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223B1 -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223B1
KR101697223B1 KR1020150060286A KR20150060286A KR101697223B1 KR 101697223 B1 KR101697223 B1 KR 101697223B1 KR 1020150060286 A KR1020150060286 A KR 1020150060286A KR 20150060286 A KR20150060286 A KR 20150060286A KR 101697223 B1 KR101697223 B1 KR 10169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frame
core frame
cr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617A (ko
Inventor
안효원
김성훈
김혜웅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는: 치열을 이루는 치아들이 끼워지며 상기 치아들의 상대치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을 커버하도록, 치아홈이 형성된 가철식 치아틀; 그리고 상기 치아틀에 끼워지는 상기 치아들 중 소정의 인접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치아틀에 구비되는 이개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기간에 비례한 치아틀의 물성변화로 인해 이개의 위험성이 높은 치아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발치교정시술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하고 있는 소정의 인접치아들 사이(치간)가 벌어지는 현상(발치공간 이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Intraoral Retain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정시술을 위해 구강 내부의 치아에 피착되는 구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치 공간을 폐쇄하는 소정 치아들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 기능을 갖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열 구조는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 교정시술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예를 들면 삐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협의의 치열교정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변화시켜서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치아의 이동을 통해 치열을 개선하는 치열교정시술과, 성장기에 안면 골격의 상장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성장기 교정과, 안면 골격 특히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 특히 악골 구조의 이상이 너무나 심해서 단순한 치아 이동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청소년기의 심하지 않은 악골 구조에서 성장기 교정(Growth Modification)으로, 성인에서도 중등도 이상의 골격이상은 악골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인 얼굴을 만드는 악교정 수술이 상술한 치료술과 함께 병행하여 적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 교정이란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입술 측의 표면(치아의 바깥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 교정이란 상기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혀측(Lingual)의 표면(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
상기 교정기구의 예로는, 치아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교정시술용 와이어와 상기 교정시술용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서포터(일반적으로 '브라켓'이라 칭함) 등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상기 치아의 순측 및/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은 치열의 배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기 교정시술용 와이어가 결합된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에는 장기간이 소요되며, 치과 교정시술의 예로는 전치부의 치열밀집 현상이나 전치들 사이가 벌이진 현상을 개선하거나, 돌출입 개선이나 발치 공간 또는 치아 소실 공간 폐쇄시술 등 다양한 시술이 있다.
한편, 상기 치과 교정시술 중 상기 전치부의 치아를 설측, 예를 들면 구개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칭하며, 환자의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형태인 치아돌출의 경우에는 돌출입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입 교정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술한 설측 견인이 제시된다. 또한, 전치부 밀집의 교정치료 시에도 전치가 퍼지면서 설측으로 견인된다.
상술한 치과 교정시술 과정에서 치아의 이동이 진행된 후에는 치아의 위치를 유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유지기능을 갖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가 구강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지기구는 브라켓들을 치면(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들을 와이어로 이어서 치아들을 하나로 묶는 구조로서, 유지기간동안 장시간 구강 내에 적용된다.
상술한 고정식 유지기구는 사용자의 미관을 해치며, 음식물을 섭취할 때 불편함을 주므로, 설측에 설치되는 유지기구가 사용되기도 하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이갈이나 이악물기 등으로 인한 치아 손상을 막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전치부 밀집현상이나 돌출입 현상 등을 개선하기 위해 발치교정시술(일부 치아의 발치를 통해 치아의 이동 공간을 확보해서 치열을 개선하는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 치아들의 이동에 의해 폐쇄된 발치공간이 다시 벌어지는 현상(발치 공간 이개)이 빈번히 발생하며, 상기 발치공간 이개는 교정 목적의 의도적 발치뿐만 아니라 다른 이유의 발치 또는 치아 소실시에 수행되는 공간폐쇄 교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이갈이나 이악물기 등으로부터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치아들 특히 특정 위치의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원할 때 쉽게 착탈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조가 쉬운 마우스피스 구조의 교정시술용 유지기구를 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212869호, 2014년 11월 17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838호, 2012년 7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유지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갈이나 이악물기 등으로부터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치아들 특히 특정 위치의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원할 때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궁을 이루는 치아들이 끼워지며 상기 치아들의 상대치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을 커버하도록, 치아홈이 형성된 가철식 치아틀; 그리고 상기 치아틀에 끼워지는 상기 치아들 중 소정의 인접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치아틀에 구비되는 이개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치아틀은; 상기 치아들의 치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치아홈을 갖는 포켓 몸체, 그리고 상기 치관의 끝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치관의 끝면이 전사된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포켓 몸체의 치아홈에 구비되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치아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은 상기 치아홈의 바닥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포켓 몸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 중에 상기 소정의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이 근원심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 