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157B1 -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157B1
KR102372157B1 KR1020170164829A KR20170164829A KR102372157B1 KR 102372157 B1 KR102372157 B1 KR 102372157B1 KR 1020170164829 A KR1020170164829 A KR 1020170164829A KR 20170164829 A KR20170164829 A KR 20170164829A KR 102372157 B1 KR102372157 B1 KR 10237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fixed
edge
insulation pane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561A (ko
Inventor
천병희
김동우
권승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1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상하 양단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 각각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액체화물창의 서로 단열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갭 단차를 따라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을 저감하여 갭 단차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GAP STEP REDUCING BRIDGE ASSEMBLY OF INSULATION PANEL FOR LIQUID CARGO}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화물창의 서로 단열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갭 단차를 따라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을 저감하여 갭 단차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는 천연가스를 초저온상태(-163℃)로 액화시킨 것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매우 낮은 비등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는 화물창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을 구비한 선박의 화물창 설계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한 액화천연가스의 비등을 방지하는 단열기술 및 액화천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술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화물창을 제작하는 방식에는 독립구형(MOSS), 독립방형, 멤브레인형, 일체형등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고, 그 중 멤브레인(Membrane)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멤브레인의 재질 및 설계방식에 따라 구분되고, 화물창의 재료로 INVAR(Invariable의 약어로, 36% 니켈강과 스테인리스 스틸강의 합금으로 제조됨)와 스테인리스 스틸강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멤브레인 방식에 의하여 제작되는 화물창의 경우 단열 패널 사이의 틈새(gap)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방향의 단차로 인하여 멤브레인 패널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멤브레인 패널의 손상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등록특허 제10-1722241호의 "레벨링 웨지 고정구를 구비한 LNG 운반선용 화물창의 하부 패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단열 격벽으로 되는 하부 패널의 설치시에 레벨링 웨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단열 패널의 고정을 위하여 단열커버 표면에 하부패널 고정홀이나 패널너트 안착부와 같은 복잡한 단차부 구성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며, 이와 대응하는 스터드볼트 결합부를 마련한 패널 너트와 같은 특정한 추가 부품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부품의 추가 구성이나 결합 구조 마련을 위한 설계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증대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7222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액체화물창의 서로 단열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갭 단차를 따라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을 저감하여 갭 단차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 각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1 코어편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코어편과 상호 접촉 배치되는 제2 코어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코어편 및 상기 제2 코어편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코어편 및 상기 제2 코어편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편과,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편과,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편과, 상기 제1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1 삽입 고정편과, 상기 제2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2 삽입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 커버 보드와, 상기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2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 커버 보드와, 상기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안착 단차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삽입 걸림편과, 상기 제2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삽입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기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1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기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차홈과,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상기 제1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수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기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2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기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차홈과,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상기 제2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수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상하 양단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 각각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과, 제1 단열 패널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 사이에서 제1 단열 패널 및 제2 단열 패널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 및 제2 단열 패널 각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부; 및 코어부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제1 단열 패널 및 제2 단열 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는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함으로써, 갭 단차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어부는, 갭 단차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1 코어편과, 갭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며 제1 코어편과 상호 접촉 배치되는 제2 코어편을 포함하며, 제1 안착부는 제1 코어편 및 제2 코어편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안착부는 제1 코어편 및 제2 코어편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단열 패널 및 제2 단열 패널의 결합 방향에 따른 열수축과 열팽창에 대한 상한과 하한의 경계와 구조적 강도 유지 역할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는,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편과,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편을 포함함으로써, 확실하고 견고한 안착 고정 면적을 확보하여 갭 단차 주위에서 발생하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 응력으로 인한 변형 또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안착부는,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편과,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편과, 제1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1 삽입 고정편과, 제2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2 삽입 고정편을 포함함으로써, 갭 단차에 코어부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 커버 보드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는 제1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는 제1 패널 본체의 하면과 제1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에 견고하고 확실한 고정 구조 및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2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 커버 보드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는 제2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는 제2 패널 본체의 하면과 제2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에 견고하고 확실한 고정 구조 및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1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2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안착 단차홈을 더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 결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제1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제1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도록 하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제2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제2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노출되거나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하여 충격 하중이나 압력 등에 의한 파손과 변형 발생 우려가 있는 개소를 없애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안착부는, 제1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1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삽입 걸림편과, 제2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2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삽입 걸림편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에 코어부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은,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제1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안내 사면을 더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하고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없애 깔끔한 마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열 패널은,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차홈과,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제1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수용 안내 사면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에 코어부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 패널은, 제2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홈과, 제2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안내 사면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에 코어부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단열 패널은,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차홈과,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제2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수용 안내 사면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에 코어부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가 단열 패널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가 단열 패널(400, 500)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300)의 상하 양단부에 안착부(100, 20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착부(100, 200)는 제1 안착부(100) 및 제2 안착부(200)를 포함한다.
