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84B1 -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84B1
KR102372884B1 KR1020200100171A KR20200100171A KR102372884B1 KR 102372884 B1 KR102372884 B1 KR 102372884B1 KR 1020200100171 A KR1020200100171 A KR 1020200100171A KR 20200100171 A KR20200100171 A KR 20200100171A KR 102372884 B1 KR102372884 B1 KR 10237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tritium
vial
fluorescent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884B9 (ko
KR20220019907A (ko
Inventor
강덕원
김승일
이우현
강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림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림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림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0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84B1/ko
Publication of KR1023728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8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4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the detector being a liquid
    • G01T1/2042Composition for liquid scintill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3/00Measuring neutron radiation
    • G01T3/008Measuring neutron radiation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illed with a gas, liquid or solid, e.g. frozen liquid, dielectr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02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or storing samples to be investigated and possibly directly transporting the samples to the measu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investigating radioactive flui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2Detection of l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01N2001/386Other diluting or mixing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Sump水) 중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농도를 전자동으로 온라인 감시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삼중수소 계측에 적합한 수질의 시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자성 불순물 및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일정량의 시료와 형광액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바이얼에 주입하고, 로봇팔을 이용한 바이얼 뚜껑의 개폐,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 및 액체섬광계측기에의 바이얼 투입을 거쳐 삼중수소의 농도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서, 삼중수소의 시료제조, 계측 및 데이터 처리 등 삼중수소의 분석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분석원의 개입 없이도 연속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자력발전소 및 그 주변 지하수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삼중수소에 의한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Fully Automated On-line Tritiu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Sump水) 중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농도를 전자동으로 온라인 감시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오염은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10기의 원자력발전소가 20년 이상 경과되었고, 해외의 경우에는 30∼40년 이상 경과된 원자력발전소가 상당수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다수의 비계획적 방사능 유출에 의하여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에 삼중수소 오염이 발생하여 원자력 규제기관인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 의하여 감시방안이 강구되었고, 원자력발전소 주변 부지를 오랜 동안 조사한 결과, 수소 형태의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최소 48∼68곳의 부지에서 누설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중 최소 37곳은 미국연방음용수기준을 초과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기준의 수백 배를 초과하였다.
국내의 경우, 월성원자력발전소 지역 주민들의 뇨(尿)시료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되면서 대중매체에 집중 보도된 바 있으며, 규제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에서도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 지하수 중의 삼중수소 오염에 대한 규제 의지를 표명하면서 수중의 삼중수소 농도에 대한 주기적인 분석 및 감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분석원이 수작업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실험실에서 전처리한 후 분석하는 방법으로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Grab 샘플링은 분석인력 및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료의 이송, 교체 및 전처리과정에서 분석오차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누출이 발생한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해 이송하여 액체섬광계측기(LSC)로 계측하기 때문에 분석시간 지연에 따른 초동대처도 미흡할 수 있고, 이동 후 분석을 위한 취급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며, 분석인력의 현장 투입에 따른 체내 피폭의 우려도 있다. 따라서, 현장에 분석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주기적으로 삼중수소를 감시 및 분석할 수 있는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과 관련하여 미국 국립환경방사선연구소(NAREL, National Analytical Radiation Environmental Laboratory)의 실험실에서 시작품으로 제작한 온라인 β-RAM Model 4 섬광계측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능실험을 수행한 바 있으며, 60분 계측 결과 삼중수소의 하한측정값(LLD, Lower Limits of Detection)이 2,200 pCi(92.4 Bq/L)로 나타났으며, 계측시간을 120분으로 늘일 경우에는 삼중수소의 하한측정값(LLD)이 1,500 pCi(55.5 Bq/L)로 나타났다.