몸체는, 상기 치아틀의 외부 표면을 이루는 단단한 경질층과 상기 경질층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 중에서 상기 소정의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치아 접촉면의 반대측 표면인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포켓 몸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프레임은;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이 각각 안착되도록,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를 더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은,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중간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측에서 방향이 전향되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의 특정 부분의 변형에 저항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치아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타측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치아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한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치열궁을 이루는 치아들이 끼워지며 상기 치아들의 상대치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을 커버하도록 치아홈이 형성되며 코어 프레임과 포켓 몸체를 포함하는 가철식 치아틀과, 상기 치아틀에 끼워지는 상기 치아들 중 소정의 인접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치아틀에 구비되는 이개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은: 상기 치관의 끝면이 찍힌 형상의 상기 코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a)단계;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 표면에 상기 이개방지 부재를 배치하는 (b)단계; 그리고 상기 치아들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치아홈의 일측벽을 이루는 포켓 내벽과, 상기 치아들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치아홈의 타측벽을 이루는 포켓 외벽과, 상기 치아홈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 표면을 덮는 포켓 베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포켓 몸체를 상기 코어 프레임의 외부에 형성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를 상기 가철식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치아들의 치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치아 모형상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치아들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자인되는 3차원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조형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기간에 비례한 치아틀의 물성변화로 인해 이개의 위험성이 높은 치아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발치교정시술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하고 있는 소정의 인접치아들 사이(치간)가 벌어지는 현상(발치공간 이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치아들의 위치를 잡아주는 동시에 이갈이나 이악물기로 등으로부터 치아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가철식 장치이므로, 치아의 유지 및 보호 기능과 함께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착탈에 적당한 적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착탈시에 치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고 오랜 기간의 사용이나 충격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과 형태 안정성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시술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각 구성요소의 순차적 적층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교정후의 치열구조에 맞게 개인 맞춤형으로 치아이동 전후의 단계에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에 적용되는 코어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에 적용되는 이개방지 부재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발치공간 폐쇄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형이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로 관절 링크장치에 지지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형이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로 관절 링크장치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치아 모형상에서 코어 프레임이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코어 프레임에 이개방지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코어 프레임 위에 치아틀을 위한 층상 구조물이 덮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에 적용되는 코어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에 적용되는 이개방지 부재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이하 '착탈식 유지기구'라 칭함)는, 치열궁(Dental Arch)을 이루는 치아 예를 들면 상악의 치아(윗니) 또는 하악의 치아(아랫니)에 착탈 가능하게 피착되어서 치과적 기능, 예를 들면 외부 충격이나 이갈이 또는 이악물기 등의 환경에서 치아를 보호하는 동시에 치아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적용되는 장치로서 교정기구의 일종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악의 치아들(윗니, Upper Teeth)에 피착되며 착탈 가능한 가철식 유지기구 즉 착탈식 유지기구가 설명되나, 하악의 치아(아랫니)에 피착되는 구조의 유지기구가 될 수도 있는데 아랫니에 피착되는 경우에는 치아홈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치아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윗면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치아틀 특히 포켓 몸체는 투시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되는 포켓 몸체가 무색의 투명한 구조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의 일 실시예(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의 치아(Upper Teeth; 윗니)에 피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갈이나 이악물기 기타의 충격으로부터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치아들의 이동 후에 치열상태를 유지하는 장치, 특히 발치교정 후에 발치공간의 이개를 방지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에는 기설정된 치아들, 예를 들면 윗니가 끼워지는 치아 결착홈 즉 치아홈(100a)이 치열궁(Dental Arch)을 이루는 상악의 치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음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착탈식 유지기구(10)는, 가철식 치아틀(100)과 상기 치아틀에 구비되는 이개방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치 형상의 구조물이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치아틀(100)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 즉 일체형(One Body Type)의 구성요소이고, 더 나아가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지기구 역시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장치 즉 일체형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에는 상술한 치아홈(100a) 즉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에는 상기 치아들(본 실시 예에서 윗니)의 상대치(본 실시 예에서 아랫니)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전치부의 절연, 구치부의 교합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바닥이 