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059B1 -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 Google Patents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059B1
KR102374059B1 KR1020210009663A KR20210009663A KR102374059B1 KR 102374059 B1 KR102374059 B1 KR 102374059B1 KR 1020210009663 A KR1020210009663 A KR 1020210009663A KR 20210009663 A KR20210009663 A KR 20210009663A KR 102374059 B1 KR102374059 B1 KR 10237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ange
air pressure
guide
bod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이테크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이테크,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00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0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an internal guide pipe, wherein a tube can be reversed and inputted into an underground conduit using air pressure, and the leakage of the air pressure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even using a small amount of liquid for blocking leakage pressure alon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casing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pressure with the tube not reversed and an outlet for receiving air pressure and discharging air pressure while the tube is reversed,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respectively, and having an inner bulkhead installed to divide the inner space into a front-side space and a rear-side space; a guide pip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ing while penetrating the inner bulkhead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guiding the not-reversed tube to pass the inside, having a bending part formed between a fore-end part and a rear end part to be bent downward, having the bending part filled with liquid for blocking leakage pressure to prevent the leakage of air pressure provided into the rear-side space of the main body casing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ube; and transporting rollers installed in a pair on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t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ing to backward pressurize and transport the tube.

Description

내부 가이드관을 구비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본 발명은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만으로도 공기압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line repair, and in particular, by using air pressure to reverse the tube into an underground pipeline, and to effectively block the outflow of air pressure with only a minimal amount of leakage-blocking liquid. It relates to a tube inversion device for use.

일반적으로, 튜브 반전장치는 상,하수도관 및 가스, 전기, 통신 등의 산업용 배관과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노후한 관로의 보수를 행하는 장치로서, 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상태의 튜브를 반전시키면서 관로 내부에 삽입하고 이 튜브를 팽창시켜 관로의 내벽에 압착시킨 후 경화성 수지를 경화하여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In general, a tube reversing device is a device for repairing old pipes buried underground such as water and sewage pipes and industrial pipes for ga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and while inverting the tube impregnated with curable resin, the inside of the pipe After inserting into the tube, expanding the tube and pressing it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a series of operations are performed to harden the curable resin and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2336호에 개시된 종래의 튜브 반전장치는 튜브를 가이드하는 롤러와,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튜브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체유입구 및 유체배출구를 가지며 튜브의 입,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tube invers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22336 provides a roller for guiding the tube, and an enclosed space, and a fluid inlet and fluid outle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fluid to and from the inside of the tube. It wa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tube were formed.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튜브 반전장치는 관로 측으로 이동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의 끝부분을 뒤집으면서 이송시켜 관로의 내부를 채우도록 하였으며, 유체공급장치에 의해 고온의 유체를 튜브의 내부로 공급하여 관로의 내주면과 접해 있는 튜브의 외측면에 미리 함침된 열경화성수지를 경화시켰다. 이후 열경화성수지의 열경화작업이 완료되면 관로 내의 튜브를 회수함으로써 일련의 관로 보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었다. The conventional tube revers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o fill the inside of the pipe by transferring the end of the tube while inverting it in the state that it is moved and installed toward the pipe, and the high-temperature fluid is supplied into the inside of the tube by the fluid supply device to the inside of the pipe. The thermosetting resin pre-impreg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was cured. Afterwards, when the thermosetting work of the thermosetting resin was completed, a series of pipe repair work could be completed by recovering the tube in the pipe.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튜브 반전장치에서는 튜브를 팽창시키기 위해 공급하는 유체가 튜브가 공급되는 입구를 통해 다량 유출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tube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of reducing the working efficiency because a large amount of the fluid supplied to expand the tube flows out through the inlet to which the tube is suppli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822336호(2008.04.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822336 (2008.04.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만으로도 공기압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ir pressure to invert the tube to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and to inject the tube into the underground conduit by inverting the air pressure with only a minimum amount of liquid for blocking leak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e reversing device for repairing a pipeline to effectively block the outflow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로서, 전측과 후측에 각각 튜브가 반전되기 전 상태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압을 제공받아 튜브가 반전되면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전측 공간과 후측 공간으로 구분해주는 내부격벽이 설치된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내부격벽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반전되기 전 상태의 튜브가 내부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며,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 내부에는 누압 차단용 액체가 고여 있는 형태로 채워져서 튜브의 반전 및 팽창을 위해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측 공간에 제공되는 공기압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유입구에서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튜브를 후방으로 가압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in which the tube can be inverted and put into the underground pipe by using air pressure, the front side The main body casing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ir pressure flowing in before the tube is inverted, and an outlet is formed in the rear and the tube is inverted, respectively, and an inner partition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 front space and a rear space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casing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inner partition wal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guides the tube in the state before being rever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a guide tube filled with a liquid for blocking leakage of pressure inside the bent part to block the air pressure provided to the space behind the body casing for inver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from leaking out; and a transfer roller installed as a pai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the inlet of the main casing to pressurize the tube to the rear.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면 및 하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 내부를 경유하는 튜브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측면과의 마찰접촉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tube to protect the tube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tube. there is.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관의 절곡부 상면과 하면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ns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guide tube.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절곡부 내부에는 상기 튜브가 누압 차단용 액체에 잠긴 상태에서 들뜨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상기 튜브를 눌러주는 복수의 웨이트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eight rollers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bent portion of the guide tube to press the tube by its own weight so as not to lift the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is submerged in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 중 유출구 인근에 설치된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tube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casing, and among the support members,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near the outlet is provided a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uide tube. can do.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측벽에는 상기 튜브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배치된 다수의 관찰 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bservation windows arranged continuously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tube ar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casing.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유출구 둘레부에 설치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튜브의 일단 둘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랜지에 대면하여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 둘레부를 고정하는 제2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단부 상부에는 회전동작 가능한 본체에 신축동작 가능하도록 아암이 설치된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어 끝단에 후크가 설치된 로프에 의해 상기 제2플랜지를 걸어 지지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로 이루어진 플랜지 지지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flange installed on the periphery of the outlet of the main body casing, and a second flange coupled to face the first flange with one perimeter of the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to fix the periphery of one end of the tube, A crane having an arm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so that the rotatable main body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the second flange is hung and supported by a rope installed in the crane and having a hook installed at the end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ange support device consisting of a hoist.

