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517B1 -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517B1
KR102373517B1 KR1020210038293A KR20210038293A KR102373517B1 KR 102373517 B1 KR102373517 B1 KR 102373517B1 KR 1020210038293 A KR1020210038293 A KR 1020210038293A KR 20210038293 A KR20210038293 A KR 20210038293A KR 102373517 B1 KR102373517 B1 KR 10237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aption
information
video
sub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로미
Original Assignee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03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 전달하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생성하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 및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이 표시되는 시청자 단말기(400); 및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를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providing moving picture,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 기술 및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람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한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 또한 통신망을 통하여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대부분의 동영상은 특정한 언어를 통한 대화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고, 해당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만이 해당 동영상을 완전하게 즐길 수 있다. 이미 제작된 동영상의 경우에는 추후 제작한 자막을 동영상에 포함시켜서 함께 재생할 수 있지만, 라이브 방송으로 제공되는 동영상에 대해서는 자막을 제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0001)한국공개특허 KR 2001-00994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막 정보의 자막색과 자막 정보 주변의 주변 영역의 배경색이 유사하여 시청자가 자막 정보를 배경으로부터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 전달하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생성하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 및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이 표시되는 시청자 단말기(400); 및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를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를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320),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표시부(331), 및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341), 상기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중,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식별하는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 및 상기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주변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하는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자막 정보의 자막색과 자막 정보 주변의 주변 영역의 배경색이 유사하여 시청자가 자막 정보를 배경으로부터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동영상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동영상은, 시청각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영상은 동영상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 가상 인물, 주변 사물, 또는 배경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예컨대, 목소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에는 영화, 뉴스, 드라마, 만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개인 방송 영상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영상은 일정 시간에 걸쳐서 표시되는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자막은, 동영상에서 표현되는 다양한 시청각적 종류의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한 기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에서 표현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에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 가상 인물, 주변 사물, 또는 배경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가 포함될 수 있고, 움직임, 형태, 색상, 냄새, 또는 내레이션 등의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자막은 이러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문장 부호, 도형, 그림, 또는 사진 등을 포함하는 시각적 기호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자막은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동영상에서 표현되는 다양한 시청각적 종류의 정보를 청각적인 형태로 표현한 소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에 출연한 인물 또는 내레이터가 제1 언어를 사용하여 대사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대사에 대한 내용이 제2 언어로 번역된 음성이 자막일 수 있다. 이 때, 제2 언어로 번역된 음성은 번역을 수행하는 자연인의 음성일 수도 있고, 음성 생성 프로그램에 의하여 생성된 음성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은 동영상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은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시청자 단말기(400), 및 통신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은,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동영상을 시청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로부터 생성된 자막을 시청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에 의한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해당 동영상 신호를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입력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로부터 자막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 및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이 시청자 단말기(400) 상에서 재생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신호를 시청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예컨대, 동영상 및 자막)가 저장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의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즉,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외에도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제공 장치(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가 공급하기 희망하는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로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로부터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시청자 단말기(400)로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 및 자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동영상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의 신호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여 통신부(110)의 신호 송수신을 허가하거나 금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동영상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 외에 메모리(130), 프로그램 저장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40)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들을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시청자 단말기(400), 또는 기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또는 시청자 단말기(400)로부터 특정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또는 시청자 단말기(4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제공해달라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해당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에게 선정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10) 내에서 동영상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가 공급하는 동영상은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서 직접 제작된 동영상일 수도 있고, 외부 소스로부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가 수신한 동영상일 수도 있다.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가 공급한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신호는 통신망(500)을 통하여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은,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자막일 수 있다. 또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은,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내부 또는 외부의 자동 번역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음성 인식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성된 자막일 수도 있다. 