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666B1 - 원터치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666B1
KR102525666B1 KR1020220039202A KR20220039202A KR102525666B1 KR 102525666 B1 KR102525666 B1 KR 102525666B1 KR 1020220039202 A KR1020220039202 A KR 1020220039202A KR 20220039202 A KR20220039202 A KR 20220039202A KR 102525666 B1 KR102525666 B1 KR 10252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pening
case
pin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2003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66B1/ko
Priority to PCT/KR2022/004525 priority patent/WO20231911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는, 함몰된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플러그 삽입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에 의해서 눌러져 하강되고, 플러그의 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 케이스; 상기 케이스 공간에 구비되어 승강 케이스와 함께 승강되며,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핀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함께 회전되며,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에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서 상기 핀 관통홀이 차폐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이 제한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강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핀 관통홀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 제한이 해제되어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콘센트 {one touch typed concen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플러그는 복수의 핀이 돌출 형성되고, 핀에 통전되는 전선이 가전제품과 연결되는 구조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야 전원이 연결되고,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여야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가전제품을 사용한 후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여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데,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조작이 매우 불편한 것은 물론 일부 사용자의 경우 물 묻은 손으로 전선을 잡아당기는 등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제거는 습관에 의해 전선이 절단되어 이에 따른 누전 또는 전기안전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 적용된 콘센트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러그에 의해서 눌러져 하강되는 승강판이 구비되고, 플러그의 장착시 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로 정지되고, 플러그를 다시 누르면 승강판이 자동으로 상승되어 플러그가 전원 OFF되도록 탈거되는 원터치형 콘센트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터치 기능의 제공을 위한 스위치 모듈은 주로 금속 핀과 캠으로 구성되며, 주로 푸시버튼 스위치에 사용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5273호에는 플러그의 핀이 관통하는 단자구멍이 형성되며 플러그에 의해서 하강되는 터치소켓이 구비되며, 핀과 캠으로 구성된 스위치 모듈이 구비되는 원터치형 콘센트가 개시된다.
하지만, 콘센트는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이 동시에 구성되어 있어 금속 핀과 캠으로 구성되는 방식은 합선에 대한 위험과 치수 및 형태에 따른 불량을 잠재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의 스위치 모듈은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일때만 승강 케이스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작에 의한 내구성 감소, 플러그의 비정상적인 장착 상태 및 이물질 삽입에 의한 하강 동작에 의해 감전 사고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5273호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원터치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터치 기능 작동이 방지되는 원터치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는, 함몰된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플러그 삽입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에 의해서 눌러져 하강되고, 플러그의 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 케이스; 상기 케이스 공간에 구비되어 승강 케이스와 함께 승강되며,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핀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폐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에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 및 승강 동작하며, 측면에 슬릿부가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 형성되고, 하부에 원터치 기능을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상측 클러치부가 형성되는 연장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장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원터치 기능을 위해 상기 상측 클러치의 경사면과 연동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눌림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하측 클러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 클러치부의 일측에 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는 돌기 이동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가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 케이스가 상승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돌기 이동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강 시 상기 슬릿부에 진입되어 상기 슬릿부를 따라 상대 이동하는 구속 돌기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부는, 상기 핀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가 정회전된 상태에서만, 상기 구속 돌기가 하방에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돌기 이동부와 상하 정렬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속 돌기가 상기 슬릿부에 진입 시 상기 스위치 부재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른 상기 스위치 부재의 설정 각도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구속 돌기에 하강된 상태로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어 원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핀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가 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하강 시, 상기 구속 돌기가 상기 돌기 이동부의 상방 개구를 통해서 이탈되어 상기 슬릿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의 연동에 의해서 설정 각도 회전되고, 상기 돌기 이동부와 구속 돌기가 어긋나게 정렬되어 상기 구속 돌기에 상기 하측 클러치부가 하강된 상태로 걸림 구속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재눌림 하강 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의 연동에 의해서 설정 각도 회전되고, 상기 돌기 이동부와 구속 돌기가 대응되게 정렬되어 상기 하측 클러치부의 걸림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클러치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상측 경사부; 상기 제1 상측 경사부의 일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 수직부; 상기 상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상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클러치부는, 상기 스위치 부재의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하측 경사부; 상기 제1 하측 경사부의 일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 수직부; 상기 하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연장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탄성 이격시키는 이격 탄성 부재; 상기 스위치 부재를 하방에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승 원복시키는 지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승강 케이스의 승강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플러그 삽입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에 의해서 가압되는 승강 케이스가 구비되며, 승강 케이스에 형성되는 핀 관통홀을 회전에 의해서 개폐하는 개폐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 부재는 승강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 케이스와 함께 승강 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승강 케이스에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이 구비된다.