또한, 상기 제1플랜지의 제2플랜지 대향면에는 자성을 갖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에 체결하기 전에 자력에 의해 임시로 가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ing-shaped magnet plate having a magnetism is join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of the first flange to temporarily attach the second flange to the first flange by means of a magnetic force before fastening the second flange to the first flange by a bolt and a nut.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ble to.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본체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관에 의해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만으로도 공기압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lin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ir pressure to invert the tube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and inserts it,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outflow of air pressure with only a minimum amount of leakage-blocking liquid by the guide tube installed inside the main casing. can be block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관로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1 is a side view of a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is a series of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pipe repair method made using the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commonly used dictionary defini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관로 보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tube inverting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ube inverting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is a series of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pipeline repair method made by using the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line re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T)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로서, 본체 케이싱(110), 가이드관(120), 이송롤러(130), 지지부재(140a,140b), 가이드롤러(150a), 회전 릴(160), 플랜지 지지장치(170), 무한궤도(101)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As shown, the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in which the tube (T) can be inverted and put into the underground pipe using air pressure, and the main body casing 110, guide pipe 120, conveying roller 130, support members 140a, 140b, guide roller 150a, rotary reel 160, flange support device 170, caterpillar 101 included as a compon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는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T)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FL)만으로도 공기압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tube reversing device 100 for pipelin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reverse the tube (T)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by using pneumatic pressure by these major components and to block the minimum amount of leakage pressure It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block the outflow of air pressure with only the liquid FL.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of the components.