하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10) 내에 포함되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에는 제1 자막입력자 단말기(300a) 및 제2 자막입력자 단말기(300b)가 포함될 수 있고,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들 각각이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기(400)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 및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이 표시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시청자 단말기(400)는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신호 및 자막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신호들을 이용하여 시청자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동영상 및 자막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10) 내에 포함되는 시청자 단말기(4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10)에는 제1 시청자 단말기(400a) 및 제2 시청자 단말기(400b)가 포함될 수 있고, 시청자 단말기(400)들 각각은 서로 같거나 다른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동일한 동영상에 대해서 서로 같거나 다른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기(400)에서 표시되는 자막은 시각적 기호로 작성된 문자일 수 있으나, 상기 언급된 내용과 같이, 청각적인 형태로 표현된 소리일 수도 있다. 즉,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신호가 생성된 경우, 시청자 단말기(400)는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음성이 시청자 단말기(400)의 음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청각적인 형태로 표현된 소리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더빙한 음성일 수 있다.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시청자 단말기(4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시청자 단말기(400) 각각은 데스크 탑(desk top), 노트북(notebook) PC,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시청자 단말기(400) 각각은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망(500)은 동영상 제공 장치(100)를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시청자 단말기(400) 각각과 전자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망(5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 간의 연결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5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출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를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자막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신호를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WLAN 통신부, 지그비 통신부, 적외선 통신부, WFD 통신부, UWB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32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2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라는 요청, 수신된 동영상을 재생하라는 요청, 자막 신호를 송신하라는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32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문자 입력,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3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30)는 수신된 동영상의 영상 정보 및 소리에 대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330)는 표시부(331) 및 음향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출력부(330), 및 제어부(340) 외에 메모리(350) 및 프로그램 저장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31)는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의도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31)는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331)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표시(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3D display), 및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표시부(3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부(332)는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청각적인 형태로 전달되도록 의도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부(332)는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소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부(332)는 알림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 주파수, 강도, 높낮이, 또는 맵시를 가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부(332)는 튜너, 이퀄라이저, 헤드폰, 이어폰, 및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향부(332)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350)는 제어부(3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350)는 자기 저장 매체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360)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들을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입력부(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20)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라는 요청, 수신된 동영상을 재생하라는 요청, 자막 신호를 송신하라는 요청을 입력 받는 요청입력부(321), 및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막 정보를 입력받는 자막정보입력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메인제어부(341),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 및 자막색추천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341)는 통상적으로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는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중,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은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 중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식별할 때,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350)에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 통상적으로 자막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는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350)에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 통상적으로 자막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주변 영역도 함께 식별할 수도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데,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좌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상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우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하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에 해당하는 점들을 잇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이 상기 주변 영역은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데,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좌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 이상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상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 이상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우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 이상 길이,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하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 이상 길이에 해당하는 점들을 잇는 영역을 가짐으로써, 시청자가 시청자단말기(400)를 통해 자막 정보가 포함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때, 상기 자막 정보 주변의 배경과 색감이 혼색되어 상기 자막을 명확하게 시인할 수 없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이 상기 주변 영역은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데,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좌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60% 이하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상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60% 이하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우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60% 이하 길이,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하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60% 이하 길이에 해당하는 점들을 잇는 영역을 가짐으로써,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을 식별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는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의 배경색은 다양한 색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는 우선적으로, 자막 시인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하여 제1 식별색을 도출하고 이어서, 상기 주변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하여 제2 식별색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색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픽셀별로 구분하여 해당 픽셀들의 색수치(RGB 수치)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식별색은 상기 주변 영역을 픽셀별로 구분하여 해당 픽셀들의 색수치(RGB 수치)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는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 및 상기 주변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의 경계에 무관하게 상기 주변 영역의 내에 위치하는 모든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에 의해 식별된 제1 식별색의 정보와 제2 식별색의 정보는 각각 자막색추천부(344)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막색추천부(344)는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을 기초로 자막 정보의 자막색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막색추천부(344)는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자막색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 및 상기 제2 식별색의 평균 색수치(RGB)를 갖는 