이 때, 안전 스위치 유닛은 개폐 부재를 지지하면서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동작 되도록 구성되며, 개폐 부재에 의해서 핀 관통홀이 차폐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이 제한되도록 구비되어 승강 케이스의 하강이 제한되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 스위치 유닛은 개폐 부재가 회전되어 핀 관통홀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 제한이 해제되어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플러그의 정상적인 장착에 의해서 개폐 부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만 승강 케이스가 하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비정상적인 장착 시 승강 케이스의 하강 및 통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사용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핀 관통홀이 차폐되고 승강 케이스의 불필요한 하강이 방지되어, 어린이의 장난이나 이물질 삽입에 의한 감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 케이스의 불필요한 하강 동작에 의한 콘센트의 내구성 감소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 부재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 동작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에 의해서 승강 케이스의 하강 제한 기능 및 원터치 기능이 동시에 제공됨에 따라, 승강 케이스의 하강 제한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며 공간이 제한적인 콘센트의 내부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전 유닛의 초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통전 유닛이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와 안전 스위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 부재와 연장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 부재의 회전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모듈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가 승강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의 원터치형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에 의해서 승강 케이스가 하강된 상태의 원터치형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의 초기 하강 시 승강 케이스를 하강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 모듈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가 다시 눌러짐에 따라 승강 케이스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 모듈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전 유닛의 초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통전 유닛이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형 콘센트는 컨물의 내, 외부 벽면에 매립되거나 또는 자동차, 여객선, 열차, 비행기 등의 운항수단 등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곳에 마련되는 일반적인 콘센트를 포함하며, 전기 공급의 제한적인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탭에 마련된 콘센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플러그가 장착 가능하도록 하나의 플러그 장착부가 형성되는 원터치형 콘센트를 예로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플러그가 장착 가능하도록 복수의 플러그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복수의 플러그 장착부가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원터치 콘센트의 내부 구성들이 이에 대응하여 복수로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플러그(2)는 사람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와, 헤드에서 돌출되며 극성별로 구분된 복수의 핀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플러그(2)가 장착되는 플러그 장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단자(2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장착되는 플러그(2)의 핀과 접촉하는 접촉 단자(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플러그(2)가 플러그 장착부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단자(20)와 접촉 단자(30)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 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 단자(4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플러그(2)의 장착시 동작되어 상기 통전 단자(40)와 전원 단자(20)를 통전시키는 통전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플러그(2)가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2)를 삽입 장착시킨 후 다시 플러그(2)를 누르면 플러그(2)가 자동으로 분리되는 원터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100)의 플러그 장착부에는 플러그(2)가 삽입 장착되도록 함몰된 플러그 삽입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상기 플러그 장착구(11)에서 승강되는 승강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케이스(200)는 플러그(2)의 장착시 플러그(2)의 헤드에 의해서 눌러져 하강 동작될 수 있으며, 플러그(2)의 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관통홀(201)는 플러그(2)의 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를 지지하며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모듈(300)은 원터치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플러그(2)의 장착시에만 상기 핀 관통홀(201)가 개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모듈(300)은 플러그(2) 핀이 상기 핀 관통홀(201)를 관통하여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1)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내부 구성들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10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측 하우징(110), 하우징의 둘레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측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02)은 상기 하측 하우징(110)과 상측 하우징(1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내부 공간(102)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중간 하우징(130), 상기 내부 공간(102)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중간 하우징(130)의 상면을 덮는 커버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하우징(130)은 서로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하로 개구된 복수의 구획 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둘레면은 상기 상측 하우징(120)의 내측 둘레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하우징(120)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중간 하우징(130)이 둘레면 사이에는 통전 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공간(102)은 상기 중간 하우징(130)에 의해서 상기 구획 공간(103)과 상기 통전 공간(1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 공간(103)은 전기의 특성별로 구분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2핀 방식의 플러그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획 공간(103)은 두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개의 구획 공간(103)은 L1 핀이 삽입되는 제1 구획 공간(103a), L2 핀이 삽입되는 제2 구획 공간(103b)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대략 중심에는 후술할 상기 스위치 모듈(300)의 구속 부재(340)가 장착되는 구속 부재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부재 장착부(133)는 상기 구속 부재(340)가 삽입되도록 상기 구속 부재(3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구속 부재 장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하우징(130)은, 상기 구속 부재(340)가 장착되는 구속 부재 장착부(133), 상기 구속 부재 장착부(1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구획 공간(103a)의 둘레벽을 형성하는 제1 구획부(131), 상기 구속 부재 장착부(1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구획 