상기 본체 케이싱(110)은 전측과 후측에 각각 튜브(T)가 반전되기 전 상태로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공기압을 제공받아 튜브(T)가 반전되면서 유출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는 전측 공간과 후측 공간을 구분해주는 내부격벽(113)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격벽(113)의 하단부에는 가이드관(120)이 관통하는 관통로(113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일지점에는 튜브(T)의 반전 및 팽창을 위해 내부공간의 후측 공간으로 공기와 스팀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7a,117b)가 설치된다. 상기 주입구는 제1주입구(117a)와 제2주입구(117b)로 구분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주입구(117a)와 제2주입구(117b)에 각각 지원차량으로부터 공기 주입을 위한 호스와 스팀 주입을 위한 호스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도중 공기 주입용 호스와 스팀 주입용 호스를 교대로 갈아 끼우는 번거로움이 없다. The main body casing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1 and air pressure flowing in before the tube (T) is inver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nd the tube (T) is inverted and an outlet 112 is formed. Provide interior space.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ing 110, an inner partition wall 113 that separates the front space and the rear space is installed. A through passage 113a through which the guide tube 120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113 . Inlet holes 117a and 117b for injecting air and steam into the rear space of the inner space for inver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T are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body casing 1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is installed separately into a first inlet 117a and a second inlet 117b. Then, the hose for air injection and the hose for steam injection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117a and the second inlet 117b from the support vehicle, respectively, so the hose for air injection and the hose for steam injection are alternated during work. There is no hassle of replacing it with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유출구(112) 둘레부에는 제1플랜지(116a)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T)의 일단 둘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랜지(116a)에 대면하여 결합되는 튜브(T)의 일단 둘레부를 고정하는 제2플랜지(116b)를 구비한다. 나아가 제1플랜지(116a)의 제2플랜지(116b) 대향면에는 자성을 갖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가 접합된다. 이처럼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가 구비된 구성에 따르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를 체결하기 전에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의 자력에 의해 제2플랜지(116b)를 제1플랜지(116a)에 임시로 가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작업 시 제2플랜지(116a)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의 경우 패킹 기능도 겸할 수 있는 자석고무로 구비된다. 자석고무의 경우 자력이 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데, 이는 플랜지 지지장치(170)가 제2플랜지(116b)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는 제2플랜지(116b)가 흔들리지 않도록만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 간을 간단히 가부착하면 되기 때문이다. A first flange 116a is installed on the periphery of the outlet 112 of the body casing 110, and a tube coupled to face the first flange 116a with one end of the tube T interposed therebetween ( A second flange 116b for fixing one end of the periphery of T) is provided. Furthermore, a ring-shaped magnet plate 116c having magnetism is bonded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flange 116b of the first flange 116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 plate 116c is provided, the second flange 116b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late 116c before fastening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by the bolt and nut. Since it can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116a,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of the second flange 116a during the fastening operation by the bolt and nut. In the case of the magnet plate 116c, it is provided with a magnetic rubber that can also serve as a packing function. In the case of the magnetic rubber, even if the magnetic force is not strong, it is suffic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o prevent the magnet plate 116c from shaking the second flange 116b while the flange support device 170 is supporting the second flange 116b. This is because only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may be simply temporarily attached.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상면에는 내부격벽(113)을 중심으로 내부공간 전측 공간과 후측 공간과 통하는 점검구(118)가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 케이싱(110)의 측벽에는 튜브(T)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배치된 다수의 관찰 창(114)이 설치된다. 이처럼 관찰 창(114)이 설치되면 본체 케이싱(110) 내부에 유입된 튜브(T)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지점을 쉽게 파악하여 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10 , one check hole 118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space and the rear space of the inner space with the inner bulkhead 113 as the center is installed one by one. And a plurality of observation windows 114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tube (T) are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main casing 110 . When the observation window 114 is installed in this way, it can be seen whether the tube (T) introduced into the body casing 110 is being smoothly transport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possible.

상기 가이드관(120)은 본체 케이싱(110)에서 반전되기 전 상태의 튜브(T)를 안전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더욱 중요한 것으로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FL)만을 사용해도 공기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관(120)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전단부는 유입구(111) 인근에 위치하고 후단부는 유출구(112) 인근에 위치하면서 내부격벽(113) 하단에 형성된 관통로(113a)를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The guide tube 120 serves to safely guide the tube (T) in the state before being reversed in the body casing 110, and more importantly, the air pressur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even if only a minimal amount of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is used. The point is that it makes blocking possible. To this end, the guide pipe 12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casing 110, the front end is located near the inlet 111, the rear end is located near the outlet 112, the inner partition wall 11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hrough passage ( 113a)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12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0a)가 형성되어 내부격벽(113)의 관통로(113a)를 관통하도록 하는데, 그 절곡부(120a) 내부에는 누압 차단용 액체(FL)가 고여 있는 형태로 채워진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최소량의 누압 차단용 액체(FL)만을 사용해도 튜브(T)의 반전 및 팽창을 위해 본체 케이싱(110)의 후측 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다 철저히, 보다 안전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120a)는 도면과 같이 가이드관(120)의 중앙부 일지점에만 간단히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그 절곡부(120a)마다 누압 차단용 액체(FL)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이처럼 가이드관(120)의 복수의 지점에 누압 차단용 액체(FL)가 채워지는 절곡부(120a)가 형성된 구성은 장치가 대형화된 경우에 충분한 공기압 차단 성능을 내기 위해 적합하다. Here, a bent portion 120a bent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tube 120 to pass through the through passage 113a of the inner partition 113, the bent portion 120a inside It is filled with the leaking pressure blocking liquid (FL).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only a minimum amount of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is used, the air pressure injected into the rear space of the body casing 110 for inver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T is more thoroughly and more safely blocked so that the air pressur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do Here, the bent portion 120a may be simply formed only at one poin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tube 120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filled with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for each bent portion 120a. there is. As suc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nt portion 120a filled with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guide tube 120 is suitable for providing sufficient air pressure blocking performance when the device is enlarged.

한편, 상기 가이드관(120)의 절곡부(120a)에 채워진 누압 차단용 액체(FL)는 통상의 물로 사용될 수 있고, 통상의 물보다 비중이 높은 액체가 사용되어도 소량만 사용되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담이나 폐기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다. 실리콘 액체와 같이 통상의 물보다 비중이 높은 액체가 사용되는 경우 물과 비교하여 소량만 사용되어도 상대적으로 높은 공기압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filled in the bent portion 120a of the guide tube 120 may be used as normal water, and even if a liquid having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normal water is used, only a small amount is used, so the cost burden There is almost no problem with disposal. When a liquid having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is used, such as a silicone liqui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block a relatively high air pressure even if only a small amount is used compared to water.

