그 단자와 접촉할 때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전원단자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1221)과, 각 하우징(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전체 프레임(1221)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1222)과, 이 전원단자 구멍(122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Ω"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전원단자 구멍(1223)을 포함하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3.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길게 연장된 도전체 프레임(2221)과, 각 하우징(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체 프레임(2221)으로부터 구부려진 여러 개의 전원단자 구멍(2222)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 구멍(2222)은 도전체 프레임(2221)의 일측으로 구부러진 제1탄성밴드(2223)와, 이 제1탄성밴드(2223)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탄성밴드(2224)를 포함하고, 이 제2탄성밴드(2224)는 도전체 프레임(2221)으로부터 일단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지며, 절단된 부분(2225)은 제1탄성밴드(2223)로부터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40285A 2020-04-02 2020-04-02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KR102374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5A KR102374264B1 (ko) 2020-04-02 2020-04-02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5A KR102374264B1 (ko) 2020-04-02 2020-04-02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60A KR20210123060A (ko) 2021-10-13
KR102374264B1 true KR102374264B1 (ko) 2022-03-16

Family

ID=7811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85A KR102374264B1 (ko) 2020-04-02 2020-04-02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704B1 (ko) * 2021-12-30 2024-03-04 이승현 스프링이 없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멀티탭 모듈 어셈블리
KR102525666B1 (ko) * 2022-03-29 2023-04-24 이종호 원터치형 콘센트
FR3134660A1 (fr) 2022-04-14 2023-10-20 Legrand France Prise électrique comprenant un piston 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3086A (ja) 2009-01-02 2012-06-07 ホンス シン 安全コンセント
KR101241246B1 (ko) * 2011-12-22 2013-03-15 노성태 안전 콘센트
KR101863051B1 (ko)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956B1 (ko) * 2015-01-06 2015-10-01 김종일 전기 콘센트
KR101861984B1 (ko) * 2016-08-31 2018-05-2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3086A (ja) 2009-01-02 2012-06-07 ホンス シン 安全コンセント
KR101241246B1 (ko) * 2011-12-22 2013-03-15 노성태 안전 콘센트
KR101863051B1 (ko)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60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264B1 (ko)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US7438567B2 (en) Safety mechanism, electrical outlet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10007460A (ko) 회로 기판 장착식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TWI475762B (zh) 門蓋機構
KR20090002704A (ko)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WO2013010680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assembly comprising such a connector
KR101348158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20030087539A (ko) 커넥터 구조
JPH01227369A (ja) Emi対策用電気コネクタ
US4188082A (en) Telephone wall jack
WO2005013434A1 (en) Jack assembly with contact switching system
US20140305689A1 (en) Emi absorbing shielding cage plug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CN213959142U (zh) 一种卡槽式适配器及轨道排插
CN210489911U (zh) 一种保护门装置和电源插座
CN215991799U (zh) 一种电磁屏蔽结构及电路装置
US20130267108A1 (en) Card unit and card edge connector
CN208336592U (zh) 内镶式保护门及智能装置
CA2108515C (en) Button well compression seal assembly
US4453058A (en) Leaf switch cover
TWI697923B (zh) 微開關以及操作裝置
CN209880972U (zh) 一种转接插座以及电力分配设备
JP4271549B2 (ja) コンセントの安全装置
US9859634B2 (en)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electronic part and a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