이 이외의 다른 계측기술로는, 광섬유방사선센서를 이용한 온라인 삼중수소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었으나, 0.05 Ci(1.85 ㅧ 109 Bq)의 높은 방사능을 가진 고체화 선원으로부터 삼중수소를 분석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실시간 계측이 가능하고 공간이나 환경적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계측의 특성상 저농도측정은 어렵고 삼중수소의 농도가 높은 원자로의 중수 누설위치 탐지나 원거리 방사선 검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존의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기술로는 환경부의 "먹는 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환경부령 제833호, 2019.12.20.)"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한값인 삼중수소 6.0 Bq/L까지 측정하기 어렵다.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에는 원자력발전소 장기운전에 따라 환경 방출 삼중수소가 빗물이나 건물 벽체 등을 타고 흘러들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에 미량의 삼중수소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원자력발전소는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 바다에 인접하여 건설되어 있고,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원자로 건설 시 최소수면 아래 20 m까지 굴착하여 구조물을 세우고 그 주변은 토사로 메우기 때문에 조류나 지하수 수맥과 맞닿은 곳은 미량의 바닷물이 주변 섬프로 유입되어 섬프수에 해수가 섞이게 된다.
바닷물에는 약 3.7%의 염분(Na: 12,000ppm, Cl: 15,700ppm)이 함유되어 있으며 총 염분 중 90%는 NaCl이고 나머지는 MgCl2와 CaCl2이다. 이러한 바닷물이 원자력발전소 관리구역 주변의 섬프수에 유입될 경우, 원자력발전소 장기 운전시에 수시로 분석이 필요한 삼중수소의 계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바닷물의 유입으로 섬프수에 염분(NaCl + MgCl2 + CaCl2)이 혼합되어 있으면 삼중수소의 계측 효율을 저감시키는 소광현상이 발생하고 계측을 위해 형광액을 혼합할 경우 백탁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삼중수소 계측시의 방해물질인 위와 같은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보통 역삼투막장치(Reverse Osmosis)를 사용한다. 그러나, 역삼투막장치는 고압운전이 필요하고 운전조건이 민감하여 바이오 파울링(Bio Fouling), 막 손상 등이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교체시 전문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어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KR 10-1397960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삼투막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분석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 중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농도를 극저준위까지 오차 없이 전자동 온라인으로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은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작동 준비를 위한 준비단계; 시료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시료 중의 삼중수소 계측 방해물질(입자성 및 이온성 불순물 등)을 불순물제거필터, 한외여과막장치(UF, Ultra Filtration), 축전식 탈염장치(CDI, Capacitive Deionization) 및 전기식 탈염장치(EDI, Electric Deionization)로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된 시료와 형광액을 바이얼에 각각 정량으로 자동 주입하여 혼합하는 형광액 혼합단계; 상기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이 주입되어 있는 바이얼을 액체섬광계측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에 자동으로 투입하여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단계; 상기 삼중수소 농도의 계측이 완료된 바이얼을 바이얼랙에 보관하여 후처리를 대기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은, 연속시료 채취를 위해 오염수 저장조 또는 오염수 이송배관과 연결된 시료공급펌프; 1㎛ 이상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필터; 0.1㎛ 수준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한외여과막장치; 시료 내의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여 시료를 증류수 수준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축전식 탈염장치;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에서 증류수 수준으로 정화된 시료를 초순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전기식 탈염장치; 상기 전기식 탈염장치에서 정화된 시료가 유입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채취조; 상기 시료채취조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시료를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시료정량펌프; 삼중수소 계측에 사용되는 형광액을 저장하는 형광액 