공간(130b)의 둘레벽을 형성하는 제2 구획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중간 하우징(130)이 상면을 차폐하도록 적어도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둘레 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를 하방에서 차폐하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케이스(200)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 의해서 하방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상방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서 상기 구속 부재 장착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후술할 연장 부재(320)와 스위치 부재(330)가 관통하는 스위치 관통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관통홀(141)는 내측 둘레가 상기 구속 부재(340)의 둘레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 부재(340)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 의해서 상방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구속 부재 장착부(13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는 플러그(2)의 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관통홀(142)는 플러그(2)의 핀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관통홀(142)는 상기 핀 관통홀(201)의 수직 하방에 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의 핀은 상기 핀 관통홀(201)를 관통한 후 상기 핀 관통홀(142)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하면에는 상기 중간 하우징(130)과의 기밀 결합을 위한 결합 요소(14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커버 하우징(140)와 상기 중간 하우징(130)은 돌출된 리브와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 홈 구조로 기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둘레벽의 상면에는 함몰된 리브 삽입 홈이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결합 요소(143)는 리브 삽입 홈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리브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하우징(110)과 상기 중간 하우징(130)도 돌출되느 리브와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 홈 구조로 기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둘레벽의 하면에는 돌출된 돌출 리브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돌출 리브에 대응하여 함몰된 리브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단자(20)는 L1 극의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제1 전원 단자(21), L2 극의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제2 전원 단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단자(30)는 상기 제1 구획 공간(103a)에 배치되며 플러그의 L1 핀과 접촉하는 제1 접촉 단자(31), 상기 제2 구획 공간(103b)에 배치되며 플러그의 L2 핀과 접촉하는 제2 접촉 단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단자(40)는 상기 제1 접촉 단자(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통전 단자(41), 상기 제2 접촉 단자(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통전 단자(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전 유닛(5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유닛(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플러그의 L1 핀과 L2 핀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통전 유닛(50)은 플러그의 L1 핀과 연통하는 제1 통전 유닛, 플러그의 L2 핀과 연동하는 제2 통전 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유닛(50)은 일단이 상기 구획 공간(103)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의 핀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타단이 상기 구획 공간(103) 외부의 상기 통전 공간(104)에 배치되고, 상기 통전 단자(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유닛(50)은 플러그의 장착 시 상기 플러그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 동작되어, 통전 단자(40)와 전원 단자(20)가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유닛(50)은 플러그의 탈거 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원복되며, 통전 단자(40)와 전원 단자(20)의 접촉이 해제되어 통전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 유닛(50)은 플러그의 핀과의 연동에 의해서 상기 접촉 단자(30)에 선택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중간 하우징(130)의 둘레벽에는 상기 통전 유닛(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전 유닛 결합부(1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유닛 결합부(134)는 상기 통전 유닛(50)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유닛(50)은 상기 통전 유닛 결합부(134)에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축 결합되는 회전 축부(51), 상기 회전 축부에서 상기 구획 공간(103)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52), 상기 회전 축부(51)에서 상기 통전 공간(104)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52)는 삽입되는 플러그(2)의 핀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 단자(30)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플러그(2)의 핀의 삽입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52)의 연장된 단부에는 플러그(2)의 핀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53)는 대응하는 통전 단자(40)와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53)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통전 단자(40)가 장착되는 통전 단자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 단자 결합부는, 상기 통전 유닛(50)의 정역회전을 고려하여 상기 통전 단자(4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장부(53)의 이동 경로를 따라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돌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단자(40)는 상기 한쌍의 돌출 돌기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단자(20)는 상기 제2 연장부(53)의 이동 경로상에서 상기 통전 단자(4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유닛(50)이 플러그(2)의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정회전되면 상기 통전 유닛(50)에 결합된 통전 단자(40)가 상기 제2 연장부(53)의 이동에 이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단자(40)는 대응하는 상기 전원 단자(20)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 단자(40)와 연결된 상기 접촉 단자(30)가 통전되어 플러그(2)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2)가 탈거되면 상기 통전 단자(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통전 유닛(50)이 역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단자(40)의 역회전에 의해서 상기 통전 단자(40)와 전원 단자(20)가 이격되고 플러그(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전 유닛(50)의 역회전을 강제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60)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의 헤드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에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핀 관통홀(201)에 대응하는 수의 커버 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60)의 상면에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복수의 수용 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62)은 상기 커버(60)의 상면에서 돌출된 격자 형상의 복수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서로 구획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62)에 유입된 액체는 다른 수용 공간(62)으로 흐르지 않게 되며, 상기 커버(60)의 