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454B1 -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454B1
KR102373454B1 KR1020207030755A KR20207030755A KR102373454B1 KR 102373454 B1 KR102373454 B1 KR 102373454B1 KR 1020207030755 A KR1020207030755 A KR 1020207030755A KR 20207030755 A KR20207030755 A KR 20207030755A KR 102373454 B1 KR102373454 B1 KR 10237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ell
information
timing length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856A (ko
Inventor
샤오동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3월 27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260183.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스위칭을 진행하고 간섭을 조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예컨대, eNB)는 가버닝 셀에 이웃 관계 테이블을 구축하고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오토매티크 이웃 관계(Automatic Neighbor Relation,ANR)기능은 네트워크 기기를 보조하여 배치되지 않은 이웃 셀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며, 이웃 관계 테이블에서 대응되는 테이블 항의 구축 및 유지 조작을 트리거한다. 오토매티크 이웃 관계 메커니즘은 동일한 주파수의 이웃 셀을 발견하는데 적용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주파수의 이웃 셀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관련기술에서, 오토매티크 이웃 관계 메커니즘 중 단말 기기에서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발신한 ANR 측정 배치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는 타이머T321을 턴 온하고, 타이머T321의 타이밍 길이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을 토대로 설정되며, 상이한 RAT는 상이한 타이밍 길이에 대응된다.
그러나,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에 있어서, NR 시스템의 주파수는 복수 개의 주파수 범위로 나뉘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는 주파수 대역폭, 서브 캐리어 간격 등 측면에서 차이가 크며, 단말 기기의 능력 차이도 아주 크며, 관련기술에서 RAT를 토대로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를 설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면,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의 설정이 불합리한 경우를 초래하며, 셀 정보의 획득에 영향을 주며, 통신의 유효성에 영향을 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여, NR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가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 기기에서 더욱 합리적인 타이밍 길이에 따라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셀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에서의 셀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에서의 셀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에서 단말 기기더러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는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며, 또한 타겟 타이밍 길이 내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여, NR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가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에서 더욱 합리적인 타이밍 길이에 따라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의 유효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고, 본 개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셀 정보 획득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기술방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에 응용되며, 예컨대: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LTE)/강화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advanced,LTE-A)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단말 기기(User Equipment,UE)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기기 등으로 칭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하면, Radio Access Network,RAN)를 경유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이동 휴대폰(또는 "셀룰러" 휴대폰으로 칭함) 및 모바일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 일 수 있으며, 예컨대, 휴대용, 포켓형, 핸들링, 컴퓨터에 내장된 또는 차량용 이동 장치 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었고 단말 기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며,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eNB 또는 e-NodeB,evolutional Node B) 및 5G 기지국(gNB)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절차는: 1,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A에 의해 통상적인 셀 측정을 완료하고 또한 측정 보고를 통해 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측정 보고는 네트워크 기기B 하의 셀B의 주파수 포인트 및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PCI)를 포함한다. 2, 네트워크 기기A는 측정 보고중의 주파수 대역 및 PCI에 따라 셀B가 하나의 배치되지 않은 이웃 셀임을 확정하며, 네트워크 기기 A는 지시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더러 셀 B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지시 시그널링은 측정 배치의 형식을 통해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3, 단말 기기에서 측정 배치를 수신한 후, 타이머를 턴 온하고, 또한 셀B의 시스템 메시지를 획득하기 시작하며, 진일보하여 시스템 메시지중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한다. 4, 타이머 시간 초과하기 전에, 단말 기기에서 셀B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다면, 네트워크 기기A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고, 네트워크 기기A는 셀B를 단말 기기의 서비스 셀(셀A)의 이웃 관계 테이블 중에 추가한다.
