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262B1 -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 Google Patents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62B1
KR102372262B1 KR1020190153735A KR20190153735A KR102372262B1 KR 102372262 B1 KR102372262 B1 KR 102372262B1 KR 1020190153735 A KR1020190153735 A KR 1020190153735A KR 20190153735 A KR20190153735 A KR 20190153735A KR 102372262 B1 KR102372262 B1 KR 10237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ing yarn
pantyhose
denier
pant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942A (ko
Inventor
권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크릿레스트
Priority to KR102019015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팬티스타킹은 커버링사만으로 편직되고, 착용자의 복부와 허리부분에 닿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편직으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하복부와 엉덩이 부분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팬티부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착용자의 다리부분을 밀착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Pantyhose releasing pressure on the abdomen}
본 발명은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에 관한 것이다.
스타킹은 '하루살이 양말'이라는 의미의 풋웨어의 일종으로, 착용 전엔 수축되어 있고, 착용 시에는 신축하여 착용이 되는 양말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1938년 나일론이 발명되면서 나일론 스타킹이 개발되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하였고, 이외에도 1960년대에 지금과 같은 팬티스타킹이 개발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팬티 스타킹은 허리부분까지 착용할 수 있는 스타킹으로 이 스타킹은 밴드부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팬티스타킹에 적용되는 밴드부는 고무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이것은 허리와 복부에 강한 압박을 준다. 일반적인 팬티스타킹은 팬티부와 다리부의 구분 없이 전체가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허리를 감싸는 끝부분에만 밴드부를 마련한다.
고무사로 형성되는 밴드부는 보통 140 데니어 가량의 고무사 1가닥과 커버링사 2가닥, 나일론사 2가닥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강한 압박을 제공하여, 팬티스타킹을 고정한다.
또한 기존에 제공되는 편직기의 한계로 인해 허리 밴드는 한쪽당 최대 자연길이 12~13 센티미터를 넘을 수 없어, 양쪽 봉제의 경우 20인치 정도 허리의 폭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팬티스타킹을 착용하는 여성의 허리 사이즈와 비교하면 매우 좁은 사이즈이다.
탄성이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140데니어의 고무사가 주는 압박은 아직 배가 많이 나오지 않아 임부스타킹을 신을 수 없는 초중기 임산부나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장이 약한 착용자의 경우 상당한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복부에 깊은 자국을 남기거나 허리밴드가 말리는 부작용을 가져온다.
이렇게 임산부나 장이 불편한 착용자들도 착용할 수 있는 팬티스타킹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팬티스타킹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부와 허리에 압박을 가하지 않아, 초기 임산부나 장이 편안하지 않은 여성에게 착용이 가능한 팬티스타킹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팬티스타킹은 커버링사만으로 편직되고, 착용자의 복부와 허리부분에 닿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편직으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하복부와 엉덩이 부분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팬티부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착용자의 다리부분을 밀착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밴드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3 내지 5 센티미터의 세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티부는 가랑이에서 상기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가 18 내지 22 센티미터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가랑이에서 상시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의 당김 사이즈는 32 내지 38 센티미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커버링사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내지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20 내지 7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링사와 심사가 폴리우레탄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2 커버링사가 각각 2가닥씩 편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위사와 경사를 커버링사로 편직하며, 압박강도는 15 내지 30 토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팬티스타킹은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와 엉덩이 부분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팬티부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한 다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팬티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팬티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다리부에 사용되는 커버링사와 동일한 커버링사로 편직되고, 상기 착용자의 허리와 상복부를 커버하는 부분 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분 신축부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티부 상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에 따른 팬티스타킹은 팬티부에서 가장 높은 데니어의 소재를 사용하여 낮은 신축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잘 늘어나지 않게 되어 엉덩이부와 하복부를 밀착하는 것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밴드부에서 고정을 위해 복부나 허리에 압박을 가하지 않아, 임산부나 장이 편안하지 않은 환자도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밴드부를 아예 형성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압박감과 길이를 가지는 구조를 포함하여, 허리를 조이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을 주면서도, 늘어나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부분 신축부를 포함하여 별도의 밴드부 구성 없이 임산부나 장이 약한 착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팬티스타킹을 단순한 공정 하에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팬티스타킹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의 구조는 커버링사만으로 편직되는 밴드부(100), 상기 밴드부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편직으로 구성되는 팬티부(200)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한 다리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부(100)는 좀 더 높은 길이감을 가져 착용자의 아래뱃살보다 조금 위쪽에 위치하며, 이것은 아래 뱃살에 밴드가 위치하여 밴드가 돌돌 말려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기존에 가지고 있는 밴드의 길이보다 더 세로 폭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복부와 허리를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복부와 허리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너무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허리 밴드가 허리에 파묻히거나, 심한 자국을 남길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한다.
