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505B1 -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 Google Patents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505B1
KR102373505B1 KR1020200082757A KR20200082757A KR102373505B1 KR 102373505 B1 KR102373505 B1 KR 102373505B1 KR 1020200082757 A KR1020200082757 A KR 1020200082757A KR 20200082757 A KR20200082757 A KR 20200082757A KR 102373505 B1 KR102373505 B1 KR 1023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opening
headwind
exhaust cap
cross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213A (ko
Inventor
정상철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도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도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도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08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5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E21F1/085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using compressed gas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또는 화장실 등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있어 공기를 배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외부로 통하는 관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의 바람이 강하게 불게 되면 냄새 및 연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풍에 의해서 내부로 역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기구에 역풍을 이용하는 배기캡을 구성하게 되며 오히려 역풍을 이용해 원활한 배기가 상시 가능하게 하는 배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부 일측을 향해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Exhaust cap utilizing reverse wind}
본 발명은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또는 화장실 등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있어 공기를 배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외부로 통하는 관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의 바람이 강하게 불게 되면 냄새 및 연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풍에 의해서 내부로 역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기구에 역풍을 이용하는 배기캡을 구성하게 되며 오히려 역풍을 이용해 원활한 배기가 상시 가능하게 하는 배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의 배기는 화장실, 욕실, 주방 등의 배기와 보일러 배출구 등으로 다양한 배기구로 구성된다. 배출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공기가 공용덕트에 집결하여 단일화된 관로를 통해서 옥상 등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거나 각 기구에서 벽을 관통하는 직배기로 이루어진다.
공용덕트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방식은 모든 층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의 담배연기 등의 오염원이 올라오기도 하고 화재 발생시 상층 또는 하층으로 급격하게 화염 확대가 이루어지는 것이 단점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63호, 2020. 3. 13., 일부개정] 에서 요구하는 추가 시설을 설치하는 등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직배기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방식은 각 구역에서 관로를 통해 건물의 측면 외부로 관통하여 배기를 하게된다. 공용덕트는 지붕 또는 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부로 돌출되어 배기캡이 형성하는데 반해 직배기 방식은 각층의 측면으로 배기캡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 등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기술들은 역풍의 차단을 통해서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에 주력하고 있다. 역풍이 강하기 불면 내부와 외부가 차단되기 때문에 배기가 원활하게 유지되는 것이 어려움을 가진다. 따라서 직배기 방식은 역풍을 방지하는 것을 넘어서 역풍이 불 때도 배기가 가능한 안정적인 배기를 항시 유지하는 기술이 당 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7038호(2020.01.10)
배기캡에 역풍 및 빌딩풍이 불어도 역류되지 않고 배기되며 오히려 역풍으로 유입된 공기를 임펠러 틈으로 역류시켜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항시 높은 풍속으로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배기가 유지되는 배기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부 일측을 향해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개방부는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측단부 직경이 상기 본체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중앙개방부의 외주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개방부는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배출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공동 에어덕트 배기방식을 이용하면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으로 연결되는 천장과 바닥을 관통하는 배관 등의 시설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층층마다 천장과 바닥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해당 건축물에 화재가 시작되어 점차 화염이 번지기 시작하면 층층마다 형성되어 있는 천장과 바닥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통해서 상층과 하층으로 화염이 삽시간에 번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러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적용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용 덕트없이 각층의 공간에서 건물 외벽을 관통하여 배출하는 직배기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방식은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 등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이 가해지는 배기캡이 오히려 유입된 공기를 활용하여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높은 풍속을 유지하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여 기계 진동 및 소음 등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진동 발생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고정 대상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 등이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물 벽이나 천정 어디에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않아 원가부담을 절하할수 있고, 캡이 손상을 입어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시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풍속 및 바람 방향을 표현한 구조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도 3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20)와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부(10) 일측을 향해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20)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22) 및 상기 중앙개방부(20)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개방부(20) 및 날개부(22)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되는 배출부(30)를 포함하는 배기캡.