막힌 치아홈(10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마우스피스(Mouthpiece)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치아들에 끼워지는 치아들 즉 윗니들 중에서 기설정된 인접 치아들의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 중에서 상술한 특정 인접 치아들과 맞닿는 부분의 변형에 저항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아틀(100)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치아홈(100a)에 끼워지는 상기 인접 치아들을 구속해서 상기 인접 치아들의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 이하 '치아틀'이라 약칭함)은, 상술한 치아홈(100a)을 갖는 포켓 몸체(110, Pocket Body)와 상기 포켓 몸체(110)의 치아홈에 구비되는 코어 프레임(120, Core Fram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아홈(100a)은 상기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치열 구조가 전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치관의 끝면과 맞물리도록 치관의 끝면이 찍힌 형상의 치아 접촉면(121)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상기 치아홈(100a)의 바닥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포켓 몸체(110)는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 및 포켓 베이스(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켓 내벽(111)은 상기 치아들의 내측면, 즉 설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치아홈(100a)의 일측벽(내측벽, 또는 후방벽)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포켓 외벽(112)은 치아의 외측면 즉 전면(순측면, 협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치아홈의 타측벽(전방벽)을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 포켓 베이스(113)는 상기 치아(윗니)와 상대치(아랫니)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포켓 내벽(111)과 상기 포켓 외벽(112)을 연결하며, 상기 치아홈(100a)의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어 프레임(120)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윗니에 피착되는 구조물이므로,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외측면(외부 표면, 밑면)이 아랫니(상대치)와 맞닿는다.
그리고,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일측면(윗면)에는 상술한 치아 접촉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타측면(밑면)은 상기 치아홈(100a)의 바닥에 접하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치아들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에 각각 접하게 되고, 치아들의 끝 부분 즉 치관의 끝면(치관정부)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 접해서 교합된다.
참고로, 정상인의 치아는 크게 구치부와 전치부로 구분되며, 상기 구치부를 구성하는 이(T1; 구치)의 끝 부분(치관정부)은 저작작용(씹는 작용)을 하는 교합면이라 불리고, 전치부를 구성하는 이(T2; 전치)의 끝 부분(치관정부)은 기능상 절단작용을 하므로 절단면 또는 절연이라 불린다.
그리고 정상인에게 있어서 상기 구치부는 좌우측 각각 두개 또는 세개의 대구치와 상기 대구치의 앞쪽에 위치하는 두개의 소구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치부는 좌우측 각각 절치(중절치와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치아틀(100)의 내부에 매립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상기 포켓 몸체(110) 사이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포켓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아틀(1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포켓 몸체(100)에 의해 덮이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전체 영역 중에 특정 부분, 다시 말해서 소정의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 특히 근원심방향(코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에 저항하도록, 상기 치아틀(100)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상기 포켓 몸체(110)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예로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가 개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갖는 소재 특히 두께에 영향을 크게 주지않는 소재이면 가능하며 형상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에서 특정의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122),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개방지의 목표물로 설정된 인접 치아들(이개의 위험성이 높은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치아 접촉면의 반대측 표면인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타측면(밑면), 특히 이개방지의 목표물로 결정된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표면의 아래에 고정되어서 해당 부분의 변형을 제한하며, 상기 포켓 몸체(110)에 의해 커버(Cover)된다. 물론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 상기 이개방지 부재가 매립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밑면에는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이 각각 안착되도록 홈 형상의 안착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일측 부분(210)과 타측 부분(220)은,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중간 프레임(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230)의 양측에서 방향이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폭방향으로 전향된다.
상기 안착부(123)는,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210)이 안착되도록, 이개방지 대상으로 설정된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치아(예를 들면 견치)와의 접촉부(제1치합부; 122a)에 형성되는 제1홈(123a)과,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타측 부분(2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치아(예를 들면 제2대구치)와의 접촉부(제2치합부; 122b)에 형성되는 제2홈(123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두께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 수용(함입)되는 구조가 되므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로 인한 착탈식 유지기구(10)의 두께 증가가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코어 프레임의 특정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제1홈(123a)의 상기 제1치합부(122a)의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홈(123b)은 상기 제2치합부(122b)의 밑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홈(123a)과 제2홈(123b)은 연결홈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프레임(230)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코어 프레임(120)의 표면(포켓 몸체와의 접촉면)에 적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표면에 상기 중간 프레임(230)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켓 몸체(110)은,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층상 구조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질층과 연질층를 갖는 층상 구조물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포켓 몸체(110)는, 경질층 즉 경질의 제1덮개층(101)과 상기 제1덮개층(10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층 즉 연질의 제2덮개층(102)을 갖는 층상 구조물이다.
