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789B1 -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789B1
KR102372789B1 KR1020200101094A KR20200101094A KR102372789B1 KR 102372789 B1 KR102372789 B1 KR 102372789B1 KR 1020200101094 A KR1020200101094 A KR 1020200101094A KR 20200101094 A KR20200101094 A KR 20200101094A KR 102372789 B1 KR102372789 B1 KR 10237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sistance dynamometer
resistance
ship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595A (ko
Inventor
유윤규
황승현
이영연
유선모
송윤영
이민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0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89B1/ko
Priority to CN202110710170.9A priority patent/CN114076666A/zh
Publication of KR2022002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6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crews and nuts, screw-gears or c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24Device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power, e.g. by measuring and simultaneously multiplying the values of torque and revolutions per unit of time, by multiplying the values of tractive or propulsive force and velocity
    • G01L3/247Device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power, e.g. by measuring and simultaneously multiplying the values of torque and revolutions per unit of time, by multiplying the values of tractive or propulsive force and velocity by measuring and simultaneously multiplying tractive or propulsive force and velo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2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towing tanks or model basins for desig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인봉으로 모형선박에 연결되어 예인수조에서 모형선박에 가해지는 저항을 시험하는 저항동력계로서, 모형선박에 설치되며 에어실이 내부에 구비된 저항동력계 본체;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실로의 공기 주입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 및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예인봉이 연결되는 예인봉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는,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상기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Resistance Dynamometer with Air Bearings for Ship Model Test Its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동력계 장비 내부의 힘을 전달하는 봉 주변으로 공기층을 형성하여 해당 봉이 기울어지지 않고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게 힘을 전달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선체의 강도와 적재능력, 선박의 소요 엔진마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선박의 흘수선(吃水線)과 선박의 하부의 선형(船形)이므로, 선박의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런데, 선박의 항로인 해수 등의 물은 고차원의 자유도를 가지므로, 이를 고려한 선박의 설계는 방대한 연산량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선박의 설계는 연산에 의한 수치적 방법 보다는, 해당 선박을 축소한 모형선박을 건조한 다음, 수조 내에서 시험하고, 이를 상사(相似)법칙에 의해 확대함으로써 실선(實船)의 유체력을 예측하여 설계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모형선박을 시험하기 위한 수조는 예인(曳引)수조(Towing Tank)와 회류수조로 대별된다. 예인수조는 움직임이 없는 유동장에서 모형선박을 예인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고, 회류수조는 모형선박은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장의 흐름을 유도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예인수조 시험은 모형선박의 예인시의 저항을 측정하여 실선의 속도에 따른 소요 마력을 추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로 선박의 엔진출력과 선형의 유효성 등 추진성능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회류수조 시험은 선박에 인가되는 전체적인 유체력보다는 조타(操舵) 등에 의하여 변화되는 유체력을 측정하는 데 적합하므로, 주로 선박의 조정성능의 파악에 사용되고 있다.
모형시험을 위해 실선과 같은 형상으로 축소하여 제작된 모형선을 축척비에 맞춰 계산된 속도로 시험을 수행하여, 무차원화 된 시험 데이터를 통해 선박의 유체성능을 평가한다. 정도 높은 데이터 취득과 결과 해석을 위해 필요한 계측 데이터의 특성과 계측 범위에 적합한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한다.
선박의 설계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제 선박을 상사한 형태로 제작된 모형선을 가지고 예인수조와 같은 시험시설에서 다양한 모형시험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수행되는 시험 중에 하나가 선박의 저항시험이다.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해당 데이터는 저항동력계를 통해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저항동력계는 예인전차(측정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형선에도 고정된다. 모형선과 저항동력계는 예인봉으로 연결된다. 정밀한 저항 측정을 위해 예인봉은 기울여지지 않고 평평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인봉 위에 수평계를 설치하여 저항동력계의 높이 조절을 통해 수평을 맞추거나, 예인점 반대편에 counter weight를 설치하여 수평을 맞추기도 한다.
예인봉은 모형선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예인봉이 길어질 경우에 counter weight를 설치하게 되면 그에 대한 모멘트로 인해 큰 무게를 가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그에 대한 공간도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예인봉의 길이에 따라 매번 그에 대응하는 counter weight를 계산하여 설치해야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68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불편을 최소화 하면서 장비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선박의 유체성능평가 정밀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예인봉으로 모형선박에 연결되어 예인수조에서 모형선박에 가해지는 저항을 시험하는 저항동력계로서, 상기 모형선박에 설치되며 에어실이 내부에 구비된 저항동력계 본체;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실로의 공기 주입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 및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예인봉이 연결되는 예인봉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는,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상기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상기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박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인봉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상기 예인봉은 예인봉 고정용 핀으로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과 상기 에어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를 이용한 그 측정방법에 있어서, 예인수조에 수용되는 모형선박의 일부분에 저항동력계를 설치하는 저항동력계 설치단계; 상기 저항동력계 설치단계를 통해서 상기 모형선박에 설치된 상기 저항동력계에 구비된 예인봉 연결고리에 예인봉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예인봉 삽입단계; 상기 예인봉 삽입단계를 통해서 예인봉이 삽입된 상기 저항동력계의 에어실에 상기 저항동력계의 일부분에 설치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을 수평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맞추는 공기 주입단계; 상기 공기 주입단계를 통해서 수평이 맞쳐진 상기 예인봉의 돌출된 말단을 상기 모형선박의 일부분에 구비된 예인점에 연결하는 예인봉 연결단계; 및 상기 저항동력계에 구비된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예인봉에 가해지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값 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단계에서는,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상기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상기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박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주입구를 통해서 에어실에 주입된 공기가 에어베어링을 형성하여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저항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로드셀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는 볼 조인트를 설치하여 정밀한 힘의 측정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저항동력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입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저항동력계의 입단면도이다.