상기 가이드관(120)은 상면과 하면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독립된 사각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본체 케이싱(11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관(1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양측벽에 설치된 관찰 창(114)과 대응하는 관찰 창(114)이 함께 설치되어 가이드관(120) 내부에서 이송되는 튜브(T)를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관(120)은 별도의 양측면을 구비하지 않고 본체 케이싱(110)의 양측벽을 공유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tube 1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square tube having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casing 110 . In this case, on both sides of the guide tube 120 , an observation window 114 installed on both walls of the main body casing 110 and a corresponding observation window 114 are installed together, and the tube (T) transported inside the guide tube 120 . ) to be observable from the outside. Here, the guide tube 120 may be installed in a form that shares both side walls of the main casing 110 without having separate side surfaces.

상기 가이드관(120)의 절곡부(120a) 하면에는 누압 차단용 액체(FL)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21)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관(120)의 상부 하면에는 누압 차단용 액체(FL)가 필요 이상으로 차올랐을 때 배출되는 용도로 배출밸브(121)가 추가 설치된다. 한편, 본체 케이싱(110)의 바닥에도 배수를 위한 배수밸브(11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discharge valve 121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20a of the guide tube 120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 of the guide tube 120 is for blocking leakage pressure. A discharge valve 121 is additional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discharging when the liquid FL is filled more than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valve 115 for draining the bottom of the body casing 110 is also installed.

상기 지지부재(140a,140b)는 본체 케이싱(110) 내부에서 가이드관(120)을 상측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내부격벽(113)을 중심으로 전측에 설치되는 전측 지지부재(140a)와 후측에 설치되는 후측 지지부재(140b)로 구비된다. 이 중에 튜브(T)의 반전 및 팽창으로 인해 진동 및 충격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가이드관(120)의 후측부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재(140b)는 탄성지지가 가능하도록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상기 후측 지지부재(140b)는 코일 스프링을 주로 염두에 두지만,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탄성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스프링으로 구비된 후측 지지부재(140b)의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관(120)을 상측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면 유출구(112) 인근에 위치하는 가이드관(120)의 후측부가 공기압에 의해 반전 및 팽창하며 유출되는 튜브(T)의 영향을 받아 흔들릴 때 스프링으로 구비된 후측 지지부재(140b)가 충격을 흡수하면서 가이드관(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이드관(120)의 경우 누압 차단용 액체(FL)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이므로 완전히 경직된 상태로 설치된 것보다는 스프링으로 구비된 후측 지지부재(140b)에 의해 변위를 허용하도록 탄성지지되어 충격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계속된 피로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The support members 140a and 140b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guide tube 120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inside the main body casing 110, and the front support members 140a and It is provided with a rear support member 140b installed on the rear side. Among them, the rear support member 140b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guide tube 120 to which vibration and shock are continuously applied due to the inver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T is provided with a spring to enable elastic support. The rear support member 140b is mainly made of a coil spring, but may be formed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support member 140b provided with a spr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uide tube 120 is suppor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rear portion of the guide tube 120 located near the outlet 112 is reversed by air pressur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guide tube 120 while absorbing the shock by the rear support member 140b provided with a spring when it is shak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ube T that expands and flows o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guide tube 120, since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is accommodated therein, it is elastically supported to allow displacement by the rear support member 140b provided with a spring rather than being installed in a completely rigid state. To be able to accept it is structurally safe and capable of withstanding continued fatigue loads.

상기 가이드롤러(150a)는 가이드관(120)의 내부 상면 및 하면을 따라 다수 설치된다. 이로써 가이드관(120) 내부를 경유하는 튜브(T)가 가이드관(120)의 내측면과의 마찰접촉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받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50a)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튜브(T)와의 접촉 빈도 및 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인 절곡부(120a)의 상면과 하면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guide rollers 150a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tube 120 . Accordingly, the tube T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120 can be protec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tube 120 . As shown in FIG. 2, the guide roller 150a is preferably intens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20a,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contact frequency and strength with the tube T is highest.