저장용기; 상기 형광액 저장용기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형광액을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정량펌프; 상기 시료정량펌프와 연결되어 바이얼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시료주입노즐; 상기 형광액정량펌프와 연결되어 바이얼에 형광액을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주입노즐; 바이얼의 뚜껑을 열고 닫는 기능과 함께 상기 바이얼을 집어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팔; 상기 바이얼의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바이얼의 몸체를 잡아주는 역할과 시료와 형광액이 바이얼에 주입된 후 회전을 통해 시료를 혼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그래버; 상기 오토그래버를 좌우이동을 통해 시료주입노즐 및 형광액주입노즐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그래버 구동장치; 상기 바이얼 내에 주입된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액체섬광계측기; 상기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이 주입되어 있는 바이얼이 액체섬광계측기에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구동장치; 배수(Drain)된 시료 및 형광액을 보관하기 위한 폐액저장용기(미도시); 설정된 운전절차에 따라 상기 여러 구성요소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및 제어프로그램(미도시); 계측된 계측값을 온라인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장비(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및 섬프수 중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농도를 극저준위까지 오차 없이 전자동 온라인으로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사용 시설 및 그 주변의 지하수 중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분석시에 시료의 채취 및 전처리, 시료와 형광액의 주입 및 혼합, 바이얼의 뚜껑 개폐 및 이동, 액체섬광계측기(LSC)를 이용한 삼중수소의 계측 및 계측값의 처리 등의 전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서 기존의 수작업 분석에 비해 분석시간을 단축시키고, 시료이송과 전처리에 따르는 분석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현장에 분석인력을 투입하지 아니하므로 분석인력의 피폭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방사성물질 유출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시료채취조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은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작동 준비를 위한 준비단계(S1); 시료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시료 중의 삼중수소 계측 방해물질을 불순물제거필터, 한외여과막장치(UF), 축전식 탈염장치(CDI) 및 전기식 탈염장치(EDI)로 제거하는 전처리단계(S2); 상기 전처리된 시료와 형광액을 바이얼에 각각 정량으로 자동 주입하여 혼합하는 형광액 혼합단계(S3); 상기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이 주입되어 있는 바이얼을 액체섬광계측기(LSC)에 자동으로 투입하여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단계(S4); 상기 삼중수소 농도의 계측이 완료된 바이얼을 바이얼랙에 보관하여 후처리를 대기하는 보관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S1)에서는 시료채취관의 격리용 솔레노이드밸브(13)를 제외한 모든 밸브가 열려있고 시료공급펌프(20), 시료정량펌프(80) 및 형광액정량펌프(90)가 정지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축전식 탈염설비(50)와 전기식 탈염설비(60)의 양극(+) 및 음극(-)이 각각의 정류기(51,61)의 양극(+) 및 음극(-)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삼중수소 계측용 형광액 저장용기(12)에 형광액을 상수위까지 채워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의 작동을 준비한다.
상기 전처리단계(S2)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가 저장되어 있는 오염수 저장조(10) 또는 오염수가 흐르는 오염수 이송배관(11)과 연결된 시료채취관에 위치한 격리용 솔레노이드밸브(13)를 열고 시료공급펌프(20)를 작동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으로 유입시킨다. 1㎛ 이상의 입자성 불순물은 불순물제거필터(30)에서 제거된다. 이때 불순물제거필터(30)의 전단과 후단에 압력계(21,31)를 설치하여 설정값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면 불순물제거필터(30)를 교체한다. 상기 불순물제거필터(30)로 백필터(Bag Filter)나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를 사용한다.
