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67B1 -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 Google Patents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67B1
KR102620067B1 KR1020230113364A KR20230113364A KR102620067B1 KR 102620067 B1 KR102620067 B1 KR 102620067B1 KR 1020230113364 A KR1020230113364 A KR 1020230113364A KR 20230113364 A KR20230113364 A KR 20230113364A KR 102620067 B1 KR102620067 B1 KR 10262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pipe
flue
pip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식
엄국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지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지즈
Priority to KR102023011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6Mouths; Inlet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50Top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70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per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개방 단부 영역의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측방 배기공을 구비하는 배기관, 배기관의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배기관의 길이 방향을 폐쇄하는 엔드캡, 그리고 엔드캡을 배기관의 전방 단부에 이격 지지하면서 배기관의 개방 단부와 엔드캡 사이에 측방을 개방하는 측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이격 지지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Supply And Exhaust Duct Of Boiler For Preventing Headwind And Icicle}
본 발명은 급배기 연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일러 등에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배기 연도에서 엔드캡 구조를 개선하여 배기관의 길이를 줄이고 역풍과 고드름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의 배기 가스는 유독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는 배기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연도(가스 배관)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건축물 구조, 보일러 위치 등으로 인해 연도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어려워 다수의 연도를 연결하여 연결 연도로 구성하고 있다.
연도는 직선 형태, 곡선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데, 예를 들어 배기와 급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급배기 연도, 곡선 형태를 갖는 엘보 연도, 연도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장 연도 등이 서로 연결하여 배기 장치를 구성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29581호는 '물 유입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를 개시하고 있는데, 배기관의 배출 단부를 보면, 배기관의 측벽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기 배출공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하고, 전방 개방구는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배기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고 측방의 배기 배출공의 형성 영역을 줄여 배기관의 길이를 줄이는데 유리하지만, 역풍, 즉 외부에서 배기관 내측으로 바람이 불 경우에는 배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보일러 쪽으로 역류하면서 배기 가스의 누설 사고를 높일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25427호는 '보일러용 급배기관의 연통 접속구조'를 개시하고 있는데, 배기관의 배출 단부를, 배기관의 단부를 엔드캡으로 폐쇄하여 배기 가스를 측면 배기공을 통해서만 배출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역풍에 의한 배기 가스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으나, 배기 가스의 배출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 측방에 배기공을 더 많이 구비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배기관의 길이를 늘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겨울철에 배기관의 전방 단부 또는 엔드캡에 고드름이 생기면서 배기 가스의 배출을 방해하여 폭발 연소를 할 수 있고 미관도 해칠 수 있다.
[선행특허]
1.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29581호(물 유입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
2.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25427호(보일러용 급배기관의 연통 접속구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일러에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배기 연도의 엔드캡 구조를 개선하여 배기관의 길이를 줄이고(최소화하고), 아울러 역풍 및 고드름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배기관, 엔드캡(end cap), 이격 지지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은 개방 단부 영역의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측방 배기공을 구비할 수 있다.
엔드캡은 배기관의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배기관의 길이 방향을 폐쇄할 수 있다.
이격 지지바는 엔드캡을 배기관의 전방 단부에 이격 지지하면서 배기관의 개방 단부와 엔드캡 사이에 측방을 개방하는 측방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서, 엔드캡은 배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서, 엔드캡은 측방 외측에서 중심으로 가면서 배기관의 개방 단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원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서, 측방 배기공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는 배기관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중 배관으로 결합하는 급기관에서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측방 급기공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서, 엔드캡은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부를 제거하여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결부와 절결부의 전방에 경사지는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에서, 이격 지지바는 배기관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는 2개 또는 3개의 곡면 플레이트 바(plate bar)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엔드캡이 배기관의 길이방향 전방 단부를 이격 폐쇄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역방향 유입으로 인한 배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배기관의 개방 단부와 엔드캡 사이에 측방 개구부를 형성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통로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배기관의 측방 배기공의 길이방향 나열 갯수를 줄여 배기관의 길이(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은 급배기 연도의 전체 사이즈를 줄여 원가 절감, 설치 용이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엔드캡의 하단 가장자리, 즉 고드름이 생성되기 가장 쉬운 영역에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엔드캡과 배기관 부위에 벤츄리 효과에 의한 배기 가스의 속도 증가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의 찬 공기와 배기 가스의 온도 차이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불어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효과는 고드름 생성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기 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시간에 생성된 고드름도 절결부를 통한 배기 가스의 배출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는 엔드캡을 원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를 적용한 보일러 배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를 적용한 보일러 배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 배기 장치(200)는 보일러(100)의 상단 배기구에 결합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급배기 연도(210), 엘보 연도(220), 연도 연결용 패킹(230), 체결 밴드(240), 연장 연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일러(100)는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물, 공기 등을 데우는 것으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배기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배기 가스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 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실내로 유입됨이 없이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필요가 있다.