한편, 가이드관(120)의 절곡부(120a) 내부에는 도 8의 변형실시예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튜브(T)가 누압 차단용 액체(FL)에 잠긴 상태에서 들뜨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튜브(T)를 눌러주는 복수의 웨이트롤러(15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롤러(150b)는 가이드롤러(150a)와 달리 가이드관(120) 일지점에 고정된 상태로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튜브(T)가 누압 차단용 액체(FL)에 잠긴 상태에서 들뜨지 않도록 보호를 받게 된다. 상기 웨이트롤러(150b)는 자중에 의해 절곡부(120a) 하면 중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가이드관(120)을 경유하는 튜브(T)를 안정적으로 눌러주기 위하여 충분한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보다는 금속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튜브(T)의 반전 및 팽창, 이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이드관(120)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누압 차단용 액체(FL)의 출렁임에도 불구하고 가이드관(120)의 내부를 경유하는 튜브(T)가 누압 차단용 액체(FL)에 잠긴 상태에서 들뜨거나 경로를 급히 이탈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bent portion 120a of the guide tube 120, as can be seen in the modified embodiment diagram of FIG. A plurality of weight rollers 150b for pressing T) may be further provided. Unlike the guide roller 150a, the weight roller 150b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guide tube 120 and is installed in a freely movable form without being constrained. Thereby, the tube (T) is protected from being lifted while submerged in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The weight roller 150b may have sufficient weight to stably press the tube T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120 while having a tendency to be located at the lowest point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20a by its own weigh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metallic material rather than a plastic material. As a result, the tub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120 despite the shaking of the guide tube 120 that may occur due to the inversion, expansion, and transport of the tube T and the sway of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T) is stably transported without lifting or escaping from the path in the state of being submerged in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FL).

상기 이송롤러(130)는 본체 케이싱(110)의 유입구(111)에서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튜브(T)를 후방으로 가압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인근에 설치된 모터(130a)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한다. 이같은 이송롤러(130)가 설치되면 유출구(112) 쪽에서는 공기압으로 튜브(T)를 끌고 가고 유입구(111) 쪽에서는 이송롤러(130)가 밀어주는 형태가 되면서 튜브(T)의 반전 팽창 및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상기 튜브(T)에 대한 가압 이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표면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transfer roller 130 is installed in a pai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the inlet 111 of the main casing 110 to transfer the tube T to the rear under pressure. The transfer roller 130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a nearby motor 130a to rotate. When such a transfer roller 130 is installed, the tube (T) is dragged with air pressure from the outlet 112 side, and the transfer roller 130 is pushed from the inlet 111 side, and the tube (T) is expanded and transferred in reverse. This is done more smoothly. The conveying roller 130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improve the pressure conveying ability for the tube (T).

상기 튜브(T)의 이송 및 반전 팽창으로 인해 내측으로 말려 들어가는 튜브(T)의 타단부(T1)에는 회전 릴(160)에 감겨 있는 지지로프(161)가 연결된다. 이로써 튜브(T)의 이송 및 반전 팽창에 경과에 따라 튜브(T)의 타단부(T1)가 보조를 맞추어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릴(160)이 지지로프(161)를 점진적으로 풀어주게 된다. 이렇게 튜브(T)의 타단부(T1)에 연결된 지지로프(161)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릴(160)에서 점진적으로 풀어지면서 튜브(T)의 타단부(T1)를 지속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이로써 튜브(T)의 반전 및 팽창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전체 영역에 밀착된다. A support rope 161 wound around the rotary reel 16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1 of the tube T that is rolled inward due to the transfer and reverse expansion of the tube T. As a result, the rotating reel 160 gradually releases the support rope 161 so that the other end T1 of the tube T can move in line with the passage of the tube T and reverse expansion thereof. In this way, the support rope 161 connected to the other end T1 of the tube T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rotating reel 160 as shown in FIGS. 5 and 6 while continuing the other end T1 of the tube T. is supported, and thereby the tube (T) is successfully reversed and expanded, and is closely adhered to the entire area of the pipe to be repaired.

