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633B1 -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633B1
KR102373633B1 KR1020210088391A KR20210088391A KR102373633B1 KR 102373633 B1 KR102373633 B1 KR 102373633B1 KR 1020210088391 A KR1020210088391 A KR 1020210088391A KR 20210088391 A KR20210088391 A KR 20210088391A KR 102373633 B1 KR102373633 B1 KR 10237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plate
base cutting
dimensional output
separa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1008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3차원 출력물이 일면부에 출력 부착되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에 부착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이 통과하되 상기 조형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양측방향 개구폭이 상기 조형판의 양측폭 미만의 크기의 삽입개구부가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개구부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된 분리칼날을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이 상기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타측에 상기 조형판이 슬라이딩되는 이동면이 형성된 베이스컷팅부; 및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scraper apparatus for separation of 3D object}
본 발명은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수복물(dental restoration)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을 의미한다. 즉, 상기 치아수복물을 구강에 설치함으로써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대합치 또는 치아수복물이 필요한 대상악궁측 잔존치아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치아수복물은 상실된 치아에 개별 매칭되는 인공치관(crown)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대상악궁측의 복수개 또는 전체적인 결손치아를 대체하는 보철(dental prosthesis) 또는 의치(denture)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치아수복물을 수작업으로 제조하였다. 즉, 구강의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을 기반으로 인상모형 및 금형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금형을 기반으로 사출 또는 절삭하여 최종 치아수복물이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치아수복물이 수작업으로 제조된 경우 제조기간 및 제조공수가 증가하며, 상기 치아수복물의 정밀도가 현저히 낮아 구강에 설치시 이물감 및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들어서는 상기 치아수복물의 정밀도 개선을 위하여 캐드캠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세히, 캐드캠시스템을 이용한 치아수복물의 제작과정은, 먼저 피시술자의 구강 표면 및 치조골정보를 포함하는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획득된 상기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가 3차원 프린터로 전송되어 출력됨에 따라 치아수복물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한편, 3차원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3차원 프린터는 빛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광경화수지가 주재료로 사용되며, 조형판에 3차원 출력물의 분할된 단면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면 두께씩 적층되면서 상기 3차원 출력물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출력물의 적층 출력이 완료되면, 상기 조형판으로부터 상기 3차원 출력물을 분리시키며, 이를 위한 스크래퍼가 준비된다.
도 1은 종래에 3차원 출력물을 조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크래퍼(s)는 판형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칼날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스크래퍼(s)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조형판(p)의 상면을 따라 밀면서 상기 3차원 출력물(k)을 긁어 분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래퍼(s)는 작업자가 상기 스크래퍼(s)를 쥐고 긁거나 미는 과정에서 상기 조형판(p)을 쥐고 있는 손이 상기 스크래퍼(s)의 칼날에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s)와 상기 조형판(p)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접촉된 상태로 긁거나 밀면서 상기 칼날이 마찰로 인해 마모 또는 파손됨으로 인하여 상기 스크래퍼(s)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칼날과 상기 조형판(p)의 마찰시 상기 스크래퍼(p)가 튕기면서 상기 3차원 출력물(k)에 흠집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상기 3차원 출력물(k)을 다시 제작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90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원 출력물이 일면부에 출력 부착되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에 부착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이 통과하되 상기 조형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양측방향 개구폭이 상기 조형판의 양측폭 미만의 크기의 삽입개구부가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개구부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된 분리칼날을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이 상기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타측에 상기 조형판이 슬라이딩되는 이동면이 형성된 베이스컷팅부; 및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칼날의 양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측으로 연장 절개된 텐션슬릿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형판의 좌우폭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좌우폭 이하로 형성되되, 상기 조형판이 상기 이동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으로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일측에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커버하는 격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는 상기 베이스컷팅부와 단차지게 일체로 다단 절곡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돌설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면은 상기 3차원 출력물의 기설정된 부착면적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타단에는 상기 조형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소재의 완충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칼날이 형성된 스크래퍼를 이동시켜 3차원 출력물을 분리함으로 인해 손을 베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분리칼날이 형성된 베이스컷팅부의 이동이 구속되되 조형판이 그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분리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조형판의 좌우폭이 베이스컷팅부의 좌우폭보다 작고 삽입개구부의 양측 개구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3차원 출력물은 삽입개구부를 통과하되 조형판은 베이스컷팅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 분리칼날의 상하측으로 조형판과 3차원 출력물 긴밀하게 접촉 이동되면서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다.