팬티부(200)는 실질적인 고정을 위한 압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 기존 제품들과는 가장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다. 통상의 팬티스타킹은 허리밴드보다 팬티부분이 더 크게 신축되도록 편직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허리밴드보다 팬티부분을 더 작게 또는 신축성을 낮게 편직하여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에, 밴드부(100)보다 덜 신축되므로, 더 압박하는 힘을 가져 실질적으로 팬티스타킹을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성으로 팬티부를 더 신축성이 낮게 표현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더 작은 크기로 제작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팬티부(200)는 엉덩이와 하복부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흘러내리지 않도록 꽉 잡아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팬티부는 압박이 높은 다리부의 원사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리부 보다 더 높은 데니아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커버링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리부는 높은 압박강도를 가져 다리부위를 압박할 수 있게 제작된다. 다리부가 다리에서 높은 압박강도를 가지므로 다리부에서도 흘러내림이 없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다리부는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리 부분을 교편 편직하지 않고, 4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편직한다. 또한 다리부는 경사와 위사 모두를 커버링사로 편직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분이 빈틈없이 밀착되어, 다리 부분을 맵시있게 보임과 동시에 스타킹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잡아준다.
제작부위의 치수와 범위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100)의 폭(D1)은 3 내지 5 센티미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밴드부(100)가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으며, 너무 좁게 형성되는 경우 뱃살에 파고들거나 말리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밴드부는 커버링사로만 편직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링사의 구성은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내지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20 내지 7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커버링사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심사인 폴리우레탄이 2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링사와 심사가 폴리우레탄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2 커버링사가 각각 2가닥씩 편직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티부(200)는 가랑이에서 상기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D2)가 18 내지 22 센티미터의 폭으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밴드부(100)의 폭(D1)을 포함하는 경우 약 20 에서 28 센티미터 전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는 팬티부(200)가 착용자의 하복부까지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다. 착용자의 하복부와 엉덩이에 팬티부(200)가 밀착할 수 있는 높이 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팬티부의 가랑이에서 상시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의 당김 사이즈는 32 내지 38 센티미터로 형성될 수 있다.
팬티부(200)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일반적으로 4가닥으로 짜여지거나, 커버링사 2가닥과 나일론사 2가닥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팬티부(200)는 가장 높은 압박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신축력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팬티부(200)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한다.
팬티부(200) 및 다리부(300)의 커버링사의 데니어들은 계절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적용할 수 있어,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팬티부(200)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300)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보다 더 데니어가 높거나,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압박강도가 15 내지 30 토르(mmhg)가 되도록 제작된다. 다리부(300)은 위사와 경사를 커버링사로 편직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4방향 신축이 가능하도록 위사와 경사 모두 커버링사로 편직되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리부(300)의 커버링사의 데니어들은 계절에 따라 다른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티스타킹은, 팬티부(200)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한 다리부(300)를 포함하고, 팬티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팬티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다리부에 사용되는 커버링사로 편직되는 부분 신축부(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밴드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팬티부(200)가 허리 아래의 모든 부분을 커버하고, 팬티부(200)의 일부 영역에는 착용자의 허리와 상부 복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부분 신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신축부(210)는 상대적으로 높은 신축력을 가지는 다리부(300)에 사용되는 커버링사와 동일한 종류의 커버링사가 적용되며, 이것은 팬티부(200) 상부에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부분 신축부(210)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티부(200)의 상부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 신축부(210)의 크기와 개수가 증가할수록 팬티부(200) 상부의 신축력은 증가되며, 착용자는 이 부분에서 더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밴드부(100)를 포함하지 않아, 더 단순한 구조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밴드부
200 : 팬티부