상기 불순물제거필터(30)에서 1㎛ 이상의 입자성 불순물이 제거된 시료는 한외여과막장치(40)로 유입된다. 한외여과막장치(40)에서는 0.1㎛ 수준의 입자성 불순물이 제거되며, 농축수는 후속 공정인 축전식 탈염장치(50)와 전기식 탈염장치(60)의 농축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한외여과막장치(40)의 후단에 압력계(41)를 설치하여 이 압력계(41)의 지시값이 불순물제거필터(30) 후단의 압력계(31)의 지시값과 일정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한외여과막장치(40)에 막힘(Fouling)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필터를 교체한다. 상기 한외여과막 장치(40)를 통해 0.1㎛ 수준의 입자성 불순물까지 제거된 시료는 이온성 물질 제거를 위해 축전식 탈염장치(50)로 유입된다.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50)는 모듈 내부의 한쪽 측면에는 양이온 전극이 설치되어 전기를 인가하면 시료 내의 음이온이 흡착되고, 다른 쪽 측면에는 음이온 전극이 설치되어 전기를 인가하면 시료 내의 양이온이 흡착되도록 구성한다. 운전 중 이온성 물질이 각각의 전극에 흡착되어 제거된 처리수는 배출배관으로 배출된다. 전극의 효율이 70% 이하가 될 때까지 운전한 후 각각의 전극에 역전압을 걸어주면 흡착되어 있던 이온성 물질이 탈착되어 배출되며, 이때 3방향 자동밸브(54)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출수가 농축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전식 탈염장치(50)의 처리수배관에는 전기전도도 측정기(42,53)를 설치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5μS/cm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50)에서 1차적으로 5μS/cm 이하의 수질로 정화된 시료는 추가적인 이온물질을 제거하여 초순수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전기식 탈염장치(60)로 유입된다. 전기식 탈염장치(60) 모듈의 한 측면은 음극(-)과 연결되어 있어 양이온을 유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음극(-)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이온을 투과하여 시료와 분리시킬 수 있는 양이온 교환막이 설치되며, 반대 측면은 양극(+)과 연결되어 있어 음이온을 유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양극(+) 방향으로 이동하는 음이온을 투과시켜 시료와 분리시킬 수 있는 음이온 교환막이 설치되어 오염물 중의 이온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양이온 및 음이온의 음극(-) 및 양극(+)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수지를 일정 비율로 충진한다. 또한, 상기 전기식 탈염장치(60)의 처리수 배출배관에는 전기전도도 측정기(63)를 설치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0.2μS/cm 이하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식 탈염장치(60)의 배출수는 전기전도도 0.2μS/cm 이하의 초순수이기 때문에 형광액을 혼합하더라도 백탁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삼중수소의 계측이 가능한 수질로 배출된다.
상기 전기식탈염장치(60)에서 배출되는 시료는 유입 시료의 농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배치(Batch)식이 아닌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채취조(70)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시료는 수질 측면에서는 계측이 곧바로 가능하나 삼중수소 계측에는 소량의 시료만을 정량적으로 주입해야 하고 본 발명은 오염수 중의 삼중수소 농도만을 측정하는 온라인 감시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저장개념이 아니고 전처리가 완료된 새로운 시료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흐름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는 시료채취조(70)의 하부로부터 인입되어 시료채취조(70) 내부에서 차오르면서 시료채취조(70)의 중앙에 위치한 오버플로우관(73)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삼중수소 계측에 필요한 소량의 시료는 시료채취조(70) 내부에 위치한 시료채취관(72) 및 시료채취관(72)에 연결된 시료정량펌프(80)에 의해 흡입되어 시료주입노즐(82)을 통해 삼중수소 계측용 바이얼(200)로 주입된다.
상기 혼합단계(S3)는 전처리가 완료된 시료 중의 삼중수소를 액체섬광계측기(110)에서 계측할 수 있도록 형광액과 혼합하는 단계로, 자동제어 로봇팔(100)을 이용하여 바이얼랙(104)에 안치되어 있는 특정 바이얼(200)을 선택하여 오토그래버(102)로 이동시키고 오토그래버(102)의 양단을 조여서 바이얼(200)을 고정시킨 후, 로봇팔(100)에 별도로 설치된 회전기구(101)를 이용하여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로봇팔(100)은 뚜껑을 그대로 잡고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 이후 오토그래버(102)를 시료가 주입되는 위치인 시료주입노즐(82) 하단의 설정 위치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바이얼(200)이 정위치에 위치하면 바이얼(200)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해 시료주입노즐(82)과 연결된 격리용 솔레노이드밸드(81)가 열리고 전처리가 완료된 시료가 연속적으로 유입 및 배출되고 있는 시료채취조(70)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료정량펌프(80)를 미리 설정된 양이 주입될 때까지 작동시켜 시료주입노즐(82) 통해 바이얼(200)로 시료를 주입한다.
이때, 주입량은 시료정량펌프(80)의 가동시간으로 조절한다. 시료의 주입이 완료되면 오토그래버(102)를 형광액주입노즐(92) 하단까지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형광액 주입용 솔레노이드밸브(91)를 열고 형광액정량펌프(90)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양의 형광액을 바이얼(200)에 주입하고, 주입이 완료되면 오토그래버(102)를 다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로봇팔(100)의 다음 공정을 대기한다.