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건물 외벽에 끼워지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관로와 연결되어 관로는 환기, 배기가 필요한 구역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역은 환기가 필요한 주방 또는 욕실 등 일 수 있으며 공기를 흡입하고 관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기기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된 반대방향은 개방된 개구부가 연장되어 연장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4)는 외측으로 연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와 연장부(24)가 꺾이는 부분은 인입되는 바람을 이용하기 위해서 꺾이는 것이 아닌 유속을 방해하지 않는 굴절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22)는 코안다 효과를 활용하기위함인데 코안다 효과란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해당 면에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이 경우 한쪽으로만 확산하기 때문에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2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20)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개방부(20)의 외측면에 넓게 확장되어 역풍의 유입을 원활히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중앙개방부(20)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개방부(20) 및 날개부(22)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된다.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중앙개방부(20)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부(24)에 연결되는 체결부(34)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날개부(22)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30)는 외측으로 연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원의 단면적과 풍속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날개부(22)와 연장부(24)사이에 위치하여 공간을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30)의 외측부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역풍방지판(32)이 형성되고 상기 역풍방지판(32)은 바람이 직접적으로 상기 중앙개방부(20)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고 내부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추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외측부가 인입되어 그릇형태의 모양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4)의 측단부 직경이 상기 본체부(1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개방부(20)는 본체부(10)와 연결된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연장되어 연장부(24)가 형성되고 연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에서 외부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배기되어야 하는 공기는 저항이 적게 받으면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들어가기 힘들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30)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연장부(24)의 외주면 일측에 하나 이상의 홈, 체결구 등의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건물 벽이나 천정 어디에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손상을 입어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22)는 중앙개방부(20)의 외주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2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20)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개방부(20)의 외측면에 넓게 확장되어 역풍의 유입을 원활히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연장되는 그릇 형태의 넓게 벌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날개부(22)의 굽은 곡선을 따라 바람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비나 눈 등이 고이지 않도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30)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날개부(22)의 내주면 일측에 하나 이상의 홈, 체결구 등의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본체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개방부(20)는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활용하여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높은 풍속을 유지하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에 결합하기 때문에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여 기계 진동 및 소음 등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진동 발생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고정 대상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 등이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건물 벽이나 천정 어디에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않아 원가부담을 절하할수 있고, 캡이 손상을 입어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시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풍속 및 바람 방향을 표현한 구조도를 나타낸다.
풍압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69829369-pat00001
W = 풍압
C = 풍압계수(풍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 낮을 때는 -가 되고 건물의 형상이나 풍향, 주위의 조건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상수)
F = 바람을 직각으로 받는 판의 면적
p = 공기밀도
V²= 풍속의 제곱
풍량 공식은 아래와 같다.
Q = A * V
풍속 공식은 아래와 같다.
V = Q / A
(Q = 풍량, A = 단면적, V = 풍속)
원의 단면적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69829369-pat00002
위의 공식을 통해서 도4에 도시된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풀어본다면,
풍속 공식에 의해서 풍속(V)은 단면적(A)에 반비례하고, 원의 단면적 공식에 의해서 단면적(A)은 반지름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A1)보다 상기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보다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보다 배출부의 단면적(A1)이 넓게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은 항상 배출부의 단면적(A1)보다 크고,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은 항상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보다 크다.따라서, 상기 단면적의 크기는 항상 A2>A1>A3 순으로 정의되며 역풍(V1)은 A1,A2에 임의 절대시간에 대한 평균값으로 동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풍속 공식에 의해 A3<A2 일때, A3의 역풍전환 풍속(V2)은 A2에 가해지는 역풍(V1)보다 크다. 따라서 A1에 가해지는 배기 풍속(V3)에 기계식 팬 풍속(V0)이 합쳐지기 때문에 항상 역풍(V1)보다 큰 풍속을 가지게 된다.