표면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서 플러그의 L1 핀과 L2 핀이 통전되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62)이 돌출된 격자 형상의 복수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구획된 복수의 수용 공간(62)이 형성 가능한 함몰 및 돌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200)와 스위치 모듈(3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와 안전 스위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 부재와 연장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 부재의 회전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모듈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상기 승강 케이스(200)와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승강을 가이드하거나 승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05)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05)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가이드 돌기(205)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플러그 삽입부(10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05)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1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의 내측면에서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이에 상기 가이드 돌기(205)가 삽입되는 한쌍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한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의 내측면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205)가 삽입되도록 함몰되는 레일 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01)의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후술할 개폐 부재(310)가 배치되는 케이스 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케이스(200)는, 하부 케이스(220),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20)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부를 형성하며, 가장 자리를 제외한 내측 부분이 함몰되어 단차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둘레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공간(202)은 상기 상부 케이스(210)이 상면과 상기 단차부(2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중심에는 후술할 연장 부재(320)가 관통하는 관통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은 상기 단차부(221)의 중심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서 상기 관통홀(222)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회전 가이드 홈(22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플러그(2)의 핀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두개의 핀에 대응하여 두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 가이드 홈(223)은 상기 단차부(221)에서 상기 관통홀(2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의 바닥면에는 플러그(2)의 핀이 관통하는 핀홀(2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홀(224)은 상기 승강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핀 관통홀(201)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2개의 핀을 가지는 플러그(2)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두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회전 가이드 홈(223)의 바닥에는 각각 대응하는 핀이 관통하는 핀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후술할 개폐 부재(31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후술할 상기 개폐 부재(310)의 개폐부(3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3)은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 시 개폐부(31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모듈(300)은, 상기 케이스 공간(202)에 배치되며 플러그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핀홀(224)을 개방하는 개폐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모듈(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개폐 부재(310)를 지지하며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310)와 함께 회전 동작되며,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눌림 반복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에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310)의 하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310)에 의해서 상기 핀홀(224)이 차폐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이 제한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 부재(310)가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핀홀(22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높이의 단축 제한이 해제되어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31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기 관통홀(2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축이되는 연장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 부재(320)와 개폐 부재(310)의 결합은, 상기 연장 부재(320)와 개폐 부재(310)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결합 요소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 및 동일 소재로 일체로 제조된 상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연장 부재(320)를 지지하며, 상기 연장 부재(320)와 원터치 동작을 위해 연동하는 스위치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연장 부재(320) 및 스위치 부재(330)와 원터치 동작 및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 구속을 제어하는 구속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초기 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310)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부(311), 상기 회전부(311)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핀홀(224)을 개폐하는 개폐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12)는 상기 핀홀(224)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개폐부(312)는 2개의 핀홀(224)에 대응하여 두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개의 개폐부(312)는 상기 회전부(311)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12)에는 플러그(2)의 핀이 관통하는 개폐부 홀(3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312)에서 상기 개폐부 홀(312a)의 둘레에는 회전 유도 경사면(3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은 상기 개폐부(312)의 상면에서 상기 개폐부 홀(312a)과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 부재(310)가 상기 핀홀(224)을 개방하도록 정회전될 때 상기 개폐부(312)가 이동되는 방향을 개방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는 상기 개폐부 홀(312a)의 개방 방향측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은 상기 개폐부 홀(312a)의 개방 방향측에서 개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310)는 상기 핀홀(224)을 차폐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된 초기 위치일 때,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이 상기 핀홀(224)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플러그(2)가 장착될 때, 플러그(2)의 핀은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을 가압할 수 있다.
플러그(2)의 핀과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의 접촉 및 핀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310)가 정회전 될 수 있다.