급배기 연도(210)은 배기 가스의 배출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수행하는 것으로, 배기관(211)과 급기관(212)를 적층한 이중 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관(211)은 내측이 직접 또는 연장 연도(미도시) 등을 거쳐 보일러(100)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외측은 건물 외부에 위치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기관(211)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공(H1)을 외측 단부에 구비한다. 배기공(H1)은 배기관(211)의 외측 단부 원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공(H1)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다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홀은 원형, 타원형 등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급기관(212)은 배기관(211)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시킨 외측 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급기관(212)은 외부 공기가 유입하는 급기공(H2)을 다수 구비할 수 있다. 급기공(H2)은 빗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급기관(212)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관(212)은 배수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홀은 급기공(H2)의 후방, 즉 보일러(100) 방향에 형성하여 급기공(H2)을 통해 급기관(212) 내부로 유입하는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배수홀(미도시)은 급기관(212)의 원주를 따라 장공 형태로 구성하여 급기관(212)의 내측 하부를 타고 흐르는 빗물이 쉽게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홀은 후단에 급기관(212)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배수홀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한 빗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배수홀을 통해 다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배기관(211)은 외주면에 배수홀 중 일측 배수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단턱을 돌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차단턱은 급기관(212)의 급기공(H2)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배기관(211)에 묻어 배기관(211)을 타고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급배기 연도(210)은 엘보 연도(220) 또는 연장 연도(미도시)와 연결하는 내측 단부에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는 엘보 연도(220) 또는 연장 연도(미도시)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수관부나 엘보 연도(220) 또는 연장 연도(미도시)의 일측 단부를 내장하는 암관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암관부의 경우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돌출하는 체결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수관부의 경우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함몰하는 체결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급배기 연도(210)은 배기관(211)의 전방 영역(A)에 전방으로 이격 결합하는 엔드캡(도 2의 B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엘보 연도(220)은 직선 형태의 연도를 절곡 형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주름을 구비하여 원하는 각도로 꺾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엘보 연도(220)은 보일러(100)의 배기구, 연장 연도(미도시), 또는 급배기 연도(210)과 연결하는 양측 단부에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는 연결하는 다른 연도에 삽입되는 수관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연결하는 다른 연도를 내장하는 암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관부 측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함몰하는 체결 홈을 형성하고, 암관부 측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돌출하는 체결 돌기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다른 연도의 대응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과 각각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연도 연결용 패킹(230)은 연도 연결부에서 배기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단면이 원형을 갖는 고리 형상의 본체 오링의 양측에 밀폐 날개를 각각 연장 형성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 오링은 체결 홈에 삽입 고정되고, 밀폐 날개 중 하나는 체결 돌기를 덮으면서 결합하고, 밀폐 날개 중 다른 하나는 체결 홈의 함몰면에 밀착 결합할 수 있다. 본체 오링과 제1,2 밀폐 날개는 실리콘 등의 내열성 유연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밴드(240)는 연도 연결부에서 연결하는 2개의 연도를 연결 고정할 때 패킹(230)의 외면에 결합하여 패킹(230)을 체결 홈과 체결 돌기의 방향으로 가압 밀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밴드형 스트랩, 제1,2 고정편, 볼트, 너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밴드형 스트랩은 일측에 절결부를 갖는 비대칭 링 형태, 예를 들어 중앙 정방향 함몰부, 측방 평면부, 측방 역방향 함몰부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2 고정편은 밴드형 스트랩의 절결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절결부의 양측에서 원주 방향에 수직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볼트는 제1,2 고정편의 삽입홀에 삽입되고, 너트는 볼트에 결합하여 제1,2 고정편을 밀착시키면서, 밴드형 스트랩의 반경을 조절, 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 밴드(240)으로 연도를 연결하는 방법은, 제1 연도의 결합측 체결 돌기와 제2 연도의 체결 홈이 인접하게 제2 연도를 제1 연도에 삽입한 후, 연결 부위에 패킹(230)을 결합한다. 이후, 밴드형 스트랩을 패킹(230)의 외면을 결합하고, 이어서 볼트와 너트로 제1,2 고정편을 밀착시키면, 밴드형 스트랩이 오므라들면서 본체 오링과 체결 돌기를 가압 밀착할 수 있다. 