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029B1 -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029B1
KR102373029B1 KR1020200108210A KR20200108210A KR102373029B1 KR 102373029 B1 KR102373029 B1 KR 102373029B1 KR 1020200108210 A KR1020200108210 A KR 1020200108210A KR 20200108210 A KR20200108210 A KR 20200108210A KR 102373029 B1 KR102373029 B1 KR 10237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g
viscosity
temperature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394A (ko
Inventor
유소영
Original Assignee
유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영 filed Critical 유소영
Priority to KR102020010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0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01N9/04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of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5/00Arrangements for check-weighing of materials dispensed into removabl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2001/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using a val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6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혼합된 약품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켜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약품의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여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되며, 내부에 자력을 통해 회전되는 교반체(34)가 형성되며,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을 저장조로 재 유입시키는 주입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 높이 감지부 및 온도 감지부의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감지 및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제어부에서 계산하여 점도를 산출하고, 무게 감지부를 통해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the drug}
본 발명은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품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혼합된 약품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켜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높이 감지부 및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약품의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진동법, 회전법, 모세관법, 낙하법 등 4가지 중 하나를 사용한다.
각각의 방법은 모두 장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측정대상 시료의 특성과 전체 분석 시스템의 관점에서 최적의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현장에 적용되는 금속분말 등을 사용하는 고점도 유체 등을 다루는 특수환경 하에 있는 시료를 분석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4가지 방법에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신중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점도 측정에 관한 4가지 방법 중 낙하법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저렴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고온의 유체에 대해서 글로브박스 내에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하기에 여러가지 장점이 많다.
그러나 종래의 낙하법은 컵 형태의 낙하체를 사용하여, 낙하시간과 낙하종점을 측정함으로써 점도를 계산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낙하체와 용기 벽면 사이의 벽면효과, 레이놀즈수의 범위, 낙하체 반지름 측정의 정확도, 낙하시간 및 낙하정잠의 정확도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반복실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특허는 점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을 수용하는 제1용기, 흡광도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용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유체의 점도 측정시 상기 유체내에서 침강하여 상기 빛을 통과하는 낙하체, 상기 낙하체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도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상기 제1용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낙하체가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반복측정이 가능하도록 윗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낙하체를 들어올리는 제2용기를 포함하는 점도 측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빛을 이용하여 낙하체의 낙하시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한 액체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며, 액체의 비중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629호(2014.06.20.)
본 발명은 약품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혼합된 약품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켜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높이 감지부 및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약품의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는,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여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되며, 내부에 자력을 통해 회전되는 교반체가 형성되며,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측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을 저장조로 재 유입시키는 주입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 높이 감지부 및 온도 감지부의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감지 및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제어부에서 계산하여 점도를 산출하고, 무게 감지부를 통해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하단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형성되는 밸브를 통해 약품을 배출시키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형상되어 약품이 일시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 감지부는 상기 측정부의 하측 토출구 주변에 형성되며, 토출구의 하단이 관통되어 주입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부는 측정부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이 수집되는 수집체; 상기 수집체와 연결되어 약품이 저장조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관 및 상기 주입관 상에 형성되어 약품을 유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되는 기준값을 통해 측정부에 주입되는 약품의 점도 및 비중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준값은 수동 표준 측정체를 통해 측정되는 약품의 총무게 및 총 낙하시간을 통해 산출되는 비중과 점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품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혼합된 약품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켜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감지부 및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약품의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를 통해 온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여 저장하는 저장조(10); 상기 저장조(10)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부(20); 상기 유동부(20)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되며, 내부에 자력을 통해 회전되는 교반체(34)가 형성되며, 하부에 토출구(31)가 형성되어 밸브(33)를 통해 개폐되고, 약품이 토출되어 다시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정부(30); 상기 측정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감지부(6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4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50); 상기 측정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을 저장조(10)로 재 유입시키는 주입부(70) 및 상기 무게 감지부(60), 높이 감지부(40) 및 온도 감지부(50)의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감지 및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게 감지부(60)와 높이 감지부(40)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50)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제어부에서 계산하여 점도를 산출하고, 무게 감지부(60)를 통해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50)를 통해 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30)는 하단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형성되는 밸브(33)를 통해 약품을 배출시키는 토출구(31) 및 상기 토출구(31)의 상측에 형상되어 약품이 일시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 감지부(60)는 상기 측정부(30)의 하측 토출구(31) 주변에 형성되며, 토출구(31)의 하단이 관통되어 주입부(7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부(70)는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이 수집되는 수집체(73); 상기 수집체(73)와 연결되어 약품이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관(71) 및 상기 주입관(71) 상에 형성되어 약품을 유동시키는 펌프(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되는 기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점도 및 비중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준값은 수동 표준 측정체를 통해 측정되는 약품의 총무게 및 총 낙하시간을 통해 산출되는 비중과 점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여 저장하는 저장조(10), 상기 저장조(10)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부(20), 상기 유동부(20)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되며, 내부에 자력을 통해 회전되는 교반체(34)가 형성되며, 하부에 토출구(31)가 형성되어 밸브(33)를 통해 개폐되고, 약품이 토출되어 다시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정부(30), 상기 측정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감지부(6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4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50), 상기 측정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을 저장조(10)로 재 유입시키는 주입부(70) 및 상기 무게 감지부(60), 높이 감지부(40) 및 온도 감지부(50)의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감지 및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조(10)는 물체를 코팅할 때 사용되는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며 저장시킨다.