로봇팔(100)은 회전기구(101)를 이용하여 이전과정에서부터 붙잡고 있던 뚜껑으로 시료와 형광액의 주입이 완료된 바이얼(200)의 입구를 닫는다. 오토그래버(102)는 바이얼(200)을 잡은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90ㅀ, 시계방향으로 90ㅀ로 수차례 회전시켜 시료와 형광액을 혼합시킨 후 대기한다. 이후 로봇팔(100)은 바이얼(200)을 인출했던 바이얼랙(104)의 위치로 이동시켜 일정시간 동안 안정화시킨다. 이때, 바이얼랙(104)에서 바이얼(200)이 인출된 위치정보와 함께 작동된 정량펌프 및 밸브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추후 액체섬광계측기(110)의 계측값과 연동하여 각 시료에 대한 ID를 부여한다. 이러한 공정을 설정된 주기로 반복한다.
상기 계측단계(S4)는 바이얼(200) 내에 주입된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액체섬광계측기(110)로 계측하는 단계로, 투입구 구동장치(111)를 이용하여 액체섬광계측기(110)의 바이얼 투입구를 열면 로봇팔(100)이 바이얼랙(104)에서 안정화가 완료된 바이얼(200)을 로봇팔(100)로 인출하여 이동시켜 액체섬광계측기(LSC)(110)의 바이얼 투입구에 넣은 후 투입구 구동장치(111)로 바이얼 투입구를 닫은 후 액체섬광계측기(110)로 삼중수소의 농도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계측한다. 계측이 완료되면 투입구 구동장치(111)가 바이얼 투입구를 열고 로봇팔(100)이 삼중수소의 농도 계측이 완료된 바이얼(200)을 인출하여 보관용 바이얼랙(104)의 인출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보관단계(S5)는 계측이 완료된 바이얼(200)을 보관용 바이얼랙(104)에 보관하는 단계로, 보관용 바이얼랙(104)의 각 위치에 있는 바이얼(200)의 이력을 각 정량펌프 및 밸브의 구동여부와 연동하여 통합제어프로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행렬의 위치에 따라 계측날짜, 시간 및 샘플 시료의 종류 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은, 연속시료 채취를 위해 오염수 저장조(10) 또는 오염수 이송배관(11)과 연결된 시료공급펌프(20); 1㎛ 이상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필터(30); 0.1㎛ 수준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한외여과막장치(40); 시료 내의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여 시료를 증류수 수준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축전식 탈염장치(50);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에서 증류수 수준으로 정화된 시료를 초순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전기식 탈염장치(60); 상기 전기식 탈염장치에서 정화된 시료가 유입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채취조(70); 상기 시료채취조(70)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시료를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시료정량펌프(80); 삼중수소 계측에 사용되는 형광액을 저장하는 형광액 저장용기(12); 상기 형광액 저장용기(12)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형광액을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정량펌프(90); 상기 시료정량펌프(90)와 연결되어 바이얼(200)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시료주입노즐(82); 상기 형광액정량펌프(90)와 연결되어 바이얼(200)에 형광액을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주입노즐(92);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닫는 기능과 함께 상기 바이얼(200)을 집어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팔(100); 상기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바이얼(200)의 몸체를 잡아주는 역할과 시료와 형광액이 바이얼(200)에 주입된 후 회전을 통해 시료를 혼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그래버(102); 상기 오토그래버(102)를 좌우이동을 통해 시료주입노즐 및 형광액주입노즐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그래버 구동장치(103); 상기 바이얼(200) 내에 주입된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액체섬광계측기(110); 상기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이 주입되어 있는 바이얼(200)이 액체섬광계측기(1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구동장치(111); 배수(Drain)된 시료 및 형광액을 보관하기 위한 폐액저장용기(미도시); 설정된 운전절차에 따라 상기 여러 구성요소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및 제어프로그램(미도시); 계측된 계측값을 온라인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장비(미도시);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은, 실제 삼중수소 계측에 필요한 시료의 양이 1회당 1~20ml 수준이고, 감시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한계 및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가급적 작은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처리단계에서의 각 구성요소의 효율은 처리유량과 반비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펌프류는 제어반에서 유량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밸브류는 구성된 제어반에 의해 시퀀스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며, 전자밸브의 오작동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 전자밸브의 전단에 수동식 