셋째, 가이드부가 베이스컷팅부의 길이방향에 돌설되어 조형판을 정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므로 3차원 출력물의 분리작업시 정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삽입개구부가 형성되어 내구성이 취약한 베이스컷팅부의 굽힙하중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치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넷째, 개구삽입부가 전측에 관통 형성된 베이스컷팅부와 상기 그립부가 하나의 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되 분리칼날이 개구삽입부의 후단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장치의 구조가 심플하면서도 제조시 소비되는 소재 및 제조공수가 절감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3차원 출력물을 조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3차원 출력물(k)이라 함은 환자의 치아수복을 위해 설계 및 제조되는 제품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3차원 출력물(k)은 환자의 치아수복 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 서지컬가이드 등의 치아수복용 보조수단과, 크라운, 인공치아부, 인공잇몸부, 임시틀니, 임시보철 등의 치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3차원 프린터는 이러한 치아수복용 제품에 대한 캐드캠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을 출력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는 조형판(10)의 상측에 3차원 출력되어 제조되는 다양한 형태 및 용도의 3차원 출력물(k)을 분리하는데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상기 장치를 손에 쥐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소형의 3차원 출력물의 분리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는 조형판(10), 베이스컷팅부(20) 및 그립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일면부에 출력 부착되는 구성부품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3차원 출력물(k)을 제조하기 위한 3차원 프린터에 고정되며,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의 일면부에 형성된 부착면(도 5a의 11)에 순차적으로 적층 부착된다. 이때,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의 반대측으로 돌설된 부분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도 5a의 12)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형판(10)에서 상기 3차원 프린터에 고정되는 부분이 상기 파지부(도 5a의 12)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도 5a의 12)는 상기 조형판(10)의 상부에 상기 부착면(도 5a의 11)과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도 5a의 12)는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부착되는 상기 부착면(도 5a의 11)과 상기 파지부(도 5a의 1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컷팅부(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개구부(2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개구부(21)의 타측에 이동면(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일측과 전단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방향이고,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타측과 후단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방향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개구부(21)는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기설정된 최대단면적을 초과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 개구폭(w3)은 상기 조형판(10)의 양측폭(w1) 미만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에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부착된 상기 조형판(10)을 뒤집어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배치하면, 상기 3차원 출력물(k)은 상기 삽입개구부(21)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단(24a,24b)에 안착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기준으로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3차원 출력물(k)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하측으로 통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은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 개구폭(w3)은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 미만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개구부(21)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형성되면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단 테두리측에 상기 걸림단(24a,24b)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개구부(21)는 피어싱 또는 펀칭 가공 등으로 통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면(23)은 상기 삽입개구부(21)의 후단측에 평탄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면(23)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체적인 면적에서 상기 삽입개구부(21)가 형성된 전단부를 제외한 후단부측의 전체적인 영역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개구부(21)의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이 상기 이동면(23)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면(23)은 상기 조형판(1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삽입개구부(21)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하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개구부(21)와 상기 이동면(23) 사이인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일측 테두리에 후술되는 분리칼날(22)이 형성되므로, 상기 분리칼날(22)을 통해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칼날(22)은 상기 삽입개구부(21)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형판(1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부착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따라 이동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칼날(22)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조형판(10)이 이동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손으로 상기 그립부(30)를 쥐고 다른 손으로 상기 조형판(10)을 쥔 상태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분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보다 작은 폭의 바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30)의 좌우폭은,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파지시 손으로 감싸쥘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을 초과하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되, 중앙부에 양측방향으로 개구된 파지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파지홀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의 단면폭이 좁아짐에 따라 작업자가 파지시 손으로 감싸쥘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30)에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고리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행거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가 상기 파지홀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파지홀이 상기 행거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0)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파지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논슬립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논슬립부는 상기 그립부(30)의 일단부에 절곡된 구속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그립부(30)의 외면에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 또는 직물 등의 마찰계수가 큰 소재의 커버가 씌워짐에 따라 상기 논슬립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3차원 출력물(k) 분리작업을 진행시 상기 조형판(10)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작업자의 손에서 상기 그립부(30)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칼날(22)의 양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으로 연장 절개된 텐션슬릿(25a,25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텐션슬릿(25a,25b)은 상기 조형판(10)이 이동시 상기 분리칼날(22)에 충돌되는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소재강도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출력물(k)을 