이러한 상기 저장조(10)에서 혼합되는 약품은 혼합되는 약품의 비율에 따라 비중 및 점도가 변화되는데 이로 인해 고른 코팅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약품의 혼합 비율에 따른 점도와 비중을 측정하여 약품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저장조(10)의 혼합된 약품을 유동부(20)를 통해 측정부(30)로 유동시킨다.
상기 유동부(20)는 저장조(10)와 측정부(30)를 연결하는 유동관(22) 및 유동관(22) 상에 형성되어 저장조(10)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펌프(7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부(20) 통해 약품이 측정부(30)로 유동되면, 측정부(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무게 감지부(60)를 통해 측정부(30)의 증가되는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부(30)에 약품이 주입되면, 측정부(30)의 저장체(32) 하단부터 설정되는 높이까지 주입되는 약품의 주입 높이를 높이 감지부(40)에서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측정부(30)는 하단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형성되는 밸브(33)를 통해 약품을 배출시키는 토출구(31) 및 토출구(31)의 상측에 형상되어 약품이 일시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체(32)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체(32)의 하측에서 설정되는 높이까지 약품이 주입되고,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높이 감지부(40)에서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저장체(32)에 저장되는 약품은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어 다시 저장조(10)로 유동되어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30)의 저장체 내부에는 교반체(34)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약품을 교반시켜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교반체(34)는 회전축에 자석이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되는 전자석을 통해 자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 감지부(50)는 측정부(30)로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무게 감지부(60)는 측정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무게 감지부(60)는 상기 측정부(30)의 하측 토출구(31) 주변에 형성되며, 토출구(31)의 하단이 관통되어 주입부(7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무게 감지부(60), 높이 감지부(40) 및 온도 감지부(50)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산출하여 제어부에 구비되는 표시체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무게 감지부(60)에서 감지되는 측정부(30)의 무게를 통해 약품의 비중을 산출하고, 높이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지속적인 주입 높이와 온도 감지부(50)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점도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약품의 점도를 산출할 때에는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준값을 통해 점도를 산출하고, 산출되는 점도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준값은 수동 표준 측정체를 통해 측정되는 약품의 총무게 및 총 낙하시간을 통해 산출되는 비중과 점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 기준값으로 정해지는 수동 표준 측정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잔컵이라는 제품으로 일정량의 약품이 저장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토출구(31)가 형성되어 낙하되는 약품의 낙하시간을 수동으로 측정하여 점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되는 약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비중을 수동으로 계산하도록 하며, 별도의 온도계를 통해 온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잔컵을 통해 점도를 확인할 때에는 잔컵과 함께 제공되는 점도 환산표를 통해 수동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동 표준 측정체의 점도 환산표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제어부에서는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의 토출 속도를 높이 감지부(40)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높이와 온도 감지부(50)의 온도를 통해 산출하게 된다.
상기 약품 온도의 경우 약품의 온도에 따라 점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측정부(30)의 온도가 설정되는 온도 범위 내가 될 경우 측정부(30)의 토출구(31)에 형성되는 밸브(33)를 열어 약품의 배출 속도 및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높이 감지부(40)의 높이 값의 경우 높이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시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감지값과 측정부(30)에서 토출될 때의 약품 높이를 감지하여 설정되는 온도범위 내에서 주입 또는 토출되는 약품의 높이를 제어부에서 온도 조건과 약품의 주입 또는 토출 될 때의 높이를 통해 산출되는 속도로 제어부(30)에서 주입 또는 토출 시간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되는 약품의 주입 또는 토출 시간과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약품의 점도, 온도 및 비중을 산출하게 되면,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은 주입부(70)를 통해 저장조(10)로 재유입된다.