상기 제2덮개층(102)은 상기 제1덮개층(101)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될 수도 있고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덮개층(101)의 내측면에 인접해서 적층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착탈식 유지기구(10)는 윗니에 피착되는 구조물이므로, 상기 포켓 몸체(110)의 상측에는 상기 치아 즉 윗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포켓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술한 치아홈(100a)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 몸체(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치 형상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10)의 외관을 이루며, 상기 포켓 몸체(110)의 상측에 상기 치아홈(100a)이 치열궁에 대응되도록 하향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상기 포켓 몸체(110)에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치아에 접촉되는 구성, 즉 상기 포켓 몸체(110)의 내측(치아홈)에 수용/고정되어 상기 치아들의 끝면에 치합(맞물림)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치아(윗니) 중 복수 이들의 끝 부분이 찍힌 형상의 치아 접촉면(121)를 가지며, 상기 포켓 몸체(110)의 치아홈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상기 포켓 몸체의 치아홈(100a)에 고정되어서 상기 포켓 몸체(110)의 내부에 치아 결착홈을 완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치아 접촉면(121)은 좌측 구치들 중 어느 하나에서 우측 구치들 중 어느 하나까지의 치아들이 연속해서 찍힌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치아 접촉면(121)은, 전치(T2)의 절단면이 찍힌 형상의 전치 접촉면(121a)과 구치(T1)의 교합면이 찍힌 형상의 구치 접촉면(121b)를 포함하며, 상기 전치 접촉면(121a)이 형성된 부분(전치부를 덮는 부분)에는 전치부를 구성하는 이들(중절치와 측절치 및 견치)이 치합되고, 상기 구치 접촉면(121b)이 형성된 부분(적어도 하나의 구치를 덮는 부분)에는 구치부를 구성하는 구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치가 매칭(Matching)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치아(윗니)에 피착될 때 정렬 및 끼워 맞춤의 기준이 되고, 이악물기나 이갈이 상황에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내부 골격을 이룬다.
본 실시 예는 제1소구치의 발치교정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좌측단(좌측 후단)과 우측단(우측 후단)은 윗니의 좌측과 우측의 제2소구치 내지 제1대구치에 대응되는 영역까지 연장되고, 나머지 구치의 교합면은 상기 포켓 몸체(110) 특히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측과 우측 구치부의 교합면들 전체가 상기 코어 프레임에 접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치들 중 후방에 위치하는 구치의 교합면은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내측면(치아홈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포켓 베이스(113)에도 상기 구치들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치와 맞물리는 부분(해당 구치의 교합면이 전사된 형상의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좌측단과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좌측단 사이에는 좌구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우측단과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우측단 사이에도 우구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좌측 6번 구치(좌측 제1대구치)로부터 우측 6번 구치(우측 제1대구치)까지의 이들과 연속하여 맞물림되며, 좌측 7번 구치(좌측 제2대구치)와 우측 7번 구치(우측 제2대구치)는 상기 포켓 베이스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의 바닥 영역 중에서 전치부의 절단면을 덮는 부분에 비교할 때,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의 양측 후단에서 바닥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구조로 제조되나,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덮개층(102)은 이갈이나 이악물기 등의 상황에서 상기 치아, 즉 윗니 더 나아가 아랫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연질 즉 무른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층이고, 상기 제1덮개층(101)은 상기 제2덮개층(102)의 외측에 구비되는 경질로 이루어진 층, 즉 딱딱한 경질의 표면 보호층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덮개층(101)은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외부 표면, 즉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외부 표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를 착용한 상태로 이를 물때,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가 피착되는 치아의 상대치(본 실시예에서는 아랫니)는 상기 제1덮개층(101)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층(101)은 상기 제2덮개층(102)의 바깥측에 직접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2덮개층(102)이 상기 제1덮개층(101)에 의해 덮인 구조가 되나, 상기 제1덮개층(101)과 제2덮개층(102) 사이에 다른 층(Layer)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포켓 몸체(110)의 층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두께가 증가되어서 이물감이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덮개층(102)은 