반복적으로 분리하더라도 상기 분리칼날(22)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리칼날(22)은 폭방향 양단(22a,22b) 중 일측(22b)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인접해지도록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 사이에서 사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k)과 상기 부착면(도 5a의 11) 사이로 상기 분리칼날(22)이 비스듬하게 인입되므로 컷팅분리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칼날(22)은 상면이 상기 이동면(23)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하면(22c)이 상기 분리칼날(22)의 전단부로 갈수록 협소화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분리칼날(22)의 상면은 상기 조형판(10)의 부착면(도 5a의 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형판(10)과 상기 3차원 출력물(k) 사이로 상기 분리칼날(22)이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칼날(22)의 하면(22c)이 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쐐기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으로부터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이 상기 분리칼날(22)의 상면에 밀착되어 이동되므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분리된 후 잔여물이 실질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가이드부(27a,27b)가 각각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은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방향 개구폭(w3)을 초과하되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 이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배치되면 상기 3차원 출력물(k)만이 상기 삽입개구부(21)를 통해 하측으로 통과되며 상기 조형판(10)은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에 안착되어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형판(10)의 양측면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설된 한쌍의 가이드부(27a,27b)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가이드부(27a,27b) 내면에 지지된다 함은, 상기 조형판(10)의 양측면이 모두 상기 가이드부(27a,27b)의 각 내면에 접촉되는 것과 상기 조형판(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이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27a,27b) 중 어느 일측 내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가이드부(27a,27b)의 내면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분리칼날(22)이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이동이 구속되되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분리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칼날이 형성된 스크래퍼를 이동시켜 3차원 출력물을 분리함으로 인해 손을 베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양단에 상향 돌설된 상기 가이드부(27a,27b)를 통해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일방향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부착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분리칼날(22)측으로만 일방향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분리칼날(22)을 통과해야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칼날(22)은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되 그 하면(22c)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협소화되도록 경사진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칼날(22)이 상기 조형판(10)의 부착면(도 5a의 11)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형판(10)과 상기 3차원 출력물(k) 사이로 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조형판(10)에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분리된 후 잔여물이 최소한으로 잔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칼날(22)의 경사진 하면(22c)을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에서 분리된 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하면과 즉각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7a,27b)를 통해 상기 분리칼날(22)의 양단이 실질적으로 차폐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부(27a,27b)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향 돌설되도록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컷팅부(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굽힘하중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조형판(10)을 쥐고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을 따라 힘을 주어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베이스컷팅부(20)가 찌그러져 변형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개구부(21)가 개구 형성되어 내구성이 취약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측의 굽힘하중지지력이 상기 가이드부(27a,27b)를 통해 보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는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27a,27b) 사이를 커버하는 격벽(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31)이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컷팅부(20)와 상측으로 단차지게 일체로 다단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31)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컷팅부(20)는 상기 조형판(10)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후단측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면, 즉 전면 및 길이방향 양측면이 상기 격벽(31) 및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27a,27b)를 통해 커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분리칼날(22)측으로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조형판(10)이 다른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됨으로 인한 상기 3차원 출력물(k) 또는 작업공간 주변물이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공간이라 함은 상기 3차원 출력물의 분리작업이 진행되는 작업테이블, 받침대 또는 트레이 등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공간의 상면에는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분리되어 하측으로 낙하시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완충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은 통상의 티슈, 스펀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1)을 통해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전체적인 테두리측 중 상기 분리칼날(22)이 형성된 후단 테두리를 제외한 3개의 테두리측 굽힙하중지지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상기 삽입개구부(21)가 개구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양단 및 전단측의 굽힘하중지지력이 보강되어 외력에 의한 찌그러짐 또는 구부러짐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31)의 높이(h2)는 상기 가이드부(27a,27b)의 돌설 높이(h1)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다단으로 적층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컷팅부(20)와 상기 그립부(30)는 스테인리스 스틸판 또는 알루미늄판과 같은 내식성/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판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와 상기 그립부(3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블랭킹, 펀칭, 피어싱 및 벤딩 등의 공정을 통해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면(23)의 길이(d2)는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기설정된 부착면적의 전후방향 길이(d1) 이상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면(23)의 길이(d2)는 상기 분리칼날(22)의 양단(22a,22b) 중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부와 인접한 단부(22b)에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부까지의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삽입개구부(2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며,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부착면(도 5a의 1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와 상기 그립부(30)가 하나의 