이 때, 패킹(230)의 제1 밀폐 날개는 제1 연도 방향에서 밀폐력을 높이고, 제2 밀폐 날개는 제2 연도 방향에서 밀폐력을 높여, 제1,2 연도 사이의 전체 밀폐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연장 연도(미도시)는 보일러(100)의 배기구와 엘보 연도(220) 사이, 엘보 연도(220)과 급배기 연도(210) 사이 등과 같이 2개 연도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것으로, 보통 직선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연장 연도(미도시)는 보일러(100)의 배기구, 엘보 연도(220), 또는 급배기 연도(210)과 연결하는 양측 단부에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는 연결하는 다른 연도에 삽입되는 수관부를 일측 단부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연결하는 다른 연도를 내장하는 암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관부 측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함몰되는 체결 홈을 형성하고, 암관부 측에는 외면 둘레에 원주를 따라 돌출하는 체결 돌기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다른 연도의 대응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과 각각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210)은 배기관(211), 엔드캡(B1), 이격 지지바(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211)은,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하며, 개방 단부 영역의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측방 배기공(H1)을 구비할 수 있다.
엔드캡(B1)은 외부 공기가 배기관(211)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배기관(211)의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전방 영역을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엔드캡(B1)은 예를 들어 배기관(211)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엔드캡(B1)은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부를 제거하여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결부(T)를 포함할 수 있다. 절결부(T)는 배기관(211)에서 고드름이 생성되기 쉬운 영역, 즉 엔드캡(B1)의 하단 가장자리를 제거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결부(T)는 엔드캡(B1)의 일부를 절결하여(잘라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결부(T)의 전방에는 절결부(T)에서 외측으로(전방으로) 경사지게 휘어지는 가이드판(F)을 형성할 수 있다. 절결부(T)와 가이드판(F)은 절결부(T)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벤츄리 효과를 야기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속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로 엔드캡(B1)과 배기관(211) 부위에서 외부의 찬 공기와 배기 가스의 온도 차이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불어낼 수 있다. 또한, 절결부(T)와 가이드판(F)에 의한 벤츄리 효과는 고드름 생성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고, 배기 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시간에 생성된 고드름은 배기 가스의 추후 배출을 통해 제거하는 것까지 가능하다.
이격 지지바(S)는 엔드캡(B1)을 배기관(211)의 전방 단부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바(bar)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격 지지바(S)는 배기관(211)의 개방 단부와 엔드캡(B) 사이를 이격 지지하므로, 배기관(211)의 개방 단부와 엔드캡(B) 사이에서 측방으로 개방되는 측방 개구부(OP)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격 지지바(S)는 측방 개구부(OP)를 통한 배기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최소 갯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배기관(211)의 원주를 따라 2개 또는 3개를 동일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2개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고, 3개를 배치할 경우에는 120°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격 지지바(S)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원형 단면을 갖는 원형 바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측방이 면(곡면) 형태를 갖는 배기관(211)이나 엔드캡(B1)과 견고하게 결합을 위해서 플레이트 바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곡면 플레이트 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일러 급배기 연도(210)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 배기공(H1)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도 2a에서 2열)을 측방 급기공(H2)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도 2a에서 4열)보다 적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엔드캡(B1)이 배기관(211)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지 않고 개방 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종래기술에서는 배기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측방 배기공(H1)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는 측방 급기공(H2)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와 거의 동일하게(도 2a에서 4열)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엔드캡(B1)을 배기관(211)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측방 개구부(OP)를 형성하면 측방 개구부(OP)가 배기 가스의 추가 배출구로 기능하면서 측방 배기공(H1)의 길이방향 나열 갯수를 의미있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배기관(211)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급배기 연도(210)의 크기를 줄여 원가 절감, 설치 용이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급배기 연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급배기 연도(210)은 변형된 엔드캡(B2)를 포함하고 있다.