이러한 상기 주입부(70)는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이 수집되는 수집체(73), 수집체(73)와 연결되어 약품이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관(71) 및 주입관(71) 상에 형성되어 약품을 유동시키는 펌프(7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약품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혼합된 약품의 일부를 측정부로 유동시켜 무게 감지부와 높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약품의 점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높이 감지부 및 무게 감지부를 통한 약품의 비중과, 온도 감지부를 통한 온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저장조
20 : 유동부 21 : 유동펌프
22 : 유동관
30 : 측정부 31 : 토출구
32 : 저장체 33 : 밸브
34 : 교반체
40 : 높이 감지부 50 : 온도 감지부
60 : 무게 감지부
70 : 주입부 71 : 주입관
72 : 펌프 73 : 수집체

Claims (5)

  1. 측정 대상물인 약품을 혼합(교반)하여 저장하는 저장조(10);
    상기 저장조(10)의 약품을 유동시키는 유동부(20);
    상기 유동부(20)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되며, 내부에 자력을 통해 회전되는 교반체(34)가 형성되며, 하부에 토출구(31)가 형성되어 밸브(33)를 통해 개폐되고, 약품이 토출되어 다시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정부(30);
    상기 측정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감지부(6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40);
    상기 측정부(30)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50);
    상기 측정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을 저장조(10)로 재 유입시키는 주입부(70) 및
    상기 무게 감지부(60), 높이 감지부(40) 및 온도 감지부(50)의 감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온도, 점도 및 비중을 감지 및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게 감지부(60)와 높이 감지부(40)를 통해 감지되는 약품의 주입 속도 및 온도 감지부(50)에서 감지되는 약품의 온도를 통해 제어부에서 계산하여 점도를 산출하고, 무게 감지부(60)를 통해 비중을 산출하며, 온도 감지부(50)를 통해 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30)는 하단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형성되는 밸브(33)를 통해 약품을 배출시키는 토출구(31) 및
    상기 토출구(31)의 상측에 형상되어 약품이 일시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부(60)는 상기 측정부(30)의 하측 토출구(31) 주변에 형성되며, 토출구(31)의 하단이 관통되어 주입부(7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70)는 측정부(30)의 토출구(31)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이 수집되는 수집체(73);
    상기 수집체(73)와 연결되어 약품이 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주입관(71) 및
    상기 주입관(71) 상에 형성되어 약품을 유동시키는 펌프(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되는 기준값을 통해 측정부(30)에 주입되는 약품의 점도 및 비중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는 기준값은 수동 표준 측정체를 통해 측정되는 약품의 총무게 및 총 낙하시간을 통해 산출되는 비중과 점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KR1020200108210A 2020-08-27 2020-08-27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KR10237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10A KR102373029B1 (ko) 2020-08-27 2020-08-27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10A KR102373029B1 (ko) 2020-08-27 2020-08-27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394A KR20220027394A (ko) 2022-03-08
KR102373029B1 true KR102373029B1 (ko) 2022-03-11

Family

ID=8081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10A KR102373029B1 (ko) 2020-08-27 2020-08-27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253B2 (ja) 1999-12-24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薬品製造装置
KR101831303B1 (ko) 2014-12-19 2018-02-22 헬스 온벡터, 아이엔씨. 점도계 및 액체 점도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626A (ja) * 1995-11-10 1997-05-20 Fujita Corp 泥水の比重・粘度計測装置
KR101412629B1 (ko) 2013-01-14 2014-06-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점도 측정장치
KR102012754B1 (ko) * 2017-08-30 2019-08-21 주식회사 이노켐텍 연속측정 비중계 및 비중 연속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253B2 (ja) 1999-12-24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薬品製造装置
KR101831303B1 (ko) 2014-12-19 2018-02-22 헬스 온벡터, 아이엔씨. 점도계 및 액체 점도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394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344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obtain representative samples of oil well production
US9482563B2 (en) Real time measurements of fluid volume and flow rate using two pressure transducers
US9519078B2 (en) Device for checking the calibration of catching instruments measuring rainfall intensity
CN111699044B (zh) 自动化体积测定装置
CN108883848A (zh) 配量方法和灌装机
CN209432776U (zh) 气液两相管流实验装置
CN204594952U (zh) 全自动滴定式化验机
KR102373029B1 (ko) 약품의 비중 및 점도 자동 측정장치
RU2020134366A (ru) Картридж для реагентов
US20100089184A1 (en) Fluid sampling system with an in-line probe
JP6223041B2 (ja) 液体計量装置及び水質分析装置
NZ563464A (en) Instrument for use in fluid with mixing element also serving to sense parameter of fluid and not physically connected to driving means
CN106198851A (zh) 全自动滴定式化验机及其全自动滴定方法
JP2017072505A (ja) 自動分析装置
KR101667146B1 (ko) 혈소판 검사용 칩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검사 장치
JP2013545091A (ja) 切換装置中でのオンライン滴定
US20220203352A1 (en) Reaction vessel and automatic analyzing device
US4206650A (en) Device for introducing samples into fluid analyzer
JP6761212B2 (ja) 液体の自動計量・供給装置
CN113155236A (zh) 目标容器进液的判断方法、取液设备以及水质分析仪
KR101602882B1 (ko) 좁은 통로 통과형 면적식 유량계
US20210131850A1 (en) System and method of fluid dispensing
CA2985951C (en) Fluid injector testing system
KR100630946B1 (ko) 방울계수방식의 시약 주입 장치
CN206020358U (zh) 酸度测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