도 7은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측정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저항동력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입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저항동력계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저항동력계의 입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봉으로 모형선박에 연결되어 예인수조에서 모형선박에 가해지는 저항을 시험하는 저항동력계로서, 본 발명은 저항동력계 본체(100), 로드셀(200), 공기 주입구(300) 및 예인봉 연결고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험자는 예인전차(60)가 구비된 예인수조(미도시)에서 모형선박(40)을 운항하면서 다양한 모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저항동력계 본체(100)는 모형선박(40)에 설치되며 에어실(110)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저항동력계 본체(100)는 봉(미도시)이 에어실(1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구(300)로 에어실(110)에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해당 봉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예인봉 연결고리(400)를 통해서 연결된 예인봉(30)이 모형선박(40)에 작용하는 저항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저항동력계 본체 내부의 힘을 전달하는 봉 주변으로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에어실(110)에 공기를 주입하고 에어실(110)에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을 통해서 에어실 내부의 봉을 받쳐주어 해당 봉이 중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고 자동으로 예인봉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로드셀(200)은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셀(200)은 예인봉(30)을 통한 저항값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300)는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에어실(110)로의 공기 주입을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주입구(300)는 에어실(110)과 연결되며 개폐식 커버가 구비되어 커버를 개폐하면서 컴프레셔 등의 공기주입기를 통해서 에어실(110)로의 공기 주입을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인봉 연결고리(400)는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예인봉(3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인봉 연결고리(400)에 연결되는 예인봉(30)은 예인봉 고정용 핀(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봉 연결고리(400)는 일부분에 예인봉(30) 고정용 핀이 고정되는 핀고정홀이 형성되어 예인봉(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는 볼 조인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500)는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모형선박(40)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로드셀(200)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는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서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로드셀(200)과 에어실(11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모듈은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나 디스플레이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측정방법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를 이용한 그 측정방법에 있어서, 저항동력계 설치단계(S100), 예인봉 삽입단계(S200), 공기 주입단계(S300), 예인봉 연결단계(S400) 및 저항값 측정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항동력계 설치단계(S100)는 예인수조(미도시)에 수용되는 모형선박(40)의 일부분에 저항동력계(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또한, 저항동력계(10)는 승강이 조절될 수 있다.
예인봉 삽입단계(S200)는 저항동력계 설치단계(S100)를 통해서 모형선박(40)에 설치된 저항동력계(10)에 구비된 예인봉 연결고리(400)에 예인봉(3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이다.
삭제
삭제
공기 주입단계(S300)는 예인봉 삽입단계(S200)를 통해서 예인봉(30)이 삽입된 저항동력계(10)의 에어실(110)에 저항동력계(10)의 일부분에 설치된 공기 주입구(300)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미도시)을 수평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맞추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주입단계에서는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예인봉 연결단계(S400)는 공기 주입단계(S300)를 통해서 수평이 맞쳐진 예인봉(30)의 돌출된 말단을 모형선박(40)의 일부분에 구비된 예인점(50)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저항값 측정단계(S500)는 저항동력계(10)에 구비된 로드셀(200)을 이용하여 예인봉(30)에 가해지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측정방법은 볼 조인트(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볼 조인트(500)는 저항동력계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모형선박(40)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로드셀(200)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저항동력계
30 : 예인봉
40 : 모형선박
50 : 예인점
60 : 예인전차
70 : 클램프
80 : 클램프 봉
100 : 저항동력계 본체
110 : 에어실
200 : 로드셀
300 : 공기 주입구
400 : 예인봉 연결고리
500 : 볼 조인트

Claims (8)

  1. 예인봉으로 모형선박에 연결되어 예인수조에서 모형선박에 가해지는 저항을 시험하는 저항동력계로서,
    상기 모형선박에 설치되며 에어실이 내부에 구비된 저항동력계 본체;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로드셀;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실로의 공기 주입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 및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예인봉이 연결되는 예인봉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는,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상기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상기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박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인봉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상기 예인봉은 예인봉 고정용 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과 상기 에어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6. 청구항 1 내지 3 및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를 이용한 그 측정방법에 있어서,
    예인수조에 수용되는 모형선박의 일부분에 저항동력계를 설치하는 저항동력계 설치단계;
    상기 저항동력계 설치단계를 통해서 상기 모형선박에 설치된 상기 저항동력계에 구비된 예인봉 연결고리에 예인봉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예인봉 삽입단계;
    상기 예인봉 삽입단계를 통해서 예인봉이 삽입된 상기 저항동력계의 에어실에 상기 저항동력계의 일부분에 설치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을 수평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맞추는 공기 주입단계;
    상기 공기 주입단계를 통해서 수평이 맞쳐진 상기 예인봉의 돌출된 말단을 상기 모형선박의 일부분에 구비된 예인점에 연결하는 예인봉 연결단계; 및
    상기 저항동력계에 구비된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예인봉에 가해지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값 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단계에서는,
    상기 에어실 내부에 구비된 봉이 상기 공기 주입구로 주입된 공기의 에어베어링 작용으로 상기 에어실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과 중력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예인봉과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측정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저항동력계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모형선박에 걸리는 힘을 설정된 정도의 정밀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에 점접촉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의 측정방법.