우선, 코어부(300)는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400)과, 제1 단열 패널(400)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500) 사이에서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6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안착부(100)는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 각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된다.
제2 안착부(200)는 코어부(300)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각자 거동하던 제1 및 제2 단열패널(400, 500)을, 제1 안착부(100) 및 제2 안착부(200)에 의해 잡아줌으로써,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코어부(300)는,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400)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1 코어편(310)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500)의 측면과 마주보며 제1 코어편(310)과 상호 접촉 배치되는 제2 코어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1 안착부(100)는 제1 코어편(310) 및 제2 코어편(320)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안착부(200)는 제1 코어편(310) 및 제2 코어편(3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안착부(100)는,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편(110)과,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편(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1 안착편(110)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안착 단차홈(4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2 안착편(120)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안착 단차홈(5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으로부터 제1 안착 단차홈(421)까지의 길이는, 제1 안착편(110)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으로부터 제2 안착 단차홈(521)까지의 길이는, 제2 안착편(120)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안착부(200)는,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400)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편(201)과,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500)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편(2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200)는, 제1 걸림 리브편(201)에 걸림 고정되며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에 고정되는 제1 삽입 고정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안착부(200)는, 제2 걸림 리브편(202)에 걸림 고정되며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500)에 고정되는 제2 삽입 고정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착부(200)는, 제1 걸림 리브편(201)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1 삽입 고정편(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삽입 걸림편(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부(200)는, 제2 걸림 리브편(202)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2 삽입 고정편(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삽입 걸림편(2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단열 패널(400)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 본체(410)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4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4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착부(100)의 제1 안착편(110)은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200)의 제1 삽입 고정편(210)은 제1 패널 본체(410)의 하면과 제1 하부 커버 보드(430)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열 패널(400)은,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홈(4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 패널(400)은, 제1 안착 단차홈(4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안내 사면(4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안착 안내 사면(422)은 코어부(300)중 제1 코어편(310)과, 제1 안착부(100)의 제1 안착편(110)이 연결되는 부분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열 패널(400)은, 제2 안착부(200)가 고정되도록, 제1 하부 커버 보드(43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차홈(431)과, 제1 하부 커버 보드(430)의 하면에 제1 고정 단차홈(431)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수용 안내 사면(43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수용 안내 사면(432)은, 제2 안착부(200)에서 코어부(300)의 제1 코어편(310)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하부 커버 보드(430)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1 걸림 리브편(201)이 제1 단열 패널(4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430) 가장자리 내측에 깔끔하게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제1 삽입 고정편(210)과 정확하게 맞물리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열 패널(500)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2 패널 본체(510)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5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5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착부(100)의 제2 안착편(120)은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200)의 제2 삽입 고정편(220)은 제2 패널 본체(510)의 하면과 제2 하부 커버 보드(530)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열 패널(500)은,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홈(5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 패널(500)은, 제2 안착 단차홈(5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안내 사면(5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안착 안내 사면(522)은 코어부(300)중 제2 코어편(320)과, 제1 안착부(100)의 제2 안착편(120)이 연결되는 부분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열 패널(500)은, 제2 안착부(200)가 고정되도록, 제2 하부 커버 보드(53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차홈(531)과, 제2 하부 커버 보드(530)의 하면에 제2 고정 단차홈(531)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수용 안내 사면(53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수용 안내 사면(532)은, 제2 안착부(200)에서 코어부(300)의 제2 코어편(320)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하부 커버 보드(530)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2 걸림 리브편(202)이 제2 단열 패널(5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530) 가장자리 내측에 깔끔하게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제2 삽입 고정편(220)과 정확하게 맞물리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400)과, 제1 단열 패널(400)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500) 사이에서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들 각각의 상, 하면에 직교 방향으로 발생한 갭 단차(600)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300);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 각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부(100); 및 