관련기술에서,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을 토대로 설정된 것이며, 상이한 RAT는 상이한 타이밍 길이에 대응된다.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에 있어서, NR 시스템의 주파수는 복수 개의 주파수 범위로 나누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는 주파수 대역폭, 서브 캐리어 간격 등 방면에 있어서 차이가 크며, 단말 기기의 능력 차이도 아주 크며, 관련기술에서 RAT를 토대로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를 설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면, 타이머의 타이밍 길이의 설정이 불합리한 경우를 초래하며, 셀 정보의 획득에 영향을 주며, 통신의 유효성에 영향을 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셀 정보의 획득 방법을 제공하며, 이 하,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셀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방법은:
S210: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S210중의 타이머는 타이머 시간 초과시 타겟 셀(예컨대, 이웃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취소하고 또한 서비스 셀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타이머의 턴 온 시각은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는 시각으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단말 기기가 타겟 셀(예하면 이웃 셀)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기 시작한 시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S210에서, 측정 배치 정보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PCI)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측정 배치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타겟 셀을 확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측정 배치 정보는 하나의 측정 식별자 ID와 상호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S210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는 타겟 셀의 정보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CGI), 상기 타겟 셀의 추적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TAC), 및 상기 타겟 셀의 공공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 식별자(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타겟 정보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S210에서,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속하는 타겟 주파수 범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단말 기기는 타겟 주파수 범위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며, 제1 대응 관계는 주파수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대응 관계는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대응 관계는 테이블 1에서 도시하다 시피,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는 주파수 범위 A-B MHz에 속함을 단말 기기에서 확정하였을 경우,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M ms로 확정되고,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는 주파수 범위 C-D MHz에 속함을 단말 기기에서 확정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N ms로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타겟 정보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S210에서,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속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단말 기기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 및 제2 대응 관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며, 제2 대응 관계는 주파수 대역폭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대응 관계는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대응 관계는 테이블 2에서 도시하다 시피,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주파수 대역폭 범위 A MHz에 속함을 단말 기기에서 확정하였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M ms로 확정되고,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 범위가 주파수 대역폭 범위 B MHz에 속함을 단말 기기에서 확정하였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N ms로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타겟 정보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S210에서,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단말 기기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제3 대응 관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며, 제3 대응 관계는 서브 캐리어 간격과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대응 관계는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3 대응 관계는 테이블 3에서 도시하다 시피,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MHz라고 단말 기기에서 확정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100ms로 확정되고, 만약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MHz라고 단말 기기에서 확정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200ms로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타겟 정보는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포함한다. S210에서,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할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1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2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기설정 시간 길이 및 제2 기설정 시간 길이는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진일보하여, 단말 기기는 서비스 셀의 시스템 메시지에 따라 타겟 셀이 서비스 셀과 동기화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방법은: 서비스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시스템 메시지는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는: 단말 기기의 능력 레벨(Category), 단말 기기의 측정 간격 능력,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커넥트 모드 및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의 능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응하게, 단말 기기는 능력 정보에 포함된 상술한 정보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는 능력 레벨이 높을수록 대응되는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가 더 짧은 규칙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또는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 배치 능력 레벨과 타이밍 길이의 대응 관계를 통해, 단말 기기는 자체의 능력 레벨 및 그 대응 관계에 따라,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 기기는 지시된 측정 주파수 포인트(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간격(Gap)의 측정이 필요할지 여부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지시된 측정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Gap의 측정이 필요하지 않다면, 타겟 타이밍 길이는 하나의 작은 값으로 확정된다. 여기서, 상기 작은 값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단말 기기는 지원되는 커넥트 모드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는 오로지 LTE-NR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Dual-Connectivity)모드만 지원하고, NR Standalone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하나의 큰 값이다. 단말 기기가 NR Standalone 모드를 지원한다면, 타겟 타이밍 길이는 하나의 작은 값이다. 상기 큰 값 및 상기 작은 값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단말 기기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의 능력을 지원하는 것을 통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이거나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를 지원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의 길이는 하나의 작은 값이다. 여기서, 상기 작은 값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커넥트 모드,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의 주파수 대역, 및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단말 기기는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상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는 작업하는 커넥트 모드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은 타겟 셀에 대응되는 RAT를 포함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하나의 비교적 작은 값이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LTE-NR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모드하에서 작업하고, 단말 기기에 LTE와 NR의 커넥트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면, 단말 기기에서 NR의 이웃 셀의 식별자 정보(또는 단말 기기가 NR의 이웃 셀을 측정하려 한다고 이해할 수 있음)를 획득하려 한다면, 타겟 타이밍 길이를 하나의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단말 기기가 LTE Standalone 모드하에서 작업하고, 관련기술에 NR 의 커넥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적 작은 값 및 상기 비교적 큰 값은 프로토콜에서 약정을 구현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단말 기기는 작업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의 주파수 대역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의 주파수 대역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에 측정해야 할 주파수 대역(Band 또는 주파수 범위)이 존재한다면,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는 하나의 작은 값이다. 여기서, 상기 비교적 작은 값은 프로토콜에서 약정을 구현한 것일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S220: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들에서, 측정 배치 정보와 하나의 측정 식별자 ID는 상호 관련된다. 단말 기기가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다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획득한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측정 ID를 보고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셀을 서비스 셀의 이웃 관계 테이블 중에 추가한다. 단말 기기가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지 못했다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측정 ID를 보고하고, 그 원인은, 단말 기기의 보고 정보에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에,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고 추측하며, 따라서 타겟 셀을 서비스 셀의 이웃 관계 테이블 중에 추가하지 않는다.