변형 엔드캡(B2)은 측방 외측에서 중심으로 가면서 배기관(211)의 개방 단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원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배기관(211)으로 유입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면서도 배출되는 배기 가소의 배출 경로 저항을 줄이면서 가이드할 수 있어 배기 가스를 보다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변형 엔드캡(B2)도 절결부(T)와 가이드판(F)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 형상의 전방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절결부(T)와 가이드판(F)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 형상의 전방 단부에 원통 지지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에도, 절결부(T)와 가이드판(F)를 원추 형상의 전방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보일러
200 : 보일러 배기 장치
210 : 급배기 연도
211 : 배기관
H1 : 배기공
B1,B2 : 엔드캡
F : 가이드판
T : 절결부
S : 이격 지지바
OP : 측방 개구부
212 : 급기관
H2 : 급기공
220 : 엘보 연도
230 : 연도 연결용 패킹
240 : 체결 밴드

Claims (6)

  1. 개방 단부 영역의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측방 배기공을 구비하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의 개방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배기관의 길이 방향을 폐쇄하는 엔드캡; 및
    상기 엔드캡을 상기 배기관의 전방 단부에 이격 지지하면서 상기 배기관의 개방 단부와 상기 엔드캡 사이에 측방을 개방하는 측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이격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은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부를 제거하여 배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결부; 및
    상기 절결부의 전방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벤츄리 효과를 야기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속도를 높여 외부 찬 공기와 배기 가스의 온도 차이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불어내고 고드름 생성을 차단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은
    상기 배기관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하는,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은
    측방 외측에서 중심으로 가면서 상기 배기관의 개방 단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원추 형태로 구성하는,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배기공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는
    상기 배기관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중 배관으로 결합하는 급기관에서 측방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측방 급기공의 길이방향 배열 갯수보다 적은,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바는
    상기 배기관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는 2개 또는 3개의 곡면 플레이트 바(plate bar)로 구성하는,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KR1020230113364A 2023-08-29 2023-08-29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KR10262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364A KR102620067B1 (ko) 2023-08-29 2023-08-29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364A KR102620067B1 (ko) 2023-08-29 2023-08-29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067B1 true KR102620067B1 (ko) 2024-01-02

Family

ID=8951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364A KR102620067B1 (ko) 2023-08-29 2023-08-29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61B1 (ko) * 2007-04-09 2008-09-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용 급배기관
KR101152372B1 (ko) * 2005-01-25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후드 배기관 구조
KR20130029582A (ko) * 2011-09-15 2013-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
KR20220005213A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삼도피에스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72B1 (ko) * 2005-01-25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후드 배기관 구조
KR100856861B1 (ko) * 2007-04-09 2008-09-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용 급배기관
KR20130029582A (ko) * 2011-09-15 2013-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
KR20220005213A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삼도피에스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7780C (en) Furnace inducer outlet elbow
EP2103875B1 (en) Non-return valve for an exhaust duct of flue gases of a boiler
KR100983001B1 (ko) 내연기관 및 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방지 장치
CA2077126A1 (en) High Efficiency Induced Draft Condensing Furnace with Horizontal Plastic Vent Termination Assembly
KR102620067B1 (ko) 역풍 및 고드름 방지 기능을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EP0056670A2 (en) Assembly comprising a heat recovery device
CN105823354A (zh) 一种全预混冷凝热交换器
US5865613A (en) Steam over air flare tip
JPS61252427A (ja) 煙突用方向変換帽
US20110244405A1 (en) Low nox burner for a water heater
US3983935A (en) Heat exchanger
CA2306406A1 (en) Water-tube boiler
KR100856860B1 (ko) 보일러의 역풍방지용 급배기관
KR102629505B1 (ko) 연도 연결용 패킹
KR100929692B1 (ko) 내연기관 및 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방지 장치
KR20030088914A (ko) 보일러의 급배기파이프
EP0979973B1 (en) Wall duct with a collar counteracting recirculation
KR102617666B1 (ko) 압착식 밀폐 구조를 갖는 보일러 급배기 연도
CN216114653U (zh) 一种采暖供热水装置
CN109612105B (zh) 变径提速和防返流堵塞的燃气热水器用燃气管道
EP0634610A1 (en) Combined burner air supply and combustion gas discharge system
CN108662767B (zh) 容积式换热装置和具有其的热水器
JP2956444B2 (ja) 吸排気筒の構造
GB2388381A (en) Ridge tile with integrated flue gas discharge and combustion air supply
CA2310607A1 (en) Device for heating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