플러그(2)의 핀이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의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을 따라 상대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 홀(312a)에 위치되면 상기 개폐 부재(310)가 최대로 정회전되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핀홀(224)은 상기 개폐 부재(310)가 최대로 정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개폐부 홀(312a)과 대응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의 핀이 상기 개폐부 홀(312a)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개폐부 홀(312a)과 핀홀(224)이 상하로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핀홀(224)이 개방되어 플러그(2)의 핀이 핀홀(224)을 관통하여 상기 구획 공간(103)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모듈(300)은 상기 개폐 부재(31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강제하는 복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 인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등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부(312)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310)의 정회전시 인장되어 플러그(2)의 탈거 시 상기 개폐 부재(310)의 역회전을 강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회전부(3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개폐 부재(310)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상기 개폐 부재(310)에 결합 요소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연장 부재(320)가 상기 개폐 부재(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회전부(3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관통홀(222)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회전부(3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기둥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연장 부재(320)의 하강시 후술할 구속 부재(340)의 구속 돌기(341)가 지나는 통로를 형성하는 슬릿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부재(320)는, 원터치 동작을 위한 상측 클러치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부(322)는 기둥부(321)의 둘레면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321)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릿부(322)는 상기 구속 돌기(341)가 하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321) 내부는 상기 관통홀(22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321)의 내부는 상기 관통홀(222)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장 부재(320)와 개폐 부재(310)의 결합체가 후술할 이격 탄성 부재(351)에 의해서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이격 탄성 부재(351)의 상부는 단차진 상기 관통홀(222)이 하면 둘레에 접촉되어 상기 연장 부재(320)와 개폐 부재(3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 부재(320)와 개폐 부재(310)의 결합체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와 함께 승강되므로,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상기 기둥부(3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원터치 동작을 위해서, 후술할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하측 클러치부(335)와 연동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상기 슬릿부(3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하방 경사면 및 수직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상기 기둥부(321)이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상측 경사부(325a), 상기 제1 상측 경사부(325a)의 일 방향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 수직부(325b), 상기 상측 수직부(325b)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상측 경사부(32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방향은 상기 개폐 부재(310)가 상기 핀홀(224)을 개방하는 정회전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상측 경사부(325c)는 상기 제1 상측 경사부(325a)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측 경사부(325c)는 상기 제1 상측 경사부(325a) 보다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상기 슬릿부(322)는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상기 슬릿부(322)는 각각 두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상기 슬릿부(322)가 두개로 형성되는 경우, 두개의 클러치부와 슬릿부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321)의 둘레를 따라 클러치부(325), 슬릿부(322), 상측 클러치부(325), 슬릿부(322) 순으로 배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하우징(100)이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연장 부재(3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연장 부재(320)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승강 기둥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둥부(331)는 상기 기둥부(321)의 내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222)에 삽입되는 기둥 돌기(3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돌기(331a)는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 돌기(331a)의 둘레면은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둘레면과 단차질 수 있다.
상기 승강 기둥부(331)에는 후술할 지지 탄성 부재(352)가 삽입되는 탄성 부재 삽입 홈(3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삽입 홈(331b)은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하면 중심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하부에는 하측 클러치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원터치 동작을 위해서,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연동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하부가 상부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차지고, 단차진 부분의 상면이 경사면 및 수직면을 가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하측 경사부(335a), 상기 제1 하측 경사부(335a)의 일 방향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하측 수직부(335b), 상기 하측 수직부(335b)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하측 경사부(33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방향은 상기 개폐 부재(310)가 상기 핀홀(224)을 개방하는 정회전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하측 경사부(335a)는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측 경사부(335a)는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 보다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에 대응하여 두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하측 클러치부(335)의 사이에는 돌기 이동부(3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이동부(336)는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하강시 상기 구속 부재(340)의 구속 돌기(341)가 지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 이동부(336)는 두개의 슬릿부(322)에 대응하여 두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이동부(336)는 상기 슬릿부(322)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이동부(336)는 상기 개폐 부재(310)의 정회전 방향 회전시 상기 슬릿부(322)와 상하로 정렬되어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속 부재(340)는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가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구속 부재(34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 부재(340)에는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가 상방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클러치 삽입 공간(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부재(340)는 원터치 동작 및 상기 연장 부재(320)의 하강 구속 제어를 위해서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 및 하측 