이상, 도 2를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셀 정보의 획득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 기기(30)는: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31)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3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중의 단말 기기에서 단말 기기더러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는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며, 또한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여, 뉴 라디오 NR 시스템에서 더욱 합리적인 타이밍 길이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고, 확정된 타이밍 길이에 따라 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며, 통신의 유효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속하는 타겟 주파수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주파수 범위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주파수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속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 및 제2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대응 관계는 주파수 대역폭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제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대응 관계는 서브 캐리어 간격과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확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할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1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2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32)은 또한:
상기 서비스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비스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는: 단말 기기의 능력 레벨, 단말 기기의 간격 측정 능력,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커넥트 모드, 및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의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커넥트 모드,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의 주파수 대역, 및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물리 셀 식별자 (PC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CGI), 상기 타겟 셀의 추적 영역 코드(TAC), 및 상기 타겟 셀의 공공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 식별자(PLM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은 도 1의 실시예중의 이동 단말의 각 구현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4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며, 도 4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 기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400)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450)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버스 시스템(450)은 이러한 컴포넌트 사이의 통신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450)은 테이터 버스를 포함한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450)으로 표시한다.
그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기기(예컨대: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중의 메모리(4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메모리 (Programmable ROM,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Erasable PROM,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lectrically E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RAM)로서, 외부 고속 캐시일 수 있다. 예시적인 것이지만,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수의 형태의 RAM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tatic RAM,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Dynamic RAM,D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ronous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ouble Data Rate SDRAM,DDRSDRAM), 강화형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접속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link DRAM,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접속망 메모리 (Direct Rambus RAM,DRRAM) 와 같은 형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메모리(420)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모리(420)는 하기의 요소를 저장하여,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서브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요소에는 작업 시스템(421)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422)이 포함된다.
여기서 작업 시스템(421)은, 각종 베이스 트래픽과 하드웨어 기반 태스크를 실현하기 위한 프레임층, 코어 라이브러리 층, 구동 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422)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4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400)은: 메모리(420)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4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2의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를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법은 프로세서(410)에 적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언급된 방법의 단계들은 프로세서(410)내의 하드웨어에 의한 통합 로직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시그널링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41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DSP), 전용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기기,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컴포넌트 구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여러 방법, 단계 및 로직 블록도를 구현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직접 실시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및 기록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분야에서 성숙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42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의 정보를 판독하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2에서 나타낸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ing,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DSP Device,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 (Programmable Logic Device,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ield-Programmable Gate Array,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하면,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 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2에서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런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들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진일보한 한정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어구 '하나의 …를 포함'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당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의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 플러스 필수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이동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8)

  1.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셀 정보 획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속하는 타겟 주파수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속하는 타겟 주파수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파수 범위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주파수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속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속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 및 제2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대응 관계는 주파수 대역폭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제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대응 관계는 서브 캐리어 간격과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포함할 경우,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할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1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2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스템 메시지에는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는: 단말 기기의 능력 레벨, 단말 기기의 간격 측정 능력,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커넥트 모드, 및 단말 기기가 지원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의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커넥트 모드,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캐리어 중합 (carrier aggregation)의 주파수 대역, 및 단말 기기가 작업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Connectivity)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물리 셀 식별자(P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12.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글로벌 셀 식별자(CGI), 상기 타겟 셀의 추적 영역 코드(TAC), 및 상기 타겟 셀의 공공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 식별자(PLM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정보 획득 방법.