코어부(300)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안착부(200)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100) 및 제2 안착부(200)는 직교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하중과 충격을 저감함으로써, 갭 단차(600)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어부(300)는,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400)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1 코어편(310)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500)의 측면과 마주보며 제1 코어편(310)과 상호 접촉 배치되는 제2 코어편(320)을 포함하며, 제1 안착부(100)는 제1 코어편(310) 및 제2 코어편(320)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안착부(200)는 제1 코어편(310) 및 제2 코어편(3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되도록 함으로써, 제1 단열 패널(400) 및 제2 단열 패널(500)의 결합 방향에 따른 열수축과 열팽창에 대한 상한과 하한의 경계와 구조적 강도 유지 역할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100)는,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편(110)과, 코어부(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편(120)을 포함함으로써, 확실하고 견고한 안착 고정 면적을 확보하여 갭 단차(600) 주위에서 발생하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 응력으로 인한 변형 또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안착부(200)는,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1 단열 패널(400)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편(201)과,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갭 단차(600)를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500)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편(202)과, 제1 걸림 리브편(201)에 걸림 고정되며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단열 패널(400)에 고정되는 제1 삽입 고정편(210)과, 제2 걸림 리브편(202)에 걸림 고정되며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 단열 패널(500)에 고정되는 제2 삽입 고정편(220)을 포함함으로써, 갭 단차(600)에 코어부(300)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200)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400)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 본체(410)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4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1 패널 본체(4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430)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100)는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200)는 제1 패널 본체(410)의 하면과 제1 하부 커버 보드(430)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안착부(100) 및 제2 안착부(200)에 견고하고 확실한 고정 구조 및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열 패널(500)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2 패널 본체(510)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5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와,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제2 패널 본체(5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530)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100)는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에 고정되고, 제2 안착부(200)는 제2 패널 본체(510)의 하면과 제2 하부 커버 보드(530)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안착부(100) 및 제2 안착부(200)에 견고하고 확실한 고정 구조 및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1 안착편(110)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안착 단차홈(421)과,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2 안착편(120)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안착 단차홈(521)을 더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 결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으로부터 제1 안착 단차홈(421)까지의 길이는, 제1 안착편(110)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도록 하며, 제2 단열 패널(500)의 상면으로부터 제2 안착 단차홈(521)까지의 길이는, 제2 안착편(120)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노출되거나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하여 충격 하중이나 압력 등에 의한 파손과 변형 발생 우려가 있는 개소를 없애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안착부(200)는, 제1 걸림 리브편(201)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1 삽입 고정편(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삽입 걸림편(211)과, 제2 걸림 리브편(202)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제2 삽입 고정편(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부(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삽입 걸림편(222)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600)에 코어부(300)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200)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열 패널(400)은,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홈(421)과, 제1 안착 단차홈(4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상부 커버 보드(420)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안내 사면(422)을 더 구비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되도록 하고 제1 단열 패널(4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없애 깔끔한 마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제1 단열 패널(400)은, 제2 안착부(200)가 고정되도록, 제1 하부 커버 보드(43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차홈(431)과, 제1 하부 커버 보드(430)의 하면에 제1 고정 단차홈(431)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수용 안내 사면(432)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600)에 코어부(300)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200)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 패널(500)은, 제1 안착부(100)가 안착 고정되도록,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홈(521)과, 제2 안착 단차홈(5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상부 커버 보드(520)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안내 사면(522)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600)에 코어부(300)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200)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단열 패널(500)은, 제2 안착부(200)가 고정되도록, 제2 하부 커버 보드(53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차홈(531)과, 제2 하부 커버 보드(530)의 하면에 제2 고정 단차홈(531)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수용 안내 사면(532)을 더 구비함으로써, 갭 단차(600)에 코어부(300)를 삽입하고 제2 안착부(200)를 체결 고정하는 일련의 작업 공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액체화물창의 서로 단열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갭 단차를 따라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나 압력을 저감하여 갭 단차 주위의 파손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제1 안착부 110...제1 안착편
120...제2 안착편 200...제2 안착부
201...제1 걸림 리브편 202...제2 걸림 리브편