클러치부(335)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속 부재(340)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구속 돌기(3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구속 부재(3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341)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속 부재(340)의 내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속 돌기(341)가 두개로 구비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두개의 구속 돌기(341)는 두개의 상기 돌기 이동부(336)에 대응하도록 배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슬릿부(322) 및 돌기 이동부(336)를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부(322) 및 돌기 이동부(336)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341)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 부재(310)의 정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돌기 경사부(34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350)는 상기 연장 부재(320)를 상기 스위치 부재(330)로부터 상승 원복 시키기 위한 이격 탄성 부재(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는 압축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는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상면과 상기 개폐 부재(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310)와 결합된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로부터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하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스위치 부재(330)와 가까워지도록 상대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승강 케이스(200)에 가압히 해제되면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와 멀어지도록 상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20)가 상기 스위치 부재(330)로부터 상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가 맞물림과 풀림을 반복하며 원터치 기능을 위한 연동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350)는 상기 스위치 모듈(300)을 상승 원복 시키기 위한 지지 탄성 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탄성 부재(352)는 압축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탄성 부재(352)는 상기 승강 기둥부(33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탄성 부재(352)는 하부는 상기 구속 부재(3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측 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탄성 부재(352)의 상부는 상기 탄성 부재 삽입 홈(331b)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승강 기둥부(33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와 구속 돌기(341)의 구성은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연장 부재(320)와 스위치 부재(330)의 승강에 의해서 연동되어 원터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후술할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원터치 기능 제공을 위한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콘센트의 전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가 승강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의 원터치형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에 의해서 승강 케이스가 하강된 상태의 원터치형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의 초기 하강 시 승강 케이스를 하강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 모듈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케이스가 다시 눌러짐에 따라 승강 케이스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 모듈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플러그가 장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310), 연장 부재(320), 스위치 부재(33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310)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310)를 수용하는 승강 케이스(200)는 상기 개폐 부재(310)에 의해서 지지되어 최대로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 부재(310)는 상기 핀홀(224)을 차폐한 상태가 되도록 역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초기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도 15의 A1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 부재(320)의 슬릿부(322)는 상기 구속 부재(340)의 구속 돌기(341)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측 경사부(325a)가 상기 구속 돌기((341)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케이스(200)를 하방으로 누르더라도, 상기 연장 부재(320)가 상기 구속 돌기(341)에 간섭되어 하강되지 못하므로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이 구속된 상태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는 상기 구속 부재(340)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구속 부재(340)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구속 부재(340)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구속 돌기(341)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돌기 이동부(336)에 위치되어 스위치 부재(33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단자(20)와 통전 단자(40)는 이격되어 상기 접촉 단자(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플러그(2)의 핀이 승강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개폐 부재(310)는 플러그(2) 핀과 상기 회전 유도 경사면(312b)의 접촉에 의해서 정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15의 A2 상태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310)는 상기 개폐부 홀(312a)이 상기 핀홀(224)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개폐 부재(310)의 회전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부재(320)의 슬릿부(322)는 상기 구속 돌기(341)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 상태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슬릿부(322)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 부재(320)가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플러그(2)의 핀이 상기 스강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하강됨에 따라, 플러그(2)의 핀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핀 관통홀(142)을 관통하여 상기 구획 공간(103)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의 핀은 상기 접촉 단자(3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의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통전 유닛(50)이 회전 동작하여 상기 전원 단자(20)와 통전 단자(40)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플러그(2)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케이스(200)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위치 모듈(300)의 A3, A4, A5 동작 과정에 의해서 하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상승이 구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 부재(310)가 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부(322)와 돌기 이동부(336)는 상하로 일렬로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플러그(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연장 부재(320)가 상기 스위치 부재(330)와 가까워지도록 상대 하강되고, 상기 이격 탄성 부대(351)가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20)가 하강됨에 따라 제1 상측 경사부(325a)는 상기 제1 하측 경사부(335a)와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측 경사부(325c)는 제2 하측 경사부(335c)와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플러그(2)를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면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지속적으로 하강되고, 상기 연장 부재(320)와 스위치 부재(330)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함께 하강될 수 있다.