KR1020200101094A 2020-08-12 2020-08-12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KR10237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94A KR102372789B1 (ko) 2020-08-12 2020-08-12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CN202110710170.9A CN114076666A (zh) 2020-08-12 2021-06-25 用于船舶模型试验的适用了空气轴承的测阻力仪及其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94A KR102372789B1 (ko) 2020-08-12 2020-08-12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95A KR20220020595A (ko) 2022-02-21
KR102372789B1 true KR102372789B1 (ko) 2022-03-10

Family

ID=8028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94A KR102372789B1 (ko) 2020-08-12 2020-08-12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2789B1 (ko)
CN (1) CN11407666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166B1 (ko) 2014-05-22 2016-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쇄빙 모형선의 자동 추적 시스템
KR102032490B1 (ko) 2018-04-25 2019-10-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능동 진동 제어 기술을 이용한 모형 선박의 저항 계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4345U (ko) * 1985-08-19 1987-02-28
JP2002365159A (ja) * 2001-06-11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模型船の曳航・抵抗計測装置
CN101907510B (zh) * 2010-06-29 2011-10-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二研究所 气泡船模拖曳试验方法
CN203519301U (zh) * 2013-11-01 2014-04-02 韩颖骏 自航船模阻力测量装置
KR20150066800A (ko) 2013-12-09 2015-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수조 시험용 저항동력계
KR101710955B1 (ko) * 2015-05-27 2017-02-28 강진우 오프로드 주행성능이 개선된 캠핑 트레일러
CN109253855B (zh) * 2018-09-29 2019-09-06 华中科技大学 一种多自由度阻力仪
CN110132537A (zh) * 2019-05-21 2019-08-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用于实海域船舶阻力试验的测量装置
CN110207950B (zh) * 2019-07-03 2021-01-29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水池船模在波浪中的拖曳装置及其试验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166B1 (ko) 2014-05-22 2016-03-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쇄빙 모형선의 자동 추적 시스템
KR102032490B1 (ko) 2018-04-25 2019-10-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능동 진동 제어 기술을 이용한 모형 선박의 저항 계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95A (ko) 2022-02-21
CN114076666A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39042B (zh) 沉管隧道安装精度检验方法
KR20100108991A (ko) 항공기 착륙장치의 시험장치 및 방법
CN110442973A (zh) 一种车辆关键零部件的耐久度测试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7941307A (zh) 一种常规大型液体发动机推进剂流量现场校准系统及方法
CN108088778A (zh) 一种岩石类材料渗透率、孔隙率测试装置
JP2009520971A (ja) 内燃エンジンのオイル消費を自動的に測定し前述のエンジンのオイル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KR102372789B1 (ko)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선박의 모형시험을 위한 저항동력계 및 그 측정방법
KR20080047186A (ko) 행어 케이블의 장력 측정방법
Büker et al. Investigations on pressure dependence of Coriolis mass flow meters used at hydrogen refueling stations
Symes et al. Determination of local displacements on soil samples
CN110082388A (zh) 可测定导热系数和渗透系数的三轴试验装置及其方法
ES2408235T3 (es) Procedimiento que permite analizar el caudal de inyección paso a paso proporcionado por un sistema de inyección de carburante utilizado en un motor térmico de alta potencia
CN206946302U (zh) 用于校准和控制有杆泵控制器的装置以及有形机器可读储存设备或储存盘
KR102153603B1 (ko) 로켓 추력 측정장치
CN105841904B (zh) 一种油气弹簧寿命的试验方法
ES2275770T3 (es) Procedimiento para la determinacion de la viscosidad de un fluido de servicio de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CN106248160A (zh) 燃油流量计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6812163B (zh) 水上基桩结构水平承载力的动力检测方法
KR101784700B1 (ko)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RU239506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яги 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5004083U (zh) 差压变送器静压特性测试装置
CN108760519A (zh) 一种油液体积弹性模量检测传感器及检测方法
CN110895202B (zh) 研究环境因素对流量测量影响的试验装置
KR20130141863A (ko) 가변 밸브의 차압을 이용한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유량 측정 방법에 이용되는 고유유량계수의 측정 방법
CN115075309B (zh) 一种桩身轴力及侧摩阻力测试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