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삽입부(21)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칼날(22)이 상기 개구삽입부(21)의 후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가 심플하면서도 장치를 제조하는데 소비되는 소재 및 제조공수가 절감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에는 상기 조형판(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완충스토퍼(도 5b의 2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스토퍼(도 5b의 26)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소재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이동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분리된 3차원 출력물(k) 또는 작업공간 주변과 충돌되어 파손되는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완충스토퍼(도 5b의 26)에 접촉시 상기 완충스토퍼(도 5b의 26)가 상기 조형판(10)의 충돌을 완충하므로 상기 조형판(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낙하 및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양단 및 후단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체결하면 상기 삽입개구부(21)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분리칼날(22)을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낙하 및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후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은 수평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를 사용한 3차원 출력물 분리과정은 아래와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가 배치 또는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컷팅부(20) 및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그립부(30)가 일체인 형상으로 배치 또는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3차원 프린터에서 분리되되 상기 부착면(11)이 형성된 상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져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이 상기 작업공간의 상면에 접촉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10)을 미는 방향과 중력방향이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힘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감이 최소화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면(11)에 부착된 상기 3차원 출력물(k)은 상기 삽입개구부(21)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형판(10)은 그 양단이 상기 삽입개구부(21)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 개구폭(w3)이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 길이 미만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좌우폭(w2)이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 길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개구부(21)의 양측 개구폭(w3)과 하나의 걸림단의 좌우폭을 합산한 값은 상기 조형판(10)의 좌우폭(w1)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부에 배치되면, 상기 조형판(10)의 양단부가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 상면에 동시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10)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삽입개구부(21)를 불필요하게 통과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 상기 삽입개구부(21) 및 상기 분리칼날(22)이 실질적으로 상기 조형판(10)의 부착면(11)에 커버된 상태로 이동된다. 더불어, 상기 파지부(12)는 상기 조형판(10)의 상부에 상기 부착면(11)과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부착면(11)측 단면적보다 상기 파지부(12)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12)를 쥔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과 상기 분리칼날이 실질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파지부(12)를 통해 작업자의 손과 상기 분리칼날(22)이 구획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측이 상기 격벽(31)을 통해 커버되고,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길이방향 양측이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27a,27b)를 통해 커버된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일방향 이동되며, 이때 상기 분리칼날(22)에 인접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3과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조형판(10)이 한쌍의 상기 걸림단(24a,24b)에서 상기 이동면(23)으로 이어지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 상면을 따라 후단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삽입개구부(21)에서 상기 분리칼날(22)과 인접해지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조형판(10)이 이동됨에 의해 상기 부착면(11)과 상기 3차원 출력물(k) 사이로 상기 분리칼날(22)이 그 전단부부터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칼날(22)은 상면이 상기 이동면(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면으로 형성되되, 그 하면(도 4의 22c)이 전단부에서 후단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칼날(22)이 상기 조형판(10)의 부착면(11)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형판(10)과 상기 3차원 출력물(k)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칼날(22)의 하면(도 4의 22c)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분리칼날(22)를 통해 상기 부착면(11)에서 분리된 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하면과 즉각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따라 이동된 간격만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부착면(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면(23)의 길이(d2)가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기설정된 부착면적의 전후방향 길이(d1) 이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10)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부로 완전이 이동되면, 상기 조형판(10)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사이에 두고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판(10)은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후단에 구비된 상기 완충스토퍼(26)에 접촉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스토퍼(26)는 상기 베이스컷팅부(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완충스토퍼(26)의 후단부에 영구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부착된 상기 조형판(10)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조형판의 상측에 스크래퍼를 배치 후 긁어 3차원 출력물을 분리함으로 인하여 손을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분리칼날(2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컷팅부(20)를 쥐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형판(10)이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을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조형판(10)의 이동 및 상기 3차원 출력물(k)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형성분의 용액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형성분의 용액은 통상의 오일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성분의 용액이 도포됨으로써 상기 조형판(10)이 작은 힘으로도 상기 베이스컷팅부(20)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칼날(22)이 인입되는 상기 부착면(11)과 상기 3차원 출력물(k) 사이로 상기 이형성분의 용액이 침투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출력물(k)이 상기 조형판(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및 이탈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 베이스컷팅부(120A,120B,120C)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A)는 상기 분리칼날(122)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A)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분리칼날은 폭방향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컷팅부(120A)의 후단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분리칼날(122)이 상기 조형판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개구부(121)의 후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B)는 상기 