상기 제1덮개층(101)의 내측에 적층되어서 상기 제1덮개층(101)에 접하며, 상기 제2덮개층(102)의 내측면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 접촉되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상기 제2덮개층(102)에 의해 덮이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은 각각 치아들(윗니)의 내측면(설측면)과 바깥면(협측면과 순측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과 포켓 베이스(113)는 모두 상술한 제1덮개층(101)과 제2덮개층(102)을 갖는 일체형의 층상 구조로서, 상기 제2덮개층(102)은 상기 치아홈의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단단한 재질 즉 경질로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윗니에 피착될 때 정렬 기준이 되는 동시에 착탈식 유지기구(10)의 내부에서 기본적인 강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층(101)은 상기 유지기구(1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착탈식 유지기구의 표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코어 프레임과 함께 착탈식 유지기구(10)의 강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2덮개층(102)은 쿠션작용 즉 완충작용을 하는 재질 즉 연질로 구성되는데,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제1덮개층(101)은 경질의 덴탈 레진(Dental Resin)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층(102)은 연질의 덴탈 레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층(101)은 경질의 수지, 예를 들면 경질 실리콘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제2덮개층(102)은 연질 즉 쿠션재질로 된 층 즉 연질층으로서 연질의 수지 예를 들면 연질 실리콘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데, 치과용 수지(Dental Resin)로서 독일의 ERKODENT사(社)나 FORESTADENT사(社) 등 다양한 회사에서 판매되는 경질의 수지와 연질의 수지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경질 덴탈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등이 있고, 연질 덴탈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단단한 경질 수지와 쿠션성의 연질 수지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코어 프레임(120) 역시 경질의 덴탈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의 혼합에 의해 단단한 경질로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덮개층(10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은 치아의 배면(설측면)과 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피착상태를 유지시키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경질의 제1덮개층(101)과 연질의 제2덮개층(102)을 갖는 층상 구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층(102)은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과도한 적합력을 감소시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착탈시에 치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드러운 착용과 착용감을 유도하고, 상기 제1덮개층(101)은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의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식 유지기구(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며 오랜 기간의 사용에 의해 상기 포켓 몸체(110)이 헐거워지는 현상을 지연시킨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쿠션성을 갖는 내부 완충층(제2덮개층)과 표면 보호를 위한 딱딱한 경질의 표면 보호층(제1덮개층)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1덮개층(101)은 착탈식 유지기구(10)의 파손, 예를 들면 찢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포켓 몸체(110)의 골격과 강성을 유지하고,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치아의 끝에 맞물림되어서 이갈이나 이악물기에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움직임을 최소화 또는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식 유지기구가 경질-연질-경질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가 되고, 특히 치아의 전면과 배면은 연질-경질의 2층 층상 구조에 의해 덮이므로, 경질 또는 연질만으로 구성되는 착탈식 유지기구와 비교해서 치아 보호 기능과 착탈성과 적합력(피착력)과 내구성의 향상과 이물감 감소 오랜 사용에 대한 형태 안정성 등의 효과를 고르게 만족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10)는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상대치 물림홈(113a, 113b, 이하 '물림홈'이라 약칭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포켓 베이스(113)의 외부 표면은 상기 치아의 상대치(본 실시예에서는 아랫니)가 찍힌 형상의 물림홈(113a, 113b)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포켓 베이스(113)이 밑면에는 아랫니가 찍힌 형상의 물림홈(113a, 113b)이 형성되는데, 상기 물림홈(113a, 113b)은 아랫니가 교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치아에 피착된 상태에서 아랫니와 윗니의 교합관계를 유지하며, 착용자가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윗니에 대한 아랫니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턱관절의 이상을 방지한다.