밸브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소요되는 각 구성요소의 인입부와 배출구에 전자식 압력계(21,31,41,52,62)를 구비하여 각 필터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식 압력계의 오류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각 전자식 압력계의 전단에 아날로그식 압력계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전단과 후단에서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필터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도록 제어반에서 차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식 탈염설비(50)와 전기식 탈염설비(60)의 효율은 각 모듈의 양극(+)과 음극(-)에 가해지는 전압(V)과 전류(A)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어반에서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축전식 탈염설비(50)는 "흡착(정전압) → 탈착(역전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오염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흡착"시에는 유출라인이 다음 공정인 전기식 탈염설비(6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탈착"시에는 유출라인이 농축수 배출라인으로 배출되어야 하므로, 축전식 탈염설비(50)의 후단에 전자식 3-방향 밸브(3-Way Valve)(54)를 구비하여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식 탈염설비(50)와 전기식 탈염설비(60)의 유입부와 배출구에는 온라인으로 전기전도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전도도 측정기(42,53,63)를 구비하여 축전식 탈염설비(50)의 배출구에서는 5μS/cm 이하, 전기식 탈염설비(60)의 배출구에서는 0.2μS/c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수질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드레인(Drain)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수질이 만족될 경우에만 다음 공정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식 탈염설비(60)의 처리수는 시료채취조(70)로 유입되며, 상기 시료채취조(70)는 그 시료인입부가 하단부에 구성되어 전기식 탈염설비(60) 처리수가 유입되면서 아래쪽부터 차올라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입수가 위쪽에서 유입되면 시료의 혼합 지연으로 대표시료를 채취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부득이하게 시료인입부를 상부에 구성하는 경우에는 시료유입배관을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아래쪽부터 유입수가 차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료채취조(70)의 내부에는 시료정량펌프(80)에 연결된 시료채취관(72)이 설치된다.
상기 시료채취조(70)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바이얼(200)로 주입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시료정량펌프(80)와 형광액 저장용기(12)에서 형광액을 바이얼(200)로 주입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형광액정량펌프(90)는 바이얼(200)의 크기가 매우 작아 레벨스위치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어반에서 작동시간 설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주입된 시료의 양에 따라 삼중수소의 계측값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5∼15 ㎖/min 미만의 작은 유량의 정량펌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정량펌프는 펌프의 임펠러와 이송용액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 튜브의 연동작용에 의해 튜브 내의 용액이 이송되면서 용액의 외부유출이 없는 튜브연동식 펌프(Peristaltic Pump)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료공급펌프(20)는 인버터제어방식을 적용하여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광액 저장용기(12)에서 형광액정량펌프(90)를 통해 바이얼(200)로 주입되는 배관의 말단에는 형광액이 주입되지 않을 때 형광액이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봇팔(500)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상용제품을 응용하여 본 발명의 취지에 맞도록 프로그램을 통해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의 이동성을 고려할 때 작업반경이 500 mm를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봇팔(500)의 끝단에는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회전기구(101)와 바이얼(200)을 집을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섬광계측기(110)는 2~3개의 광전자증배관(Photo Multiplier Tube)으로 구성된 통상적인 액체섬광계측기(LSC)를 사용할 수 있으나,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등에 극미량의 삼중수소가 존재하므로 백그라운드가 낮아 극저준위까지 계측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의 지하수 등에 포함된 삼중수소를 온라인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오염수 저장조 또는 오염수 이송배관으로부터 유입된 시료 중의 삼중수소를 백필터, 한외여과막, 축전식 탈염장치, 전기식 탈염장치 등을 통해 전처리한 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시료와 형광액을 바이얼에 주입하고, 로봇팔을 이용하여 바이얼의 이동을 제어하며, 자동으로 액체섬광계측기에 투입하여 계측함으로서 삼중수소의 분석 전과정을 자동화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기재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참고로 부기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면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10: 오염수 저장조 11: 오염수 이송배관