A3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하측 클러치부(335)는 상기 구속 돌기(341)를 통과하여 상기 구속 부재(34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연장 부재(320)의 슬릿부(322)에 완전이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A4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가 상기 구속 돌기(341)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하측 클러치부(335)와 상측 클러치부(325)에 형성된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정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와 하측 클러치부(335)의 맞물림에 의해서 정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플러그(2)의 삽입 장착을 완료하여 플러그(2)이 가압을 중지하면, A5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 부재(320)는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가 하측 클러치부(335)를 이탈하도록 소폭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의 경사면과 상기 돌기 경사부(341a)의 작용에 의해서 더 정회전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측 수직부(335b)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하측 수직부(335b)에 접촉됨에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정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하측 수직부(335b)와 제2 하측 경사부(335c)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측 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볼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하측 홈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상승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연장 부재(320) 및 개폐 부재(31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케이스(200)도 하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의 높이가 단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하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플러그(2)를 탈거하기 위해서 플러그(2)를 다시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위치 모듈(30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상승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상승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310)와 연장 부재(32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31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상승됨에 따라 플러그(2)가 상승되어 탈거될 수 있으며, 핀이 상기 접촉 단자(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의 핀이 상기 구획 공간(103)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통전 유닛(5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단자(20)와 통전 단자(40)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접촉 단자(3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플러그(2)에 의해서 다시 눌러지면, B1 상태와 같이 스위치 부재(330)가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330)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하측 홈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하측 홈부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구속 돌기(341)의 경사면과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정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속 돌기(341)가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가 상기 상측 클러치부(325)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정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플러그(2)의 하방 가압을 중지하면, 상기 이격 탄성 부재(351)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연장 부재(320)가 상기 스위치부재(330)로부터 소폭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부재(320)의 소폭 상승에 의해서 상기 하측 클러치부(335)와 상측 클러치부(325)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돌기 경사부(341a)와 상기 제2 하측 경사부(335c)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더 정회전될 수 있다.
그 후, B2 상태와 같이 상기 구속 돌기(341)는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돌기 이동부(336)와 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상승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B3 상태와 같이 상기 스위치 부재(330)의 상승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330)는 상기 지지 탄성 부재(352)에 의해서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33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승강 케이스(200)가 상승되어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의 높이의 단축 제한이 해제되어 높이가 연장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200)는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의 높이 연장에 의해서 상승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의 핀이 상기 승강 케이스(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개폐 부재(310)가 역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31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핀홀(224)이 차폐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200)의 하강이 제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1: 원터치형 콘센트
100: 하우징
101: 플러그 삽입부
102: 내부 공간
103: 구획 공간
103a: 제1 구획 공간
103b: 제2 구획 공간
104: 통전 공간
105: 가이드 레일
110: 하측 하우징
120: 상측 하우징
130: 중간 하우징
131: 제1 구획부
132: 제2 구획부
133: 구속 부재 장착부
134: 통전 유닛 결합부
140: 커버 하우징
141: 스위치 관통홀
142: 핀 관통홀
143: 결합 요소
20: 전원 단자
21: 제1 전원 단자
22: 제2 전원 단자
30: 접촉 단자
31: 제1 접촉 단자
32: 제2 접촉 단자
40: 통전 단자
41: 제1 통전 단자
42: 제2 통전 단자
50: 통전 유닛
51: 회전 축부
52: 제1 연장부
53: 제2 연장부
60: 커버
61: 커버 홀
62: 수용 공간
200: 승강 케이스
201: 핀 관통홀
202: 케이스 공간
205: 가이드 돌기
210: 상부 케이스
220: 하부 케이스
221: 단차부
222: 관통홀
223: 회전 가이드 홈
224: 핀홀
300: 스위치 모듈
310: 개폐 부재
311: 회전부
312: 개폐부
312a: 개폐부 홀
312b: 회전 유도 경사면
320: 연장 부재
321: 기둥부
322: 슬릿부
325: 상측 클러치부
325a: 제1 상측 경사부
325b: 상측 수직부
325c: 제2 상측 경사부
330: 스위치 부재
331: 승강 기둥부
331a: 기둥 돌기
331b: 탄성 부재 삽입 홈
335: 하측 클러치부
335a: 제1 하측 경사부
335b: 하측 수직부
335c: 제2 하측 경사부
336: 돌기 이동부
340: 구속 부재
341: 구속 돌기
341a: 돌기 경사부
342: 클러치 삽입 공간
350: 탄성 부재
351: 이격 탄성 부재
352: 지지 탄성 부재
2: 플러그

Claims (5)

  1. 함몰된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플러그 삽입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에 의해서 눌러져 하강되고, 플러그의 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 케이스;