상기 물림홈은, 상대 전치(T4)의 절단면(절연)이 찍힌 형상의 전치 물림홈(113a)과 상대 구치(T3)의 교합면이 찍힌 구치 물림홈(113b)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제1소구치가 빠진 공간을 폐쇄한 후 치아 위치를 유지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12a와 같이 양측 제1소구치가 빠진 상태 즉 발치된 상태에서 전치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후방 견인해서 교정시술이 수행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제1소구치의 발치교정에서는 견치와 제2소구치가 발치공간을 닫게 되며, 발치교정에 의해 발치공간이 폐쇄되더라도 발치공간이 다시 벌어지는 현상 즉 발치공간 이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상술한 유지기구(10)를 사용해서 일정 기간 동안 특정의 인접치아 즉 견치와 제2소구치간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 코어 프레임의(120) 전체 영역 중에서 견치의 절연과 제2소구치의 교합면이 접촉되는 부분을 이개방지 부재를 사용하여 단단하고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견치와 제2소구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지기구(10)는 마우스피스 타입으로 치아에 장착되어서 발치공간의 전후에 위치하는 치아들을 인접된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쉽게 착탈될 수 있으며,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발치공간의 전후에 위치하는 치아들을 인접된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기 치아틀(100)의 치아홈에 끼워지는 상기 인접 치아들을 구속해서 상기 인접 치아들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아틀(100)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15는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형이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로 관절 링크장치에 지지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상악과 하악의 치아 모형이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로 관절 링크장치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치아 모형상에서 코어 프레임이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코어 프레임에 이개방지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코어 프레임 위에 포켓 몸체를 위한 층상 구조물이 덮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의 제조방법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이개방지 부재(200)를 코어 프레임에 배치하는 단계와, 포켓 몸체(1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치아 모형상에서 제조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치아 모형 예를 들면 구강 석고 모형이 준비된다. 상기 치아 모형은 일반적으로 인상재와 석고를 사용해서 제조되는데 상기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치아 모형은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설치되는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치아 즉 상기 착탈식 유지기구가 피착되는 치아의 구조를 본뜬 치아 모형을 제1치아 모형(M1)이라 칭하고, 상대치의 구조를 본뜬 치아모형을 제2치아 모형(M2)이라 칭한다.
상기 치아 모형 특히 상기 제1치아 모형(M1)상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아 모형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이 관절 링크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P)에 배치되고, 상기 제1치아 모형(M1)와 제2치아 모형(M2)의 교합관계가 착용자의 윗니-아랫니의 교합관계와 최대한 동일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P) 위에서 정렬된다.
상기 제1치아 모형(M1)과 제2치아 모형(M2)의 교합관계를 정렬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아랫니와 윗니의 치아 자국이 찍힌 덴달 바이트(Bite)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치아 모형(M1)과 상기 제2치아 모형(M2)의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관절 링크기구의 관절(J)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바(L; Link Bar)에 상기 제2치아 모형(M2)이 고정된다. 상기 제2치아 모형(M2)이 상기 링크바(L)에 고정된 이후에 상기 링크바(L)가 상기 관절(J)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치아 모형(M2)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서 이격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치아 모형(M1)상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상기 제1치아 모형(M2) 특히 상기 제1치아 모형의 치아 부분에 치과용 레진 특히 경질의 레진을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물론 후술되는 경질의 시트를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찍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의 치아 부분에 치과용 레진, 보다 구체적 예로는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상술한 치아 접촉면(121)을 갖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물론 경질의 레진 시트를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찍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을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 프레임(120)은 외관을 마무리하는 과정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프레임의 표면과 가장자리를 다듬는 트리밍(Trimming) 과정을 통해 완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코어 프레임(120)에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안착부 즉 제1홈(123a)과 제2홈(123b) 즉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안착을 위한 홈이 성형된다. 상기 제1홈과 제2홈를 성형하는 방식의 일 예로는 표면 그라이더(Grinder)를 사용해서 코어 프레임의 외부 표면을 가공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제조가 완료된 후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프레임의 외부 표면 즉 바깥면(치아 접촉면의 반대측)에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를 배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이개방지의 목표로 설정되는 인접치아들의 접촉부분,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발치공간을 닫아서 상호 인접하게 되는 치아들의 접촉부분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는 상술한 안착부 즉 제1홈과 제2홈에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 몸체(110)의 제조단계가 진행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포켓 내벽(111)과 포켓 외벽(112)과 포켓 베이스(113)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이개방지 부재(200)를 덮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를 일체로 고정하는 상기 포켓 몸체(110)를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를 상기 가철식 치아틀(100)의 내부에 매립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포켓 몸체(110)의 제조를 위해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상기 이개방지 부재(200)가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외부에 상기 포켓 몸체(110)을 위한 층상 구조의 구조물 즉 층상 구조물(S)이 성형된다.