가이드부(127)가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의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돌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좌우폭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의 좌우폭을 초과하는 조형판에 부착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을 출력시에도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출력물이 상기 삽입개구부(121)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조형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3차원 출력물의 분리작업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의 하측으로 절곡된 상기 가이드부(127)를 통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굽힘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조형판의 양측 외곽에는 상기 가이드부(127)의 외면에 지지되는 돌출부가 더 돌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형판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부(127)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의 이동방향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B)의 후단측에 대응하는 일방향으로 가이드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100C)는 상기 가이드부(127c)의 후단부에 경사안착부(127d)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안착부(127d)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27c)의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27e)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27e)이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가 자연스럽게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과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그립부를 쥐고 상기 조형판을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경사면(127e)이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을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의 후단측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형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힘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출력물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의 유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출력물의 불필요한 파손 또는 작업자가 칼날에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가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상기 조형판이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의 후단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토퍼부재를 요구하지 않아 상기 베이스컷팅부(120C)가 더욱 심플하게 구비되며,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 및 제조공정이 절감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조형판 20: 베이스컷팅부
21: 삽입개구부 22: 분리칼날
23: 이동면 25a,25b: 텐션슬릿
27a,27b: 가이드부 30: 그립부
100: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Claims (5)

  1. 3차원 출력물이 일면부에 출력 부착되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에 부착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이 통과하되 상기 조형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양측방향 개구폭이 상기 조형판의 양측폭 미만의 크기의 삽입개구부가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개구부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된 분리칼날을 통해 상기 3차원 출력물이 상기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타측에 상기 조형판이 슬라이딩되는 이동면이 형성된 베이스컷팅부; 및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칼날의 양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측으로 연장 절개된 텐션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판의 좌우폭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좌우폭 이하로 형성되되,
    상기 조형판이 상기 이동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으로 상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일측에 한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커버하는 격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부는 상기 베이스컷팅부와 단차지게 일체로 다단 절곡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돌설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면은 상기 3차원 출력물의 기설정된 부착면적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컷팅부의 타단에는 상기 조형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소재의 완충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KR1020210088391A 2021-07-06 2021-07-06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KR10237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91A KR102373633B1 (ko) 2021-07-06 2021-07-06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91A KR102373633B1 (ko) 2021-07-06 2021-07-06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633B1 true KR102373633B1 (ko) 2022-03-14

Family

ID=8082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391A KR102373633B1 (ko) 2021-07-06 2021-07-06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0426A1 (en) * 2005-01-11 2006-07-13 Shoji Okada Cutter knives for slash-quilts
KR20190059099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덴티스 워킹 플레이트에 초음파 진동자가 삽입된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0426A1 (en) * 2005-01-11 2006-07-13 Shoji Okada Cutter knives for slash-quilts
KR20190059099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덴티스 워킹 플레이트에 초음파 진동자가 삽입된 3d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7967A (ko) 덴탈 구조의 인상 취득에 사용하기 위한 덴탈 인상 트레이
DK2400914T3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DENTAL TOOL
KR102482638B1 (ko)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KR102373633B1 (ko) 3차원 출력물 분리용 스크래퍼 장치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CN110691561B (zh) 由热塑性膜或板制成的牙科辅助物的生产方法
JP6749413B2 (ja) 歯科用トレーシステム
KR10113665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1010520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and carrying plate for receiving same
US72733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vacuum assisted dental impression
CN110893124B (zh) 具有横向部件的植入物类似物
US20210161627A1 (en) Method for designing denture,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and positioning means
KR101697223B1 (ko)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5929A (ko) 치열 교정 장치
KR102021100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처리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범용트레이
DE4131145C1 (en) Tray for dental bite impressions - has slotted liner closely fitting inside U-shaped tray
US2021040155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nture by using tray cap jig having false teeth fixed unmovably during milling false teeth
JP5586315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US20070202458A1 (en) Impression tray for use in dentistry
KR101737618B1 (ko) 치과용 인상 트레이
JP4822818B2 (ja) 歯科補綴物用可撤模型の基台成形トレー
US6712609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dental model and a method for forming thereof
JP6729951B1 (ja) 歯列矯正器具とその修正方法
JP2001276094A (ja) ウイング付き印象トレー
EP1010403A2 (en) Method of making a denture and dental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