제3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자막색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자막색추천부(344)에 의해 추천된 자막 정보의 자막색의 정보는 표시부(331)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추천된 자막 정보의 자막색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된 자막 정보의 자막색의 정보를 기초로 자막정보입력부(322)를 통해 자막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자막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자막색의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제어부(340_1)는 자막윤곽선추천부(345)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막입력자 단말기의 제어부(340_1)는 자막윤곽선추천부(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에 의해 식별된 제1 식별색의 정보와 제2 식별색의 정보는 각각 자막색추천부(344)뿐만 아니라, 상기 자막윤곽선추천부(345)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막윤곽선추천부(345)는 통상적으로 자막 정보의 자막색을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에 따라 영상이 바뀜에 따라 자주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자막 정보의 자막색을 하나로 통일해놓고, 영상에 따른 상기 제1 식별색 및 상기 제2 식별색과 상기 자막색의 식별이 용이한 상기 자막 정보의 윤곽선색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자막윤곽선추천부(345)는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윤곽선색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제1 식별색, 및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 및 상기 제2 식별색의 평균 색수치(RGB)를 갖는 제3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윤곽선색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자막윤곽선추천부(345)에 의해 추천된 자막 정보의 윤곽선색의 정보는 표시부(331)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추천된 자막 정보의 윤곽선색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된 자막 정보의 윤곽선색의 정보를 기초로 자막정보입력부(322)를 통해 자막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자막 정보, 상기 자막색의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자막 정보의 윤곽선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영상 제공 시스템
100: 동영상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제어부
200: 동영상공급자 단말기
300: 자막입력자 단말기
310: 통신부
320: 입력부
330: 출력부
340: 제어부
400: 시청자 단말기
500: 통신망

Claims (3)

  1.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동영상 제공 장치(100);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 전달하는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생성하는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에 의해 공급된 동영상 및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자막이 표시되는 시청자 단말기(400); 및
    상기 동영상 제공 장치(100)를 상기 동영상공급자 단말기(200), 자막입력자 단말기(300), 및 상기 시청자 단말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는 동영상과 관련된 신호를 동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320),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표시부(331), 및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입력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341),
    상기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중,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식별하는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 및
    상기 표시부(33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출력된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영상 정보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주변 영역의 배경색을 식별하는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자막영역색식별부(343)에 의해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상기 배경색의 제1 식별색의 정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배경색의 제2 식별색의 정보가 제공되는 자막색추천부(3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자막영역위치식별부(34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350)에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 자막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의해 입력될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정보의 주변 영역도 함께 식별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미리 저장된 자막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좌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상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우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 및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 중 하측으로 상기 자막 크기의 40~60% 길이에 해당하는 점들을 잇는 영역이고,
    상기 제1 식별색은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을 픽셀별로 구분하여 해당 픽셀들의 색수치(RGB 수치)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도출되고,
    상기 제2 식별색은 상기 주변 영역을 픽셀별로 구분하여 해당 픽셀들의 색수치(RGB 수치)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도출되며,
    상기 자막색추천부(344)는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상기 제1 식별색과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자막색을 추천하고,
    식별된 상기 자막 정보가 위치할 영역의 상기 제1 식별색과 식별된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제2 식별색 간의 평균 색수치 차이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색 및 상기 제2 식별색의 평균 색수치(RGB)를 갖는 제3 식별색의 보색 관계에 있는 자막색을 추천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8293A 2021-03-24 2021-03-24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93A KR102373517B1 (ko) 2021-03-24 2021-03-24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93A KR102373517B1 (ko) 2021-03-24 2021-03-24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517B1 true KR102373517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293A KR102373517B1 (ko) 2021-03-24 2021-03-24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953A (ko) * 1999-03-22 2000-10-16 구자홍 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강조장치와 방법
KR20010099414A (ko) 2001-09-26 2001-11-09 최문현 인터넷동영상서비스방법
JP2010226351A (ja) * 2009-03-23 2010-10-07 Fujitsu Ten Ltd 映像再生装置
KR20170009295A (ko) * 2015-07-16 2017-01-2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953A (ko) * 1999-03-22 2000-10-16 구자홍 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강조장치와 방법
KR20010099414A (ko) 2001-09-26 2001-11-09 최문현 인터넷동영상서비스방법
JP2010226351A (ja) * 2009-03-23 2010-10-07 Fujitsu Ten Ltd 映像再生装置
KR20170009295A (ko) * 2015-07-16 2017-01-2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1198B (zh) 用于编辑内容的装置和方法
CN109920065B (zh) 资讯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627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active information in panoramic video
US20170053545A1 (en) Electronic system, portable display device and guiding device
US20120032783A1 (en) Electronic reader system with external display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0898429B (zh) 一种游戏剧情展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595067B2 (en) Video providing apparatus,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2738544B (zh) 直播间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970571B (zh) 视频制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986117B (zh) 视频图像分割方法及装置
US20240119082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for media content processing
US20230283832A1 (en)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for remotely communicating instructions
CN108174269B (zh) 可视化音频播放方法及装置
CN108346179B (zh) Ar设备显示方法和装置
CN113747199A (zh)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WO2016034952A1 (en) Activity based text rewriting using language generation
KR20190061871A (ko) 광고 영상이 포함된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 그 전자 장치 및 광고 관리 서버
KR102373517B1 (ko)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5269920A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832464B1 (ko) 동영상 제공 장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223671A1 (zh) 基于ar的会议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051355A1 (en) Video performance rendering modification based on device rotation metric
CN110366002B (zh) 视频文件合成方法、系统、介质和电子设备
CN112395530A (zh) 数据内容的输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111264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installation and interaction during a pod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