상기 층상 구조물(S)의 성형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외부에 연질층과 경질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해서 상기 층상 구조물(S)을 형성하거나, 복층 구조로 상호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의 연질층과 경질층을 적층해서 상기 층상 구조물(S)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층상 구조물(S)은 상기 제1덮개층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경질층과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덮개층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질층과 상기 경질층에 적층되어서 상기 경질층과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연질층를 포함하는 복층시트(예를 들면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 B)를 연화시킨 후에,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의 형상이 상기 복층시트에 음각으로 전사되도록, 상기 복층시트를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흡착 또는 가압방식으로 밀착시켜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의 외부에 상기 복층시트를 일체화시킨다. 상기 경질층을 이루는 재질의 구체적인 예로 PETG 재질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연질층을 이루는 재질의 예로EVA 재질이나 TPU 재질을 들 수 있으나 구체적인 재질이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층시트의 일 예로 개시되는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 B는 열에 의해 연화될 수 있으며, 상기 복층시트를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배치된 상태의 제1치아 모형(M1)에 찍으면 상술한 층상 구조물이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층상 구조물(S)은 열 압착 전사장치(예를 들면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질층과 경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상기 층상 구조물(S)이 성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상기 층상 구조물은 제2덮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덮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덮개층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의 형상이 상기 제2덮개층을 형성하는 연질의 시트(예를 들면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 E)에 음각으로 전사되도록, 상기 코어 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상기 연질의 시트를 밀착시켜서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상기 연질의 시트를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층은,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연질의 시트로 덮여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의 형상이 상기 제1덮개층을 형성하는 단단한 경질의 시트(예를 들면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 A)에 음각으로 전사되도록,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연질의 시트로 덮여 있는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상기 경질의 시트를 밀착시켜서 상기 연질의 시트의 외부에 상기 경질의 시트를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층과 제2덮개층을 성형하는 과정 역시 상술한 열 압착 전사장치(예를 들면 독일 FORESTADENT사의 모델명 TRACK)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복층시트와 경질의 시트와 연질의 시트는 열가소성으로서, 열을 가하면 성형이 가능하도록 부드럽게 연화되고, 상기 치아 모형에 대고 누르면 그 형상이 그대로 찍히며, 식으면 찍힌 모양대로 굳어지는 시트(Sheet)이다.
그리고, 상술한 상대치 물림홈(113a, 113b)을 상기 포켓 몸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상기 층상 구조물(S)이 적층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악과 하악의 교합 관계에 대응되게 상기 층상 구조물(S)의 외부 표면에 상기 제2치아 모형(M2)을 찍으면, 상기 포켓 베이스(110)의 외부 표면에 상술한 실시 예의 물림홈(113a, 113b)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관계가 인기될 수 있다.
상기 물림홈(113a, 113b)은 상기 층상 구조물(S)이 연화되어 있는 상태 즉 성형이 가능한 온도상태에서 형성되는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치아 모형(M1)이 상기 코어 프레임(120)과 층상 구조물(S)로 덮인 상태에서 상기 관절 링크장치의 링크바(L; 도 12 내지 도 15 참조)를 하향 회전시켜 상기 층상 구조물(S)을 상기 제2치아 모형(M2)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2치아 모형(M2)의 치아 부분 특히 치아의 끝 부분이 상기 층상 구조물(S)의 표면에 찍혀서 상기 물림홈(113a, 113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9와 같이 이개방지 부재(200)를 갖는 층상 구조물(S)을 상기 제1치아 모형(M1)에서 분리하고, 상기 층상 구조물(S)을 절단하고 표면을 다듬는 등의 과정을 거쳐 상기 치아틀(100)의 외관을 아치 형상으로 마감하면, 아치 형상의 착탈식 유지기구(10)가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착탈식 유지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사용자)의 치아 모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도 있고, CAD/CAM을 이용해서 컴퓨터 상에서 설계(디자인)되고 컴퓨터상에서 디자인된 착탈식 유지기구의 3차원 형상 데이터를 3차원 조형기로 전송해서 상기 3차원 조형기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코어 프레임 등의 구성 요소가 사용자(환자)의 치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자인되는 3차원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조형기를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00: 가철식 치아틀
101: 경질층 102: 연질층
110: 포켓 몸체 111: 포켓 내벽
112: 포켓 외벽 113: 포켓 베이스
120: 코어 프레임 121: 치아 접촉면
122: 인접치아 접촉부 123: 안착부
200: 이개방지 부재

Claims (15)

  1. 치열궁을 이루는 치아들이 끼워지며 상기 치아들의 상대치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을 커버하도록, 치아홈이 형성된 일체형(One Body Type)의 가철식 치아틀; 그리고
    상기 치아틀에 끼워지는 상기 치아들 중 소정의 인접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치아틀에 구비되는 이개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로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치아홈에 끼워지는 상기 인접 치아들을 구속해서 상기 인접 치아들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아틀에 일체로 고정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틀은;
    상기 치아들의 치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치아홈을 갖는 포켓 몸체, 그리고