역풍(V1)이 A2를 지나 A3까지 상기 날개부(22) 내의 벽면 곡선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가장 깊은 부분인 A4에서 방향이 급격히 전환되면서 일정 속도저하가 발생한다. 하지만 단면적 감속에 따른 속도의 증가폭이 더 크기 때문에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항상 크다. (코안다 효과란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해당 면에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이 경우 한쪽으로만 확산하기 때문에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또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에도 별도의 속도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토출되는 기계식 팬 풍속(V0)이 항상 일정(법적기준에 근거하는 평균 8m/sec 내외)하면 역풍(V1)을 활용하여 증가된 역풍전환 풍속(V2)이 더해진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크다. 또한, 배기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인해 풍속이 일정비율 증가되기 때문에 역풍(V1)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역류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역풍(V1)보다 기계식 팬 풍속(V0)과 역풍전환 풍속(V2)의 합인 배기 풍속(V3)이 더 크다.
1 : 배기캡
10 : 본체부
20 : 중앙개방부
22 : 날개부
24 : 연장부
30 : 배출부
32 : 역풍방지판
34 : 체결부
35 : 이격부
V0 : 기계식 팬 풍속
V1 : 역풍
V2 : 역풍전환 풍속
V3 : 배기 풍속
A1 : 배출부의 단면적
A2 :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
A3 :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
A4 : 역풍전환면

Claims (7)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부 일측을 향해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개방부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측단부 직경이 상기 본체부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개방부보다 큰 직경으로 측단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역풍이 선회되도록 상기 연장부와 곡면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상기 중앙개방부의 외주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캡.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개방부는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캡.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캡.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캡.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배출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캡.
KR1020200082757A 2020-07-06 2020-07-06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10237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57A KR102373505B1 (ko) 2020-07-06 2020-07-06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57A KR102373505B1 (ko) 2020-07-06 2020-07-06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13A KR20220005213A (ko) 2022-01-13
KR102373505B1 true KR102373505B1 (ko) 2022-03-15

Family

ID=7934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57A KR102373505B1 (ko) 2020-07-06 2020-07-06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067B1 (ko) * 2023-08-29 2024-01-02 주식회사 아지즈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09Y1 (ko) 2003-04-08 2003-07-18 김남수 보일러 연도의 역풍유입방지용 캡
JP2009138989A (ja)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55U (ko) * 1989-06-23 1991-02-12
KR20050033605A (ko) * 2005-03-21 2005-04-12 심주섭 보일러 배기관용 배기장치
KR200458569Y1 (ko) * 2009-05-06 2012-03-06 (주)로얄기공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역풍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된 연도 커버
KR20110108105A (ko) * 2010-03-26 2011-10-05 박현순 역풍방지를 위한 환기시스템
KR101543603B1 (ko) * 2013-05-01 2015-08-13 이정아 방수형 환기구캡
KR102067038B1 (ko) 2018-04-27 2020-02-11 박태업 무동력 환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09Y1 (ko) 2003-04-08 2003-07-18 김남수 보일러 연도의 역풍유입방지용 캡
JP2009138989A (ja)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365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13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754A (en) Drainpipe joint
CA2077330C (en) Soffit mount air ventilator
KR102373505B1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US20140170962A1 (en) Bird-proof exhaust vent cover appartus and methods
US5498204A (en) Eave vent
KR20150008222A (ko) 환기용 외부 후드캡
US20090293182A1 (en) Method for Air Removal from a Water-Closet Bowl and a Device for air removal from a water-closet bowl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KR20220063593A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기캡
JP5596489B2 (ja) 継手用アダプター及び該継手用アダプターを用いた旋回羽根付き排水管継手
JP5117043B2 (ja) 縦樋管における雨水流下促進装置
WO2021016279A1 (en) Roof vent
KR102508087B1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100816525B1 (ko) 배기용 후드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US6893339B1 (en) Eaves vent apparatus
KR101532628B1 (ko) 집진기용 소음방지 배출관
AU2006100723A4 (en) Rainhead Arrangement
KR102621596B1 (ko) 후드캡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CN217557531U (zh) 通风管道防积水结构
NL1019708C2 (nl) Schoorsteensamenstel, beluchtingssysteem voorzien van een schoorsteensamenstel, alsmede gebouw voorzien van een schoorsteensamenstel of beluchtingssysteem.
KR102035204B1 (ko) 공동건물의 입상 덕트용 드레인부재
KR20180054303A (ko) 공기 배출장치
JP3486848B2 (ja) 排水立て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