상기 플랜지 지지장치(170)는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를 체결하여 튜브(T)의 일단 둘레부를 고정할 때 제2플랜지(116b)를 승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랜지 지지장치(170)는 본체 케이싱(110)의 후단부 상부에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한 본체에 신축동작 가능하도록 아암(171a)이 설치된 크레인(171)과, 크레인(171)에 설치되어 끝단에 후크(174)가 달린 로프(173a)에 의해 제2플랜지(116b)의 고리(116d)를 걸어 지지한 상태로 제2플랜지(116b)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1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랜지(116a)는 본체 케이싱(110)의 유출구(112) 둘레부에 이미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으며, 이와 별도로 제2플랜지(116b)는 사용하는 튜브(T)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통공을 갖는 것들 중에서 선택되어 제1플랜지(116a)에 체결된다. 제2플랜지(116b)를 제1플랜지(116a)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제2플랜지(116b)가 운반차량 혹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제2플랜지(116b)의 고리(116d)에 플랜지 지지장치(170)의 후크(174)를 걸어준 후 호이스트(173)로 로프(173a)를 감아주어 제2플랜지(116b)를 제1플랜지(116a)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 이후 크레인(171)에 의해 제1플랜지(116a) 인근까지 제2플랜지(116b)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 사이에 튜브(T)의 일단 둘레부를 개재시킨 상태로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해준다. 이때 제1플랜지(116a)와 제2플랜지(116b)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기 전에 마그네트 플레이트(116c)를 이용하여 서로 가부착시켜주면 제2플랜지(116b)가 로프(173a)에 달린 상태에서 흔들거리지 않으므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작업이 훨씬 쉬워진다. The flange support device 170 serves to elevate and support the second flange 116b when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are fastened to fix the periphery of one end of the tube (T). To this end, the flange support device 170 is installed on the crane 171 and the crane 171 in which the arm 171a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y operable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y operable on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110 . It consists of a hoist 173 that allows the second flange 116b to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116d of the second flange 116b is hung by a rope 173a having a hook 174 at the end thereof. Here, the first flange 116a is already installed and fixed on the periphery of the outlet 112 of the main casing 110, and the second flange 116b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tube T used separately. to be selected from those having through-holes of different sizes and fastened to the first flange 116a. In order to fasten the second flange 116b to the first flange 116a, the flange support device 170 is attached to the hook 116d of the second flange 116b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lange 116b is placed on the transport vehicle or the ground. After hooking the hook 174 of the hoist 173, the rope 173a is wound to lift the second flange 116b to the height of the first flange 116a. Thereafter, the second flange 116b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first flange 116a by the crane 171 . Then,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are fastened with a bolt and a nut with one end of the tube 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At this time, if the first flange 116a and the second flange 116b are temporarily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 magnet plate 116c before fastening them with a bolt and a nut, the second flange 116b is attached to the rope 173a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ed. Since it does not wobble, fastening using bolts and nuts becomes much easier.

상기 무한궤도(101)는 본체 케이싱(110)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다른 차량의 지원을 받지 않고서도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된다.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유압장치(119)가 설치된다. The caterpillar 101 is installed under the main casing 110 . Accordingly, the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 re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move by itself without receiving support from other vehicles. A hydraulic device 119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casing 110 to stably support the groun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ipeline repair method using the tube inversion device for pipeline re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attached FIGS. 3 to 7 as follows.

먼저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에 대한 사전조사 및 준설, 세정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현장조사, 교통처리계획, 물돌리기계획, 환기계획을 수립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진공흡입 준설차량(201)에 설치된 세정노즐(212)을 이용하여 관로 내부를 고압세척한다. 이후 고압세정 차량(202)에 의해 관로 내의 슬러지를 세정수와 함께 진공흡입하여 관로 내부를 깨끗이 한다. 이때 준설작업 전 지수플러그(211)를 설치하여 물막이 및 물돌리기를 시행한다. First, the pre-investigation, dredging, and cleaning steps of the pipeline to be repaired are carried out. In this step, a field survey, a traffic treatment plan, a water return plan, and a ventilation plan are established, and the inside of the pipeline is cleaned under high pressure using the cleaning nozzle 212 installed in the vacuum suction dredging vehicle 201 as shown in FIG. 3 . Thereafter, the sludge in the pipeline is vacuum sucked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by the high-pressure cleaning vehicle 202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line. At this time, the water plug 211 is installed before the dredging operation to perform water blocking and water rotation.

이후, 관로 내 조사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상 맨홀 인근에 CCTV 조사차량(203)을 이동시킨 다음 CCTV가 장착된 조사로봇(213)을 관로 내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면서 관로 내의 손상부위를 비롯하여 관로 내 상태를 CCTV 영상을 통해 조사한다. 관로 내 조사가 마쳐지면 필요한 경우 관로 내에 작업 도구 또는 로봇을 투입하여 튜브(T)의 투입 및 라이닝재 도포가 용이하도록 관로 내를 정리한다. After that, the investigation step in the pipeline proceeds. In this step, as shown in FIG. 4, the CCTV investigation vehicle 203 is moved near the ground manhole, and then the CCTV-equipped investigation robot 213 is put into the pipeline and moved while monitoring the condition in the pipeline, including the damaged part in the pipeline. Investigate through video. When the investigation in the pipeline is completed, if necessary, a work tool or robot is put into the pipeline to arrange the tube (T)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put and application of the lining material.