    상기 치관의 끝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치관의 끝면이 전사된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포켓 몸체의 치아홈에 구비되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치아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은 상기 치아홈의 바닥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포켓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켓 몸체에 의해 덮여서 상기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포켓 몸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 중에 상기 소정의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이 근원심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몸체는, 상기 치아틀의 외부 표면을 이루는 단단한 경질층과 상기 경질층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레임 중에서 상기 소정의 인접 치아들과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는, 상기 치아 접촉면의 반대측 표면인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포켓 몸체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은;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이 각각 안착되도록, 상기 코어 프레임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은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중간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측에서 방향이 전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일측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치아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이개방지 부재의 타측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접 치아들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치아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14. 치열궁을 이루는 치아들이 끼워지며 상기 치아들의 상대치와 맞물리는 치관의 끝면을 커버하도록 치아홈이 형성되며 코어 프레임과 포켓 몸체를 포함하는 일체형(One Body Type)의 가철식 치아틀과, 상기 치아틀에 끼워지는 상기 치아들 중 소정의 인접 치아들을 구속해서 상기 인접 치아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인접 치아들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아틀에 일체로 고정되는 이개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치관의 끝면이 찍힌 형상의 상기 코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a)단계;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 표면에 상기 이개방지 부재를 배치하는 (b)단계; 그리고
    상기 치아들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치아홈의 일측벽을 이루는 포켓 내벽과, 상기 치아들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치아홈의 타측벽을 이루는 포켓 외벽과, 상기 치아홈의 바닥을 이루며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측 표면을 덮는 포켓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프레임과 이개방지 부재를 덮으며 상기 이개방지 부재를 상기 치아틀에 일체로 고정하는 상기 포켓 몸체를 상기 코어 프레임의 외부에 형성해서, 상기 이개방지 부재를 상기 가철식 치아틀의 내부에 매립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치아들의 치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치아 모형상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치아들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자인되는 3차원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조형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시술용 유지기구의 제조방법.
KR1020150060286A 2015-04-29 2015-04-29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86A KR101697223B1 (ko) 2015-04-29 2015-04-29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86A KR101697223B1 (ko) 2015-04-29 2015-04-29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7A KR20160128617A (ko) 2016-11-08
KR101697223B1 true KR101697223B1 (ko) 2017-01-17

Family

ID=5752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86A KR101697223B1 (ko) 2015-04-29 2015-04-29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97B1 (ko) * 2018-06-01 2020-04-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교정 속도증가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601580B (zh) * 2022-03-21 2023-07-21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基于人工智能的口腔科用高效精准牙齿种植机械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230A (en) 1986-08-06 1988-02-16 Yugen Kaisha K.O.L. Orthodontic wire retainer
KR101343129B1 (ko) *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494273B1 (ko) 2014-02-17 2015-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마우스가드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48Y1 (ko) 2010-12-24 2012-07-09 조석 스포츠 마우스 가드
JP6152292B2 (ja) 2013-04-24 2017-06-21 亀田 浩司 固定式リテーナー及び固定式リテーナ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230A (en) 1986-08-06 1988-02-16 Yugen Kaisha K.O.L. Orthodontic wire retainer
KR101343129B1 (ko) *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494273B1 (ko) 2014-02-17 2015-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마우스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7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485B2 (en) Dental applianc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eth,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KR101497493B1 (ko)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EP2814417B1 (en) Shell aligner that accommodates tooth movement with brackets, system and method
CN102123678B (zh) 复合口具
US20180078342A1 (en) Dental Appliance For Use as an Aligner and as a Tool to Reduc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US8671947B2 (en) Dental bite construction for performance enhancing mouth guards
US7882839B2 (en) Custom mouthguard
US20210059789A1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20090165805A1 (en) Mouth Guard
US11058571B2 (en) Custom-fit dental guard
GB1565394A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KR101697226B1 (ko)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우스피스
JP2008515572A (ja) 口腔内装具
CA2772415A1 (en) Methods of preparing customized mouthpieces for enhancing athletic performance
US20110094522A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06599B1 (ko) 치아 보호기
KR101343129B1 (ko) 치아 교정장치
JP7471664B2 (ja) 歯科装置
KR101697223B1 (ko) 교정시술용 유지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0150B1 (ko) 마우스가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11258B1 (ko) 유지력 증강을 위한 마우스가드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0036963A (ja) 歯列装具
CN113058254B (zh) 一种护齿医疗器具
JP7295580B1 (ja) 歯科矯正具
JP6624700B2 (ja) 歯列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