210...제1 삽입 고정편 211...제1 삽입 걸림편
220...제2 삽입 고정편 222...제2 삽입 걸림편
300...코어부 310...제1 코어편
320...제2 코어편 400...제1 단열 패널
410...제1 패널 본체 420...제1 상부 커버 보드
421...제1 안착 단차홈 422...제1 안착 안내 사면
430...제1 하부 커버 보드 431...제1 고정 단차홈
432...제1 수용 안내 사면 500...제2 단열 패널
510...제2 패널 본체 520...제2 상부 커버 보드
521...제2 안착 단차홈 522...제2 안착 안내 사면
530...제2 하부 커버 보드 531...제2 고정 단차홈
532...제2 수용 안내 사면 600...갭 단차

Claims (15)

  1. 액체화물창용의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이웃한 제2 단열 패널 사이에 발생한 갭 단차에 배치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 각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 및 상기 제2 단열 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편과,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측면 상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편과,
    상기 제1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1 삽입 고정편과,
    상기 제2 걸림 리브편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열 패널에 고정되는 제2 삽입 고정편을 포함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1 코어편과,
    상기 갭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코어편과 상호 접촉 배치되는 제2 코어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코어편 및 상기 제2 코어편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코어편 및 상기 제2 코어편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안착편과,
    상기 코어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 커버 보드와,
    상기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제2 패널 본체와,
    플라이우드(plywood)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 커버 보드와,
    상기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 커버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패널 본체의 하면과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 상면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편의 저면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안착 단차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안착 단차홈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안착편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삽입 걸림편과,
    상기 제2 걸림 리브편에 맞물려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삽입 고정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코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삽입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기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1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패널은,
    상기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차홈과,
    상기 제1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상기 제1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수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기 제1 안착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 단차홈과,
    상기 제2 안착 단차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상부 커버 보드의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 패널은,
    상기 제2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차홈과,
    상기 제2 하부 커버 보드의 하면에 상기 제2 고정 단차홈의 가장자리까지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수용 안내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15. 삭제
KR1020170164829A 2017-12-04 2017-12-04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KR10237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29A KR102372157B1 (ko) 2017-12-04 2017-12-04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29A KR102372157B1 (ko) 2017-12-04 2017-12-04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61A KR20190065561A (ko) 2019-06-12
KR102372157B1 true KR102372157B1 (ko) 2022-03-08

Family

ID=6684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829A KR102372157B1 (ko) 2017-12-04 2017-12-04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1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152Y2 (ja) * 1993-02-02 1999-05-2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断熱パネル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618A (ko) * 2009-11-16 2011-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 박스
KR101722241B1 (ko) 2015-07-15 2017-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레벨링 웨지 고정구를 구비한 lng 운반선용 화물창의 하부 패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152Y2 (ja) * 1993-02-02 1999-05-2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断熱パネル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61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38B1 (ko) 앵커 스트립이 제거된 액화가스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구조, 그 인슐레이션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및 그 화물창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51655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20136330A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102150457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20130001844A (ko) 진공 단열형 저장 탱크의 지지 구조체
KR20130099900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0748819B1 (ko) Lng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판 고정장치
CN106715256A (zh) 货舱角落部屏障结构以及货舱角落部屏障的设置方法
KR20160033818A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KR102372157B1 (ko) 액체화물창의 단열 패널 갭 단차 저감용 브리지 어셈블리
KR10133763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37525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20120013220A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KR20110024502A (ko) 카고 탱크의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KR10215864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824428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45563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
KR101411540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399892B1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10134987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007695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tbp 고정 장치
KR101467406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400148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630970B1 (ko) 저장탱크의 단열재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217654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