  13. 단말 기기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측정 배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타겟 정보에 따라,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 상기 측정 배치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타겟 셀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 단말 기기의 능력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작업 상태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내에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속하는 타겟 주파수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주파수 범위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주파수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속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주파수 대역폭 범위 및 제2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대응 관계는 주파수 대역폭 범위와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제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대응 관계는 서브 캐리어 간격과 타이밍 길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타겟 정보가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포함할 경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할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1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이 동기화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타이밍 길이는 제2 기설정 시간 길이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서비스 셀의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과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과 상기 서비스 셀의 동기화 상황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207030755A 2018-03-27 2019-03-19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KR102373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60183.9A CN110312268B (zh) 2018-03-27 2018-03-27 获取小区信息的方法和设备
CN201810260183.9 2018-03-27
PCT/CN2019/078631 WO2019184760A1 (zh) 2018-03-27 2019-03-19 获取小区信息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56A KR20200135856A (ko) 2020-12-03
KR102373454B1 true KR102373454B1 (ko) 2022-03-11

Family

ID=6806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755A KR102373454B1 (ko) 2018-03-27 2019-03-19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71024B2 (ko)
EP (1) EP3780695B1 (ko)
JP (1) JP7064014B2 (ko)
KR (1) KR102373454B1 (ko)
CN (1) CN110312268B (ko)
ES (1) ES2960733T3 (ko)
HU (1) HUE063899T2 (ko)
PT (1) PT3780695T (ko)
WO (1) WO2019184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3485A3 (en) * 2018-05-07 2023-1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 reporting timer
CA3160325A1 (en) * 2019-11-07 2021-05-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3365318B (zh) * 2020-03-06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Nr测量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5299109B (zh) * 2020-04-09 2023-10-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配置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5460631B (zh) * 2022-09-14 2024-04-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5g流量倒流区域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8690A1 (en) 2012-10-01 2014-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questing parallel uplink wireless signal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0536B (zh) * 2008-06-20 2012-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测量中控制多个测量结果上报的方法及终端
EP2429243B1 (en) * 2009-05-05 2016-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Broadcast message reading method, system and device
US8462736B2 (en) 2009-06-19 2013-06-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ositioning measurements
CN102149093B (zh) * 2010-02-08 2013-09-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频点的方法、系统和装置
WO2011126420A1 (en) * 2010-04-06 2011-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91759B (zh) * 2010-06-21 2014-07-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接收能力上报的方法及设备
CN102647747A (zh) * 2011-02-17 2012-08-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用户设备测量的方法、设备及系统
CN102281578A (zh) * 2011-07-28 2011-12-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去激活小区的方法及装置
US20130040692A1 (en) 2011-08-11 2013-02-14 Mediatek, Inc. Method of Heterogeneous Network Mobility
KR20140022711A (ko) * 2012-08-14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941677A (zh) * 2016-01-04 2017-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gi信息测量方法及装置
US10841881B2 (en) * 2016-02-02 2020-11-1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820263B (zh) 2016-09-13 2020-07-21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配置方法及装置
US10412614B2 (en) * 2017-10-20 2019-09-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ordination of measurement gaps across sets of multiple frequencies
CN110546984B (zh) * 2017-11-15 2023-04-07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en-dc情况下执行测量的方法及用户设备
CN110022576B (zh) * 2018-01-0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上报的方法和设备
US10764777B2 (en) * 2018-02-08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y terminal supporting EN-DC
JP7183282B2 (ja) * 2018-02-13 2022-12-05 中興通訊股▲ふん▼有限公司 セル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EP3949496A4 (en) * 2019-04-26 2022-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8690A1 (en) 2012-10-01 2014-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questing parallel uplink wireless signal measurement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3170*
3GPP TSG-RAN WG1 Meeting #78, R1-143170, 2014.08.10.
3GPP TSG-RAN WG2 Meeting #72bis, R2-110085, 2011.0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4014B2 (ja) 2022-05-09
EP3780695A4 (en) 2021-05-26
HUE063899T2 (hu) 2024-02-28
EP3780695B1 (en) 2023-09-20
ES2960733T3 (es) 2024-03-06
US11071024B2 (en) 2021-07-20
CN110312268A (zh) 2019-10-08
EP3780695A1 (en) 2021-02-17
JP2021519020A (ja) 2021-08-05
KR20200135856A (ko) 2020-12-03
CN110312268B (zh) 2021-03-23
PT3780695T (pt) 2023-10-06
WO2019184760A1 (zh) 2019-10-03
US20210014747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54B1 (ko) 셀 정보 획득 방법 및 기기
US10200937B2 (en) Message broadcast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1533779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es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EP4009563A1 (en) Wireless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9029422A1 (zh) 一种定位、测量上报方法及装置
JP7349447B2 (ja) 位置情報測定実現方法、端末およ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要素
JP7114717B2 (ja) 測定報告方法及び機器
KR20210065181A (ko) 채널 상태 정보(csi) 처리 유닛이 점용하는 시간의 확정 방법, 단말 기기
CN102892081A (zh) 业务重定向的方法、用户设备、接入网节点和系统
CN11141711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网络设备
WO2020143691A1 (zh) 通信方法和装置
WO2012171174A1 (zh) 运营商公共陆地移动网标识下发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9379751B (zh) 邻区上报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用户设备、基站
WO2019095894A1 (zh) 测量信号的方法和设备
WO2020052389A1 (zh) 信息上报方法、信息获取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0623378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执行的装置对装置(d2d)操作方法及使用该方法的终端
WO2013060141A1 (zh) 小区识别的方法及装置、基站
CN108449760B (zh) 一种伪基站确定方法及设备
WO2020052599A1 (zh) 用户设备的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AU2018429016A1 (en) Method for configuring measurem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6020000A1 (en) Signalling of system frame number offset
CN106664580A (zh) 一种邻区确定方法及设备
AU2019446194A1 (en) Terminal capabi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WO2018033099A1 (zh) 一种系统信息广播、系统信息接收方法及装置
CN105934982A (zh) 一种定位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