300 : 다리부
D1 : 밴드부 길이
D2 : 팬티부의 특정 길이
210 : 부분 신축부

Claims (10)

  1. 착용자의 하복부와 엉덩이 부분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보다 더 높은 신축성을 가지고 착용 시 상기 팬티부 보다 더 낮은 압박력을 가지도록 커버링사만으로 편직되고, 착용자의 복부와 허리부분을 압박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밴드부;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하며, 착용자의 다리부분을 밀착하는 다리부;
    를 포함하는 팬티스타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밴드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3 내지 5 센티미터의 세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티부는 가랑이에서 상기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가 18 내지 22 센티미터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가랑이에서 상시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의 당김 사이즈는 32내지 38 센티미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커버링사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내지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20 내지 7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심사가 폴리우레탄 2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1 커버링사와 심사가 폴리우레탄 30 데니어이고, 겉사가 30 데니어인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제2 커버링사가 각각 2가닥씩 편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위사와 경사를 커버링사로 편직하며, 압박강도는 15 내지 30 토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9. 커버링사만으로 편직되고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와 엉덩이 부분에 빈틈없이 밀착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팬티부; 및
    4방향 신축이 가능한 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팬티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는 다리부에 적용되는 커버링사에서 심사인 폴리우레탄의 데니어가 동일하거나, 10 내지 20 데니어 더 높은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팬티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다리부에 사용되는 커버링사와 동일한 커버링사로 편직되고, 상기 착용자의 허리와 상복부를 커버하는 부분 신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팬티부는 상기 다리부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가지고 착용 시 상기 부분 신축부 보다 더 압박력을 가지는 편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신축부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티부 상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
KR1020190153735A 2019-11-26 2019-11-26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KR10237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735A KR102372262B1 (ko) 2019-11-26 2019-11-26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735A KR102372262B1 (ko) 2019-11-26 2019-11-26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42A KR20210064942A (ko) 2021-06-03
KR102372262B1 true KR102372262B1 (ko) 2022-03-10

Family

ID=7639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735A KR102372262B1 (ko) 2019-11-26 2019-11-26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86B2 (ja) * 1998-12-30 2001-05-21 三星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タイプ2相振動モータ
JP2008088597A (ja) * 2006-10-02 2008-04-17 Gunze Ltd バンドおよび該バンドを備えた衣類
JP2018131703A (ja) * 2017-02-14 2018-08-23 グンゼ株式会社 下半身用衣類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99Y1 (ko) * 1989-06-20 1992-10-17 이달준 신축성 허리띠를 갖는 타이즈
KR200365097Y1 (ko) 2004-07-30 2004-10-15 유세환 남녀공용 팬티스타킹
JP3167986U (ja) * 2011-03-08 2011-05-26 岡本株式会社 靴下
KR20160002700U (ko) * 2015-01-26 2016-08-03 정연범 골반지지부가 구비된 기능성 레깅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86B2 (ja) * 1998-12-30 2001-05-21 三星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タイプ2相振動モータ
JP2008088597A (ja) * 2006-10-02 2008-04-17 Gunze Ltd バンドおよび該バンドを備えた衣類
JP2018131703A (ja) * 2017-02-14 2018-08-23 グンゼ株式会社 下半身用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42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651B2 (en) Compression fabrics with tailored comfort
US9554600B2 (en) Band for garment
KR100588070B1 (ko) 탄력 스타킹 또는 탄력 타이츠와 같은 압축성 하지 보조기
US6276176B1 (en) Pantyhose under garment
JP5785379B2 (ja) 医療用ストッキング
KR101540906B1 (ko) 임산부용 압박스타킹
KR101728958B1 (ko) 기능성 레깅스
KR200481569Y1 (ko) 종아리 흘림방지용 기능성 양말
CN110662439B (zh) 压力袜
KR102372262B1 (ko) 복부에 압박을 주지 않는 팬티스타킹
US11259969B2 (en) Welted textile orthosis
JP6603057B2 (ja) インナー・ウェア
CA3071372C (en) Toeless garment
JP2014094112A (ja) ストッキング
JP5530189B2 (ja) レッグウェア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CN219182838U (zh) 一种抗菌型连体丝袜
JP6538485B2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6025004B2 (ja) 弾性筒状包帯
CN215124415U (zh) 一种弹性好的连裤袜
CN208030288U (zh) 松口保暖袜
CN209573258U (zh) 前腰交叉式孕期低腰托腹内裤
JPH0711121Y2 (ja) スポーツ用のくつ下
KR20230078322A (ko) 골반 교정을 위한 골반 패드를 포함하는 레깅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5143521U (zh) 一种两面穿连裤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