이후, 튜브 삽입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와 공기 및 스팀 공급 등이 가능한 지원차량(204)을 지상 맨홀 인근에 함께 이동시킨 다음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튜브(T)를 반전시키면서 관로 내로 투입한다. 이때 공기압은 0.3~0.6kg/cm2 정도로 하여 튜브(T)의 반전 및 이송속도를 준수하며, 튜브(T)의 일단부가 본체 케이싱(110)의 유출구(112)에 설치된 제1플랜지(116a) 및 제2플랜지(116b)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튜브(T)가 반전하면서 타단부(T1)가 관로 내를 이동하게 되는데 튜브(T)의 타단부(T1)는 회전 휠(160)에서 점진적으로 풀어지는 지지로프(161)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전되는 튜브(T)의 외측면이 관로의 내주면에 원활하게 밀착되어 나간다. 관로 내 보수구간 끝에 도달하면 미리 설치된 스토퍼(214)에 의해 튜브(T)의 이송이 제한된다. After that, the tube insertion step is performed. In this step, as shown in FIG. 5, the tube reversing device 100 fo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ort vehicle 204 capable of supplying air and steam, etc., are moved together near the ground manhole, and then the By supplying air to the tube reversing device 100 for pipeline repair, the tube (T)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is put into the pipeline while inverting. At this time, the air pressure is about 0.3 to 0.6 kg/cm 2 to comply with the inversion and transport speed of the tube (T), and one end of the tube (T) is installed in the outlet 112 of the body casing 110 first flange (116a) And while the tube (T) is inverted in a state fixed by the second flange (116b), the other end (T1) moves in the conduit. The outer surface of the inverted tube (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rope 161 that is released by the is smoothly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When the end of the maintenance section in the pipeline is reached, the transfer of the tube T is limited by the stopper 214 installed in advance.

이후, 경화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원차량(204)의 보일러로부터 본 발명의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에 스팀을 공급하여 이미 관로 내에 삽입된 튜브(T)에 고온의 온도 분위기(80℃ 이상)를 조성한다. 스팀에 의해 조성된 관로 내 온도는 관로의 관경 및 라이닝재인 열경화성 수지의 두께에 따른 경화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지며 튜브(T)에 함침되어 관로 내주면에 도포된 라이닝재의 경화, 양생, 냉각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After that, the curing step is performed. In this step, as shown in FIG. 6, steam is supplied from the boiler of the support vehicle 204 to the tube reversing device 100 for pipeline re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atmosphere 80 in the tube T already inserted into the pipeline. ℃ or higher). The temperature in the pipe line created by steam is determined by the cur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ipe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thermosetting resin, which is the lining material. do.

이후, 검사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한번 지상 맨홀 인근에 CCTV 조사차량(203)을 이동시킨 다음 CCTV가 장착된 조사로봇(213)을 관로 내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면서 라이닝이 완료된 관로 내벽 상태를 세밀하게 조사한다. 라이닝재로 사용된 열경화성 수지의 주름형성, 박리현상, 들뜸현상 등을 확인하고 재보수하거나 향후 유지관리에 참조자료로 저장한다. After that, the inspection step is performed. In this step, as shown in Fig. 7, once again, the CCTV investigation vehicle 203 is moved near the ground manhole, and then the CCTV-equipped investigation robot 213 is put into the pipe and moved while the lining is completed in detail. investigate Check the wrinkle formation, peeling phenomenon, and lifting phenomenon of the thermosetting resin used as a lining material and save it as reference data for repair or future mainten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본체 케이싱 120: 가이드관
130: 이송롤러 140a, 140b: 지지부재
150a: 가이드롤러 150b: 웨이트롤러
160: 회전 릴 170: 플랜지 지지장치
110: body casing 120: guide tube
130: transfer roller 140a, 140b: support member
150a: guide roller 150b: weight roller
160: rotary reel 170: flange support device

Claims (8)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의 관로 내부로 튜브를 반전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로서,
전측과 후측에 각각 튜브가 반전되기 전 상태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압을 제공받아 튜브가 반전되면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전측 공간과 후측 공간으로 구분해주는 내부격벽이 설치된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내부격벽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반전되기 전 상태의 튜브가 내부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며,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 내부에는 누압 차단용 액체가 고여 있는 형태로 채워져서 튜브의 반전 및 팽창을 위해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측 공간에 제공되는 공기압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유입구에서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튜브를 후방으로 가압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면 및 하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 내부를 경유하는 튜브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측면과의 마찰접촉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관의 절곡부 상면과 하면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절곡부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튜브가 누압 차단용 액체에 잠긴 상태에서 들뜨지 않도록 자중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측에서 눌러주도록 한 복수의 비구속형 웨이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유출구 둘레부에 설치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튜브의 일단 둘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랜지에 대면하여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 둘레부를 고정하는 제2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케이싱의 후단부 상부에는 회전동작 가능한 본체에 신축동작 가능하도록 아암이 설치된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어 끝단에 후크가 설치된 로프에 의해 상기 제2플랜지를 걸어 지지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로 이루어진 플랜지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플랜지의 제2플랜지 대향면에는 자성을 갖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에 체결하기 전에 자력에 의해 임시로 가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that uses air pressure to reverse the tube and put it into the underground pipe,
The body casing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ir pressure flowing in before the tube is inver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nd an outlet is formed when the tube is inverted, and an inner bulkhead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 front space and a rear space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ing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inner partition wal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guides the tube in the state before being rever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a guide tube filled with a liquid for blocking leakage of pressure inside the bent part to block the air pressure provided to the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casing from leaking out for inver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and a transfer roller installed in a pai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the inlet of the main casing to pressurize and transfer the tube to the rear;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guide tube to protect the tube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tube, the guide roller is intens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of the guide tube,
A plurality of non-constrained weight rollers provided to be freely movable inside the bent portion of the guide tube to press the tube from the upper side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tube does not float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is immersed in the leakage pressure blocking liquid,
A first flange installed on the periphery of the outlet of the main body casing, and a second flange coupled to face the first flange with one perimeter of the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to fix the periphery of one end of the tube, the body comprising: A crane having an arm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casing to en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rotatable main body, and a hoist installed in the crane to enable lifting and lowering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lange is hung and supported by a rope having a hook installed at the end. It further comprises a flange support device consisting of
A ring-shaped magnet plate having a magnetism is join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of the first flange so that it can be temporarily attached by magnetic force before fastening the second flange to the first flange by a bolt and a nut.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 중 유출구 인근에 설치된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tube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casing, and among the support members, a support member installed near the outlet is provided a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uide tube. Tube reversing device for mainten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측벽에는 상기 튜브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 배치된 다수의 관찰 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ube reversing device for pipe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bservation window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tube ar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ca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9663A 2021-01-22 2021-01-22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KR102374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63A KR102374059B1 (en) 2021-01-22 2021-01-22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63A KR102374059B1 (en) 2021-01-22 2021-01-22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059B1 true KR102374059B1 (en) 2022-03-16