    상기 케이스 공간에 구비되어 승강 케이스와 함께 승강되며, 플러그의 장착 시 플러그 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핀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폐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에 원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안전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개폐 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 및 승강 동작하며, 측면에 슬릿부가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 형성되고, 하부에 원터치 기능을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상측 클러치부가 형성되는 연장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장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원터치 기능을 위해 상기 상측 클러치의 경사면과 연동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눌림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하측 클러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 클러치부의 일측에 측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는 돌기 이동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가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 케이스가 상승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돌기 이동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강 시 상기 슬릿부에 진입되어 상기 슬릿부를 따라 상대 이동하는 구속 돌기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부는, 상기 핀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가 정회전된 상태에서만, 상기 구속 돌기가 하방에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돌기 이동부와 상하 정렬되어, 상기 승강 케이스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속 돌기가 상기 슬릿부에 진입 시 상기 스위치 부재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반복에 따른 상기 스위치 부재의 설정 각도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구속 돌기에 하강된 상태로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되어 원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가 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케이스의 눌림 하강 시, 상기 구속 돌기가 상기 돌기 이동부의 상방 개구를 통해서 이탈되어 상기 슬릿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의 연동에 의해서 설정 각도 회전되고, 상기 돌기 이동부와 구속 돌기가 어긋나게 정렬되어 상기 구속 돌기에 상기 하측 클러치부가 하강된 상태로 걸림 구속되고,
    상기 승강 케이스의 재눌림 하강 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측 클러치부와 하측 클러치부의 연동에 의해서 설정 각도 회전되고, 상기 돌기 이동부와 구속 돌기가 대응되게 정렬되어 상기 하측 클러치부의 걸림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클러치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상측 경사부;
    상기 제1 상측 경사부의 일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상측 수직부;
    상기 상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하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상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클러치부는,
    상기 스위치 부재의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하측 경사부;
    상기 제1 하측 경사부의 일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는 하측 수직부;
    상기 하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 유닛은,
    상기 연장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탄성 이격시키는 이격 탄성 부재;
    상기 스위치 부재를 하방에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승 원복시키는 지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승강 케이스의 승강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콘센트.
KR1020220039202A 2022-03-29 2022-03-29 원터치형 콘센트 KR10252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02A KR102525666B1 (ko) 2022-03-29 2022-03-29 원터치형 콘센트
PCT/KR2022/004525 WO2023191132A1 (ko) 2022-03-29 2022-03-30 원터치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02A KR102525666B1 (ko) 2022-03-29 2022-03-29 원터치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666B1 true KR102525666B1 (ko) 2023-04-24

Family

ID=8614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02A KR102525666B1 (ko) 2022-03-29 2022-03-29 원터치형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5666B1 (ko)
WO (1) WO202319113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093B1 (ko) * 2012-04-18 2013-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445273B1 (ko) 2013-06-26 2014-09-30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20160133663A (ko) * 2015-05-13 2016-11-23 오신혁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20180024788A (ko) * 2016-08-31 2018-03-0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KR101863051B1 (ko) *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KR20180126681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210123060A (ko) * 2020-04-02 2021-10-13 오광택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06A1 (ko) * 2009-01-02 2010-07-08 Shin Hun-Soo 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093B1 (ko) * 2012-04-18 2013-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445273B1 (ko) 2013-06-26 2014-09-30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20160133663A (ko) * 2015-05-13 2016-11-23 오신혁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20180024788A (ko) * 2016-08-31 2018-03-0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KR101863051B1 (ko) *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KR20180126681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210123060A (ko) * 2020-04-02 2021-10-13 오광택 탄성있는 전원단자 구멍을 가지는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132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458B2 (ja) 安全コンセント
US20120287572A1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CN105191032B (zh) 电气连接箱
KR1010717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102525666B1 (ko) 원터치형 콘센트
US11967784B2 (en) Tamper resistance receptacle
FR2921207A1 (fr) Adaptateur de raccordement
KR20170069570A (ko) 안전 콘센트
KR101691718B1 (ko) 안전 콘센트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849697B1 (ko) 안전 콘센트
KR101227584B1 (ko) 콘센트 장치
KR102204600B1 (ko) 이중 차단 구조를 갖는 전원접속장치
KR101971690B1 (ko)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KR102439702B1 (ko) 안전 콘센트
KR20180126681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CN210985032U (zh) 一种插座安全门的弹簧装配结构
US6700083B2 (en) Breaker apparatus
KR101819319B1 (ko) 콘센트
KR101039101B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20220054077A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CN107424860A (zh) 一种防误操作的车用开关装置
KR20180126682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564843B1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