12: 형광액 저장용기 13: 솔레노이드밸브
20: 시료공급펌프 21: 압력계
30: 불순물제거필터 31: 압력계
40: 한외여과막장치 41: 압력계
42: 전기전도도 측정기 50: 축전식 탈염장치
51: 정류기 52: 압력계
53: 전기전도도 측정기 54: 자동밸브
60: 전기식 탈염장치 61: 정류기
62: 압력계 63: 전기전도도 측정기
64: 자동밸브 70: 시료채취조
72: 시료채취관 73: 오버플로우관
80: 시료정량펌프 81: 솔레노이드밸브
82: 시료주입노즐 90: 형광액정량펌프
91: 솔레노이드밸브 92: 형광액주입노즐
100: 로봇팔 101: 회전기구
102: 오토그래버 103: 오토그래버 구동장치
104: 바이얼랙 110: 액체섬광계측기
111: 투입구 구동장치 200: 바이얼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연속시료 채취를 위해 오염수 저장조(10) 또는 오염수 이송배관(11)과 연결된 시료공급펌프(20); 1㎛ 이상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필터(30); 0.1㎛ 수준의 입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한외여과막장치(40); 시료 내의 이온성 불순물을 제거하여 시료를 증류수 수준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축전식 탈염장치(50);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에서 증류수 수준으로 정화된 시료를 초순수 수질로 정화하기 위한 전기식 탈염장치(60); 상기 전기식 탈염장치에서 정화된 시료가 유입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유입수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채취조(70); 상기 시료채취조(70)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시료를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시료정량펌프(80); 삼중수소 계측에 사용되는 형광액을 저장하는 형광액 저장용기(12); 상기 형광액 저장용기(12)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형광액을 정량으로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정량펌프(90); 상기 시료정량펌프(80)와 연결되어 바이얼(200)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시료주입노즐(82); 상기 형광액정량펌프(90)와 연결되어 바이얼(200)에 형광액을 주입하기 위한 형광액주입노즐(92);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닫는 기능과 함께 상기 바이얼(200)을 집어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팔(100); 상기 바이얼(200)의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바이얼(200)의 몸체를 잡아주는 역할과 시료와 형광액이 바이얼(200)에 주입된 후 회전을 통해 시료를 혼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그래버(102); 상기 오토그래버(102)를 좌우이동을 통해 시료주입노즐 및 형광액주입노즐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그래버 구동장치(103); 상기 바이얼(200) 내에 주입된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액체섬광계측기(110); 상기 시료와 형광액의 혼합액이 주입되어 있는 바이얼(200)이 상기 액체섬광계측기(1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구동장치(111); 배수(Drain)된 시료 및 형광액을 보관하기 위한 폐액저장용기(미도시); 설정된 운전절차에 따라 상기 여러 구성요소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및 제어프로그램(미도시); 계측된 계측값을 온라인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장비(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필터(30)로 백필터(Bag Filter)나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공급펌프(20)는 인버터제어방식을 적용하여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필터(30), 한외여과막장치(40), 축전식 탈염장치(50), 전기식 탈염장치(60)의 전단과 후단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식 탈염장치(50)의 인입부와 배출부, 전기식 탈염장치(60)의 배출부에 온라인 전기전도도 측정기(42,53,63)를 구비하고, 축전식 탈염장치(50)와 전기식 탈염장치(60)의 배출부에는 3-방향 자동밸브(54,64)를 설치하여, 축전식 탈염장치(50)의 처리수 수질이 5μS/cm 이하일 때만 다음 공정인 전기식 탈염장치(60)로 유입되도록 하고, 전기식 탈염장치의 처리수 수질이 0.2μS/cm 이하일 때만 시료채취조(70)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조(70)의 시료인입부를 그 하단부에 구성하여 유입되는 처리수가 아래쪽부터 차올라 내부의 오버플로우(over-flow)관(73)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시료정량펌프(80)에 연결된 시료채취관(72)의 단부가 상기 시료채취조(7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료채취의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조(70)의 시료인입부를 그 상부에 구성하고 시료유입배관을 상기 시료채취조(70)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유입되는 처리수가 아래쪽부터 차올라 내부의 오버플로우관(73)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시료정량펌프(80)에 연결된 시료채취관(72)의 단부가 상기 시료채취조(7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료채취의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정량펌프(80)와 형광액정량펌프(90)는 튜브의 연동작용에 의해 튜브 내의 용액이 이송되고 용액의 외부유출이 없는 튜브연동식 펌프(Peristaltic Pump)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정량펌프(80)와 형광액정량펌프(90)를 정밀도가 높은 5∼15 ㎖/min 미만의 작은 유량의 정량펌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팔(100)은 그 작업반경이 500 mm를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섬광계측기(110)를 백그라운드가 낮아 극저준위까지 계측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시스템