Family

ID=8093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63A KR102374059B1 (en) 2021-01-22 2021-01-22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05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022A (en) * 1990-03-06 1992-08-24 Getsuto:Kk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ing strip like bag body
JPH0618840U (en) * 1992-08-07 1994-03-11 株式会社大林組 Duct connection structure
KR100776418B1 (en) * 2006-07-06 2007-11-19 최재현 Mending apparatus and mending method for non-digging sewerage uses water checking
KR100822336B1 (en) 2006-10-30 2008-04-16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Inverting apparatus for repairing pipeline
KR20110128028A (en)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인프라서브 Inversion apparatus for lining material and invers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23289A (en) * 2010-09-01 2012-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avit for lifting short distance piece of lng cargo
WO2020116097A1 (en) * 2018-12-04 2020-06-11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Device and method for inverting lin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022A (en) * 1990-03-06 1992-08-24 Getsuto:Kk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ing strip like bag body
JPH0618840U (en) * 1992-08-07 1994-03-11 株式会社大林組 Duct connection structure
KR100776418B1 (en) * 2006-07-06 2007-11-19 최재현 Mending apparatus and mending method for non-digging sewerage uses water checking
KR100822336B1 (en) 2006-10-30 2008-04-16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Inverting apparatus for repairing pipeline
KR20110128028A (en)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인프라서브 Inversion apparatus for lining material and invers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23289A (en) * 2010-09-01 2012-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avit for lifting short distance piece of lng cargo
WO2020116097A1 (en) * 2018-12-04 2020-06-11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Device and method for inverting lining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en) Repairing apparatus having packer which expands uniformly for part of sewer pipe
KR100697718B1 (en) Repairing apparatus of non-excavation type for sewer pipe using PVC tube and methods of the same
KR101555023B1 (en) Method of repairing sever pipe by non- excavation
EP0592115B1 (en) A method for repairing a tubular conduit
KR102374059B1 (en)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JP73173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versing lining material
KR101607525B1 (en) Method for repairing partially broken and cracked underground pipe with water blocking and impurities cleaning process
KR100718247B1 (en) Close-fit pipes lining system of trenchless technology using means for removing pleat and apparatus thereby
KR102221379B1 (en) Closing tube closure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old pipe
KR100653914B1 (en) Non-excavating repair apparatus of a pipe and repair method using it
KR102374063B1 (en)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wall
KR101003467B1 (en) Non-excavation repairing apparatus for long section of sewer pipe using carriage and packer and methods for the same
KR102544685B1 (en)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using air pocket
KR102062043B1 (en) High-expansion pipeline repair packer device
CN107504315B (en)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leaked river-crossing pipeline by using air pressure system
KR20050072863A (en) A not-digging repair method for pipe connetion part, damage part, pipe sill
KR100315080B1 (en) An oil tank laid under the ground
KR200000069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ting impregnated tube in pipe
KR100542194B1 (en) Apparatus for repairing linkage between sewer pipe and branch pipe, and lining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665278B1 (en) Repairing device of a large waste water branch pipeline using a repairing member
KR200365487Y1 (en) Continuous inversion device of tube using air pressure for hose lining
KR101039255B1 (en) Large caliber pipiline management system
KR200378236Y1 (en) A Repair Apparatus for Gutter Lining
JP5793289B2 (en) Mounting pipe repair method
KR10208611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