KR1020200100171A 2020-08-10 2020-08-10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KR10237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171A KR102372884B1 (ko) 2020-08-10 2020-08-10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171A KR102372884B1 (ko) 2020-08-10 2020-08-10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07A KR20220019907A (ko) 2022-02-18
KR102372884B1 true KR102372884B1 (ko) 2022-03-11
KR102372884B9 KR102372884B9 (ko) 2022-09-06

Family

ID=8049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171A KR102372884B1 (ko) 2020-08-10 2020-08-10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9549B (zh) * 2024-01-19 2024-04-05 浙江省辐射环境监测站(生态环境部辐射环境监测技术中心) 基于复合式高精检测技术的氚自动提取制备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508B1 (ko) * 2005-07-01 2007-01-0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액체 혼합베타핵종 자동 방사능분석장치
KR101523062B1 (ko) *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JP2018087744A (ja) * 2016-11-29 2018-06-07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検出体、トリチウムの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60B1 (ko) 2012-09-27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삼중수소 채취 장비의 채취효율 측정장치, 측정방법, 채취효율 분석시스템, 분석방법, 분석방법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508B1 (ko) * 2005-07-01 2007-01-0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액체 혼합베타핵종 자동 방사능분석장치
KR101523062B1 (ko) *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JP2018087744A (ja) * 2016-11-29 2018-06-07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検出体、トリチウムの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884B9 (ko) 2022-09-06
KR20220019907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014189U (zh) 一种火电厂钠表在线校准装置
KR102372884B1 (ko)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CN2921830Y (zh) 总镉、总铅、总锌、总锰在线自动监测仪
CN207401488U (zh) 一种在线化学仪表阳离子交换柱自动再生装置
CN205301055U (zh) 一种水体放射性核素富集检测系统
KR101507025B1 (ko) 수중 유기오염물질 실시간 자동분석 장치
US20230358719A1 (en) Techniques for toxic metal detection and speciation in aqueous matrices
CN202057663U (zh) 紫外消解法水质总氮在线监测仪
CN209560093U (zh) 水中氚的快速自动分析装置
CN103357386A (zh) 一种快速、高效吸附铯的滤芯的制备方法
CN204224350U (zh) 多功能自动化化学废液处理设备
CN203490100U (zh) 污水厂与再生水厂原位取样并在线测试装置
CN109444944A (zh) 水中氚的快速自动分析方法及装置
KR100606599B1 (ko) 방사성핵종 자동분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플루토늄자동분리방법
CN107589101A (zh) 基于紫外荧光法的在线含油污水检测装置
KR101519799B1 (ko) 경수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관 누설 온라인 감시를 위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측정장치와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붕소이온의 검출방법 및 검출시스템
JPH09189797A (ja) 放射性廃液処理設備
CN113848187A (zh) 一种树脂中化学需氧量的快速检测方法
CN213537396U (zh) 一种基于mbr模组的基坑水处理装置
Rosell Purification of radioactive waste water using a ceramic membrane
CN207408304U (zh) 基于紫外荧光法的在线含油污水检测装置
KR100952130B1 (ko) 캐필레리 샘플러를 이용한 방사화 부식생성물 포집장치
RU275338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бъемной активности радионуклидов продуктов деления и актив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коррозии в водном теплоносителе первого контура ЯЭУ
CN219285148U (zh) 一种在线氯离子分析仪性能试验装置
KR102595776B1 (ko)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해수 중 방사성스트론튬 분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